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배수성

Aneuploidy
무배수성
Down Syndrome Karyotype.png
다운증후군 염색체, 이배수증으로 인한 가장 흔한 인간 질환 중 하나.(마지막 줄에) 3개의 염색체 21이 있다.
전문의학 유전학

무배수성세포에 비정상적인 수의 염색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인간의 세포는 일반적인 [1][2]46개 대신 45개 또는 47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이것은 하나 이상의 완전한 염색체 세트의 차이를 포함하지 않는다.모든 수의 완전한 염색체 세트를 가진 세포는 반수체 [1]세포라고 불린다.

염색체가 부족하거나 여분의 염색체는 몇몇 유전적 장애의 일반적인 원인이다.몇몇 암세포들은 또한 비정상적인 염색체 [3][4]수를 가지고 있다.인간 고형 종양의 약 68%는 이배체이다.[4]무배수성은 염색체가 두 세포 사이에서 적절하게 분리되지 않을세포 분열 에 발생한다.자가 염색체 내 배수의 경우 대부분 유산을 일으키며, 정상 출산 중 가장 흔한 추가 상염색체21, 18, [5]13이다.염색체 이상은 인간의 160명 중 1명에게서 발견됩니다.상염색체 부배수는 성염색체 부배수체보다 더 위험한데, 상염색체 부배수는 그것 때문에 발달을 멈춘 배아에 거의 항상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염색체

인체 내 대부분의 세포는 23쌍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총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정자와 난자는 각각 23개의 짝이 없는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골수의 적혈구는 처음에는 핵을 가지고 있지만 혈액에서 활성화된 적혈구는 핵을 잃고 따라서 핵과 염색체가 없다.)[citation needed]

각 쌍의 복사본은 어머니로부터 상속되고 다른 복사본은 아버지로부터 상속됩니다.처음 22쌍의 염색체는 1에서 22, 가장 큰 것부터 가장 작은 것까지 번호가 매겨진다.23번째 염색체는 성염색체이다.정상적인 여성은 2개의 X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반면, 정상적인 남성은 1개의 X염색체1개의 Y염색체를 가지고 있다.광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세포 내 염색체의 특징[citation needed]핵형이라고 한다.

Karyogram from a normal male human

감수분열 과정에서 생식세포가 분열해 정자와 난자가 생성될 때, 각각의 반쪽은 같은 수의 염색체를 가져야 한다.하지만 때로는 한 쌍의 염색체 전체가 하나의 생식체가 되고 다른 생식체는 그 염색체를 전혀 얻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배아는 사라지거나 여분의 자기 염색체로는 살아남을 수 없고 자발적으로 중단된다.인간에게서 가장 빈번한 배수는 트리소미 16이고, 비록 살아남은 개인들이 모자이크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이 염색체 기형의 완전한 버전에 영향을 받은 태아는 지속되지 않습니다. 트리소미 16은 일부 세포에 존재하지만 전부는 아닙니다.유아가 생존할 수 있는 가장 흔한 배수는 다운증후군인 삼배체 21로, 800명 중 1명꼴로 영향을 미친다.Trisomy 18(에드워드 증후군)은 6000명 중 1명, Trisomy 13(파타우 증후군)은 10,000명 중 1명꼴이다.18세 또는 13세 유아의 10%가 [6]1세에 도달한다.

염색체 수의 변화는 개인의 모든 세포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이배수가 개인의 세포 일부에서 발견될 때, 그것은 염색체 모자이크증이라고 불린다.일반적으로 염색체 배수로 모자이크가 있는 개인은 완전한 삼분지 절제술을 받은 사람들에 비해 덜 심각한 형태의 증후군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많은 상염색체 삼소체에서 모자이크 케이스만 지속된다.그러나 유사분열성 부배수는 체세포 조직에서 이전에 인식된 것보다 더 흔할 수 있으며, 부배수는 많은 유형의 종양 발생의 특징이다(아래 참조).

메커니즘

이배수는 염색체 분리의 오류에서 발생하며, 이것은 여러 가지 [citation needed]면에서 잘못될 수 있다.

