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date 핵
Caudate nucleusCaudate 핵 | |
---|---|
세부 사항 | |
의 일부 | 등쪽 선조체 |
식별자 | |
라틴어 | 미상핵 |
MeSH | D002421 |
뉴로네임즈 | 226 |
NeuroLex ID | birnlex_1373 |
TA98 | A14.1.09.502 |
TA2 | 5561 |
FMA | 61833 |
신경해부학의 해부학적 용어 [위키데이터 편집] |
미상핵은 인간 뇌의 기저 신경절의 한 부분인 말뭉치 선조체를 구성하는 구조 중 하나입니다.[1] 미상핵은 파킨슨병에서의 역할로 인해 운동 과정과 오랫동안 관련되어 왔지만,[2][clarification needed][3] 다른 기능들 [6]중 절차 학습,[4] 연상 학습[5] 및 억제 작용 제어를 포함한 다양한 비운동 기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상은 또한 보상 체계를 구성하는 뇌 구조 중 하나이며, 코르티코-기저 신경절-탈락 고리의 일부로 기능합니다.[1]
구조.
꼬리는 푸타멘과 함께 하나의 기능적 구조로 간주되는 등쪽 선조체를 형성하는데, 해부학적으로 큰 백질관인 내부 캡슐에 의해 분리되므로 두 가지 구조, 즉 안쪽 등쪽 선조체(caudate)와 옆쪽 등쪽 선조체(putamen)라고도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두 가지는 구조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단지 기능의 지형적 분포 때문에 기능적으로 구별됩니다.
미상핵은 시상의 맞은편에 위치한 뇌의 중심 근처에 위치합니다. 뇌의 각 반구 안에는 미상핵이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그것들은 더 넓은 "머리" (라틴어로 잘린)와 "몸" (코퍼스)와 "꼬리" (카우다)로 가늘어지는 C자 모양의 구조를 닮았습니다. 때로는 미상핵의 일부를 "무릎"(genu)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7] 미상 머리는 렌티큘로스트리아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고, 미상 꼬리는 전방 맥락막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습니다.[8]
미상핵의 머리와 몸은 측심실의 전각의 바닥의 일부를 형성합니다. 몸이 머리 뒤쪽을 향해 잠시 이동한 후 꼬리는 앞쪽을 향해 다시 휘어지며, 측심실의 하뿔의 지붕을 형성합니다. 이것은 꼬리를 가르는 관상면(얼굴과 평행한 평면상) 부분이 미상핵의 몸통과 머리를 가로지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경화학
Caudate는 SNC(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에서 유래한 도파민성 뉴런에 의해 매우 신경질적입니다. SNc는 중뇌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이용하여 미상과 푸타멘으로 세포가 돌출되어 있습니다.[9] 또한 다양한 연관 피질에서 추가 입력이 있습니다.
