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심리학)

Isolation (psychology)

격리(독일어:아이솔리에룽(Isolierung)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최초로 제안한 정신분석 이론방어 메커니즘이다.억압과 관련된 개념이지만, 그 개념은 여러 가지 면에서 구별됩니다.그것은 불쾌하거나 위협적인 인식과 다른 생각과 감정 사이의 간격을 만드는 정신적 과정으로 특징지어진다.다른 생각과의 연관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위협적인 인식은 덜 자주 기억되고 자존감이나 자아 [1]개념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아집니다.프로이트는 한 사람이 생각의 연속을 시작하고 다른 주제로 넘어가기 전에 잠시 멈추는 예를 들어 그 개념을 설명했다.그의 이론은 간격을 둠으로써 그 사람이 "그 인상이나 활동에 대한 그의 생각이 다른 [2]생각과 연관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을 상징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해로운 생각들에 대한 방어책으로서, 고립은 자아가 이러한 인식들이 반복되고 자기 개념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막는다.

증거

다양한 연구들이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을 고립시킴으로써 방어한다는 결론을 뒷받침한다.억제기는 정보를 급하게, 얕게,[3] 또는 최소한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부정적인 정보를 제시하면, 그들은 종종 자발적인 행복한 생각이나 감정을 만들어내 충격을 최소화 [1]할 것이다.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은 좋든 나쁘든 훨씬 더 철저하게 정보를 처리합니다.이 높은 수준의 처리는 유사한 정보를 가진 강력한 연관성을 개발합니다.우울증이 있는 사람이 해로운 인식을 피하려고 할 때,[4] 그들은 종종 다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각을 합니다.인간과 동물 연구의 증거는 고립이 사회적 위협에 대한 민감성을 촉진하고 사회적 연결의 [5]재개를 자극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부정적인 피드백에도 불구하고 피드백이 성능 기준과 격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자신의 성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연구진은 공연 전, 공연 후, 피드백 전, 또는 공연과 피드백 모두 후에 기준을 제시할 것이다.일찌감치 기준을 받은 사람들은 다른 기준과 마찬가지로 해당 기준을 회수했지만 무시했다.그들은 피드백을 기준에서 분리하여 자존감에 대한 위협을 최소화했습니다.나중에 그 기준을 받은 사람들은 그들의 성과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고,[6] 그들의 성공이 표준보다 부족함을 피할 수 없었다.이런 형태의 고립은 하찮은 [1]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고립 유형은 "일시적 괄호화"라고 불리며, 이 경우 일부 인식된 실패나 단점이 과거에 묻혀 현재 자신에 대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이런 식의 과거와의 이별은 개종이나 "다시 태어난" 경험, 특정 약물 중독 회복 프로그램, 그리고 법 [1]체계에서 체납된 파일을 버리는 것에서 볼 수 있다.이러한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진 관행은 적어도 특정한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고립을 효과적으로 허용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러한 행동들은 과거의 사건들로부터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덜어주는 것처럼 보인다.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과거의 실패를 묘사할 때 종종 시간적 괄호를 사용한다.그들이 인지하는 어떤 나쁜 일들로부터 자신들을 고립시킴으로써, 그들은 그것이 그들의 현재 상태나 [7]사람들과의 관계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

영향

상습적인 억압자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불행한 기억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2차적 [1]연관성에 있다.억압자들에 대한 연구는 그들이 나쁜 기억들에 대해 똑같이 강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그러한 기억들은 억압받지 않는 [8]사람들에게서처럼 다른 부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지는 않았다.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덜 복잡한 감정의 건축"[1][8]이라는 문구가 만들어졌다.억압자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나쁜 기억을 가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기억 [1]속에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덜 괴롭다.가장 최근의 연구자들은 고립이 해로운 [1]인식으로부터 방어하는 더 효과적이고 중요한 메커니즘 중 하나라는 데 동의했다.현실 망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처 메커니즘으로, 일부 대안(거부, 승화, 투영 등)보다 더 타당하다.고립된 설명이 완전히 [1]구체적이라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Baumeister, Roy F.; Karen Dale; Kristin L. Sommer (1 December 1998). "Freudian Defense Mechanisms and Empirical Findings in Modern Social Psychology: Reaction Formation, Projection, Displacement, Undoing, Isolation, Sublimation, and Denial". Journal of Personality. 66 (6): 1081–1124. doi:10.1111/1467-6494.00043.
  2. ^ Freud, Sigmund (1961).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Sigmund Freud (Vol. 20). London: Hogarth Press. pp. 77–178.
  3. ^ Bonanno, G. A.; Davis, P. J.; Singer, J. L.; Schwartz, G. E. (1991). "The repressor personality and avoidant information processing: A dichotic listening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62: 386–401. doi:10.1016/0092-6566(91)90029-p.
  4. ^ Edwards, J. A.; Weary, G. (1993). "Depression and the impression-forming continuum: Piecemeal processing despite the availability of category inform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36–645. doi:10.1037/0022-3514.64.4.636.
  5. ^ Cacioppo, J. T.; Hawkley, L.C.; Norman, G.J.; Berntson, G.G. (2011). "Social isolation". Ann. N.Y. Acad. Sci. 1231: 17–22. doi:10.1111/j.1749-6632.2011.06028.x. PMC 3166409. PMID 21651565.
  6. ^ Schul, Y; Schiff, M. (1995). "On the costs and benefits of ignorance: How performanc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knowing the standard prior to performa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491–501. doi:10.1177/0146167295215007.
  7. ^ Baumeister, R. F.; Ilko, S. A. (1995). "Shallow gratitude: Public and private acknowledgment of external help in accounts of success".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91-209. 16: 191–209. doi:10.1207/s15324834basp1601&2_12.
  8. ^ a b Hansen, R. D.; Hansen, C. H. (1988). "Repression of emotionally tagged memories: The architecture of less complex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811–818. doi:10.1037/0022-3514.55.5.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