KR930011860B1 - 잉크기록장치용 운송회전부재 및 그것을 가지는 잉크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잉크기록장치용 운송회전부재 및 그것을 가지는 잉크기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11860B1 KR930011860B1 KR1019900014760A KR900014760A KR930011860B1 KR 930011860 B1 KR930011860 B1 KR 930011860B1 KR 1019900014760 A KR1019900014760 A KR 1019900014760A KR 900014760 A KR900014760 A KR 900014760A KR 930011860 B1 KR930011860 B1 KR 9300118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ink
- recording medium
- recording apparatus
- spu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76—Construction of rollers; Bearing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2/00—Means preventing smudging of machine parts or prin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5—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toothed ro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4—Built-up elements
- B65H2404/1141—Built-up elements covering a part of the periph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1—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 B65H2404/1312—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tapered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3—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 B65H2404/1531—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the transport surface being a cylinder
Landscapes
- Ink Je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프린터 전체의 구성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박차(拍車) 구성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의 조합 설명도.
제8도는 기록매체상으로 토출된 잉크상태도.
제9도는 박차 표면에 부착하는 잉크의 에너지 레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10도는 종래예에서의 박차에의 잉크전사 프로세스도.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측면도의 조합 설명도.
제15도는 제2도 내지 제7도 실시예에서의 박차를 사용한 경우라도 새롭게 발생된 전면흑색부분을 통과 직후의 박차표면에 부착하는 잉크의 상태도.
제16도는 제1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박차 표면에의 잉크의 전사 상태도.
제17도는 맞닿는 폭이 넓은 경우의 박차를 기록매체의 진행방향에서 본 도면.
제18도는 제15도의 문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최상모우드의 실시예의 설명도.
제19a 및 19b도는 박차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박차의 조립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21도는 제20도 실시예의 부분 변형 실시예의 설명도.
제22도는 백피이드계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기록장치의 설명도.
제23도, 제24도, 제25도는 백피이드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기록매체의 세트 설명도.
제26도는 백피이드계 발명의 제3실시예의 운송 가이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헤드 카트리지 1a : 기록헤드
1b : 잉크탱크 2 : 캐리지
3 : 가이드축 4 : 장치베이스의 새시
5 : 플래튼로울러 6, 7 : 운송용 로울러
8 : 박차(운송부재) 8a : 링
8b : 가이드링 9 : 운송용 가이드부재(받이로울러)
10 : 토출된 잉크 12 : 급지로울러쌍
13, 131 : 박차운송로울러쌍 14, 141 : 박차 배지로울러쌍
15 :운송가이드 61, 71 : 용지누르개(운송로울러)
81 : 가이드박차 100 : 스페이서 로울러
본 발명은, 종이, 필름, 이들 합성지등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잉크를 사용한 기록을 행하는 기록장치의 기록매체 운송용의 회전부재에 관하여 이것을 구비한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록후의 상기 기록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으로써, 둘레면이 상기 기록매체에 연속하여 맞닿는 회전체를 가지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효하게는 기록매체에 기록액을 토출하여(바람직하게는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 제트기록장치에 관하여 특히 그것에 적용되는 기록매체운반기구에 있어서외 기록매체의 운송계통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개인용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등의 OA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어 있고, 이들 기기로 입력된 정보를 프린트아웃하는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와이어 도트방식, 열전사방식, 잉크제트방식등 각종 기록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이들 기록방식은 각각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기록헤드에 의해 운송되는 기록쉬트에 소정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각각의 기록헤드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그 중에서도 팩시밀리, 프린터등의 기록장치로서 동작시의 소음이 작고, 기본적인 기계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염가이기 때문에 잉크제트방식 혹은 버블제트방식에 의한 기록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각종의 프린터로서는 기록된 상이 기록매체에 완전히 정착되고나서, 기록매체를 장치밖에 배출하는 것이 이상적이긴 하나, 장치의 소형화나 기록완료까지의 시간을 형식상 짧게 하기 위하여 불충분한 정착 상태의 상을 운송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기록매체에 잉크액적을 토출한후에 기록매체의 피인자면에는 아무것도 맞닿게 하지 않거나, 인자 매체의 기록가능 범위외의 부분에 박차등에 맞닿게하는 것이 많았다.
또 핀 피이드형의 것도 있었다. 이 종류의 박차가 없는 것에 있어서는 기록장치의 배치측에 있어서, 특히 높은 습도하등의 조건이였거나 로울지등의 기다란종이를 사용했을때 등에서는 배지된 기록매체의 앞끝의 미끄러짐이 나빠지고, 흐름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못했던 경우등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굴곡이 발생하였다.
원래 잉크제트기록헤드라도 기록매체와의 사이는 0.8mm 정도밖에 없기 때문에 기록매체와 기록헤드가 접촉을 일으키고, 피이자면을 오염시키고마는 확률이 대단히 높았었다. 어쨋든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기록 매체가 끼워져 작동중지를 야기시키고 마는 일이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기록매체의 양끝의 기록가능범위외에 박차를 맞닿게하는 유형에 대해서는 원리적으로 먼저 인자가능범위가 좁게되고마는 커다란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업규격의 A3 크기나 42 크기등의 대형장치에 있어서는 중앙부의 배지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배지불량을 야기시키고, 상기와 같은 문제를 쉽게 유발시키게 된다.
또 수요자측에서 보아도 종이폭에 따라 하나하나 박차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어 대단히 품이 드는 동시에 설정을 대강하면 인자범위에 들어가고말아 인자면을 오염시키고마는 결점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인자면을 부득이 끼워 운송하도록된 장치에서는 그 해결을 특별한 기록매체 또는 정착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통 용지가 아닌 정착성이 우수한 코트지등으로 대표되는 잉크제트전용지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잉크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한 정착기등의 열원을 부착하는 것이다. 전자에서는 잉크제트 전용지 때문에 잉크의 흡수능력이 대단히 높아, 원래 문제가 잘 발생되기 어려우나, 고온다습한 환경하에서는 동일한 일이 야기된다. 더구나 이 유형에서는 엽서나 컷용지, OHP 필름등의 많은 종류의 기록매체에 대응할 수 없고, 보통 기록지를 구하는 시장 수요에 일치하지 못하게 된다.
후자에서는 정착기의 부설때문에 고가로되며, 정착만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단시간에 정착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극히 고온의 가열처리를 필요로하는 복잡화를 면할 수 없다. 이 경우 기록매체의 운송불량이 발생하면 화질이전에 매체자체를 열화시키고마는 문제가 있다.
또 인자속도가 늦고 박차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충분히 길어, 그 사이에 잉크가 건조하여 정착하고마는 것과 같은 것에 있어서는 통상의 환경하에서는 사용 가능성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유형의 것에 있어서는 박차는 통상 기록매체의 피인자면에 대하여 될수있는대로 접촉면적을 줄여, 전사가능한 면적을 극력 줄여서 인자한 선이나 문자에 닿는 확율을 낮추는 동시에 박차에 잉크가 전사되고만 경우에도 박차가 회전하여 전사된 잉크가 기록매체에 재전사되어 인자면을 오염하는 양이 극력 적어지도록,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록매체에 맞닿는 둘레면이 가늘고, 예리하게 뾰족한 불연속적인 둘레면을 가진 별모양의 형상을 하고있다.
그 때문에 캐릭터정도의 인자라도 박차에의 잉크전사가 발생하며, 소위 박차흔적이라고 말하는 점선과 같은 불연속점의 줄의 오염이 기록매체의 주송사(主送査)방향으로 나오게 되었다.