운동기능
공간적 니모닉 처리
미상 핵은 공간 정보를 운동 행동 공식과 통합합니다.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피험자의 공간 작업 기억의 선택적 손상과 선조체에 공급되는 도파민의 양에 대한 질병의 영향에 대한 지식은 미상 핵을 공간 및 비공간 기억 처리와 연결시켰습니다. 공간적으로 의존하는 모터 준비는 이벤트 관련 fMRI 분석 기법을 통해 미상핵과 연결되었습니다. 미상핵에서의 활성은 비공간적인 작업을 포함하는 작업보다 공간적 및 운동적 기억 요구를 특징으로 하는 작업에서 더 큰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10] 특히, 지연 인식에 대한 fMRI 연구를 통해 공간 작업 기억 활동이 운동 반응 직전에 있을 때 미상 핵에서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미상핵이 운동 반응을 코딩하는 데 관여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미상핵은 감각-운동 변환의 매개에 의해 작동 기억 성능을 지원하는 운동 시스템의 모집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11]
지시된 움직임
미상핵은 신체와 팔다리 자세, 지시된 움직임의 속도와 정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고양이의 꼬리 핵 제거 후 발 사용 작업 중 자세 및 정확도의 결함이 관찰되었습니다. 부분적으로 핵을 제거한 후 고양이에서 수행 개시 지연과 지속적으로 신체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필요성이 관찰되었습니다.[12]
코카인을 미상핵에 바르고 그로 인한 병변이 생성된 후 원숭이에서 "도약하거나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이 관찰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미상핵의 손상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미상핵의 억제 특성을 보여줍니다. 이 과정의 결과로 관찰된 "운동 방출"은 미상핵이 동물이 저항 없이 앞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13]
인지기능
목표지향행동
신경영상 연구, 꼬리 연결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및 행동 연구를 검토한 결과 꼬리가 실행 기능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아래 참조)도 증거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신경영상(PET 및 fMRI 포함)과 해부학적 연구의 두 가지 접근법은 실행 기능과 관련된 미상 부위와 피질 부위 사이의 강한 관계를 보여줍니다: "인간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연결성에 대한 비침습적 측정은 미상 부위와 실행 전두 부위 사이의 명확한 연관성을 보여줍니다."[14]
한편, 행동 연구는 논쟁에 또 다른 계층을 제공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미행은 목표 지향 행동의 기본, 즉 "목표의 변화하는 가치에 기반한 행동의 선택과 어떤 행동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지식"을 제안합니다.[14] 그러한 연구 중 하나는 쥐들에게 계피 맛 용액의 방출을 유발하는 레버를 제시했습니다. 쥐들이 지렛대를 누르는 법을 배운 후, 연구원들은 결과의 가치를 바꾸었고 (쥐들에게 너무 많은 맛을 주거나 그 용액을 마신 후 쥐들을 아프게 함으로써 그 맛을 싫어하도록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그 효과가 관찰되었습니다. 정상 쥐들은 지렛대를 덜 자주 누른 반면, 미궁에 병변이 있는 쥐들은 그 행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연구는 미행과 목표 지향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줍니다. 미행 핵이 손상된 쥐는 결과의 변화하는 가치를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14] 2003년 인간 행동 연구에서도 비슷한 과정이 반복됐지만, 이번 결정은 돈이 걸려 있을 때 다른 사람을 믿느냐 마느냐였습니다.[15] 여기서 선택은 훨씬 더 복잡했지만, 피험자들은 단순히 레버를 누르도록 요청받은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의 무게를 재야 했습니다. 연구의 핵심은 여전히 결과 값의 변화에 기반한 행동적 선택이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신경 이미지와 해부학적 연구는 미상이 간부 기능에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반면, 행동 연구는 미상이 우리의 의사 결정 과정 중 일부를 안내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킵니다.
기억
미상핵을 포함하는 등-전두엽 피질하 루프는 특히 조현병 환자의 작업 기억의 결손과 관련이 있습니다. 기능 이미징은 영장류와 건강한 인간 피험자의 작업 기억 작업 중에 이 피질하 루프의 활성화를 보여주었습니다. 미망인은 질병이 발병하기 전의 작업 기억과 관련된 결손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Caudate 핵 부피는 공간 작업 기억 작업에 대한 지속적인 오류와 반비례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6][17]
편도체는 미상핵에 직접적인 돌기를 보냅니다. 편도체와 미상핵은 모두 해마에 직간접적으로 돌출되어 있습니다. 편도가 미상핵의 기억 처리에 미치는 영향은 이 두 구조 사이의 연결을 포함하는 병변이 "미상핵에 주입된 옥소트레모린의 기억력 향상 효과를 차단"한다는 발견과 함께 입증되었습니다. 물 미로 훈련을 받은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훈련 후 암페타민을 미행에 주입한 후 미행 핵은 시각적으로 큐잉된 훈련의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18]
학습
2005년 연구에서 피험자들은 이미지를 분류하고 반응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시각적 자극을 분류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성공적인 분류 학습(올바른 분류)과 관련된 활동은 꼬리와 꼬리에 집중되었고, 피드백 처리(올바른 분류 결과)와 관련된 활동은 꼬리 머리에 집중되었습니다.[19]
수면.
