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아리아어족

Indo-Aryan languages
인도아리아인
표시
지리학
분배
남아시아
원어민
c. 8억 (2018)–[1]15억[2]
언어 분류인도유럽어족
원어인도아리아조어
ISO 639-2/5inc
언어권59= (phylozone)
글로톨로그indo1321
주요 인도아리아어군의 오늘날의 지리적 분포로마니, 도마리, 콜로시, 루와티, 로마브렌은 지도의 범위 밖에 있습니다.
코와르 (다딕)
시나 (다딕)
코히스타니 (다르디치)
카슈미르 (다르디치)
신디 (서북부)
칸데시(서부)
Bhili (서부)
네팔어 (북부)
비하리 (동부)
오디아 (동부)
할비(동부)
신할라 (남부)
몰디브 주 (남부)
(표시되지 않음: 꾸나르[다딕]과 치날리-라흘리)

인도아리아어족(Indo-Aryan languages[3][note 1])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인도이란어족의 한 갈래입니다.21세기 초에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네팔, 몰디브에 주로 집중되어 8억 명 이상의 화자가 있습니다.[1]또한 인도 아대륙을 제외한 대규모 이민자 및 국외 거주 인도아리아어 사용 공동체는 주로 동남 유럽에 집중된 로마어 사용자 수백만 명과 함께 북서 유럽, 서아시아, 북아메리카, 카리브해, 동남 아프리카, 폴리네시아오스트레일리아에 살고 있습니다.200개 이상의 인도아리아어족 언어가 알려져 있습니다.[4]

현대의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들은 초기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고대 인도아리아어에서 중세 인도아리아어(또는 프라크리트어)를 통해 전해집니다.[5][6][7][8]초회용자 기준으로 가장 큰 언어는 힌디어-우르두어(c.2억 5천만), [9]벵골어(2억 4천 2백만),[10] 펀자브어(1억 2천만),[11] 마라티어(1억 1천 2백만), 구자라트어(6천만), 라자스탄어(5천 8백만), 보즈푸리어(5천 1백만), 오디아어(3천 5백만), 마이틸리어(3천 4백만), 신디어(2천 5백만), 네팔어(1천 6백만), 아사메어(1천 5백만), 차어(1천 5백만) 등입니다.티스가르히(1800만), 신할라(1700만), 로마니(c.350만)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2005년 추산에 따르면 인도아리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총 수는 거의 9억 명에 이릅니다.[12]다른 추정치는 인도아리아어 사용자가 15억 명에 달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13]

분류

이론들

인도아리아어족 분류군

인도-아리아어족은 전체적으로 방언 연속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언어들은 종종 이웃한 변종들을 향해 과도기적입니다.[14]이 때문에 언어 대 방언으로 나누는 것은 많은 경우 다소 자의적입니다.인도아리아어족의 분류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분류에 따라 다른 분파에 할당되는 과도기적 영역이 많습니다.[15]일부 학자들이 파동 모델을 제시하는 등 뉴인도아리아의 발전을 설명하기에는 나무 모델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16]

부분군

다음의 제안표는 Masica(1991)에서 확장된 것입니다.이 표에는 현대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만 나열되어 있습니다.

인도아리아어군
모델 오디아 벵골인
앗사메
비하리 E. 힌디어 W. 힌디어 라자스타니 구자라트 주 파하리 E. 펀자비 W. 펀자비 신디 다르딕 마라티어-
콘카니
신할라-
디베히
로마니
회를레 (1880) E E~W W N W ? W ? S ? ?
그리어슨 (-1927) E C~E C NW 비IA의 S 비IA의
채터지 (1926) E 미들랜드 sw N NW 비IA의 S NW
그리어슨 (1931) E 인터. 미들랜드 인터. NW 비IA의 S 비IA의
카트레 (1968) E C NW 다르딕 S ?
니감 (1972) E C C(+NW) C ? NW N S ?
카르도나 (1974) E C (S)W NW (S)W ?
터너(-1975) E C sw C(C.)~NW(W.) NW sw C
카우센 (2006) E C W N NW 다르딕 S 로마니
코간 (2016) E ? C C~NW NW C~NW C NW 비IA의 S 섬도 C
에스놀로그 (2020)[17] E EC C W EC(E.)~W(C., W.) W NW S W
글로톨로그 (2020)[18] E 비하리 C N NW S 디베히신할라 C