비접합은 보통 약화된 유사분열 체크포인트의 결과로 발생합니다.이러한 체크포인트는 셀의 모든 컴포넌트가 다음 단계로 이행할 준비가 될 때까지 셀 분열을 정지 또는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예를 들어 체크포인트가 약해진 경우, 세포는 염색체 쌍이 방추 장치에 의해 정렬되지 않은 것을 '알리지' 못할 수 있다.이러한 경우, 대부분의 염색체는 정상적으로 분리될 것이고(각 세포에 하나의 염색체만 남게 된다) 다른 염색체들은 전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이렇게 되면 복사본이 없는 도터 셀과 추가 복사본이 [citation needed]있는 도터 셀이 생성됩니다.

완전히 비활성화된 유사분열 체크포인트는 다중 염색체(아마도 모두)에서 불접합을 일으킬 수 있다.그러한 시나리오는 각 딸세포가 유전물질의 [citation needed]분리된 세트를 소유하게 될 수 있다.

Merotelic 부착은 하나의 키네토코어가 양쪽 유사분열 스핀들 극에 부착될 때 발생합니다.한 딸 세포는 정상적인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두 번째 세포는 염색체가 없을 것이다.셋째 딸 세포는 결국 '결손' 염색체를 갖게 될 수도 있다.

다극 스핀들: 3개 이상의 스핀들 극이 형성됩니다.이러한 유사분열은 각 방추극에 대해 하나의 딸세포가 될 것이다; 각 세포는 예측할 수 없는 염색체의 보체를 가질 수 있다.

단극 스핀들: 단일 스핀들 극만 형성됩니다.이것에 의해, 1개의 도터 셀이 생성되어 카피 번호가 2배가 됩니다.

단극 스핀들 기구의 최종 결과로서 사질 중간체를 생성해도 좋다.이 경우 셀은 일반 셀의 2배의 복사수를 가지며 스핀들 폴의 2배의 수를 생성한다.이것은 예측할 수 없는 염색체 보체를 가진 네 개의 딸 세포를 낳지만, 정상적인 복사 번호입니다.

신경계의 체세포 모자이크

무배체 염색체 함량에 대한 모자이즘은 포유동물 [7][8]뇌의 구성 요소 중 일부일 수 있다.정상적인 인간의 뇌에서, 2세에서 86세 사이의 6명의 사람의 뇌 샘플은 21번 염색체의 모자이크를 가지고 있었다(분석된 뉴런의 [9]평균 4%).이 저준위 부배수는 신경 전구세포의 [10]세포분열 중 염색체 분리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부배체 염색체 함량을 포함한 뉴런은 정상 [11]회로에 통합된다고 한다.하지만, 단세포 염기서열 분석을 사용한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발견에 이의를 제기했고, 뇌에서 배수가능이 실제로 [12][13]매우 드물다는 것을 시사했다.

암의 체세포 모자이크

거의 모든 [4][14]암에서 배수가 일관되게 관찰된다.독일 생물학자 테오도르 보베리는 암의 배수에 대한 원인적 역할을 최초로 제안했다.그러나 보베리의 이론은 분자생물학자 피터 뒤스버그가 다시 [15]제기할 때까지 잊혀졌다.그것이 종양 진화에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현재 암 [16]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체세포 모자이즘은 만성 림프구 백혈병의 트리소미 12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트리소미 8을 포함한 거의 모든 암세포에서 발생한다.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모자이크 배수는 염색체 불안정과[17] 같은 완전하거나 모자이크 배수와 관련된 전형적인 유전자 신드롬과 관련된 메커니즘(암세포의 유사분열 결함으로 인한)을 통해 발생한다.따라서 이배수를 일으키는 분자 작용은 암 약물의 개발의 표적이 된다.레스베라트롤아스피린은 모두 생체 내(마우스 내)에서 발견되어 비배수세포의 전구체일 수 있는 사배체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고 과정에 [18]관여할 수 있는 AMPK를 활성화한다.