고양이의 미상핵 머리의 양측 병변은 수면-잠에서 깨는 주기 동안 깊은 느린 파동 수면 기간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딥 슬로우 웨이브 수면의 총량이 감소하면서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는 것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20]
그러나 고양이의 수면 각성 패턴에 대한 미상 핵 제거의 효과는 영구적이지 않았습니다. 미상핵 절제술 후 3개월의 기간을 거쳐 정상화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발견은 중추신경계 활성화 수준을 조절하는 미상핵과 전두엽 피질의 역할의 상호 관련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꼬리를 제거한 고양이들은 비록 영구적으로 과다 활동을 했지만, 약 두 달 동안만 지속되는 빠른 눈의 움직임 수면(REMS) 시간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앞 고양이는 REMS 시간이 영구적으로 감소하고 일시적인 과잉 활동 기간만 있었습니다.[21]
"깊이", REM 수면과 미상 핵 사이의 연관성과 대조적으로, 인간 수면 주기 동안의 EEG 및 fMRI 측정을 포함하는 연구에 따르면 미상 핵은 모든 수면 단계에서 비-REM 수면 동안 감소된 활동을 보여줍니다.[22] 또한 선천성 중추저환기증후군(CCHS) 피험자의 인간 미상핵 부피에 대한 연구에서 CCHS와 좌우 미상핵 부피의 유의한 감소 사이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습니다. CCHS는 호흡 운동이 감소되어 수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장애입니다. 따라서 미상핵은 인간의 수면 주기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습니다.[23]
감정
미상핵은 시각적 아름다움에 대한 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로맨틱한 사랑의 신경 상관관계" 중 하나로 제시되었습니다.[24][25]
접근-부착 행동 및 영향 또한 미상핵에 의해 제어됩니다. 미상 핵을 양쪽으로 제거한 고양이는 물체에 끈질기게 접근하고 따라다니며 표적과 접촉을 시도하는 동시에 앞다리의 디딤돌과 퍼링의 유도로 우호적인 성향을 보였습니다. 행동 반응의 크기는 핵의 제거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미상핵에 선택적 손상을 입은 인간 환자에 대한 보고에 따르면 일방적인 미상 손상으로 인해 구동력 상실, 강박 장애, 자극 제한적인 인내 행동 및 과잉 행동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손의 대부분은 목표물에 접근하는 것부터 로맨틱한 사랑에 이르기까지 접근 애착 행동과 관련된 것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12]
언어
신경영상 연구는 여러 언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들이 언어에 상관없이 정확히 같은 뇌 영역을 활성화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006년 출판물은 이 현상을 연구하고, 언어 통제의 중심지로 미행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가장 실례가 되는 경우에는 미상에 병변이 있는 3개 국어 피험자가 관찰되었습니다. 환자는 3개 국어의 언어 이해력을 유지했지만, 언어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녀는 무의식적으로 3개 국어 사이를 오갔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중 언어 환자에 대한 이러한 연구 결과 및 기타 결과는 생산 작업에서 어휘 및 언어 대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왼쪽 미행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26][27]
미상의 안쪽 표면의 국부적인 모양 변형은 여성의 언어 학습 능력과 남성의 공간적 및 언어적 유창성 작업 기억 작업에 대한 인내력 오류의 수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더 큰 꼬리 핵 부피는 더 나은 언어 유창성 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16]
글로스올랄리아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는 글로스올랄리아가 영어로 노래하는 것에 비해 왼쪽 미부핵의 활동이 크게 감소했음을 보여주었습니다.[28]
임계값제어
뇌는 흥분성 시냅스에 의해 상호 연결된 뉴런의 큰 집합을 포함하고, 따라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가진 요소들의 큰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폭발적인 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어떤 메커니즘도 없이 이러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보기는 어렵습니다. 대뇌 피질의 일반적인 활동을 측정하고 임계 전위를 조절함으로써 미상이 이러한 조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몇몇 간접적인[29] 증거가 있습니다.