더군다나 그래픽스인자나 전면인자와 같이 인자비율이 높은 인자를 행한후에는 대단히 눈에 띄게되고 또한 고온다습하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거의 제품으로서는 성립되지 않는 수준으로 되고만다. 또 당연히 용지 이송이 빠른 고속기에 있어서도 동일하며, 더욱이 컬러기에 있어서는 앞의 인자 라인과 다음의 인자라인에서 색이 달라진 경우, 박차에 앞의 라인의 잉크가 전사되어 다음라인의 잉크와 혼색을 일으키고, C.M.Y계의 으로서는 전혀 다른색이 되고 말았거나, 흑잉크가 엷은 색위에 번지고 말아 역시 거의 제품으로서는 성립될 수 없게 된다.
또, 근래는 소형 휴대형의 랩톱형 개인용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등의 OA기기가 증대되고 있고, 그 출력장치에 있어서도 당연히 소형, 휴대형의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크기는 매년 작아지며 특히 박형으로 되어가는 경향이 강하다. 그 때문에 기록헤드와 박차의 위치가 가까워지고 아무리 저속기라도 2초정도로 인자하고 나서 박차의 위치까지 피인자면이 이송되어 도달하고 말기 때문에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잉크제트기록에 있어서는 인자 효율이 높은 전면 인자나 그래픽등의 인자를 행한 경우에, 기록매체가 파상변형을 일으켜서 인자면이 약간 위로뜨기 때문에 한층 기록헤드 용지 사이 갭치 좁게되고, 배지가 불안정하게되면 인자면이 오염되는 확율이 높게된다.
상기와 같이 용지이송계통의 문제와 인자면상의 박차 흔적문제의 양쪽을 동시에 해결할 수단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인자후의 기록매체면에 접촉하여도 박차 흔적의 발생을 대폭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운송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기록매체운송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 운송기구를 구비하여 화질을 양호하게 할 수있는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
특히 기록매체에 대하여 비접촉의 기록헤드를 사용한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기록헤드 본래의 수명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 운송기구를 더욱 개량한 박차흔적의 발생을 거의 없게 할 수 있는 기록매체 운송기구 및 그것을 구비한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부재의 발수(撥水) 성능이 순수한 물에 대한 접촉각이 60°이상의 배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의 기록매체의 운송계통에 사용되고, 또한 피인자후의 기록매체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운송용부재로, 또한 그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형상으로 둘려면으로부터 0.1mm 내경쪽에서의 회전축방향폭이 0.7mm 이하인 잉크제트기록장치용 운송계부재와 상기 잉크제트기록장치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기록액을 사용하여 상을 형성하는 버블제트방식으로 상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의 제공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정보에 따라 기록매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매체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과, 기록후의 상기 기록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배출수단은 둘레면이 상기 기록매체에 연속하여 맞닿는 회전체를 가지고, 회전체는 발수성을 가지는 필름부재에 의해 구성된 기록장의 제공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나머지 목적은 다음 설명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차에 대표되는 피인자후의 기록매체에 맞닿아 회전하는 용지 이송용 부재에 있어서, 그 둘레면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를 설치함으로써 기록매체상의 잉크를 원리적으로 정착하기 전이라도 박차상에 전사시키지 않은 구성으로 하고, 운송성과 박차 흔적이 없는 인자의 양립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근본적으로는 박차가 잉크에 접했을때는 박차와 잉크간에서의 표면 결합력과, 잉크와 용지간의 결합력과 잉크자체의 응집력으로 부착하는지 여부의 힘의 균형이 정해져 있고, 이 힘의 균형상 특성을 이용하는 본 발명과 같은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박차가 움직였을때 박차에 부착하는 힘쪽이 항상 낮게 되도록 함으로써 박차에의 잉크의 비전사가 달성될 수 있음을 본 발명에서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장치의 설계에 자유도를 부여함으로써 기록후의 기록매체를 기록부를 향하여 백피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또 가열정착을 미소한 열의 부여로서도 화질이 양호한 기록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프린터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1은 기록헤드(1a)와 잉크탱크(1b)가 일체로된 카트리지이며, 2는 카트리지(1)를 태우고 부송사(副松査)방향으로 스캔하기 위한 캐리지이며, 3은 그 캐리지(2)의 가이드축, 4는 장치 베이스의 새시를 나타낸다. 5는 운송용의 플래튼로울러이며, 6,7은 역시 운송용의 로울러이다.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차이며, 제2도 및 그 측면도인 제3도 형상의 박차를 부착한 것이다. 9는 운송의 가이드이다. P는 기록매체를 나타낸다.
또 제8도중의 10은 기록매체상에 토출된 잉크를 나타낸다. 제10도중의 11은 상기한 종래예의 박차의 경우 종래 박차에의 잉크의 전사 프로세스도이다.
상기 기록헤드(1a)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미 주지된 액채(잉크)가 충전되어있는 복수의 액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액로내에 충전된 잉크는 정상상태에서는 오리피스면에서 표면장력과 외압이 평형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액로에는 전기열변환체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전기열변환체에 대하여 핵 비등을 넘어 급속한 온도 상승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인접하는 잉크를 기화시켜 막비등(膜沸騰)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잉크내에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한 기포가 형성되고, 이 기초의 성장에 의해 잉크가 오리피스면에서 기록매체(2)에 대하여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포는 잉크에 의해 냉각 수축되고, 액로 내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잉크탱크(16)로부터 잉크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잉크를 충전한 액로내에 기포를 성장 혹은 수축시킴으로써, 오리피스면으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서 하나의 액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열 변환체에 대하여 화상정보에 따라 구동신호를 펄스형상으로 인가하면, 기포의 성장 수축이 순식간에 행해지며 기록헤드(1a)의 오리피스면으로부터 잉크를 기록매체(2)에 토출시켜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의 기록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P)를 운송로울러(5)와, 로울러(6, 7)사이를 통과시켜 박차(8)와 가이드부재(9)와의 사이에 이르기까지 세트해 둔다.
다음에 기록동작이 개시되면, 기록헤드(1a)를 내장한 잉크 카트리지(1)가 캐리지(2)의 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기록정보에 따라 잉크가 기록헤드(1a)의 오리피스면으로부터 기록매체(2)상에 토출되어 기록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1행분의 기록이 종료되면 운송로울러(5)를 회전 구동시켜서 기록매체(2)를 1행분만 주주사방향(도면의 화살표시 A방향)으로 운송한다. 이때 기록매체(2)는 박차(8)와 가이드부재(9)에 의해 유지되어 운송된다.
상기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순차적으로 기록이 행해지고, 기록후의 기록매체(P)는 도시하지 않은 스태커등에 배출된다. 그런데 기록매체의 인자면에 직접 접촉하는 박차(8)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의 운송방향의 전후에 둘레면(80)의 형성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으로 제2도의 정면도로 양측 테이퍼를 각도 θ로 대칭으로 가지고 있는 실리콘 수지로 형성된 박차(주판알)을 배열하는 구조이다.
이것에 의해 박차는 실질적으로 점접촉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고, 기록매체의 주사방향에 의하지 않고 미정착의 기록면을 문질러도 기록화상 교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본 실시예 제1도와 같은 소형 휴대형 타입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자후 바로 인자부분이 박차(8) 장소에 도달한다. 그때의 상태가 제8도에 도시된 것이다. 이 상황은 박차가 정착되어 있지 않은 잉크가 P의 기록매체에서 정지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제9도는 다음에 제8도의 상태로부터 주송사방향에 P의 기록매체가 진출하고, 박차(9)가 맞닿는점에 있어서 상대운동을 시작한 곳을 나타낸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는 박차 표면에 박차와 잉크 사이에 부착하는 에너지 레벨로 부착하기 때문에 박차의 회전에 의해 박리 당할 경우에 정지상태보다 부풀어 오른 모양이 된다.
