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시아어군

Tsimshianic languages
침시아닉
트스미크시안
민족성침시안
지리학
분배
알래스카브리티시 컬럼비아
언어구분페누티안?
  • 침시아닉
소분류
  • 마린 침시언
  • 나스-기트산
글로톨로지tsim1258
Tsimshianic langs.png
침시아어 사전 접촉 분포

침시아어(Tsimshian) 언어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북서부와 아네트 섬케치칸남동 알래스카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계열이다. 모든 침시아어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일부 언어는 400여 명의 사용자만 있다. 캐나다에 있는 침쉬안족/ssmmii/n/인종의 약 2,170명만이 침쉬안어를 사용하고 있으며,[1] 알래스카에 살고 있는 침쉬안족 1,300명 중 약 50명은 여전히 코스트 침쉬안을 사용하고 있다.[2][3] 침시아어 언어는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이 4개의 주요 언어를 가진 독립 언어 계열로 간주한다. 코스트 침시안, 남부 침시안, 니스게아, 깃산.[4]

침시아니어는 에드워드 사피르가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그의 페누티아 가설에서 적어도 완전한 형태로 포함시켰다. 침시아닉의 페누티아 인맥은 마리 루키 타르펜트에 의해 재평가되었다. 마리 루키 타르펜트는 침시아닉 가족이 북미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없다고 다른 사람들은 주장하지만,[5] 이 생각이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6][7]

가족분할

브리티시 컬럼비아와 알래스카의 침시아어 역사 분포 지도, 니사와 깃산의 라벨이 거꾸로 표시되었다.

침시아닉은 4개의 강의로 구성된다.

  1. 침시안(해상 침시안, 하부 침시안, 북부 침시안이라고도 함)
  2. 나스-기트산(내부 침시아닉, 내륙 침시아닉이라고도 함)
    • 니스가아(Nisga'a, Nisgga, Nisgha, Nisgha, Niska, Nass, Niska라고도 한다)
    • 깃산(깃산, 깃산심산이라고도 한다)

코스트 침시안은 브리티시 컬럼비아 북서부의 스키나 강 하류, 몇몇 이웃 섬들, 그리고 알래스카의 메틀라카틀라에서 북쪽으로 사용된다. 남부 침시안은 클렘투 마을의 스키나 강 남쪽 먼 섬에서 사용되었으나 2013년에 멸종되었다. Nisga'a는 Nass 강을 따라 말해진다. 깃산은 헤이즐턴과 다른 지역을 중심으로 상류 스키나 강을 따라 사용된다.

니스가아와 깃산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보통 언어학자들에게는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양 그룹의 화자들은 그들 자신을 민족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침시안과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여 니스가아와 기트산을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 해안과 남부 침시안은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2013년 현재 침쉬안 과정은 알래스카 남동부 대학교에서 이용할 수 있다.[8]

음운론

Proto-Tsimshian의 자음 재고:[9]

라비알 치과의 구개체 벨라르 라비오-
벨라르
구개체 라비오-
구형의
글로탈
비연속성
내성적인
소박한 *p *t *ts *k *kʷ *q *qʷ *ʔ, *ʔʷ
광택이 있는 *pʼ *tʼ *tsʼ *kʼ *kʷʼ *qʼ *qʷʼ
프리커티브 *s, *s *x *χʷ *h, *hʷ
근사치 소박한 *l *j *w
광택이 있는 *lˀ *jˀ *wˀ
콧물 소박한 *m *n
광택이 있는 *mˀ *nˀ

참고 항목

각주

  1. ^ 캐나다 통계청 2006
  2. ^ 알래스카 토착 언어 센터. (2001-12-07). "심시언." 2007-05-01년 알래스카 페어뱅크스웨이백 머신 대학교보관. 2007-04-11에 검색됨.
  3. ^ 고든, 레이먼드 G 주니어 (에드). (2005). "심시언." 민족어: 세계의 언어, 15번째 개정판(온라인 버전) 댈러스, TX: SIL 인터내셔널 2007-04-11.
  4. ^ 알래스카 토착유산센터. (2000). "이악, 하이다, 툴링잇 & 침쉬안." 2007-04-11에 검색됨.
  5. ^ Tarpent, Marie-Lucie (1997). "Tsimshianic and Penutian: Problems, Methods, Results, and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63 (1): 65–112. doi:10.1086/466314. JSTOR 1265865.
  6. ^ Bicevskis, Katie; Davis, Henry; Matthewson, Lisa (2017). "Quantification in Gitksan". In Paperno, Denis; Keenan, Edward L. (eds.). Handbook of Quantifiers in Natural Language. Studies in Linguistics and Philosophy. II. Springer. p. 282. doi:10.1007/978-3-319-44330-0_6. ISBN 978-3-319-44328-7. Though Tsimshianic is unmistakably part of the central northwest coastal Sprachbund (Beck 2002), no convincing evidence has been forthcoming for a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it and any other language family, in spite of persistent attempts to lump the family into the hypothetical Penutian stock, whose other members are found far to the south in Oregon and California (see for example Sapir 1921 and Tarpent 1997).
  7. ^ Brown, Jason (2010). Gitksan Phonotactics. Munich: Lincom Europa. p. 5. ISBN 978-3-89586-589-3. While the Tsimshianic language family is considered by some to be an isolate, others have considered it to be a member of a much larger stock. In particular, Sapir (1921) classified Tsimshianic as a part of the Penutian stock. More recently, DeLancey et al. (1988) and Tarpent (1996, 1997) have re-argued this point, suggesting that Tsimshianic is indeed a Penutian language. These authors point to morphological, phonemic, and lexical correspondences to make this claim. However, the major problems that have been expressed in the literature about the Penutian stock, as well as the problems with Tsimshianic as a part of that stock (see the discussion in Rigsby 1986, as well as Campbell 1997 for a general overview) cast doubt on this relationship. I take the conservative position that the Tsimshianic family is an isolate, and not related to the Penutian stock, or any other hypothesized stocks, though nothing in this work hinges on that position.
  8. ^ Lisa Phu (Director) (2013-10-22). "UAS and Yukon College partnership advances Native language efforts". KTOO, Juneau, Alaska. 3:44 minutes in. Retrieved 2013-10-24. 누락 또는 비어 있음 series= (도움말)
  9. ^ Tarpent, 1997, 페이지 70

참고 문헌 목록

  • 보아스, 프란츠. (1902). 침쉬안 문자. 워싱턴: 미국 민족학국. 27번 회보.
  • 보아스, 프란츠. (1911년) "심시언." 미국 인도어 회보 40부, 1부 287-422편.
  • 미툰, 마리안느. (1999). 북미 원주민의 언어.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0-521-238-7(hbk).
  • 타르펜트, 마리루시. (1997). "심샤닉과 페누티안: 문제, 방법, 결과, 시사점" 미국 언어학 국제 저널 63.52-24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