정상적인 유사분열 체크포인트의 변화 또한 중요한 종양 유발 사건이며, 이는 직접적으로 [19]이배수로 이어질 수 있다.종양억제제 p53 유전자의 상실은 종종 게놈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며, 이는 유배수성 유전자형을 [20]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염색체 파괴(염색체 불안정 증후군)를 일으키기 쉬운 유전자 증후군은 다양한 유형의 암에 대한 위험 증가와 자주 관련되며,[21] 따라서 발암에서 체세포 배수의 역할을 강조한다.

면역체계를 회피하는 능력은 강한 배수가 있는 종양세포에서 강화되는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이는 염색체 수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이 정밀한 면역치료에 대한 반응을 위한 효과적인 예측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예를 들어, 흑색종 환자의 경우, 높은 체세포 복제 번호 변화는 면역 체크포인트 차단 항체에 대한 덜 효과적인 반응과 관련이 있다.CTLA4(세포독성 T림프구 관련 단백질 4) 치료.[16]

2008년에 발표된 연구는 배수의 형성에 관련된 메커니즘, 특히 배수의 후생유전학적 기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후생유전적 유전은 DNA 배열 자체 이외의 세포 정보로 정의되며, 세포 분열 동안 여전히 유전된다.DNA 메틸화히스톤 변형은 암을 포함한 많은 생리학적, 병리학적 조건에 중요한 두 가지 주요 후생유전학적 변형으로 구성된다.이상 DNA 메틸화는 암세포에서 가장 흔한 분자 병변이며 유전자 돌연변이보다 더 자주 발생한다.CpG섬 프로모터 하이퍼메틸화에 의한 종양 억제 유전자 침묵은 암세포에서 가장 빈번한 후생유전학적 변형으로 여겨진다.세포의 후생유전학적 특성은 환경 노출, 특정 영양소의 결핍, 방사선 등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그 변화들 중 일부는 생체 내 무배체 세포의 형성과 상관관계가 있다.본 연구에서는 유전학뿐만 아니라 후생유전학도 무배체 세포 [22]형성에 기여한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부분 배수

"부분 단일 절제"와 "부분적 삼분절제"라는 용어는 염색체 일부의 손실이나 이득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 물질의 불균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특히, 이러한 용어는 개인이 두 개의 다른 염색체의 파괴와 융합을 통해 형성된 유도체 염색체를 운반하는 불균형 전위 상황에서 사용될 것이다.이 상황에서, 개인은 하나의 염색체(정상적인 두 개의 복사본과 유도체 염색체에 존재하는 부분)의 세 개의 복사본과 유도체 염색체에 관련된 다른 염색체의 한 개의 복사본만 가질 것이다.를 들어 로버트슨 전위다운증후군 환자 중 극소수(<5%)를 차지한다.하나의 이소염색체 형성은 이소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부분 삼출과 잃어버린 팔의 유전자의 부분 단출로 귀결된다.

아뉴겐스

이배수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이배수성 약제라고 한다.많은 돌연변이성 발암물질은 아뉴겐이다.를 들어, X선은 염색체를 파편화함으로써 배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방추 장치를 [23]목표로 할 수도 있다.코르히틴과 같은 다른 화학물질도 미세관 중합에 영향을 줌으로써 배수가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남성이 생활습관, 환경 및/또는 직업적 위험에 노출되면 정자충 무배수의 [24]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담배 연기에는 DNA [25]손상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흡연은 또한 이배수를 유발할 수 있다.예를 들어 흡연은 정자 내 13번 염색체 이형을 3배,[26][27] YY 이형을 2배 증가시킨다.

벤젠에 대한 직업적 노출은 정자에서 XX의 2.8배, YY의 [28]2.6배 증가와 관련이 있다.