그러나 그 경우의 형상은 부풀어오른점을 정정으로 하여 아래에 퍼진 형상이 된다. 그때의 힘의 균형을 고려하면 박차(8)의 둘레면 형상이 연속면이며, 잉크(10)가 그 박차(8)에 대한 부착력에 비례하여 끄집어 올려진 곳에서, 잉크 자체의 아래쪽에 퍼짐의 산모양의 부풀어오름을 작게하여 표면적을 작게하려는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쪽이 강하게되고, 다시 잉크(10) 아래쪽은 큰면적에 걸쳐서 잉크와 P의 기록매체의 부착력에 의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록매체(P)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잡아뜰려 내려지게 된다. 그것에 의해 박차(8)상에는 잉크가 전사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종래의 박차와 같이 둘레면의 형상에 불연속면이 있으면 상기한 힘의 균형이 한순간에 무너지기 때문에 그 점 잉크가 박차상에 남게된다. 그 극단적인 예가 지금까지의 종래예의 제10도에 도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불연속이기 때문에 부착된 잉크가 연속적으로 아래에 끌어 내리는 힘이 본실시예와 같이 연속적으로 또한 산모양의 아래퍼짐의 부풀어 오름이 작고 개개의 맞닿는 점으로 되고 말아, 대략 인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들어올려지며 박차(11)의 에지부분에 있는 잉크(10-b)와 기록매체(P)상에 있는 잉크(10-a)사이에 잘룩한 곳이 생기고 말아 최후에는 그 잘룩한 부분의 단면적이 제일 작게되기 때문에 그곳이 가장 약하게 되며, 잉크(10-a)와 잉크(10-b) 각각의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으로 끊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원리적으로 박차(11)상에 잉크가 전사되고 만다.
이 제10도의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효과의 우위성이 명백하게 된다.
표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도의 형상 또는 테이퍼부의 인자면과 이루는 각(θ)이 80°의 것으로 지면에 대한 맞닿음 압력을 20g으로 설정하여 표면의 발수성이 다른 샘플을 습도가 상이한 환경하에서 전면 흑색라인을 인자한직후, 홈피이드를 행하여 박차 흔적의 유무에 대한 테스트를 한 것이다.
표 2는 동일한 테스트를 제10도의 형상으로 다른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행한 것이다.
표 3은 표 1에서 표시한 테스트에 대하여 박차의 표면 거칠기를 변화시킨것.
표 4는 표 1에서 표시한 테스트에 대하여 발수성 110°의 것을 사용하여 테이퍼부의 인자면과 이루는 각도를 변화시킨 것이다. 발수성의 테스트는 패러미터로서 물에 대한 접촉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행하였다. 맞닿은 압력의 테스트는 인자면에 대한 각 박차의 한개당의 전체압력으로 표시하였다.
[표 1]
[표 2]
[표 3]
[표 4]
표 1-표 4에 표시한 데이타는 상기한 테스트 형식에 의해 행한 본 실시예 종래예도 포함한 테스트 데이타를 나타낸다.
표 1에 의하면 다른 패러미터를 고정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60°이상의 물에 대한 접촉각도를 가진 발수성의 박차를 사용하면, 전혀 환경 습도에 의한 잉크의 정착성의 양호, 불량에 관계없는 박차를 얻게되는 것을 알 수있다.
반대로 표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유형의 박차에 있어서는, 110℃ 이상의 발수성이 대단히 높은 박차를 사용하여도 전사가 일어나고 말아, 데이타에 환경습도 의존성이 있는 것을 알수있다.
이것은 상기한 원리에서 고려해보면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박차는 잉크액중에 굴려도 상기한 원리에 의해 원래 전사되지 않은 것이므로 고온다습하의 미정착잉크상을 통과하여도 상관없다. 표 1의 고온다습하에서 접촉각 30°의 곳에서 NG로 되어있는 것은 이 근방에 발수성의 패러미터에 의한 양, 불량의 경계가 본 실시예의 설정에 있었다고 고려된다. 아무튼, 종래 박차의 결점을 1랭크이상 해결하고 있는 것이 표 1,2의 비교로 할 수 있다.
표 2의 종래예의 데이타에 있어서는 50% RH의 상온에서 110°이상의 접촉각을 가진 것을 사용하면 좋아지고 있으나, 이 레벨은 알맞게 잉크가 정착하기 시작한 레벨에서 중점되어 있고, 상기한 원리에 있어서, 기록매체상에의 부착력쪽이 약간 강해졌기 때문으로 생각될 수 있다.
또, 10% RH의 저습하에서 모두 OK로 되어 있는 것은 상기까지의 원리에 의한것이 아니고, 초저습때문에 이미 건조되어 있어 전사를 이미 일으키지 않게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표 3은 발명의 방식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 박차의 표면 거칠기를 변화시킨 것이다. 여기서는 편의적으로 Rmax에서의 수치를 패러미터로 하였으나, 역시 표면거칠기가 작은쪽이 잉크를 끌어내리는 힘이 미끄럼이 좋아서 저항이 약해지므로 작아도 되기 때문에 양호하게 된다.
표면 거칠기에 대해서는 소재에 따라 수치상 동일하더라도 거칠기 형상등이 상이함과 동시에, 발수성에 의한 부착력과의 조합으로 특히 그 양호불량이 결정되는 것이다.
표 4는 인자면과 이루는 각도에 의한 변화를 표시한 것이나, 역시 인자면에 대하여 가능한한 수직에 가까운쪽이 좋은 결과로 되었다. 이것은 잉크가 박차로부터 끌어내려질때에 인자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박리력이 걸리기 때문이며, 이 방향으로 힘이 걸리기 쉬운 쪽이 양호하다고 하는 결과로 된 것이다.