임상적 의의
코데이트 스트로크
뇌졸중은 미상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1970년대와 1980년대 초에 컴퓨터 단층 촬영(CT) 스캔이 도입되고 널리 보급된 후 이러한 종류의 뇌졸중 환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30][31] Major studies of caudate strokes have included Stein et al. (1984),[32] Weisberg et al. (1984),[33] Mendez et al. (1989),[34] Caplan et al. (1990),[35] Caplan & Helgason (1995),[36] Bokura & Robinson (1997),[37] Kumral et al. (1999),[38] Gnanashanmugam (2011),[39] and Kumral et al. (2023).[40][30][31] Caudate 병변의 분석을 포함한 [30][31][36][41][39]1994년 기저 신경절 병변의 메타 분석뿐만 아니라 Caudate nuclear stroke에 대한 많은 문헌 리뷰가 발표되었습니다(Bhatia & Marsden, 1994).[42] 미행성 뇌졸중은 드물어 약 3,000명의 뇌졸중 환자 중 한 모집단에서 전체 뇌졸중의 1%에 불과합니다.[43][38] 미상출혈은 전체 뇌내출혈의 약 7%를 차지합니다.[30] 미행성 뇌졸중에 대한 연구는 환자와 사례 보고의 소규모 임상 시리즈로 구성되었습니다.[31][30] 2002년 리뷰에서는 특성화된 119개의 미행성 경색 환자 108명을 기술했으며, 가장 큰 시리즈 중 3개는 총 64명의 환자를 기록했습니다.[31] 1994년 메타분석에서 미상핵에 국한된 병변 환자는 43명, 미상핵과 다른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병변 환자는 129명으로 총 172명이었습니다.[42]
미상핵 뇌졸중은 CT 또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31][36] 그들은 피질하 뇌졸중의 한 종류이며 허혈성(허혈성) 또는 출혈성으로 분류됩니다.[30][41] 한 일련의 환자에서 뇌졸중의 80%는 허혈성이었고 20%는 출혈성이었습니다.[39][38] 미상 경색은 작고 단일 천공 동맥 폐색으로 인한 라큐나 경색일 수도 있고, 더 크고 다중 천공 동맥 폐색으로 인한 선조피막(미상-푸타멘-내부 캡슐) 경색일 수도 있습니다.[44][45] 미상핵 뇌졸중은 미상핵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드물지만, 일반적으로 푸타멘의 전방 부분, 내부 캡슐의 인접한 전방 사지, 인접한 코로나 방사선 백질 및 미상핵과 같은 인접한 부위를 포함합니다.[30][42] 병변의 약 25~30%는 미상에만 국한됩니다.[42][31][30][36] 미행성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일방적이지만 좌우 미행성 핵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양측성 뇌졸중일 수도 있습니다.[31][30] 1994년 메타분석에서 고립된 미상 경색의 90%는 일방성이었고 10%는 양측성이었습니다.[42] 작은 혈관 질환이나 관통 분지 질환은 미행성 뇌졸중의 주요 기전입니다.[30][41] 미상성 경색의 주요 위험인자 및 원인으로는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이전 심근경색, 흡연, 대동맥 병변, 내경동맥 동맥류 파열, 동정맥 기형 파열, 심장 색전증, 경동맥 협착 및 폐색 등이 있습니다.[30][41] 덜 일반적인 위험 인자로는 비판막 심방세동, 심근이상기증, 벽화 혈전이 있는 심장동맥류, 매독, 호지킨 림프종, 모야모야병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30][41] 또한, 고용량 경구 메틸페니데이트 사용으로 인한 미상 및 인접 구조의 라쿠나 경색 사례 보고가 발표된 바 있습니다.[46][47]
