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게나민

Higenamine
히게나민
Higenamine.svg
이름
IUPAC 이름
1-[(4-히드록시페닐)메틸]-1, 2, 3, 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6, 7-디올
기타 이름
노르코클로린, 데메틸코클로린
식별자
3D 모델(JSmol)
체비
첸블
켐스파이더
케그
메쉬 히게나민
유니
  • InChI=1S/C16H17NO3/c18-12-3-10(2-4-12)7-14-13-9-16(20)15(19)8-11(13)5-6-17-14/h1-4,8-9,17-20,5-7H2 checkY
    키: WZRCQWQRFZITDX-UHFF checkY Faoysa-N
  • InChI=1/C16H17NO3/c18-12-3-1-10(2-4-12)7-14-13-9-16(20)15(19)8-11(13)5-6-17-14/h1-4,8-14,17-20H,5-7H2
    키: WZRCQWQRFZITDX-UHFFFAOYAH
  • Oc1cc(cc1)CC3c2c(cc(O)c(O)c2)CCN3
특성.
C16H17NO3
몰 질량 271.316 g/120−1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표준 상태(25°C[77°F], 100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히게나민(노르코클로린)은 난디나 국내산(과일), 아코니툼 카르마이클리(뿌리), 아사룸 헤테로트로피오이드, 갈륨 디바리카툼(줄기와 덩굴), 아노나 스쿼모사(Annona squamosa), 넬룸보 누시페라(로투스 씨앗) 등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이다.

히게나민은 미국에서 [1]판매되고 있는 스포츠 및 체중 감량 보충제의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미국 식품의약국은 2014년부터 히게나민이 함유된 보충제로부터 부작용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있지만, 히게나민의 건강상의 위험성은 여전히 [1]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합법성

노르코클로린 HCl로도 알려진 히게나민은 영국, EU, 미국, 캐나다에서 식품 보충제 내에서 사용이 합법적이다.주요 용도는 체중 관리와 스포츠 [1]보충제를 위해 개발된 식품 보충제입니다.히게나민이 함유된 전통적인 제제는 수천 년 동안 한의학에서 사용되어 왔고 과일과 난초를 포함한 다양한 소스로부터 왔다.현대 제제의 안전성(합성 히게나민 기준)을 전통적인 제제와 비교한 연구는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2] 사용하기 전에 안전성 평가 인증서가 필요한 모든 식품 보충제를 상세히 설명하는 EU '신품 식품' 카탈로그에는 추가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많은2 β작용제와 함께, 히게나민은 세계반도핑기구에 의해 [3]스포츠에서의 사용을 금지당했다.2016년 프랑스 축구선수 마마두 사코는 히게나민 양성반응으로 2016 유로파리그 결승전에 출전하지 못해 UEFA에 의해 일시적으로 출전정지 처분을 받았다.이 금지령은 플레이어가 [4][5][6][7]β작용제라는2 같은 범주의 약물에도 불구하고 금지 약물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대한 과실이 없다는 완화에 성공한 후 해제되었다.

약리학

히게나민은 전통 의학의 사용 역사를 가진 식물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 화합물의 약리학은 과학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동물 모델에서 히게나민은 β 아드레날린 수용체 [8][9][10][11][12]작용제2 것으로 입증되었다.아드레날린 수용체 또는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의 종류에 속하며, 골격근 조직에서도 발현되는 것 외에 지방막에서 가장 두드러진 수용체이다.이러한 지방막 수용체는 α 또는 β 아드레날린 수용체로 분류된다.이러한 아드레날린 수용체들은 동일한 전달체인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을 공유하지만, 특정 전달 경로는 수용체 유형(α 또는 β)에 따라 달라진다.히게나민은 부분적으로 아드레날린산환원효소인 아데닐산환원효소의 활성화에 의해 작용하며, 아드레날린산 제2메신저인 [13]cAMP의 세포농도를 증가시킨다.

설치류 모델에서는 히게나민이 심장병, 혈관 이완,[14][15] 기관지 확장제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히게나민은 베타 아드레노 수용체 메커니즘을 통해 랫드 코퍼스 캐버노섬의 완화를 유도하여 혈관확장 및 발기 기능을 향상시켰다.