둘레면 반원의 부재(θ가 45°로 간주된다)를 나타낸 제4도, 제5도 및 제2도의 반쪽으로 간주되는 부재를 나타낸 제6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어느쪽도 둘레면이 연속적으로 지면에 맞닿는 것이며, 이 한도에 있어서는 다시말하면 둘레면은 원이 아니라도 무방하며 다각형이거나 긴원이라도 또한 벨트형상의 부정형의 것이라도 좋으며, 요는 맞닿는점 근방에 있어서 잉크와의 접촉이 끊어짐이 없이 연속으로 되어있으면 무방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인자면에 접하는 형상인 용지운송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소형, 휴대형의 프린터이거나, 보통 용지에 인자비율이 높은 인자를 행하여도, 또 고습하등의 나쁜 환경하라도 박차 흔적등의 인자오염을 대폭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대단히 간단한 원리와 구성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에 제11도 내지 제19도를 사용하여 상기 발명을 더욱 향상시킨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는 운송성과 박차흔적을 대폭적으로 방지한 것이나, 운송력이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인자면에의 맞닿음폭을 넓게하면, 박차 흔적은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도 180dpi나 300dpi 이상의 고상세 그래픽 대응의 것에 있어서는 하프토운인자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정착되기 어려운 고습하에 있어서는 50%-100% 미만의 인자 효율(농도)의 하프 토운인자등을 행한 경우 박차가 통과한후는 화상 훼손이 종래보다 훨씬 적으나 약간 검은 줄형상의 하프토운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180dpi 정도이하의 인자품위가 낮은 것이나, 캐릭터나 전면인자가 주인 것은 이와 같은 염려는 실제상에 있어서는 적었었다. 그러나 또 기록매체상에의 맞닿는 폭이 더욱 넓어지면 박차상에 전면 흑색부로부터 비인자부에 박차가 통과할 경계에서만 박차상리에 잉크가 1점만이 전사되고, 다음에 그 점의 맞닿음으로 1점만이 작은 화상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통상의 인자에서는 문제가 되지않는 것이나, 잉크기록을 사진 수준으로 얻고자할 경우에는 해결해야할 것임을 본 발명자들은 생각해냈던 것이다. 이것을 달성할 발명을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즉, 기록매체에 맞닿아 회전하는 용지이송부재에 있어서, 그 둘레면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고, 또한 그 둘레면에서 0.1mm 내경측에서의 회전축방향의 폭을(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이하로 함으로써 기록매체 면상의 잉크를 전면 흑색으로 하는 것은 물론, 전면 흑색부와 비인자부의 경계의 잉크 박차상에의 전사를 모든 매체상에서도 방지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것에 의해 운송성과 전혀 박차흔적이 나타나지 않는 인자의 양립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기본적으로는 박차가 잉크를 접했을때는 박차와 잉크간에서의 표면의 결합력과, 잉크와 통지사이에서의 결합력과 잉크 그 자체의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으로 부착 여부의 힘의 균형이 정해져있고, 이 힘의 균형 특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과 같은 폭까지 규정한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박차가 움직였을때에 박차에 부착하는 힘쪽이 어떠한 경우에도 항상 낮게 되도록 함으로써 박차에의 잉크의 완전 비전사화가 도모되는 것을 본 발명에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회전부재 폭의 정의로서는 용지등의 기록매체나 이 회전부재에 있어서도 압력을 넣어서 맞닿는 상태에서는 미시적으로는 변형되어 있는 것이며, 또 선단면이 원래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에 대해서도 정의가 불명확하게 되므로, 맞닿는 둘레면으로부터 1.0mm 내경쪽에서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의 폭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 조건에 의거하면 제2, 제6도는 실질적으로 에지에 의한 맞닿음이므로 맞닿음폭은 가는선 1mm이하로 되기때문에 이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 발명의 실시예로 간주된다. 그런데 상기의 1점만의 박차 흔적 발생에 대하여 제15,16,17도를 사용하여 간단히 설명를 행한다.
또 둘레면이 연속적으로 맞닿는 것이라도 전면흑색부의 에지부에 있어서는 잉크와 박차(8)의 상태가 제15도와 같이 된다. 이 시점으로부터 회전운동에 따라 잉크와 용지 사이의 구속면적이 극단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한 힘의 균형이 이 점에 있어서만 무너지기 시작하여 제16도와 같이 박차둘레면의 1점만에 잉크가 전사되게 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박차(8)와 폭(W)이 1mm 이하와 같이 좁은 것에 있어서는 원래 박차와 잉크측 박차의 폭방향의 구속점이 제18도의 상태로 대단히 좁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진행방향의 구속면적이 감소되어도 역시 박차측에는 전사되지 않는다고 하는 역학적인 관계를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반대로 폭(W)(80)이 1mm를 초과하는 것에 있어서는 박차측의 폭방향의 구속면적 비율이 제17도와 같이 크기때문에, 기록매체와 잉크측의 구속면적과 박차 및 잉크측의 구속면적비가 작고, 이 점에서의 잉크가 박차상에 1점 전사되고, 박차의 회전에 의한 다음의 맞닿음점에서 기록지상에 1점을 재전사하고 만다. 또한 W는 기록매체면-잉크이 구속폭을 나타내고 있다. 표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도의 형상 또는 테이퍼부의 인자면이 이루는 각도가 80°의 것으로 지면에 대한 맞닿음 압력을 20g로 설정하여 앞끝폭이 상이한 샘플을 습도가 상이한 환경하에서 전면 흑색 라인을 인자한직후 홈피이드를 행하고, 상기 1점의 박차 흔적이 나왔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한 것이다.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형상의 박차(8) 폭(W)을 1.0mm이하, 최적하게는 0.7mm이하로 함으로써 상기한 1점 박차 흔적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 폭(W)의 조건 0.7mm 이하에 있어서 상기한 표 1,3,4의 조건으로 바람직한 범위의 것이 최적임을 확인하였으나, 표 4의 각도( θ )를 작게하여도(예컨대 30°) 실용상 양호한 결과가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또 동일하게 표 0.7mm 이하에서는 발수성의 조건도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25℃/10% RH로 1점 박차 흔적의 발생이 보이지 않았던 것은 잉크영상이 상당히 정착되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발수성 높은 재료예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불소화합물계 재료인 4플루오르화 에틸렌수지, 퍼어플루오르알콕시수지, 6플루오르화 프로필렌 공중합수지, 4플루오르화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수지, 플루오르화 비닐리덴수지, 3플루오르화 염화에틸렌수지나 또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트리메틸펜텐, 폴리아세탈, 나일론, 폴리술폰, 페놀등의 폴리머나 그들의 폴리머를 표면에 코팅한 부재가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는 발수성과 내잉크성과 마모, 변형강도를 가미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1도, 제12도는 선단부의 확대도이며, 제11도는 모서리부가 둥근형상의 것을 도시한다. 제12도는 맞닿음면도 포함하여 둥근형상 상당의 것을 도시한다.
어느쪽도 둘레면이 연속적으로 지면에 맞닿고 또한 폭이 0.7mm것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것이며, 이 한도에 있어서는 환언하면 둘레면은 원이 아니라도 좋고 다각형이거나 긴원 또는 밸트형상의 부정형의 것이라도 무방하며, 요는 맞닿음점 근방에 있어서, 잉크와의 접촉이 끊어짐이 없이 연속적이면 무방한 것이다.
또 화상품위가 높은 프린트 오염이 불가한 것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것이 최적이며, 다소의 오염을 인정하는 것에 있어서는 먼저 제1도 내지 제9도에서 설명한 발명의 것이 내구성등의 면에서 볼때 최적이라고 할 수있다. 어째든 본 예는 먼저의 발명보다는 상당히 양호한 레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인자면에 접하는 형상이며, 또한 둘레면으로부터 1.0mm 내경쪽의 회전축 방향폭이 최적하게는 0.7mm 이하인 용지운송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소형 휴대형의 프린터이거나 또는 보통 용지에 인자비율이 인자를 행하거나 또 고습하등의 나쁜 환경하에 있어도 박차 흔적등의 인자오염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대단히 간단한 원리와 구성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에 제19도 내지 제21도를 사용하여, 상기 운송부재(8)를 간단히 구성하고, 부분교환만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 특징은 둘레면이 기록매체에 연속하여 맞닿는 회전체가 발수성을 가지는 필름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그 회전체를 발수성을 가지는 필름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므로, 가공공정을 간략화하여 생산성이 높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회전체의 양산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이 있다.