살충제는 환경에 대량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개인은 어느 정도 노출된다.살충제 펜발레이트와 카바릴은 정자구조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농약 공장 근로자들의 펜발레이트 직업상 노출은 정자 DNA [29]손상 증가와 관련이 있다.펜발레이트 피폭은 성염색체를 1.9배, 염색체 18개를 [30]2.6배 증가시켰다.남성 근로자가 카바릴에 노출되면 정자의 DNA 조각화가 증가했고, 성염색체 디소미는 1.7배,[31] 18염색체 디소미는 2.2배 증가했다.

인간은 많은 상업용 [32]제품에서 과불화합물에 노출된다.전혈장 또는 정혈장에서 PFC로 오염된 남성은 DNA 조각과 염색체 [32]배수가 증가한 정자를 가지고 있다.

진단.

정량적 PCR 쇼트 탠덤 반복 검사를 통해 검출된 Trisomy 21의 예

세포 샘플을 고정하고 착색하여 전형적인 명암염색체 띠 패턴을 만들어 염색체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인 카리오타이핑을 통해 생식선 비배수성을 전형적으로 검출한다.다른 기술로는 형광인사이트하이브리제이션(FISH), 짧은 탠덤 반복정량적 PCR, 정량적 형광 PCR(QF-PCR), 정량적 PCR 용량 분석,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의 정량적 질량 분석 및 비교 게놈하이브리제이션(CGH)이 있다.

이러한 검사는 또한 양수천자 또는 융모성 융모샘플링을 통해 임신 중 배수를 검출하기 위해 사전에 수행될 수 있다.35세 이상의 임산부들은 산모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염색체 배수의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산전 검사를 받는다.

최근의 발전은 모체 혈액에 태아 유전 물질의 존재에 기초한 덜 침습적인 검사 방법을 가능하게 했다.트리플 테스트와 무세포 태아의 DNA를 보세요

종류들

열쇠
색. 의의
치명적
정상 남성 표현형
클라인펠터증후군(이상남성)
다발성 X 및/또는 Y(이상 남성)
정상 여성 표현형
터너 증후군(이상 여성)
폴리소미 X(이상 여성)
비오토좀
0 X XX XXX XXXX XXXXXXXX
0 0 X XX XXX XXXX XXXXXXXX
Y Y XY XXY XXXY XXXY XXXXY
YY YY XYY XXYY XXXYY XXXY XXXXYY
YYY YYY XYYY XXYYY XXXYYY XXXYY XXXXYY
YYY YYY XYYY XXYYY XXXYYY XXXYYY XXXXYYY
YYYY YYYY XYYYYY XXYYYY XXXYYYY XXXYYYY XXXXYYYY
열쇠
색. 의의
완전한 비세균성 삼출술이 영원히 생존할 수 없는 경우
완전한 비점막 삼출술이 (다른 합병증을 제외하고) 거의 생존할 수 없는 경우
완전한 비점막 삼출술이 자주 (다른 합병증을 제외하고) 생존할[33] 수 있는 경우
상염색체
# 모노소미 트리소미
1 1p36 결손증후군
1q21.1 결실증후군
트리소미 1
2 2q37 결실증후군 트리소미 2
3 트리소미 3
4 볼프-히르슈호른 증후군 트리소미 4
5 Cri du chat
5q 결손 증후군
트리소미 5
6 트리소미 6
7 윌리엄스 증후군 트리소미 7
8 모노소미 8p
모노소미 8q
트리소미8
9 알피 증후군
클리프스트라 증후군
트리소미 9
10 모노소미 10p
모노소미 10q
트리소미 10
11 야콥센 증후군 트리소미 11
12 트리소미 12
13 파타우 증후군
14 트리소미 14
15 엔젤먼 증후군
프라더윌리 증후군
트리소미 15
16 트리소미 16
17 밀러-다이커 증후군
스미스-매게니스 증후군
트리소미 17
18 원위부 18q-
근위부 18q-
에드워즈 증후군
19 트리소미 19
20 트리소미 20
21 다운증후군
22 디조지 증후군
펠란맥더미드증후군
22q11.2 원위부 결실증후군
고양이 눈 증후군
트리소미 22

용어.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의) 46개 이외의 염색체를 가진 염색체 보체는 헤테로플로이드로 간주되며, 반수체 염색체 보체의 정확한 배수는 반수체로 간주됩니다.

