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1.1
Kv1.1KCNA1 | |||||||||||||||||||||||||
---|---|---|---|---|---|---|---|---|---|---|---|---|---|---|---|---|---|---|---|---|---|---|---|---|---|
| |||||||||||||||||||||||||
식별자 | |||||||||||||||||||||||||
별칭 | KCNA1, AEMK, EA1, HBK1, HUK1, KV1.1, MBK1, MK1, RBK1, 칼륨가이드 채널 하위 제품군 A 멤버 1 | ||||||||||||||||||||||||
외부 ID | OMIM: 176260 MGI: 96654 HomoloGene: 183 GeneCard: KCNA1 | ||||||||||||||||||||||||
| |||||||||||||||||||||||||
| |||||||||||||||||||||||||
| |||||||||||||||||||||||||
| |||||||||||||||||||||||||
직교체 | |||||||||||||||||||||||||
종 | 인간 | 마우스 | |||||||||||||||||||||||
엔트레스 | |||||||||||||||||||||||||
앙상블 | |||||||||||||||||||||||||
유니프로트 | |||||||||||||||||||||||||
RefSeq(mRNA) | |||||||||||||||||||||||||
RefSeq(단백질) | |||||||||||||||||||||||||
위치(UCSC) | Chr 12: 4.91 – 4.92Mb | Chr 6: 126.62 – 126.62Mb | |||||||||||||||||||||||
PubMed 검색 | [3] | [4] | |||||||||||||||||||||||
위키다타 | |||||||||||||||||||||||||
|
칼륨 전압 게이트 채널 하위 제품군 K1v.1로도 알려진 A 멤버 1은 인체에서 KCNA1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셰이커 관련 전압 게이트 칼륨 채널이다.[5][6][7]아이작스 증후군은 K1v.1 이온 채널에 대한 자가면역반응의 결과물이다.[8]
게노믹스
이 유전자는 12번 염색체의 짧은 팔의 왓슨(플러스) 가닥에 위치한다.유전자 자체가 8,348 염기이며 495개의 아미노산(예측 분자량 56.466킬로달톤)의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
대체 이름
이 단백질을 보충하기 위해 권장된 이름은 칼륨 voltage-gated 채널 아과 일원 1이지만의 대안을 수는 문헌에 HuK1(인간 K+ 채널 나는), RBK1(루비듐 칼륨 채널 1), MBK(쥐 뇌 K+ 채널), 전압 gated성 칼륨 통로 HBK1, 전압 gated성 칼륨 통로 아단 위 Kv1.1,번 포함 사용되어 왔다.ge-게이트 K+ 채널 HuKI 및 AEMK(주기적 아탁시아를 가진 근혈증과 연관됨).
구조
단백질은 S5와 S6 사이의 루프가 채널 모공을 형성하는 6개의 영역(S1-S6)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이 지역에는 보존된 선택성 필터 모티브가 있다.기능 채널은 호모테트라머다.단백질의 N단자는 β 서브유닛과 연관된다.이러한 하위 단위는 채널 불활성화와 그 표현을 규제한다.C-terminus는 채널 타겟팅에 관여하는 PDZ 도메인 단백질과 연관되어 있다.[9][10]
함수
단백질은 칼륨 이온이 전기화학적 구배와 일치하여 통과할 수 있는 칼륨 선택적 채널로서 기능한다.그들은 막의 재분극화 역할을 한다.[9]
RNA 편집
이 단백질의 사전 mRNA는 RNA 편집이 가능하다.[11]
유형
A to I RNA 편집은 RNA(ADAR)에 작용하는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계열에 의해 촉매되는데, 이는 사전 mRNA(예: 칼륨 채널 RNA 편집 신호)의 이중 가닥 영역 내에서 아데노신을 구체적으로 인식하여 이노신에 디아민화한다.이노신은 세포의 변환 기계에 의해 구아노신(guanosine)으로 인식된다.ADAR 계열의 ADARs 1-3 멤버가 3명 있으며 ADAR1은 효소 활성 멤버로 ADAR2가 유일하다.ADAR3는 뇌에서 규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ADAR1과 ADAR2는 조직으로 널리 표현되는 반면 ADAR3는 뇌로 제한된다.RNA의 이중 좌초 영역은 편집부근의 잔여물과 이웃한 인트론 내의 잔여물 사이에 베이스 페어링으로 형성되지만 때로는 외음순서가 되기도 한다.편집 영역과 기본 쌍을 이루는 영역을 ECS(Editing Comprehensive Sequence)라고 한다.