또 고가인 발수부재를 최소한 사용함으로써 양산할 수 있으므로, 저코스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19a,제19b도는 박차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20도는 그 박차의 조립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박차(8)는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플루오르화 에틸렌 필름등의 발수성 부재를 링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링(8a)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축(8e)과 링(8a)의 가이드링(8b)를 일체로 성형한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아세틸등의 모울드 부재(8b) 및 링(8a)의 가이드링(8c)을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박차(6)는 제19a 및 제1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8a)의 둘레면부 및 그 근방이 가이드링(8b) 및 가이드링(8c)의 둘레면보다 약간 돌출하고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링(8a)의 둘레면부가 기록매체(2)에 연속적으로 맞닿고, 그 기록매체(P)의 배출동작에 따라 박차(8)는 자유롭게 회전한다.
실험에 의하면 두께 200μm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PTFE)필름 및 데트라 플루오르에틸렌-플루오르 알콕시 에틸렌 공중합체(PFA) 필름을 사용한 경우 링(8a)의 바깥지름은 가이드링(8b) 및 가이드링(8c)의 최대 바깥지름보다 0.25mm 돌출하고 있는 상태로 기록매체(P)에 맞닿게한 경우에 강도 및 운송성에 대하여 양호한 박차(8)를 얻을 수 있었다.
더욱이 상기 링(8a)의 바깥지름이 0.25mm 보다 많이 돌출되고 있으며, 필름이 휨이 생기므로 0.25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매체(P)에 생기는 콕링등의 변형에 의해 가이드링 및 가이드링(6c)에 직접 인자면이 접촉하여 오염되고마는 경우를 피하는 것을 그 차이분의 하한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박차(6)를 사용하여 환경 습도 및 잉크에 대한 접촉각도를 각각 변화시켜 기록을 행하였던 바, 상기 표 1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다음에 상기 박차(6)를 구성하는 링(6a)의 필름 두께는 하프토운인자를 행한 경우에 잉크의 미정착시에 기록매체(2)의 인자면이 박차(6)를 통과한 후의 화상열화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대한 테스트방법으로서는 잉크를 100% 풀도트 토출하는 전면 흑색인자에 대하여 50%의 잉크토출비율을 갖는 하프토운인자를 행한 직후에 인자면에 박차(6)를 통과시켜서 그 박차(6)에 의한 인자면의 잉크 번짐에 의한 화상열화의 정도에 의해 결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하면 필름두께가 300μm 이하이면 화상품위를 유지할 수 있고, 그 이상이면 화상열화가 약간 눈에 띄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이 경우라도 반드시 사용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실험예의 경우, 고화질을 얻는 조건이 300μm 두께 이하로 된 것은 필름(8a) 자체의 운송회전중의 휘임 방향진동이 약간 발생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어째든 이와 같은 구성이거나 상기 제18도 구성이라도 본 출원에서 말하는 맞닿음폭이 300μm 이하 임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었다.
제21도에 도시하는 링(8a)은 4플루오르화에틸렌필름의 둘레면부 근방을 그 둘레면부에 가까워질수록 얇은 테이퍼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상기 필름의 가공방법은 프레스에 의해 둘레면 근방을 테이퍼형상으로 온간 또는 냉간하에서 조성변형을 발생시켜, 다음의 프레스에서 링형상으로 타발함으로써 도면에 도시하는 링(8a)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링(8a)의 둘레면부 근방은 얇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록매체(P)에 맞닿아도 박차 흔적이 붙기 어렵게되고, 또 둘레면 근방이외는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링(8a)은 한쪽 테이퍼에 구성하였으나, 양쪽 테이퍼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2도 내지 제26도를 사용하여 기록매체를 그 기록된 면을 재차 기록헤드에 대향하는 기록영역을 통과시키는 백 피이드를 행할 수 있는 잉크제트기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백피이드에 있어서도 기록면에 접촉하는 운송부재에 의해 화상 교란이 발생되는 점에서 볼때, 상기한 실시예의 과제 해결에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백피이드의 경우에는 기록직후가 아니고 소정기간 경과후에 행해지는 것이므로 와이어도트방식이나, 열전사방식의 기록방식에 있어서는 상기한 문제는 발생되기 어렵고 이것은 액체잉크를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특유의 과제라고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주 주사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되고 소위 백피이드를 행한 경우의 운송가이드나 혹은 운송로울러에 기록면을 문질르고 말아 기록면 오염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22도 내지 제26도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발명은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탱크를 가지며, 이 잉크탱크에서 공급된 잉크를 토출시키는 잉크제트기록헤드를 구비하고, 잉크액적을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기록매체에 토출시켜서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운송방향의 전후에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이 박차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잉크제트기록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직후의 운송방향에 제약이 없고 기록모우드가 다양한 잉크제트기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다른 발명은 기록매체 운송방향의 전후에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인 박차를 배치하고, 기록매체의 기록면측에 운송가이드가 배치되는 운송계통에 있어서는 기록매체를 기록장치에 세트종료한 상태에서는 기록매체 운송 가이드에 접촉하지 않은 운송가이드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기록장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운송주사방향에 관계없이 예컨대 잉크제트 기록장치로 백피이드가 행해져도 미정착 잉크에 의해 기록화상을 교란시키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발명은 기록헤드와 기록매체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로울러에 본 발명의 박차를 적용하고, 종래에는 기록직후의 기록매체에 접촉시켜서 배치하면, 로울러 자체에 오염이 발생하거나 화상을 교란시키는 일이 있었으나, 이것을 해결하여 확실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것은 기록매체의 두께가 여러가지 변동하여도 기록간격에 있어서의 미소한 변화에도 추종할 수 있으므로 기록화상을 종래보다 고화질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 고화질이 요구되는 복수색 잉크의 겹침인자에 의한 플컬러 기록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제22도는 잉크제트방식의 기록장치 설명도이다.
기록헤드카트리지(1), 캐리지 가이드 축(3)은 상기 제1도의 설명과 동일하나, 캐리지(2)는 기록간격을 일정하게 하는 스페이서 로울러(100)와 함께 가이드축(3)에 대하여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축(3)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긴구멍(21,22)을 가지며, 기록매체(P)의 두께 변화가 있어도 기록간격을 일정하게 되도록 캐리지를 위치변경 가능하게 하고있다. 스페이서 로울러(100)는 캐리지의 스캔(부주사)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캐리지지(2)에 고정되어 있고, 기록헤드(12)에 근접배치되어 있다.
본 예는 헤드(1a)의 양측에 스페이서 로울러(100)를 설치하고 있으나 한쪽만이라도 무방하다. 또 캐리지의 위치 변경기구는 본예에 한하지 않고, 공지된 모든것에 적용 되어도 무방하다. 이 스페이서 로울러(100)는 상기한 본 발명 실시예의 박차(8)이기 때문에 화상을 교란하는 일이 없고, 기록간격을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기록후의 트레이(23)측에의 운송에 있어서 로울러(141)의 박차(8) 구조에 의한 효과는 상기한 대로이다.
12는 일부 노치가 있는 급지 로울러쌍이며, 13, 131은 기록면측 로울러(131)가 박차(8)로 되어있는 박차 운송로울러쌍이며, 14,141 기록면 측 로울러(141)가 박차(8)로 되어있는 박차 배지로울러쌍이다. P는 기록매체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동작을 설명하면 제22도에 있어서 P로 도시하는 기록매체가 급지로울러쌍(12)에 의해 급지되어, 제1도와 같이 세트되고 그 후에 1의 기록헤드(1a)를 구비한 카트리지(1)가 캐리지(2)의 부 주사방향에의 움직임에 의해 P의 기록매체에 1행 기록을 행한다.
다음에 박차 운송로울러(13,131)가 정상회전(도면중 C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기록매체가 주 주사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박차 운송로울러쌍(13, 131)이 역회전하의 백피이드가 행해지면 기록매체상의 미정착 잉크가 로울러로 문질러져서 화상 교란을 야기시킬 염려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박차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상 교란을 야기시키는 일의 없다.