염색체수 이름. 묘사
1 모노소미 모노소미는 정상적인 보체의 염색체 하나가 없는 것을 말한다.부분단일절제술은 단일 복사본에 염색체의 일부만 존재하는 불균형 전위 또는 결실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결실(유전자) 참조).성염색체(45,X)의 모노소미는 터너 증후군을 일으킨다.
2 디소미 디소미는 염색체 두 개의 복사본이 존재하는 것이다.인간과 같이 각 염색체의 두 개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는 유기체의 경우, 그것은 정상적인 상태입니다.보통 각 염색체의 복사본이 3개 이상 있는 유기체의 경우, 디소미는 반배체 염색체 보체이다.단부모 이형술에서, 염색체의 두 복사본은 같은 부모로부터 왔다(다른 부모로부터 아무런 기여 없이).
3 트리소미 트리소미는 특정 염색체의 일반적인 두 개가 아닌 세 개의 복사본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다운증후군에서 발견되는 여분의 염색체 21이 존재하는 것을 트리소미 21이라고 한다.각각 에드워즈 증후군과 파타우 증후군으로 알려진 트리소미 18과 트리소미 13은 살아있는 사람에게서 인식되는 다른 두 개의 상염색체 삼량체이다.성염색체의 삼분리는 예를 들어 (47, XXX), (47, XXY), (47, XYY)와 같이 가능하다.
4/5 사지절제술/펜타소미술 테트라소미술과 펜타소미술은 각각 4개 또는 5개의 염색체 복사본이 존재하는 것이다.자가 염색체에서는 거의 볼 수 없지만, XXXX, XXXY, XXXXX, XXYY[34]포함한 성염색체 4중절제술과 5중절제술이 사람에게 보고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Griffiths AJ, Miller JH, Suzuki DT (2000).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 ed.). pp. Chapter 18.
  2. ^ Santaguida, Stefano; Amon, Angelika (2015-08-01).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chromosome mis-segregation and aneuploidy".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16 (8): 473–485. doi:10.1038/nrm4025. hdl:1721.1/117201. ISSN 1471-0080. PMID 26204159. S2CID 205495880.
  3. ^ Sen S (January 2000). "Aneuploidy and cancer". Current Opinion in Oncology. 12 (1): 82–8. doi:10.1097/00001622-200001000-00014. PMID 10687734. S2CID 24886651.
  4. ^ a b c Duijf, P.H.G.; Schultz, N.; Benezra, R. (2013), "Cancer cells preferentially lose small chromosomes", Int J Cancer, 132 (10): 2316–2326, doi:10.1002/ijc.27924, PMC 3587043, PMID 23124507
  5. ^ Driscoll DA, Gross S (June 2009). "Clinical practice. Prenatal screening for aneuploid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0 (24): 2556–62. doi:10.1056/NEJMcp0900134. PMID 19516035.
  6. ^ Griffiths, Anthony JF; Miller, Jeffrey H; Suzuki, David T; Lewontin, Richard C; Gelbart, William M (2000). "Chromosome Mutation II: Changes in Chromosome Number".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7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 978-0-7167-3520-5. Retrieved 2009-06-21.
  7. ^ Rehen SK, McConnell MJ, Kaushal D, Kingsbury MA, Yang AH, Chun J (November 2001). "Chromosomal variation in neurons of the developing and adult mammalian nervous syste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8 (23): 13361–6. Bibcode:2001PNAS...9813361K. doi:10.1073/pnas.231487398. PMC 60876. PMID 11698687.
  8. ^ Westra JW, Rivera RR, Bushman DM, Yung YC, Peterson SE, Barral S, Chun J (October 2010). "Neuronal DNA content variation (DCV) with regi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human brain".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518 (19): 3981–4000. doi:10.1002/cne.22436. PMC 2932632. PMID 20737596.
  9. ^ Rehen SK, Yung YC, McCreight MP, et al. (March 2005). "Constitutional aneuploidy in the normal human brai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5 (9): 2176–80. doi:10.1523/JNEUROSCI.4560-04.2005. PMC 6726097. PMID 15745943.
