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 대학교

College of Bishops

주교 오르도(Ordo of Bishops)라고도 알려진 주교대학가톨릭교회에서 교황교감하고 있는 주교들의 모음을 나타내는 용어다. 캐논법에 따르면 대학은 하나의 몸을 형성하기 위해 공동의 대상을 위해 함께 뭉친 사람들의 집합체(라틴 대학)이다. 로마 주교(교황)는 이 대학의 수장이다.

주교대학의 권한

로마 가톨릭교에서 주교대학은 사도대학후계자다.[1] 주교대학의 개별 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의 특정한 교회에서 목회자 돌봄과 통치를 직접 담당하는 반면, 전체적으로는 교회 전체에 대한 완전한 최고 권력을 가지고 있다.

주교원장 대학은 최고 폰티프[로마의 주교]이며, 성찬식 성찬과 머리와의 위계적 교감으로 구성원이 주교로 되어 있으며, 이 머리가 없으면 결코 보편적인 교회에 대한 최고권력과 전권력의 대상이기도 하다.[2]

대학은 에큐메니컬 협의회에서 엄숙한 태도로 이 최고권력과 전권을 행사하지만, 한 곳에 모이지 않아도 단합된 행동을 통해서도 힘을 발휘한다.[3]

오늘날의 성문법에 의해 교황은 에큐메니컬 평의회에서처럼 주교들이 연대적으로 행동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홍보하는 것이며, 교황은 소집하고, (개인적으로 또는 그의 대의원에 의해) 주재하고, 그러한 평의회를 양도하고, 보류하거나 해산하고, 그 규약을 승인하는 것이다.[4] 가톨릭 교회는 평의회에 모이거나 교황에 의해 대표되는 주교대학이 일부 밝혀진 진리를 절대적이고 확실하게(절대적으로) 보유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가르칠 수 있다고 가르친다.[5]

제2차 바티칸 평의회 교육 포기

제2차 바티칸 평의회는 주교들의 연대 교리를 다음과 같이 천명하였다.

복음서에서처럼 주님이 그렇게 처분하시는 것처럼 성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이 하나의 사도 대학을 구성하기 때문에 비슷한 방법으로 베드로의 후계자인 로마 폰티프와 사도들의 후계자인 주교들이 함께 참여한다. 사실, 세계 각지에 정식으로 설립된 주교들이 서로 교감하고, 로마 주교와 연합하여 단결, 자선, 평화의 유대감을 형성하며, 또한 협의회가 함께 모여, 보다 심오한 문제들이 공통적으로 해결되어, 많은 사람들의 의견은 신중히 고려되었다. 이 두 요인은 이미 성공회 질서의 대학 성격과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수세기 동안 열린 에큐메니컬 협의회 또한 같은 성격의 명백한 증거다. 그리고 그것은 고대에 도입된, 새로 선출된 주교들을 고위 성직자로 격상하기 위해 여러 명의 주교들을 소환하는 관행에서도 암시된다. 따라서 하나는 성찬식 성찬과 머리와 신체의 구성원들과의 위계적 교감이라는 덕택에 성공회의 구성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주교들의 대학이나 단체는 베드로의 후계자인 로마 폰티프와 함께 그 머리로서 이해되지 않는 한 권한이 없다. 목회자와 신실자 모두에게 교황의 우매한 권력은 온전하고 온전하게 남아 있다. 그리스도의 Vicar이자 전체 교회의 목사인 그의 직책 덕분에 로마 폰티프는 교회에 대한 만능, 최고, 보편적인 권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항상 자유롭게 이 힘을 행사할 수 있다. 사도대학을 계승하여 이 사도적 기구를 계속 존속시키는 주교들의 질서는 또한 우리가 이 육체를 로마 폰티프의 머리와 함께 이해하고 이 머리가 없으면 결코 없다는 전제하에 보편적 교회에 대한 최고권력과 전권력의 대상이기도 하다. 이 권력은 로마 교황의 동의가 있어야만 행사할 수 있다. 우리 주께서는 시몬을 홀로 교회의 열쇠들을 운반하는 자로 두시고, 그를 양 떼의 목자로 삼으셨다. 그러나 베드로에게 주어진 구속과 고리의 힘이 사도 대학에도 부여된 것은 그들의 머리와 함께 한 것이 분명하다. 이 대학은 다수로 구성되어 있는 한, 하나님 민족의 다양성과 보편성을 표현하고 있으나, 한 머리 밑에 모여 있는 한 그리스도의 무리들의 단결을 표현하고 있다. 그 속에서 주교들은 자기 머리의 영장성과 선비성을 충실하게 인식하여 자기 신자들을 위해 자기 자신의 권위를 행사하고, 실로 교회 전체에서는 그 유기적인 구조와 조화를 온건하게 받쳐주는 성령이다. 이 대학이 누리는 만국교회의 최고 권력은 에큐메니컬 의회에서 엄숙하게 행사된다. 평의회는 베드로의 후계자에 의해 확정되거나 최소한 그렇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한 결코 에큐메니컬하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평의회를 소집하고, 그 회의를 주재하고, 그들을 확인하는 것은 로마 교황의 특권이다. 이 같은 대학권력은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주교들이 교황과 함께 행사할 수 있는데, 단과대학장이 그들을 대학행동에 소집하거나, 적어도 흩어진 주교들의 연합행동을 승인하거나 자유롭게 수용하여 대학행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이다.

독특한 관계

주교대학과 개별 주교들, 특히 로마 주교와의 관계는 세속적인 상대가 없으며, 그 실질적인 결과는 국가나 기업의 다양한 통치 형태와 같은 세속적인 모델에서 추론할 수 없다.[6]

제2차 바티칸 평의회는 "신비와 제도, 영장성과 성공회, 하느님과 계급의 사람들, 새로운 음을 내고 새로운 균형을 이루길 원했다"고 주교회의 주교들의 연합의 교리를 밝혔다. 교회가 살아 있는 경험에서 해결되고 신봉될 것이다."[7]

참고 항목

참조

  1.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Enclophdia Britannica Education 1983) ISBN978-0-85229-400-0), 1권, 페이지 989
  2. ^ 캐논 법전, 캐논 336
  3. ^ 캐논 법전, 337 §1-2
  4. ^ 캐논 법전, 337조 3항 및 338항
  5. ^ 앨런 리처드슨, 보우든(편집자), 웨스트민스터 기독교 신학사전(프리스트별 출판 1983 ISBN 978-0-664-22748-7) 페이지 344
  6. ^ George Weigel, The Caparty to Be Catholic(기본 도서 2004 ISBN 978-0-465-09261-1) 페이지 119
  7. ^ 찰스 M. 머피, "콜레지얼리티: 신학연구 46편(1985), 페이지 4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