즉 백피이드가 행해지고, 박차가 미정착잉크에 접하여도 박차와 잉크간에서의 표면 결합력과, 잉크와 기록매체간에서의 결합력과 잉크 그 자체의 응집력으로 잉크가 박차에 부착하는 힘쪽이 항상 낮게 되도록 균형이 유지되어 있으므로 잉크의 박차에의 비전사가 꾀하여 화상 교란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잉크의 박차에의 전사, 비전사의 원리는 기록매체의 주사방향하고는 무관계인 것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의 운송방향전후에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인 박차(8)(예컨대 주판알)를 배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주사방향에 의하지 않고 미정착의 기록면을 문질러 기록화상 교란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록매체의 주 주사방향의 1행 이송시는 스페이서 로울러(100)는 화상을 교란하므로, 종래와 같이 캐리지를 홈포지션(기록 영역에서 떨어진 대기위치)에 이동시키면 된다.
이 이동을 행한 경우는 스페이서 로울러를 매체로부터 떨어지도록 캐리지를 퇴피시키면 된다.
다음에 기록매체의 기록면측에 운송가이드가 배치되는 운송계통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기록장치에 세트 완료한 상태에서는 기록매체는 운송가이드에 접촉하지 않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록면을 문지르지 않도록 구성하는 수단을 이하 설명한다.
제23도, 제24도, 제25도는 기록매체가 세트되는 양상을 기재한 설명도이다. 제23도에 기록된 바와 같이 기록매체(P)는 급지되면 먼저 앞끝이 운송가이드(15)에 충돌하여, 제24도와 같이 운송가이드(15)에 따라 운송된다. 기록매체(P)의 앞끝이 박차(8) 형의 용지누르개(71)에 맞닿아 물려들어가서 제25도에 기록된 것처럼 도면중 A방향에 운송된다. 그리고 제26도에 기로된 것처럼 박차(8) 형의 배지로울러(8) 및 받이로울러(9)에 물려들어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장치에서는 플래튼 로울러(5) ·운송로울러(61,71) 사이의 운송력 쪽이 배지로울러(8) 받이로울러(9)간의 운송력보다 크고, 플래튼 로울러(5)의 기록매체운송속도쪽이 배지로울러(8)의 운송속도보다 늦다.
즉, 기록매체(P)를 운송하는 힘 및 속도는 플래튼로울러(5)에 의헤 제어되어 있고, 배지로울러(8)는 기록매체(P)에 팽팽함을 갖게할 목적으로 슬립하면서 고속회전하고 있다.
기록매체를 운송하고 있는 로울러 사이에서 기록매체운송속도를 의도적으로 달라지게 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P)가 급지되어 배지로울러(8)에 물려들어 가게되면, 배지로울러(8)의 반송속도쪽이 플래튼 로울러(5)의 운송속도보다 빠르므로 플래튼로울러(5)와 운송가이드(4) 사이의 기록매체(P)의 느슨한 부분이 흡수되어 제25도와 같이 기록매체(P)와 운송가이드(15)와의 사이에 간극(t)이 생긴다. 여기에 간극이 발생함으로써 백피이드가 행해졌을때라도 기록매체(P)의 기록면과 운송가이드(15)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차 로울러형 용지 누르개(91,61)는 배지로울러로서 사용되고 있는 둘레면이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의 박차이므로 박차로울러형 용지누르개(71,61)에 의해 기록면이 오염되거나, 교란되는 일은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5도와 같이 기록매체(P)와 운송가이드(4) 사이에 간극(t)을 설치함으로써 접촉을 방지하였다. 접촉방지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간극(t)은 넓으면 넓을수록 좋다. 그러나 간극(t)을 넓게 잡으면 급지될때의 기록매체의 앞끝에지의 박차로울러형 종이누르개(10)에 돌입 각도가 변하고, 돌입 충격이 증대한다. 박차 로울러형 용지누르개(71,61)가 잉크의 미정착인 기록화상상에 맞닿아도 잉크가 전사되지 않은 것은 그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형상이기 때문이며 기록매체의 앞끝에지에 의해 둘레면에 상처나 흠집이 생겼을 경우에는 잉크의 전사를 방지하는 박차기능을 저하한다.
또 박차를 사용한 배지로울러에 있어서도 기록매체의 운송속도보다 고속으로 회전시켜 슬립시켜서 사용하므로 둘레면의 마모가 심하다. 많은 내구매수가 요구되는 기종에 적합한 실시예가 제26도이다.
본 예는 제23도 내지 제25도의 구성에 덧붙여 운송가이드(15)의 기록매체(P)를 인도하는 면에, 가이드용 박차(81)를 상기 본 발명 박차로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1) 기록매체(P)의 기록면은 가이드박차(81)에 지지되고, 운송가이드(15)의 가이드면에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어진다. 2) 플래튼로울러(5)와 운송가이드(15)의 간극을 필요 최소한까지 좁힐수 있으므로 급지시 기록매체(P)의 에지이 박차로울러형 용지누르개(71)에의 돌입 충격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3) 급지시, 기록매체(P)가 플래튼로울러(5)와 운송가이드(15) 사이에서 느슨해지는 일이 없으므로 박차인 배지로울러(8)를 기록매체(P)의 운송속도보다 고속으로 회전시켜 슬립시키면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박차인 배지로울러(8) 및 박차로울러형 용지누르개(71)의 마모/상처/흠결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빈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내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박차(81)의 배치수는 3개이나 배치수는 필요한 수만큼 3개 이상이거나 3개 이하라도 무방하다. 탑재되는 기록헤드의 종류 내지 갯수에 대해서는 예컨대 단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1개의 헤드만이 설치된 것외에 기록색이나 농도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헤드에 대응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제23도 내지 제26도의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록매체운송방향의 전후에 둘레면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인 박차를 배치하고 기록매체의 기록면측에 운송가이드가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기록매체를 기록장치에 세트완료한 상태에서는 기록매체는 운송가이드에 접촉되지 않는 운송가이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운송주사방향에 불구하고, 예컨대 잉크제트기록장치로 백피이드가 행하여져도 미정착 잉크에 의해 기록화상을 교란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박차로서는 둘레면은 원이 아니라도되고, 다각형이거나 긴 원이거나 또 벨트 형상의 부정형의 것이라도 되며, 예컨대 맞닿음점 근방에 있어서 잉크와의 접촉이 끊어짐이 없이 연속적이면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잉크제트기록방식중에서도 캐논 가부시끼가이샤가 제창하는 버블제트방식의 기록헤드,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열 에너지의 정착조장효과와 상기 박차 효과와의 상승효과에 의해 상기 작용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구성이나 원리에 대해서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4723129호 명세서, 동 제4740796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기본적인 원리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식은 소위 주문형, 연속형의 어느쪽에도 적용 가능하나, 특히 주문형의 경우에는 액체(잉크)가 유지되어 있는 쉬트나 액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전기열 변환체에, 기록정보에 대응하고 있으면서 핵비등을 초과하는 급속한 온도상승을 부여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기열 변환체에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기록헤드의 열작용면에 막비등시켜, 결과적으로 이 구동신호에 1대1로 대응하여 액체(잉크)내의 기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 .