  10. ^ Yang AH, Kaushal D, Rehen SK, et al. (November 2003). "Chromosome segregation defects contribute to aneuploidy in normal neural progenitor cells".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3 (32): 10454–62. doi:10.1523/JNEUROSCI.23-32-10454.2003. PMC 6740997. PMID 14614104.
  11. ^ Kingsbury MA, Friedman B, McConnell MJ, et al. (April 2005). "Aneuploid neurons are functionally active and integrated into brain circuitr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2 (17): 6143–7. Bibcode:2005PNAS..102.6143K. doi:10.1073/pnas.0408171102. PMC 1087909. PMID 15837924.
  12. ^ Knouse, K. A.; Wu, J.; Whittaker, C. A.; Amon, A. (2014). "Single cell sequencing reveals low levels of aneuploidy across mammalian tissu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1 (37): 13409–14. Bibcode:2014PNAS..11113409K. doi:10.1073/pnas.1415287111. PMC 4169915. PMID 25197050.
  13. ^ Van Den Bos, H.; Spierings, D. C.; Taudt, A. S.; Bakker, B.; Porubský, D.; Falconer, E.; Novoa, C.; Halsema, N.; Kazemier, H. G.; Hoekstra-Wakker, K.; Guryev, V.; Den Dunnen, W. F.; Foijer, F.; Tatché, M. C.; Boddeke, H. W.; Lansdorp, P. M. (2016). "Single-cell whole genome sequencing reveals no evidence for common aneuploidy in normal and Alzheimer's disease neurons". Genome Biology. 17 (1): 116. doi:10.1186/s13059-016-0976-2. PMC 4888403. PMID 27246599.
  14. ^ Rajagopalan, Harith; Christoph Lengauer (18 November 2004). "Progress Aneuploidy and cancer". Nature. 432 (7015): 338–341. doi:10.1038/nature03099. PMID 15549096. S2CID 43357853.
  15. ^ Marx J. (26 July 2002). "Debate surges over the origins of genomic defects in cancer". Science. 297 (5581): 544–546. doi:10.1126/science.297.5581.544. PMID 12142522. S2CID 37252047.
  16. ^ a b Davoli, Teresa; Uno, Hajime; Wooten, Eric C.; Elledge, Stephen J. (20 Jan 2017). "Tumor aneuploidy correlates with markers of immune evasion and with reduced response to immunotherapy". Science. 355 (6322): eaaf8399. doi:10.1126/science.aaf8399. PMC 5592794. PMID 28104840.
  17. ^ Hassold, Terry; Patricia Hunt (April 2001). "To err (meiotically) is human: the genesis of human aneuploidy". Nature Reviews Genetics. 2 (4): 280–291. doi:10.1038/35066065. PMID 11283700. S2CID 22264575.
  18. ^ Marcia Malory. "Aspirin and resveratrol could prevent cancer by killing tetraploid cells, research shows". Medical Xpress.
  19. ^ Kops, Geert J. P. L.; Beth A. A. Weaver; Don W. Cleveland (October 2005). "On the road to cancer: aneuploidy and the mitotic checkpoint". Nature Reviews Cancer. 5 (10): 773–785. doi:10.1038/nrc1714. PMID 16195750. S2CID 2515388.
  20. ^ Clemens A. Schmitt; Fridman, JS; Yang, M; Baranov, E; Hoffman, RM; Lowe, SW (April 2002). "Dissecting p53 tumor suppressor functions in vivo". Cancer Cell. 1 (3): 289–298. doi:10.1016/S1535-6108(02)00047-8. PMID 12086865.
  21. ^ Griffiths, AJF; Miller, JH; Suzuki, DT (2000).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Vol. 7th edition. New York: W. H. Freeman.