위치
변형된 잔여물은 최종 단백질의 아미노산 400에서 발견된다.이것은 모공 안쪽 전정부에 해당하는 6번째 투과선에 위치한다.스템 루프 헤어핀 구조가 RNA 편집을 매개한다.ADAR2는 I/V 사이트에서 선호되는 편집 효소일 가능성이 높다.편집하면 ATT에서 GTT로 코돈 변경, 이졸레우신에서 발레린으로 아미노산이 변경된다.ADAR2 효소는 주요 편집 효소다.MFORD 프로그램은 편집에 필요한 최소 영역이 불완전한 역반복 머리핀을 형성할 것이라고 예측했다.이 지역은 114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다.생쥐와 쥐에서도 비슷한 부위가 확인되었다.편집된 아데노신은 6-베이스 쌍쌍 이중 영역에서 발견된다.6-base 쌍쌍이중근 부근 지역의 돌연변이 실험은 이 지역의 특정 근거도 편집이 일어나기 위해 필수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편집에 필요한 부위는 머리핀 구조가 외음순에 의해서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대부분의 A to I 편집에서 ECS는 전자적 시퀀스 내에서 발견된다.[11]
보존
이 편집은 오징어, 초파리, 쥐, 쥐 등에서 관찰된 것으로 보존되어 있다.[11]
규정
편집 수준은 각 조직마다 다르다: 협곡핵에서 17%, 척수에서 68%, 그리고 중절에서 77%.[12]
결과들
구조
코돈(I/V)이 (ATT)에서 (GTT)로 변경되어 편집 사이트 위치에 있는 이졸레우신 대신 발레인이 번역된다.Valine은 더 큰 사이드 체인을 가지고 있다.이 위치에서 RNA 편집은 채널의 고도로 보존된 이온 전도성 모공에서 발생한다.이것은 빠른 불활성화 과정에서 채널 역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
함수
전압에 의존하는 칼륨 채널은 전압에 반응하여 칼륨 선택적 모공을 열고 닫음으로써 흥분성을 조절한다.칼륨 이온의 흐름은 인간에게는 보조 단백질이지만 다른 종에는 채널의 본질적인 부분인 불활성 입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단된다.I to V 아미노산 변화는 불활성화 입자와 모공 라이닝 사이의 소수성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이것은 빠른 불활성화 과정을 방해한다.활성화 키네틱스는 RNA 편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11]비활성 키네틱스의 변화는 작용 전위의 지속시간과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편집된 채널은 더 많은 전류를 통과하며 채널의 이온 전도성 모공에서 불활성 입자가 잔류물과 상호작용할 수 없기 때문에 비편집형보다 짧은 작용 전위를 가진다.이것은 전기생리학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14]막이 탈분극화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송신기 방출 효율도 떨어진다.[12]편집은 칼륨 채널 테트라머의 1~4에서 아미노산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채널 불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하다.
조절곤란
빠른 불활성화 과정의 변화는 체내 행동 및 신경학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임상적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성공적 아탁시아 타입 1을 유발한다.
참고 항목
- GABRA3 - 유사한 RNA 편집을 수행하는 채널 하위 장치
참조
-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11262 - 앙상블, 2017년 5월
-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47976 - 앙상블, 2017년 5월
-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Curran ME, Landes GM, Keating MT (1992).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genomic localization of a human potassium channel gene". Genomics. 12 (4): 729–37. doi:10.1016/0888-7543(92)90302-9. PMID 1349297.
- ^ Albrecht B, Weber K, Pongs O (1995). "Characterization of a voltage-activated K-channel gene cluster on human chromosome 12p13". Recept. Channels. 3 (3): 213–20. PMID 8821794.
- ^ Gutman GA, Chandy KG, Grissmer S, Lazdunski M, McKinnon D, Pardo LA, Robertson GA, Rudy B, Sanguinetti MC, Stühmer W, Wang X (2005).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III. Nomenclature and molecular relationships of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s". Pharmacol. Rev. 57 (4): 473–508. doi:10.1124/pr.57.4.10. PMID 16382104. S2CID 219195192.