미상핵 뇌졸중은 다양한 임상 증상과 관련이 있습니다.[12][31][30] 미상 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은 구음 장애 또는 발성 장애(61-86%), 운동 쇠약(40-100%), 인지/행동 이상(39-78%)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구음 장애(26-48%), 동요(29%), 불안, 과잉 행동, 억제(9-11%), 실행 기능 장애 또는 전두엽 시스템 이상(26%), 기억력 장애, 경미한 언어 또는 언어 결손(좌측 병변의 23~50%), 주의력 장애, 기분 변화 또는 우울증(14~33%).[30][36][42][39] 운동 쇠약은 종종 없거나 경미하거나 일시적이며, 미상 핵에만 국한된 병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30][31] 신경쇠약증은 자발적인 언어 및 운동 활동의 감소와 느림으로 정의되며 무관심, 무관심, 납작한 영향, 무기력 및 일상적인 일상 활동에 대한 주도성 부족을 포함하는 증상이 있습니다.[36] 인지 및 기억 장애에는 기타 결함 중에서 에피소드 및 의미론적 항목에 대한 잘못된 기억, 언어적 기억상실증(좌측 병변의 33%) 및 시각적 기억상실증(우측 병변)이 포함됩니다.[30][41][40] 덜 일반적으로, 20-23%의 운동 장애(6-7%), 볼리즘, 떨림, 파킨슨병(2-3%), 디스토니아(9-16%)가 있으며, 심령성 운동 장애(심령 자기 활성화 상실), 방치(우측 병변이 있는 10%), 실어증(2-5%), 글로벌 치매(9%)와 같은 더 심각한 인지 및 행동 문제가 있습니다. 또는 11개 중 1개와 양측 병변이 있음).[30][36][41][39] 일반적인 뇌졸중, 그리고/또는 특히 기저 신경절 뇌졸중 중에서, 무관심, 신경통, 피로 및 우울증을 포함한 특정 후유증은 특히 다른 지역에서 발생하는 뇌졸중에 비해 미행성 뇌졸중과 관련이 있습니다.[42][39][48][49][50] 미상핵의 뇌졸중은 뇌졸중 후 안정되지 않는 다리 증후군(RLS)과도 강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51][52][53] 강박장애, 인내심, 조증과 같은 다른 행동 상태들도 미행성 뇌졸중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드물게 보고되었습니다.[12][31][30][54][55] 양쪽 꼬리 머리 손상에 대한 한 사례 보고에서 다른 결손과 함께 심각한 예비 기억력 손상이 측정되었습니다.[12][56]
인접 구조물의 크기, 위치 및 침범 여부에 따라 미상 병변의 증상이 정의됩니다.[41] 미상핵의 손상은 보통 신경학적 징후보다는 인지적, 행동적 증상을 나타냅니다.[12][30] 인지 및 행동 증상은 운동 문제보다 더 흔합니다(예: 1994년 메타 분석에서 각각 39% 대 20%의 비율).[42][12][30][39] 인지적, 행동적 증상이 신경학적 증상보다 우세하고 고전적 뇌졸중 징후가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급성 뇌졸중 환자는 주로 심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오진될 수 있습니다.[34] 이로 인해 인지적, 행동적 결함이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당한 기능적 한계가 간과될 수 있습니다.[34] 미행성 뇌졸중의 증상은 대개 일방적이라기보다는 양측적일 때 더 심하고 지속적입니다.[31][30] 또한 인접한 다른 구조물도 관련되어 있을 때 더 심합니다.[31][30] Mendez et al. (1989)은 뇌졸중 위치와 임상 증상의 패턴에 따라 (1) 무감각하거나 비통한 뇌졸중 환자를 세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2) 안정되지 않고, 동요하고, 과잉 활동적이고, 억제되지 않고, 부적절하고, 충동적이고,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뇌졸중 환자를 그리고/또는 부주의한 (ventromedial caudate); 그리고 (3) 정신병적 특징 (halluc, 망상)을 가진 정의적 장애 (anxiety, 우울증, 양극성 장애) (병변이 더 크고 인접한 부위로 더 자주 확장됨). 때때로, 신경통은 조심스러운 뇌졸중을 가진 사람들의 억제와 동요의 기간과 번갈아 나타날 수 있습니다.[42][30][31] 미상 경색의 증상은 코르티코-스트리아탈-탈락-피질 루프와 같은 신경 회로의 중단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31][30][36]
미상핵출혈은 지주막하출혈의 증상을 모방할 수 있으며 두통, 메스꺼움, 구토, 목 경직, 의식 저하, 반마비, 실어증, 신경심리학적 장애, 방향감각 상실, 실어증, 정신혼란, 시선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30][41][42] 미상 출혈은 관통 동맥의 파열로 인한 것입니다.[30] 급성 지주막하출혈과 유사한 증상 외에도 행동 이상, 구음 장애, 운동 장애, 언어 장애, 기억력 문제 등 미상 경색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41]