개선된 혈관 확장 신호와 관련하여, 히게나민은 cAMP 의존 경로를 통해 항혈소판 및 항혈전 활성을 갖는 것으로 동물 모델에서 보여졌으며, 이는 히게나민이 혈관 확장 및 동맥 [8][13][15][16]무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의 경우, 히게나민은 심장 스트레스 테스트의 약리학적 약제로서뿐만 아니라 서맥 부정맥을 포함한 [1]많은 심장 질환의 치료를 위해 중국에서 연구되어 왔다.인체 실험은 비교적 작았고(10~120명의 피험자 범위) 히게나민을 정맥에 투여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 2.5~[1]5mg의 점진적 주입을 사용했다.히게나민은 지속적으로 심박수를 증가시켰지만 혈압에는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한 작은 연구는 심박출량에 대한 히게나민의 영향을 설명했습니다: 히게나민은 심장병이 [1]있는 15명의 환자들에게서 배출 비율을 증가시켰습니다.

독성

인간에게 경구 투여되는 히게나민의 안전성은 알려지지 않았다.급성 독성 연구 중, 쥐에게 체중 kg당 2g의 용량으로 화합물을 경구 투여했다.연구 [17]중에 죽은 쥐는 없었다.정맥 내 히게나민의 인체 실험에서, 히게나민을 투여받은 피험자들은 호흡곤란, 심장박동, 어지럼증, 두통, 가슴 [1]결림을 보고했다.

생합성

(S)-노르코클로린/히게나민은 벤질리소퀴놀린 알칼로이드(BIA) 생합성 중심에 있다.BIAs 생합성은 큰 구조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두 공통의 첫 번째 기탁 중간체(S)-노르코클로린을 [18]공유한다. (S)-노르코클로린은 2개의 티로신 유도체, 도파민 및 4-히드록시페닐아세트알데히드(4-HPAA)의 축합에 의해 생성된다.

Synthesis of the two substrates: dopamine and 4-HPAA
도파민과 4-HPAA 두 기질 합성

식물에서 티로신은 Sikimate 경로를 통해 합성되며, 이 중 마지막 단계는 L-Tyrosine을 얻기 위해 탈탄산화 및 아로겐산 탈수소화를 포함한다.티로신으로부터 도파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경로가 있다.하나의 경로에서 티로신은 티로신탈카르복실화효소(TyrDC)에 의해 촉매된 탈카르복실화를 거쳐 티라민이 되고, 이어서 폴리페놀산화효소(PPO)를 산화시켜 [19][20]도파민을 생성한다.또는 티로신은 티로신 하이드록실화효소(TH)에 의해 산화되어 L-DOPA를 형성할 수 있으며, L-DOPA는 나중에 DOPA 탈카르복실화효소(DDC)에 의해 탈탄산화되어 도파민을 제공할 수 있다.또 다른 시작물질 4-HPAA는 티로신트란세아미나아제(Tyr)에 의한 제1의 트랜스아미네이션에 의해 생성된다.AT)는 4-히드록실페닐피루브산(4-HP)과 4-HP 탈탄산화효소에 의한 후속 탈탄산화를 형성한다.[20]

Synthesis of (S)-Higenamine by NCS and its mechanism.
NCS에 의한 (S)-히게나민 합성 및 그 메커니즘.