- ^ Newsom-Davis J (1997). "Autoimmune neuromyotonia (Isaacs' syndrome): an antibody-mediated potassium channelopathy". Ann. N. Y. Acad. Sci. 835 (1): 111–9. Bibcode:1997NYASA.835..111N. doi:10.1111/j.1749-6632.1997.tb48622.x. PMID 9616766. S2CID 13231594.[영구적 데드링크]
- ^ a b "Entrez Gene: KCNA1 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 ^ "KCNA1 - Potassium voltage-gated channel subfamily A member 1 - Homo sapiens (Human) - KCNA1 gene & protein". www.uniprot.org.
- ^ a b c d e Bhalla T, Rosenthal JJ, Holmgren M, Reenan R (October 2004). "Control of human potassium channel inactivation by editing of a small mRNA hairpin". Nat. Struct. Mol. Biol. 11 (10): 950–6. doi:10.1038/nsmb825. PMID 15361858. S2CID 34081059.
- ^ a b Hoopengardner B, Bhalla T, Staber C, Reenan R (August 2003). "Nervous system targets of RNA editing identified by comparative genomics". Science. 301 (5634): 832–6. Bibcode:2003Sci...301..832H. doi:10.1126/science.1086763. PMID 12907802. S2CID 782642.
- ^ Bhalla, Tarun; Rosenthal, Joshua J C; Holmgren, Miguel; Reenan, Robert (2004). "Control of human potassium channel inactivation by editing of a small mRNA hairpin".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11 (10): 950–956. doi:10.1038/nsmb825. ISSN 1545-9993. PMID 15361858. S2CID 34081059.
- ^ Bezanilla, Francisco (2004). "RNA editing of a human potassium channel modifies its inactivation". Nature Structural & Molecular Biology. 11 (10): 915–916. doi:10.1038/nsmb1004-915. ISSN 1545-9993. PMID 15452561. S2CID 40545616.
추가 읽기
- Grunnet M, Rasmussen HB, Hay-Schmidt A, et al. (2003). "KCNE4 is an inhibitory subunit to Kv1.1 and Kv1.3 potassium channels". Biophys. J. 85 (3): 1525–37. Bibcode:2003BpJ....85.1525G. doi:10.1016/S0006-3495(03)74585-8. PMC 1303329. PMID 12944270.
- Nie DY, Zhou ZH, Ang BT, et al. (2003). "Nogo-A at CNS paranodes is a ligand of Caspr: possible regulation of K(+) channel localization". EMBO J. 22 (21): 5666–78. doi:10.1093/emboj/cdg570. PMC 275427. PMID 14592966.
- Imbrici P, Cusimano A, D'Adamo MC, et al. (2003).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n episodic ataxia type-1 mutation occurring in the S1 segment of hKv1.1 channels". Pflügers Arch. 446 (3): 373–9. doi:10.1007/s00424-002-0962-2. PMID 12799903. S2CID 21478393.
- Glaudemans B, van der Wijst J, Scola RH, et al. (2009). "A missense mutation in the Kv1.1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encoding gene KCNA1 is linked to human autosomal dominant hypomagnesemia". J. Clin. Invest. 119 (4): 936–42. doi:10.1172/JCI36948. PMC 2662556. PMID 19307729.
- Shook SJ, Mamsa H, Jen JC, et al. (2008). "Novel mutation in KCNA1 causes episodic ataxia with paroxysmal dyspnea". Muscle Nerve. 37 (3): 399–402. doi:10.1002/mus.20904. PMID 17912752. S2CID 26175513.
- Gubitosi-Klug RA, Mancuso DJ, Gross RW (2005). "The human Kv1.1 channel is palmitoylated, modulating voltage sensing: Identification of a palmitoylation consensus sequence". Proc. Natl. Acad. Sci. U.S.A. 102 (17): 5964–8. Bibcode:2005PNAS..102.5964G. doi:10.1073/pnas.0501999102. PMC 1087951. PMID 15837928.
- Zhang ZH, Rhodes KJ, Childers WE, et al. (2004). "Disinactivation of N-type inactivation of voltage-gated K channels by an erbstatin analogue". J. Biol. Chem. 279 (28): 29226–30. doi:10.1074/jbc.M403290200. PMID 15136567.