대부분의 사람들이 회복되고 독립하면서, 미행성 뇌졸중의 예후는 양호하고 양성으로 여겨져 왔습니다.[41][30] 그러나 미행성 뇌졸중 환자는 잔여 결손 및 의존성 요구가 있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적으로 악화되거나 제도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30] Bokura & Robinson(1997)은 1~2년에 걸친 추적 기간 동안 기본 인지 기능 및 장애의 짧은 임상 테스트인 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에서 미행성 뇌졸중을 가진 일부 환자는 악화된 반면, 다른 피질하 병변을 가진 환자는 2년에 걸쳐 개선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31][37] 급성 뇌졸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거의 죽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뇌졸중 자체보다는 근본적인 심장병이나 다른 문제 때문에 사망합니다.[30]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양호한 예후를 가지고 있고 이전에는 비교적 양성으로 생각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누공 뇌졸중은 뇌졸중 재발, 인지 장애 및 치매, 중장기적으로는 조기 사망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57][58][59][60][61] 미상 뇌졸중의 치료는 항혈소판제 또는 항응고제와 고혈압 및 당뇨병과 같은 뇌졸중 위험 인자의 관리로 구성되어 추가 뇌졸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30] 증례 보고 및 소규모 증례 시리즈에 기초하여, 뇌졸중 및 기타 원인에 대한 부차적인 무감각, 신경 마비 및 운동 돌연변이와 같은 동기 저하 장애는 도파민제 및 정신 자극제, 부프로피온, 아토목세틴, 모다피닐, 도파민 작용제, 레보도파, 셀레길린을 포함한 기타 약물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62][63][64]
코데이트 절제술
구조에 침투한 신경교종을 치료하기 위해 미상핵을 수술적으로 절제하기도 합니다.[65] 이 분야에서는 Caudate를 절제하는 것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데, 일부 저자는 Caudate 제거 시 결손이 비교적 적다고 보고하고, 다른 저자는 인지 및 행동 결과가 좋지 않아 제거하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65][66][67] Abulia
알츠하이머병
2013년의 한 연구는 알츠하이머 환자들과 미상핵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했습니다. MRI 영상은 알츠하이머 환자와 정상 지원자의 미상 핵의 부피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정상적인 지원자들과 비교했을 때 알츠하이머 환자들에게서 "미체량의 현저한 감소"를 발견했습니다. 상관 관계가 인과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조기 진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68]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가장 많이 연구된 기저 신경절 질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진행성 신경퇴행성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종종 먼저 움직임과 관련된 증상(가장 흔한 세 가지는 안정시 떨림, 근육 경직, 무감각)을 경험하는데, 이 증상은 나중에 치매를 포함한 다양한 인지적 결핍과 결합됩니다.[69] 파킨슨병은 미상의 머리와 연결된 도파민 경로인 니그로스트리아탈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파괴합니다. 이처럼 많은 연구들이 축삭을 미상핵으로 보내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소실과 파킨슨 환자의 치매 정도를 연관시켰습니다.[14] 그리고 미행과 파킨슨의 운동결핍 사이에 관계가 도출되었지만, 미행은 파킨슨의 동반된 인지장애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한 리뷰는 런던 타워 테스트에서 파킨슨병 환자와 전두엽 손상이 엄격한 환자의 성능을 비교합니다. 두 유형의 환자 사이의 성능 차이(즉, 피험자가 더 큰 목표를 염두에 두고 적절한 중간 목표를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테스트에서)는 미행과 목표 지향 행동 사이의 연결을 그립니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결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미행은 실행 기능과 관련이 있지만("목표 지향 행동" 참조), [파킨슨 환자]의 실행 결함이 피질 또는 피질하 손상을 사전에 반영하는지 여부는 완전히 불분명합니다.[14]