(S)-노르코클로린 합성효소(NCS)[21]에 의해 도파민 및 4-HPAA의 축합이 촉매되어 (S)-노르코클로린 합성효소(NCS)가 형성된다.이러한 반응은 픽테-스펜글러 반응의 한 종류입니다.이 반응에서 NCS 활성부위의 Asp-141과 Glu-110은 각각 아민 및 카르보닐의 활성화에 관여하여 이민 형성을 촉진한다.그 후 분자는 아래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환산하여 (S)-노코클로린을 생성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Cohen, Pieter A.; Travis, John C.; Keizers, Peter H. J.; Boyer, Frederick E.; Venhuis, Bastiaan J. (6 September 2018). "The stimulant higenamine in weight loss and sports supplements". Clinical Toxicology. 57 (2): 125–130. doi:10.1080/15563650.2018.1497171. PMID 30188222. S2CID 52165506.
  2. ^ "Novel food catalogue". Food Safety. European Commission.
  3. ^ "Prohibited Substances at All Times". List of Prohibited Substances and Methods. World Anti-Doping Agency. 1 January 2016. Retrieved 21 August 2016.
  4. ^ "Mamadou Sakho: Liverpool defender investigated over failed drugs test". BBC. 23 April 2016.
  5. ^ "Euro 2016: Mamadou Sakho could play for France as Uefa opts not to extend ban". BBC. 28 May 2016.
  6. ^ "Mamadou Sakho - UEFA decision raises key questions". Echo. 28 May 2016.
  7. ^ "Mamadou Sakho still set to miss EURO 2016, despite being cleared of doping". Get French Football. 29 May 2016.
  8. ^ a b Tsukiyama M, Ueki T, Yasuda Y, Kikuchi H, Akaishi T, Okumura H, Abe K (October 2009). "Beta2-adrenoceptor-mediated tracheal relaxation induced by higenamine from Nandina domestica Thunberg". Planta Medica. 75 (13): 1393–9. doi:10.1055/s-0029-1185743. PMID 19468973.
  9. ^ Kashiwada Y, Aoshima A, Ikeshiro Y, Chen YP, Furukawa H, Itoigawa M, Fujioka T, Mihashi K, Cosentino LM, Morris-Natschke SL, Lee KH (January 2005). "Anti-HIV benzylisoquinoline alkaloids and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Nelumbo nucifera, and structure-activity correlations with related alkaloid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3 (2): 443–8. doi:10.1016/j.bmc.2004.10.020. PMID 15598565.
  10. ^ Kimura I, Chui LH, Fujitani K, Kikuchi T, Kimura M (May 1989). "Inotropic effects of (+/-)-higenamine and its chemically related components, (+)-R-coclaurine and (+)-S-reticuline, contained in the 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s "bushi" and "shin-i" in isolated guinea pig papillary muscle".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50 (1): 75–8. doi:10.1254/jjp.50.75. PMID 2724702.
  11. ^ Kang YJ, Lee YS, Lee GW, Lee DH, Ryu JC, Yun-Choi HS, Chang KC (October 1999). "Inhibition of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kappaB is responsible for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higenamine, an active component of aconite root".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91 (1): 314–20. PMID 10490919.
  12. ^ Yun-Choi HS, Pyo MK, Park KM, Chang KC, Lee DH (October 2001). "Anti-thrombotic effects of higenamine". Planta Medica. 67 (7): 619–22. doi:10.1055/s-2001-17361. PMID 11582538.
  13. ^ a b Kam SC, Do JM, Choi JH, Jeon BT, Roh GS, Chang KC, Hyun JS (2012). "The relaxation effect and mechanism of action of higenamine in the rat corpus cavernosum". International Journal of Impotence Research. 24 (2): 77–83. doi:10.1038/ijir.2011.48. PMID 21956762.
  14. ^ Bai G, Yang Y, Shi Q, Liu Z, Zhang Q, Zhu YY (October 2008). "Identification of higenamine in Radix Aconiti Lateralis Preparata as a beta2-adrenergic receptor agonist1". Acta Pharmacologica Sinica. 29 (10): 1187–94. doi:10.1111/j.1745-7254.2008.00859.x. PMID 18817623.
  15. ^ a b Pyo MK, Lee DH, Kim DH, Lee JH, Moon JC, Chang KC, Yun-Choi HS (July 2008).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R)-(+)- and (S)-(-)-higenamine and their analogues with effects on platelet aggregation and experimental animal model of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8 (14): 4110–4. doi:10.1016/j.bmcl.2008.05.094. PMID 18556200.
  16. ^ Liu W, Sato Y, Hosoda Y, Hirasawa K, Hanai H (November 2000). "Effects of higenamine on regulation of ion transport in guinea pig distal colon".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84 (3): 244–51. doi:10.1254/jjp.84.244. PMID 11138724.
  17. ^ Lo CF, Chen CM (February 1997). "Acute toxicity of higenamine in mice". Planta Medica. 63 (1): 95–6. doi:10.1055/s-2006-957619. PMID 9063102.
  18. ^ Hagel JM, Facchini PJ (May 2013). "Benzylisoquinoline alkaloid metabolism: a century of discovery and a brave new world". Plant & Cell Physiology. 54 (5): 647–72. doi:10.1093/pcp/pct020. PMID 23385146.
  19. ^ Soares AR, Marchiosi R, Siqueira-Soares RC, Barbosa de Lima R, Marchiosi R, Dantas dos Santos W, Ferrarese-Filho O (March 2014). "The role of L-DOPA in plants". Plant Signaling & Behavior. 9 (4): e28275. doi:10.4161/psb.28275. PMC 4091518. PMID 24598311.
  20. ^ a b Beaudoin GA, Facchini PJ (July 2014). "Benzylisoquinoline alkaloid biosynthesis in opium poppy". Planta. 240 (1): 19–32. doi:10.1007/s00425-014-2056-8. PMID 24671624.
  21. ^ Lichman BR, Sula A, Pesnot T, Hailes HC, Ward JM, Keep NH (October 2017). "Structural Evidence for the Dopamine-First Mechanism of Norcoclaurine Synthase". Biochemistry. 56 (40): 5274–5277. doi:10.1021/acs.biochem.7b00769. PMC 5637010. PMID 28915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