2016년 안톤 코간(Anton I. Kogan)[16]은 100개 단어의 스와데시 목록을 기반으로 새로운 인도아리아어족 언어에 대한 사전 통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이 그룹화 시스템은 코건이 인도-아리아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낮고 이란어와 유사성이 무시할 만한 차이(39.3%)[19]를 보여주는 이전 연구에 근거하여 인도-아리아어에서 다르디크를 제외한 것이 주목할 만합니다.그는 또한 신할라-디베히를 가장 다양한 인도-아리아 분파로 계산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아리아 언어학자들의 현대적 합의는 형태학적, 문법적 특징에 기초하여 다르디크를 포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부-외부 가설

이너-아우터 가설은 아우터 인도아리아어(일반적으로 동부와 남부 인도아리아어, 때로는 북서 인도아리아어를 포함한다)와 함께 인도아리아어의 핵심과 주변을 주장합니다.다르디크파하리)는 구 인도-아리아의 오래된 지층을 나타내며, 이 지층은 이너 인도-아리아의 지층과 다양한 정도로 혼합되어 있습니다.그것은 음운론적이고 형태론적인 증거의 다양한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진 논쟁적인 제안입니다.1880년 루돌프 회를레의 제안과 조지 그리어슨의 개선 이후, 그것은 강력한 언어적 증거에 기반한 프랭클린 사우스워스클라우스 피터 졸러의 가장 최근의 반복과 함께 수많은 수정과 많은 논쟁을 거쳤습니다 (특히 -l-의 외부 과거 시제).이 이론에 회의적인 사람들 중에는 수니티 쿠마르 채터지콜린 P가 있습니다. 마시카.

무리

아래 분류는 Masica (1991), Kauusen (2006)을 따릅니다.

모국어별 인도아리아어 사용자 비율:

벵골어 (20.7%)
펀자브 (9.4%)
마라티어 (5.6%)
구자라트 (3.8%)
보즈풀이 (3.1%)
마이틸리 (2.6%)
오디아 (2.5%)
신디 (1.9%)
기타(25%)

다르딕

다르두어(Dardu) 또는 피사카어(Pisaca)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로, 인도아대륙의 북서쪽 끝에서 주로 사용됩니다.다르디크는 조지 에이브러햄 그리어슨인도 언어 조사에서 처음 고안했지만, 그는 그것을 인도-아리아어의 아과로 간주하지 않았습니다.유전적 집단으로서의 다르디크 집단은 (실제 집단이 아닌) 최근의 학문에 의해 어느 정도 조사되고 의문을 제기받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사우스워스는 "인도-아리아어족의 진정한 하위 집단으로서 다르디크어의 실행 가능성이 의심스럽다"며 "[다르디크어족]의 유사성은 이후의 수렴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20]: 149

다르어족 언어들은 펀자브어와 파하리어의 과도기적인 것으로 여겨지며(예를 들어 졸러는 카슈미르어를 인도아리아인이 아닌 누리스타니어족뿐만 아니라 "다르디크어와 서파하어 ṛī의 연결고리"로 설명합니다), 인도아리아조어의 맥락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특징으로 유명합니다.

노던 존

파하리('힐') 언어로도 알려진 북인도아리아어족 언어는 아대륙의 히말라야 지역 전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노스웨스턴 존

북서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들은 인도의 북서쪽 지역과 파키스탄 동부에서 사용됩니다.펀자브어펀자브 지역에서 주로 쓰이며 인도 북부 펀자브 주의 공용어입니다. 파키스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일 뿐만 아니라 파키스탄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기도 합니다.남쪽으로는 신드어와 그 변종들이 사용되며, 주로 신드어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주로 신드어입니다.북서부 언어들은 궁극적으로 샤우라세니 프라크리트의 후손이라고 여겨집니다.

웨스턴 존

서부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는 파키스탄의 인접한 지역 외에도 마디아프라데시주라자스탄주와 같은 인도 중부와 서부 지역에서 사용됩니다.구자라트어는 구자라트어의 공용어이며, 5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용합니다.유럽에서는 역사적으로 인도에서 이주해온 떠돌이 공동체인 로마인들이 다양한 로마어를 사용합니다.서부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들은 비록 샤우라세니 프라크리트어에서 공통된 선례를 가지고 있지만 북서부 대응어들과 갈라졌다고 생각됩니다.

센트럴 존(Madhya 또는 힌디어)

인도 내에서 중앙인도아리아어족 언어들주로 델리와 주변 지역을 포함한 힌디어 벨트 지역과 갠지트 평원에서 사용됩니다.브라즈어아와디어를 포함한 많은 이 언어들은 풍부한 문학과 시적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카리볼리의 페르시아화된 파생어인 우르두어파키스탄의 공용어이며, 인도와도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인도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힌두어는 표준화된 카리볼리의 산스크리트어로, 영어와 함께 인도 정부의 공용어입니다.우르두어는 우르두어와 함께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이스턴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