  22. ^ 루이스 A 에레라, 디디에 프라다, 마르코 A 안도네기, 알폰소 듀냐스 곤잘레스:후생유전학적 기원에 관한 연구
  23. ^ Duesberg, P.; Rasnick, D. (2000). "Aneuploidy, the somatic mutation that makes cancer a species of its own". Cell Motility and the Cytoskeleton. 47 (2): 81–107. doi:10.1002/1097-0169(200010)47:2<81::AID-CM1>3.0.CO;2-#. PMID 11013390.
  24. ^ Templado C, Uroz L, Estop A (2013). "New insights on the origin and relevance of aneuploidy in human spermatozoa". Mol. Hum. Reprod. 19 (10): 634–43. doi:10.1093/molehr/gat039. PMID 23720770.
  25. ^ Yamaguchi, Nise (May 2019). "Smoking, immunity, and DNA damage". Translational Lung Cancer Research. 8 (1): S3–S6. doi:10.21037/tlcr.2019.03.02. PMC 6546629. PMID 31211100.
  26. ^ Shi Q, Ko E, Barclay L, Hoang T, Rademaker A, Martin R (2001). "Cigarette smoking and aneuploidy in human sperm". Mol. Reprod. Dev. 59 (4): 417–21. doi:10.1002/mrd.1048. PMID 11468778. S2CID 35230655.
  27. ^ Rubes J, Lowe X, Moore D, Perreault S, Slott V, Evenson D, Selevan SG, Wyrobek AJ (1998). "Smoking cigarette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perm disomy in teenage men". Fertil. Steril. 70 (4): 715–23. doi:10.1016/S0015-0282(98)00261-1. PMID 9797104.
  28. ^ Xing C, Marchetti F, Li G, Weldon RH, Kurtovich E, Young S, Schmid TE, Zhang L, Rappaport S, Waidyanatha S, Wyrobek AJ, Eskenazi B (2010). "Benzene exposure near the U.S. permissible limit is associated with sperm aneuploidy". Environ. Health Perspect. 118 (6): 833–9. doi:10.1289/ehp.0901531. PMC 2898861. PMID 20418200.
  29. ^ Bian Q, Xu LC, Wang SL, Xia YK, Tan LF, Chen JF, Song L, Chang HC, Wang XR (2004).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fenvalerate exposure and spermatozoa DNA damage of pesticide factory workers". Occup Environ Med. 61 (12): 999–1005. doi:10.1136/oem.2004.014597. PMC 1740696. PMID 15550606.
  30. ^ Xia Y, Bian Q, Xu L, Cheng S, Song L, Liu J, Wu W, Wang S, Wang X (2004). "Genotoxic effects on human spermatozoa among pesticide factory workers exposed to fenvalerate". Toxicology. 203 (1–3): 49–60. doi:10.1016/j.tox.2004.05.018. PMID 15363581.
  31. ^ Xia Y, Cheng S, Bian Q, Xu L, Collins MD, Chang HC, Song L, Liu J, Wang S, Wang X (2005). "Genotoxic effects on spermatozoa of carbaryl-exposed workers". Toxicol. Sci. 85 (1): 615–23. doi:10.1093/toxsci/kfi066. PMID 15615886.
  32. ^ a b Governini L, Guerranti C, De Leo V, Boschi L, Luddi A, Gori M, Orvieto R, Piomboni P (2014). "Chromosomal aneuploidies and DNA fragmentation of human spermatozoa from patients exposed to perfluorinated compounds". Andrologia. 47 (9): 1012–9. doi:10.1111/and.12371. PMID 25382683. S2CID 13484513.
  33. ^ Morris JK, Wald NJ, Watt HC (1999). "Fetal loss in Down syndrome pregnancies". Prenat Diagn. 19 (2): 142–5. doi:10.1002/(SICI)1097-0223(199902)19:2<142::AID-PD486>3.0.CO;2-7. PMID 10215072.
  34. ^ Linden MG, Bender BG, Robinson A (October 1995). "Sex chromosome tetrasomy and pentasomy". Pediatrics. 96 (4 Pt 1): 672–82. PMID 75673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