헌팅턴병
헌팅턴병에서는 Htt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HTT 유전자에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합니다. Htt 단백질은 100개 이상의 다른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며 여러 가지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70] 이 돌연변이 단백질의 행동은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특정 세포 유형, 특히 뇌에 독성이 있습니다. 초기 손상은 선조체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뇌의 다른 부위도 더 눈에 띄게 영향을 받습니다. 초기 증상은 선조체의 기능과 그 피질 연결, 즉 움직임, 기분 및 더 높은 인지 기능에 대한 제어에 기인합니다.[7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2002년의 한 연구는 ADHD와 관련된 미행성 비대칭과 증상 사이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저자들은 MR 이미지를 사용하여 미행 핵의 상대적 부피를 비교하고, ADHD의 비대칭과 증상 사이의 연관성을 도출했습니다: "미행 비대칭의 정도는 부주의한 행동의 누적 중증도 등급을 유의하게 예측했습니다." 이 상관 관계는 주의 기능과 미행의 이전 연관성과 일치합니다.[72] 보다 최근의 2018년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복제하고 ADHD와 관련된 꼬리 비대칭이 꼬리의 등쪽 안쪽 영역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73]
조현병
미상핵의 백질의 부피는 조현병 진단을 받은 환자들과 연관이 있습니다. 2004년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조현병 환자들 사이의 미상 백질의 상대적 부피를 비교합니다. 이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건강한 피험자들보다 미행성 핵에 있는 백질의 절대적이고 상대적인 부피가 더 작습니다."[74]
양극성 I형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제1형 양극성 환자는 대조군 및 양극성 II 피험자에 비해 미상 핵 및 보상 처리 및 의사 결정과 관련된 기타 영역에서 회백색 물질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반적으로 양극성 환자의 회백색 물질의 양은 대조군보다 적었습니다.[75][76]
강박장애
미상핵은 시상과 전전두엽 피질 사이의 불안한 사건이나 생각에 관한 정보의 전달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강박장애(OCD)를 가진 사람들에게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론이 제시되었습니다.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을 이용한 신경영상 연구 결과, 환자에게 파록세틴을 투여한 후 오른쪽 꼬리 핵이 포도당 대사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7] OCD를 가진 사람들과 건강한 대조군을 비교한 복셀 기반 형태측정 연구의 최근 SDM 메타 분석에 따르면 OCD를 가진 사람들은 양쪽 렌티큘라 핵에서 회백질 부피가 증가하여 미상 핵으로 확장되는 반면 양쪽 등쪽 중앙 전방/전측 경골에서 회백질 부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8][79] 이러한 발견은 다른 불안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와 대조되는데, 이들은 양쪽 렌티큘러/미궁핵에서 회백질 부피가 증가하기 보다는 감소하는 반면, 양쪽 등쪽 중앙 전두엽/전두 경골에서 회백질 부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9]
추가 영상
-
측심실의 전방 코누아를 통한 관상절편입니다.
