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틴 기부
Donation of Constantine콘스탄틴의 기부 (라틴어: 도나티오 콘스탄티니(Donatio Constantini)는 4세기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로마와 로마 제국의 서부 지역에 대한 권한을 교황에게 이양한 것으로 추정되는 위조된 로마 제국 법령입니다. 8세기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13세기에 교황의 정치적 권위에 대한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1]
가장 오래된 것을 포함하여 현존하는 많은 원고(문서의 자필 사본)에서 문서에는 Constitum domini Constantini imperatoris라는 제목이 새겨져 있습니다.[2] 콘스탄티누스의 기부는 9세기 사이비 이시도리아 벽화에 포함되었습니다. 이탈리아 가톨릭 사제이자 르네상스 인문학자인 로렌초 바야는 문서의 진위가 1001년부터 반복적으로 논쟁을 벌였지만,[3] 1439년부터 1440년까지 확실한 문헌학적 논쟁으로 위조를 처음 폭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내용
천주교 역사상 정교분리 |
---|
에 관한 시리즈의 일부. |
카논의 법칙 가톨릭교회 |
---|
천주교 포털 |
이 문서는 3월 30일자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의 칙령으로 알려져 있으며, 1년은 그의 네 번째 영사관(315년)과 갈리카누스 영사관(317년)의 칙령으로 잘못 알려져 있습니다.[4] 콘스탄티누스는 교황 실베스터에게 라테라노 궁전뿐만 아니라 여러 제국 휘장과 특권(기부금)을 수여합니다. 로마와 이탈리아의 나머지 지역, 그리고 제국의 서부 지역은 교황직으로 넘어갑니다.[5]
본문은 5세기 실베스터 법전에 근거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실베스터 교황이 지역 용의 타락으로부터 로마인들을 구해낸 것과 교황이 세례의 성찬으로 황제의 나병을 기적적으로 치료한 것을 묘사하고 있습니다.[5] 이 이야기는 8세기 후반까지 교황청 자유회의에 의해 리허설되었습니다. 8세기 후반까지 용을 죽이는 실베스터와 그의 사도적 후계자들은 콘스탄티누스 치하의 로마의 역사적 주교들이 실제로 행사한 적이 없는 시간적 권한으로 콘스탄티누스의 기부에서 보상을 받았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베드로의 자리에 "권력과 영광, 활력, 제국의 명예의 존엄성"과 "네 명의 주요 인물에 대한 우월성"을 부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콘스탄티노플, 그리고 온 땅에 있는 하나님의 모든 교회에서도."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의 교회 유지를 위해 그는 "유대, 그리스, 아시아, 트라키아, 아프리카, 이탈리아 및 다양한 섬"에 토지를 제공했습니다. 실베스터와 그의 후계자들에게 그는 또한 제국 휘장, 티아라, "로마의 도시, 이탈리아와 서부의 모든 지방, 장소, 도시"를 수여했습니다.[6][7]
기부금은 콘스탄티노플의 권위의 감소를 요구했습니다. 만약 콘스탄티노플이 330년 콘스탄티노플의 취임 이전에 실베스터를 제국의 지위로 승격시켰다면, 당시 로마의 총대주교는 총대주교들 사이의 권력 경쟁에서 약 15년의 우위를 점했습니다. 묵시적으로 교황은 황제 자리를 양도하는 것에 대한 우월성과 특권을 주장했습니다. 교황은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비잔티움에 대한 번역 제국에 동의했고 마음대로 권력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5]
기원.