- Kimura K, Wakamatsu A, Suzuki Y, et al. (2006). "Diversification of transcriptional modulation: large-scal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tative alternative promoters of human genes". Genome Res. 16 (1): 55–65. doi:10.1101/gr.4039406. PMC 1356129. PMID 16344560.
- Jow F, Zhang ZH, Kopsco DC, et al. (2004). "Functional coupling of intracellular calcium and inactivation of voltage-gated Kv1.1/Kvbeta1.1 A-type K+ channels". Proc. Natl. Acad. Sci. U.S.A. 101 (43): 15535–40. Bibcode:2004PNAS..10115535J. doi:10.1073/pnas.0402081101. PMC 524431. PMID 15486093.
- Imbrici P, Grottesi A, D'Adamo MC, et al. (2009). "Contribution of the central hydrophobic residue in the PXP motif of voltage-dependent K+ channels to S6 flexibility and gating properties". Channels (Austin). 3 (1): 39–45. doi:10.4161/chan.3.1.7548. PMID 19202350.
- Kinali M, Jungbluth H, Eunson LH, et al. (2004). "Expanding the phenotype of potassium channelopathy: severe neuromyotonia and skeletal deformities without prominent Episodic Ataxia". Neuromuscul. Disord. 14 (10): 689–93. doi:10.1016/j.nmd.2004.06.007. PMID 15351427. S2CID 44972020.
- Demos MK, Macri V, Farrell K, et al. (2009). "A novel KCNA1 mutation associated with global delay and persistent cerebellar dysfunction". Mov. Disord. 24 (5): 778–82. doi:10.1002/mds.22467. PMID 19205071. S2CID 25655998.
- Imbrici P, Gualandi F, D'Adamo MC, et al. (2008). "A novel KCNA1 mutation identified in an Italian family affected by episodic ataxia type 1". Neuroscience. 157 (3): 577–87. doi:10.1016/j.neuroscience.2008.09.022. PMID 18926884. S2CID 15772885.
- Tan KM, Lennon VA, Klein CJ, et al. (2008). "Clinical spectrum of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 autoimmunity". Neurology. 70 (20): 1883–90. doi:10.1212/01.wnl.0000312275.04260.a0. PMID 18474843. S2CID 34815377.
- Chen H, von Hehn C, Kaczmarek LK, et al. (2007). "Functional analysis of a novel potassium channel (KCNA1) mutation in hereditary myokymia". Neurogenetics. 8 (2): 131–5. doi:10.1007/s10048-006-0071-z. PMC 1820748. PMID 17136396.
- Strausberg RL, Feingold EA, Grouse LH, et al. (2002). "Generation and initial analysis of more than 15,000 full-length human and mouse cDNA sequences". Proc. Natl. Acad. Sci. U.S.A. 99 (26): 16899–903. Bibcode:2002PNAS...9916899M. doi:10.1073/pnas.242603899. PMC 139241. PMID 12477932.
- Gutman GA, Chandy KG, Grissmer S, et al. (2005).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III. Nomenclature and molecular relationships of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s". Pharmacol. Rev. 57 (4): 473–508. doi:10.1124/pr.57.4.10. PMID 16382104. S2CID 219195192.
- Lee H, Wang H, Jen JC, et al. (2004). "A novel mutation in KCNA1 causes episodic ataxia without myokymia". Hum. Mutat. 24 (6): 536. doi:10.1002/humu.9295. PMID 15532032. S2CID 2542180.
- Gu C, Jan YN, Jan LY (2003). "A conserved domain in axonal targeting of Kv1 (Shaker) voltage-gated potassium channels". Science. 301 (5633): 646–9. Bibcode:2003Sci...301..646G. doi:10.1126/science.1086998. PMID 12893943. S2CID 9924760.
외부 링크
- GeneReviews/NCBI/NIH/UW entry on Episodic Ataxia Type 1, Episodic Ataxia with Myokymia, Generation Serebellar Ataxia with Neoromyotonia.
- Kv1.1+칼륨+채널(미국 국립 의학 라이브러리 의료 과목 제목)
- KCNA1+단백질,+인간,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의 의학 과목 제목(M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