-
뇌의 관상 부분이 전방 폐쇄를 통해서요
-
뇌간의 표면 박리입니다 측면도. 미상핵은 시신경 위에 보입니다.
-
뇌간 해부. 측면도.
-
뇌간의 깊은 해부. 측면도.
-
뇌간의 깊은 해부. 측면도.
-
뇌간의 표면 박리입니다 복측도.
-
뇌간 해부. 등쪽 시야.
-
위에서 노출된 측심실의 중앙 부분과 전방 및 후방 코누아.
-
Caudate 핵
-
Caudate 핵
-
뇌와 기저 신경절의 심실. 상위 뷰, 수평 단면, 심층 해부
-
뇌와 기저 신경절의 심실. 이전 이미지의 클로즈업
-
유리뇌의 다른 피질하 구조와 함께 미상핵
-
코로나 T1 MRI 영상에서 미상핵(caudate nucleus)이 녹색으로 강조 표시됨
-
시상 T1 MRI 영상에서 미상핵이 녹색으로 강조 표시됨
-
가로 T1 MRI 영상에서 미상 핵이 녹색으로 강조 표시됨
참고문헌
- ^ a b Yager LM, Garcia AF, Wunsch AM, Ferguson SM (August 2015). "The ins and outs of the striatum: Role in drug addiction". Neuroscience. 301: 529–541. doi:10.1016/j.neuroscience.2015.06.033. PMC 4523218. PMID 26116518.
- ^ Malenka RC, Nestler EJ, Hyman SE (2009). Sydor A, Brown RY (eds.).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2nd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p. 147–148. ISBN 9780071481274.
- ^ Bear, Mark F. (2016). Neuroscience : exploring the brain. Connors, Barry W.,, Paradiso, Michael A. (Fourth ed.). Philadelphia. p. 502. ISBN 9780781778176. OCLC 897825779.
{{cite book}}
: CS1 maint: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 Malenka RC, Nestler EJ, Hyman SE (2009). Sydor A, Brown RY (eds.).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2nd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 326. ISBN 9780071481274.
Evidence that the caudate nucleus and putamen influence stimulus-response learning comes from lesion studies in rodents and primates and from neuroimaging studies in humans and from studies of human disease. In Parkinson disease, the dopaminergic innervation of the caudate and putamen is severely compromised by the death of dopamine neurons in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Chapter 17).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have normal declarative memory (unless they have a co-occurring dementia as may occur in Lewy body disease.) However, they have marked impairments of stimulus-response learning.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or other basal ganglia disorders such as Huntington disease (in which caudate neurons themselves are damaged) have deficits in other procedural learning tasks, such as the acquisition of new motor programs.
- ^ Anderson BA, Kuwabara H, Wong DF, Roberts J, Rahmim A, Brašić JR, Courtney SM (August 2017). "Linking dopaminergic reward signals to the development of attentional bias: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NeuroImage. 157: 27–33. doi:10.1016/j.neuroimage.2017.05.062. PMC 5600829. PMID 28572059.
- ^ Malenka RC, Nestler EJ, Hyman SE (2009). Sydor A, Brown RY (eds.).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2nd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 321. ISBN 9780071481274.
Functional neuroimaging in humans demonstrates activation of the prefrontal cortex and caudate nucleus (part of the striatum) in tasks that demand inhibitory control of behavior.
- ^ Yeterian EH, Pandya DN (February 1995). "Corticostriatal connections of extrastriate visual areas in rhesus monkeys". The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352 (3): 436–57. doi:10.1002/cne.903520309. PMID 7706560. S2CID 42928601.
- ^ D'Souza, Donna. "Cerebral vascular territories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 Radiopaedia.org". radiopaedia.org.
- ^ McDougal, David. "Substantia Nig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September 2013. Retrieved 5 December 20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