8세기 중반 직후 교황 스테파노 2세가 당시 프랑크 왕가의 관리자였던 페핀 2세와의 협상을 돕기 위해 콘스탄티누스 공물의 초기 초안이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8][9] 754년 교황 스테파노 2세는 알프스를 넘어 페핀 왕을 임명함으로써 카롤링거 가문이 옛 메로빙거 왕가를 대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테판의 지지에 대한 보답으로 페핀은 롬바르드족이 비잔티움(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빼앗은 이탈리아의 땅을 교황에게 주었습니다.[10] 스티븐의 직계 후계자 바오로 1세의 기회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5] 이 땅들은 교황령이 되었고 앞으로 11세기 동안 교황의 일시적 권력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또 다른 해석은 기부금이 콘스탄티노플에 대한 공식적인 위조가 아니라 로마 기독교 정치에서 역사적인 콘스탄티노플과 관련이 있는 라테란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책략이었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바티칸의 지위 상승에 맞서서 말이죠. 그리고 로마 수도원에서 일하는 그리스 수도승에 의해 작곡되었을지도 모릅니다.[5] 한 연구에서는 이 위조품의 연대를 9세기로 추정하고 그 구성을 프랑스 북부의 코르비 수도원에 두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11]
독일의 중세학자 요하네스 프리드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서와 9세기 후반에 편찬된 위조 문서 모음집인 거짓 문서집에 포함된 이전의 위조 버전인 콘스탄티누스를 구분합니다. Fried는 기부가 훨씬 더 짧은 헌법의 나중에 확장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11] 크리스토퍼 B. 콜먼은 헌법에서 롬바르디아, 베네토, 이스트리아 지역을 가리키는 "서부 지역"의 기부에 대한 언급을 이해합니다.[12]
중세의 사용과 수용
교황 하드리아누스 1세가 교황에게 교황령에 대한 주권을 부여하는 '페핀의 기부'를 한 것으로 알려진 778년의 편지에서 아마도 가장 초기의 것은 콘스탄티누스 1세의 예를 따르고 로마 가톨릭 교회에 기부하라는 내용일 것입니다. 오토 3세의 재상은 진위를 부인했습니다.[13]
교황 레오 9세는 1054년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미카엘 1세 세룰라리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칙령을 직접 발동한 최초의 교황입니다.[2] 그는 문서의 상당 부분을 진짜라고 [14][15]믿으면서 궁극적으로 동서 분열로 이어질 논쟁을 더 진전시켰습니다. 11세기와 12세기에 서구의 교황청과 세속 권력 사이의 투자 갈등에서 기부금이 자주 인용되었습니다.[2]
이 문서의 내용은 콘스탄티누스 1세가 로마에서 그의 콘스탄티노플 건국지인 '신로마'로 황제의 자리를 옮겼다는 비잔티움 제국의 생각과 배치되는 것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기부금은 로마와 신로마의 가부장적인 주교들 사이의 기독교적인 우선권에 대한 동서간의 논쟁에 등장했습니다.[5] 실바 칸디다의 훔베르트 추기경도 동방 황제와 가부장제의 권위에 반대하는 교황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문서의 한 버전을 발표했습니다.[5]
12세기까지 이 텍스트는 그리스어 번역본으로 존재했고, 그 중 14세기 원고가 남아있으며, 비잔틴 작가들도 그들의 논제에서 기부서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동방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통치 기간에 쓴 존 키나모스(John Kinnamos). 서방 스타우퍼 황제들을 찬탈자로 비난하고 교황들이 황실을 소유할 권리가 없다고 부인했습니다.[5] 테오도르 발사몬은 1054년 마이클 세룰라리우스의 교황직 해임과 그에 따른 상호 파문에 대한 근거로 기부금을 사용하여 마이클 세룰라리우스의 행동을 정당화했습니다.[5]
1248년, 산티 콰트로 코로나티 대성당에 있는 성 실베스터 성당은 로마의 세례와 콘스탄티누스의 기부 이야기를 보여주는 프레스코로 장식되었습니다.[16]
시인 단테 알리히에리는 14세기 초에 쓴 그의 신성한 희극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17]
아, 코스탄틴, 등각화산,
비라투아 변환, 마멜라 도트
부정행위 프리시유 프리시유 코파르트르!
(아, 콘스탄틴, 얼마나 많은 악이 태어났는지,
당신의 개종으로부터가 아니라, 그 기부로부터.
최초의 부유한 교황이 당신에게서 받은 것입니다!)— Dante Alighieri, Inferno, canto 19, lines 115–117.
조사
중세 시대에, 비록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가 로마 교황청에 선물을 만들 때, "금자로 된" 문서에 대해 위조로 의심을 제기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기부는 진품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13] 15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고전학파와 텍스트 비평이 부활하면서 인문학자들, 결국 교황의 관료제는 문서가 진품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쿠사의 니콜라스 추기경은 그것을 위조라고[18][19] 선언하고 그것을 아포칼립스 작품이라고 말했습니다.