이 기포의 성장 수축에 의해 토출용 개방구멍을 통하여 액체(잉크)를 토출시켜서 적어도 하나의 액적을 형성한다. 이 구동신호를 펄스형상으로하면 즉시 적절하게 기포의 성장수축이 행해지므로 특히 응답성이 우수한 액체(잉크)의 토출이 달성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펄스 형상의 구동신호로서는 미국특허 제4463359호 명세서, 동 제4345262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열작용면의 온도 상승율에 관한 발명의 미국특허 제431312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조건을 채택하면, 보다 우수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기록 헤드의 구성으로서는 상기한 각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토출구 액로로, 전기열 변환체의 조합구성(직선형상 액로 또는 직각액로)외에 열작용부가 굴곡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개시하는 미국특허 제455833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4459600호 명세서를 사용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덧붙여 복수의 전기열 변환체에 대하여 공통되는 슬릿을 전기열 변환체의 토출부로하는 구성을 개시하는 일본국 특개소 59-123670호 공보나,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방구멍을 토출부에 대응시키는 구성을 개시하는 일본국 특개소 59-138461호 공보에 의거한 구성으로 하여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더우기 기록장치가 기록할 수 있는 최대기록매체의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는 풀라인형의 기록헤드로서는 상기한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복수 기록헤드의 편성에 의해 그 길이를 채우는 구성이나, 일체적으로 형성된 1개의 기록헤드로서의 구성의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나,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를 한층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덧붙여, 장치 본체에 장착됨으로써 장치본체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장치본체로부터의 잉크의 공급이 가능하게되는 교환이 자유로운 팁형의 기록헤드, 혹은 기록헤드 자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카트리지형의 기록 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장치의 구성으로서 설치되는 기록헤드에 대한 회복수단, 예비적인 보수수단등을 부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들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기록헤드에 대해서의 복개수단, 세정수단 가압 혹은 흡인수단, 전기열 변환체 혹은 이것과는 별도의 가열소자 혹은 이들의 편성에 의한 예비가열수단, 기록하고는 별도의 토출을 행하는 예비토출 모우드를 행하는 것도 안정된 기록을 헹하기 위해 유효하다.
또한 기록장치의 기록 모우드로서는 흑색등의 주류색만의 기록모우드뿐만이 아니고, 기록헤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편성에 의해서도 무방하나, 상이한 색의 복색컬러 또는 혼색에 의한 풀컬러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장치에도 본 발명은 극히 유효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실시예에 있어서는 잉크를 액체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실내온도나 그 이하에서 고형화하는 잉크로서 실온에서 연화 혹은 액체 또는 상기한 잉크제트에서는 잉크자체를 30℃ 이상 70℃ 이하의 범위내에서 온도조정을 행하여 잉크의 점성을 안정토출의 범위에 있도록 온도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기록신호 부여시에 잉크가 액상을 이루는 것이면 무방하다.
덧붙여, 적극적으로 열에너지에 의한 승온을 잉크의 고형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의 상태 변화의 에너지로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방지하거나 또는 잉크의 증발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방치상태에서 고형화하는 잉크를 사용하거나 하여 어느쪽이든 열에너지의 기록신호에 따른 부여에 의해 잉크가 액화하여 잉크액상으로서 토출하는 것이나, 기록매체에 도달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고형화 되기 시작하는 것등과 같은 열에너지에 의해 처음으로 액화되는 성질의 잉크 사용도 본 발명에는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잉크는 일본국 특개소 54-56847호 공보 혹은 일본국 특개소 60-71260호 공보에 개지되는 것과 같은 다공질 쉬트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에 액상 또는 고형물로서 유지된 상태로 전기열변환체에 대하여 대향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각 잉크에 대하여 가장 유효한 것은 상기한 막비등 방식을 실행하는 것이다.
Claims (13)
- 잉크를 사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기록장치의 기록매체의 운송계통에 사용되고, 또한 인자후의 기록매체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운송부재에 있어서, 상기 운송부재의 둘레면은 형상은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형상이며, 상기 운송부재가 기록매체 인자면에 접하는 부위는 기록매체와 잉크의 결합력 및 잉크자체의 응집력의 총합에 대하여 잉크와의 결합력을 작게하는 것으로서 이 연속적 둘레면에의 잉크 부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는 잉크기록장치용 운송부재.
- 제1항의 운송 부재로 구비된 잉크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기록장치는 상기 기록매체에 잉크를 부착시키기 위한 기록헤드를 가지며, 상기 기록헤드는 잉크를 토출하여 비상시키는 잉크제트기록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기록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상기 잉크토출을 위해 열에너지를 사용하며, 상기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기록장치.
- 잉크액적을 토출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의 기록매체 운송계통에 사용되며, 이때 따라 인자된 후의 기록매체면에 맞닿아 회전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용 운송계통부재에 있어서, 상기 운송계통부재의 둘레면의 형상은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형상이며, 상기 운송계통 부재의 둘레면으로부터 0.1mm 내경쪽에서의 회전방향폭은 0.7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용 운송계통부재.
- 제4항의 운송계통부재로 구비된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 기록장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기록액을 사용하여 상을 형성하는 버블제트방식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 기록정보에 따라 기록매체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상기 기록수단에 기록매체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과, 기록후의 상기 기록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가지고, 있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둘레면의 상기 기록매체에 연속하여 맞닿는 회전체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는 발수성을 가지는 필름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필름부재의 발수성능이 순수한 물과의 접촉각이 6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필름부재의 기록매체에 맞닿는 둘레면부의 두께를 300μ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액적을 형성하는 기록액을 사용하여 상을 형성하는 버블제트 방식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창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신호에 상응하는 기포를 잉크내에 형성시키고, 상기 기포의 성장에 의해 잉크를 오리피스면으로부터 기록 매체에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탱크를 가지며, 상기 잉크탱크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토출시키는 잉크제트기록헤드를 구비하고 잉크액적을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기록매체에 토출시켜서 기록을 행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에 있어서, 둘레면의 형상인 연속적으로 기록매체에 맞닿는 회전형상인 박차를 기록매체운송방향의 전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상기 기록장치에 세트완료한 상태에서는 기록매체가 운송가이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운송가이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전기열 변환체를 가지며, 상기 기록장치는 상이 전기열 변환체에 기록신호로서 잉크에 막비등을 발생하게 하는 펄스신호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41048A JP3020965B2 (ja) | 1989-09-18 | 1989-09-18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1-241048 | 1989-09-18 | ||
JP2-20152 | 1990-01-30 | ||
JP2015290A JP2902433B2 (ja) | 1990-01-30 | 1990-01-30 | 記録装置 |
JP2-95482 | 1990-04-11 | ||
JP2095483A JPH03293175A (ja) | 1990-04-11 | 1990-04-11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2-95483 | 1990-04-11 | ||
JP9548290A JP2994686B2 (ja) | 1990-04-11 | 1990-04-11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6021A KR910006021A (ko) | 1991-04-27 |
KR930011860B1 true KR930011860B1 (ko) | 1993-12-21 |
Family
ID=2745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4760A KR930011860B1 (ko) | 1989-09-18 | 1990-09-18 | 잉크기록장치용 운송회전부재 및 그것을 가지는 잉크기록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850233A (ko) |
EP (1) | EP0419185B1 (ko) |
KR (1) | KR930011860B1 (ko) |
AT (1) | ATE178272T1 (ko) |
AU (1) | AU651561B2 (ko) |
CA (1) | CA2025547C (ko) |
DE (1) | DE69033028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52522A (en) * | 1991-04-30 | 1992-10-06 | Hirakawa Kogyosha Co., Ltd. | Sheetlike article conveying roller assembly |
JPH0632023A (ja) * | 1992-07-20 | 1994-02-08 | Tokyo Electric Co Ltd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US5648807A (en) * | 1992-09-10 | 1997-07-15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an antismear sheet deformation discharge system |