나중에 가톨릭 사제 로렌조 바야는 본문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에서 필사본에 사용된 언어가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20] 본문의 언어는 원고가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Valla는 그 위조가 너무나 명백하다고 믿었고, 그는 교회가 그 문서가 진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의심했습니다. 바야는 또한 교황의 시간적 권력 찬탈이 교회를 타락시키고 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으며 "압도적이고 야만적이며 폭압적인 사제 지배"를 강화했다고 주장했습니다.[20]
이것은 현대적이고 과학적인 외교의 첫 번째 사례였습니다.[citation needed] 쿠사와 바야와는 별개로, 치체스터의 주교 레지날드 페코케(1450–57)도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기부금이 가짜임에 틀림없다는 표시 중에는 그 언어와 특정 제국 시대의 공식이 본문에 사용되었지만 문서의 라틴어 중 일부는 4세기에 작성되었을 수 없다는 사실이 있습니다. "영토"와 같은 시대착오적인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문서의 예정일은 콘스탄티누스 제4영사관(315명)과 갈리카누스 영사관(317명)을 모두 지칭하는 것이므로 문서 자체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교황 비오 2세는 교황이 되기 5년 전인 1453년에 기부금이 위조품이기는 하지만 교황직이 샤를마뉴에게 땅을 빚지고 베드로에게 열쇠를 주는 권한을 부여했음을 보여주는 조서를 썼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 조서를 발표하지 않았습니다.[21]
이탈리아에서 교황권에 반대하는 동시대의 사람들은 민법과 민사 관할권의 우선성을 강조했고, 이제 유스티니아누스 코퍼스 줄리어스 시빌리스에 다시 한 번 확고하게 구현되었습니다. 피렌체 연대기 작가 조반니 카발칸티는 바야가 논문을 발표한 바로 그 해에 밀라노 공작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피렌체에 있는 코시모 데 메디치를 향해 교황에 대항하는 동맹을 제안하는 외교적 제안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비스콘티는 기부에 대해 이렇게 썼습니다. "콘스탄틴이 실베스터에게 그렇게 많은, 그리고 그렇게 풍부한 선물을 맡겼어도, 그러한 특권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그는 평생 동안 그것들을 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제국은 어떤 영주권보다 우선합니다."[citation needed]
나중에 학자들은 실베스터가 콘스탄티누스를 치료한 것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나중에 유래된 전설이라는 것을 더 증명했습니다. 최근 바야의 저작을 편집한 볼프람 세츠(Wolfram Setz)는 바야의 반박 당시 콘스탄틴이 주장한 '기부'는 더 이상 정치 이론에서 현대적인 관련성의 문제가 아니며 단순히 법적 수사학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을 뿐이라고 단언했습니다.[22]
니컬러스 5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신대륙을 분할할 때에도 기부에 대해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전립적인" 교황령의 교리가 교황 니컬러스 2세가 시칠리아를 로베르트 귀스카르에게 부여한 이후로 섬에 대한 기부의 모호한 언급에서 발전했지만, 토르데시야스 조약과 사라고사 조약을 만든 황소인 인터카에테라를 포함한 아메리카와 몰루카의 이베리아 왕국들의 중복된 영유권에 대한 교황의 선언에 1492년 이후 배치되었습니다.[16][23] 발라의 논문은 울리히 폰 후텐과 마르틴 루터와 같은 개신교 종교개혁의 작가들에 의해 격렬하게 받아들여졌고, 16세기 중반에 그 논문은 사서 금지령 색인에 올려지게 되었습니다.
기부금은 카이사르 바로니우스(Caesar Baronius, 1588–1607 출판)가 그의 Annales Ecclesiastici(1588–1607 출판)에서 그것이 위조임을 인정하기 전까지 암묵적으로 계속 받아들여졌으며, 그 후 거의 보편적으로 그렇게 받아들여졌습니다.[2] 어떤 사람들은 그것의 진위를 계속 주장했습니다; 아날레스 에클레시아티 이후 거의 1세기가 지난 후에도, 크리스티안 울프는 여전히 기부를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 언급했습니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