US20030109201A1 (en) * | 2001-12-07 | 2003-06-12 | Ossio Veronica Sara | Procedure for manufacturing artistic and utilitarian objects from stone |
US6677749B2 (en) | 2002-04-10 | 2004-01-1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Using variable inductance to indicate roller wear |
US6741342B2 (en) | 2002-04-10 | 2004-05-2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Using a laser beam to indicate roller wear |
NL1027002C2 (nl) * | 2004-09-09 | 2006-03-13 | Oce Tech Bv | Werkwijze voor het bedrukken van een substraat met een inkjet printer, en een inkjet printer geschikt om deze werkwijze toe te passen. |
JP4533274B2 (ja) * | 2005-08-11 | 2010-09-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塗布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4533275B2 (ja) * | 2005-08-11 | 2010-09-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塗布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4480166B2 (ja) * | 2005-08-11 | 2010-06-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塗布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JP4669347B2 (ja) | 2005-08-15 | 2011-04-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液体塗布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US7828287B2 (en) * | 2009-01-29 | 2010-11-09 | Dell Products L.P. | Printer star wheel |
US8087773B2 (en) * | 2009-05-26 | 2012-01-03 | Xerox Corporation | Ink jet printing depth of focus control apparatus |
JP6079306B2 (ja) | 2013-02-28 | 2017-02-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記録装置 |
JP5935719B2 (ja) | 2013-02-28 | 2016-06-1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記録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EP2933112B1 (en) * | 2014-04-16 | 2016-11-02 | OCE-Technologies B.V. | Printer for forming an inkjet image |
JP6662115B2 (ja) | 2016-03-09 | 2020-03-1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ローラー及びこのローラーを備える印刷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42179A (en) * | 1959-10-19 | 1962-07-03 | Mouroe Calculating Machine Com | Sheet fefding mechanism |
US3602140A (en) * | 1970-02-09 | 1971-08-31 | Ralph E Sudduth | Rotary antismut device having radially adjustable sheet-supporting wheels |
US3791644A (en) * | 1972-12-14 | 1974-02-12 | H Demoore | Sheet handling apparatus |
FR2387783A1 (fr) * | 1977-04-19 | 1978-11-17 | Siemens Ag | Rouleau de pression pour dispositifs d'ecriture a encre |
DE2734041C2 (de) * | 1977-07-28 | 1979-05-31 |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 Papierführung für ein Tintenspritz-Druckwerk |
US4165029A (en) * | 1977-09-28 | 1979-08-21 | Silonics, Inc. | Paper advance mechanism for an ink jet printer |
CA1127227A (en) * | 1977-10-03 | 1982-07-06 | Ichiro Endo |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
JPS5936879B2 (ja) * | 1977-10-14 | 1984-09-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熱転写記録用媒体 |
US4330787A (en) * | 1978-10-31 | 1982-05-18 | Canon Kabushiki Kaisha | Liquid jet recording device |
US4345262A (en) * | 1979-02-19 | 1982-08-17 | Canon Kabushiki Kaisha | Ink jet recording method |
US4463359A (en) * | 1979-04-02 | 1984-07-31 | Canon Kabushiki Kaisha |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DE2919727A1 (de) * | 1979-05-16 | 1980-11-20 | Olympia Werke Ag |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der duesenflaeche an einem tintenschreibkopf |
US4313124A (en) * | 1979-05-18 | 1982-01-26 | Canon Kabushiki Kaisha |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
US4558333A (en) * | 1981-07-09 | 1985-12-10 | Canon Kabushiki Kaisha | Liquid jet recording head |
JPS59123670A (ja) * | 1982-12-28 | 1984-07-17 | Canon Inc | インクジエツトヘツド |
JPS59138461A (ja) * | 1983-01-28 | 1984-08-08 | Canon Inc | 液体噴射記録装置 |
JPS59188467A (ja) * | 1983-04-12 | 1984-10-25 | Seiko Epson Corp | インクジエツトプリンタの紙押え機構 |
JPS59214677A (ja) * | 1983-05-20 | 1984-12-04 | Canon Inc | 紙送り機構 |
JPS6071260A (ja) * | 1983-09-28 | 1985-04-23 | Erumu:Kk | 記録装置 |
NL8403725A (nl) * | 1984-12-07 | 1986-07-01 | Philips Nv | Inrichting voor het transporteren van een buigzame strook. |
JPS6397649A (ja) * | 1986-10-15 | 1988-04-28 | Asahi Chem Ind Co Ltd | 事務機器用ゴムロ−ル |
US4967661A (en) * | 1987-06-05 | 1990-11-06 | Duarte Procuts, Inc. | Sheet transfer mechanism for printing press |
US4860026A (en) * | 1987-06-25 | 1989-08-22 | Canon Kabushiki Kaisha | Halftone image recording method using recording data having a plurality of concentrations for one color |
US4977828A (en) * | 1989-08-07 | 1990-12-18 | Printing Research, Inc. | Transfer roller device for printing presses |
US5163674A (en) * | 1991-09-27 | 1992-11-17 | Xerox Corporation | Drive means for a recording medium having liquid images thereon |
US5363129A (en) * | 1991-10-31 | 1994-11-08 | Hewlett-Packard Company | Printing media feed and retaining apparatus for a thermal ink jet printer/plotter |
-
1990
- 1990-09-17 CA CA002025547A patent/CA2025547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9-17 AT AT90310157T patent/ATE178272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9-17 EP EP90310157A patent/EP041918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9-17 DE DE69033028T patent/DE69033028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9-18 KR KR1019900014760A patent/KR9300118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9-18 AU AU62636/90A patent/AU651561B2/en not_active Ceased
-
1995
- 1995-06-07 US US08/488,461 patent/US585023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850233A (en) | 1998-12-15 |
EP0419185B1 (en) | 1999-03-31 |
EP0419185A3 (en) | 1991-06-12 |
DE69033028T2 (de) | 1999-09-16 |
KR910006021A (ko) | 1991-04-27 |
ATE178272T1 (de) | 1999-04-15 |
CA2025547C (en) | 1995-07-18 |
DE69033028D1 (de) | 1999-05-06 |
AU651561B2 (en) | 1994-07-28 |
AU6263690A (en) | 1991-03-21 |
CA2025547A1 (en) | 1991-03-19 |
EP0419185A2 (en) | 1991-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11860B1 (ko) | 잉크기록장치용 운송회전부재 및 그것을 가지는 잉크기록장치 | |
JPH06134998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2007185941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 |
JP3332590B2 (ja) | 記録装置 | |
JP3109851B2 (ja)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
JPH05186086A (ja) | シート搬送装置及び前記シート搬送装置を用いた記録装置 | |
JP3347588B2 (ja) | シー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 |
JP3697076B2 (ja) | シー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 |
JP2994686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H05221063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3003741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2000177193A (ja) | ジェット印字プリンタ | |
JP3461303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H10309802A (ja) | 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とこの取付け構造を含む記録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 |
JP3025089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4693597B2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 |
JP2005246832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H07214845A (ja) | 記録装置 | |
JP4701157B2 (ja) | 記録装置 | |
JP2006192698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3492028B2 (ja) | 記録装置 | |
JP2007144723A (ja) | 記録装置 | |
JPH0761090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H06143596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
JP2007144857A (ja) |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