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348A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7348A KR20190027348A KR1020180106756A KR20180106756A KR20190027348A KR 20190027348 A KR20190027348 A KR 20190027348A KR 1020180106756 A KR1020180106756 A KR 1020180106756A KR 20180106756 A KR20180106756 A KR 20180106756A KR 20190027348 A KR20190027348 A KR 201900273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ne
- discharge
- link
- module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pivoting blades with intersecting ax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케이스하우징; 상기 케이스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로어토출유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흡입구 및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베인;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는 천장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커버하고 천장과 같은 면에 설치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의 중앙에 흡입구가 배치되고, 흡입구의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가 배치되며, 각 토출구마다 토출베인이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는 토출구에 배치된 토출베인이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멀리 보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통해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이용해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로 누설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다시 흡입되는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통해 수평풍, 경사풍, 수직풍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연결시켜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을 이용해 수평풍을 제공할 때,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로 누설되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가 흡입구로 다시 흡입되는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케이스하우징; 상기 케이스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로어토출유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흡입구 및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베인;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에서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함몰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가이드면; 및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4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제 1 가이드면보다 상기 흡입구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확장깊이(T)를 형성할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가이드면에서 상기 제 4 가이드면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을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제 2 베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가이드면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바디 및 제 1 베인과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링크;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베인과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 상기 제 2 베인바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리브; 상기 제 2 베인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베인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인축은 상기 제 2 가이드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측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에 누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누설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누설공간의 평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드레인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누설공간의 단면적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해 토출공기가 상기 누설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간격이 가장 넓게 형성되는 토출스텝 P1에서, 누설공간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토출공기가 흡입구로 다시 유동되는 회풍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토출가이드를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시켜 확장깊이(T)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누설공간의 압력차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에서의 공기유동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에서의 공기유동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제 2 베인 및 토출가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에서의 공기유동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실내기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케이스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하우징(110)과, 프론트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하우징(10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101)가 프론트패널(3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내측에 실내송풍팬(140)이 위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로 형성되고, 일부구간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의 구성>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되고, 팬(14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모터(146)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팬(144)이 결합된다.
상기 팬(144)의 가장자리 외측에 실내열교환기(130)가 위치된다. 상기 팬(144)과 실내열교환기(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과 오버랩된다.
<유로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외측 공간을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유로(103)에 상기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130)의 바깥쪽 및 케이스하우징(110)의 측벽 사이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유로(103)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내측이고,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의 "□" 바깥쪽이다.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180도 전환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프론트패널(30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프론트바디(310)와,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320)과, 상기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리필터(330)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의 공기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베인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엘리베이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격자형태를 통해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홀(321)과 상기 흡입구(101)는 연통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프리필터(33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그릴홀(32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결합구조와 무관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조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프론트바디의 구성>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실내의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고, 실내에 노출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흡입그릴(320) 및 프리필터(33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탑뷰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상측면은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은 가장자리가 약간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중앙에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가장자리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102)가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출구(10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2)는 폭보다 길이가 긴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프론트프레임(312), 사이드커버(314), 코너커버(3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프론트패널(300)의 하중 및 강성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상기 흡입구(101) 및 4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이드프레임(311) 및 코너프레임(313)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프레임(313)은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2개의 코너프레임(313)과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은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코너프레임(313)을 결합시킨다.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은 토출구(102)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4개의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02)는 2개의 코너프레임(313),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저면에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체결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에 결합되고, 코너커버(316)는 코너프레임(31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각각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 하측에 상기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되고, 코너프레임(313) 하측에 상기 코너커버(316)가 배치된다.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조립되어 4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연결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를 프론트데코(350)라고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350)는 데코 아우터보더(351, outer border)와 데코 이너보더(352, inner border)를 형성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데코 이너보더(352)도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데코 이너보더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 내측에 상기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에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를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커버(316)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로 정의한다.
상기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역시 상기 베인모듈(20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5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는 4개의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연속된 갭을 형성한다.
4개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 갭(315a) 및 4개의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에 의해 형성된 연속된 갭을 프론트데코 갭(350a)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상기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기 정지 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흡입그릴(320) 및 베인모듈(200)을 하나의 구조물로 보이게 한다.
<흡입그릴의 구성>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그릴홀(321)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과, 상기 그릴바디(322)의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릴코너부(327)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제 1 베인(210)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코너커버(316)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그릴(323)이 격자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격자형태의 그릴(323)은 사각형 형태의 그릴홀(321)을 형성시킨다. 상기 그릴(323) 및 그릴홀(321)이 형성된 부분을 흡입부로 정의한다.
상기 그릴바디(322)는 공기가 소통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그릴바디부(324)를 포함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부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의 각 모서리는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너커버(316)를 향하게 배치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그릴바디(32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 또는 프론트데코(35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코너커버(316)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토출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314)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는 흡입그릴(320)의 내측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로 형성되고,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외측을 중심으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부(324)는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 및 2개의 그릴 사이드보더(325)에 의해 감싸지는 그릴코너부(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그릴바디부(324)에서 코너커버(316)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4개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라 정의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바디(322)의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1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4방향에 배치된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각각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의 길이는 갖게 형성된다. 즉, 상기 코너커버(316)의 폭과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커버(314)의 내측 폭과 그릴 사이드보더(325)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토출구(102)의 안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깐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토출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으로 형성된 긴직선구간(325a)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1 곡선구간(325b)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2 곡선구간(325c)과, 상기 제 1 곡선구간(325b)과 연결되는 제 1 짧은직선구간(325d)과, 상기 제 2 곡선구간(325c)과 연결되는 제 2 짧은직선구간(325e)을 포함한다.
<베인모듈의 구성>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모듈바디(400)와,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모두 모듈바디(400)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의 구성부품 전체는 모듈화되고,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한번에 설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모듈화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3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모듈바디의 구성>
상기 모듈바디(400)는 하나의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부품으로 분리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바디(400)는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된다.
수평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는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된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는 토출구(102)의 타측에 배치된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의 코너프레임(313)의 저면에 밀착되고, 체결부재(401)를 통해 각각 체결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실내기의 설치된 상태로 볼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코너프레임(313)의 체결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 및 코너프레임(313)의 체결방향 역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서비스과정에서 상기 베인모듈(200) 전체를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토출구(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 제 2 모듈바디(420)와,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인(210)(220)과,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30)과,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1 체결홀(403-1)과, 상기 제 1 체결홀(403-1)을 통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재(401-1)과,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2 체결홀(403-2)과, 상기 제 2 체결홀(403-2)을 통해 상기 프론트바디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재(401-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바디(310)가 케이스하우징(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만을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4개소의 베인모듈(200) 모두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를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베인모듈(200) 전체는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되는 모듈바디부(402)와, 상기 모듈바디부(4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링크설치부(404)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체결부재(401)(미도시)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후크결합 또는 억지끼움등을 통해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등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모듈바디부(402)를 프론트바디(310)에 견고하게 체결한다.
상기 모듈바디부(402)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01)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체결된 상태이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부(402)에는 체결부재(401)가 관통되는 체결홀(403)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형성된 체결홀과 제 2 모듈바디(420)에 형성된 체결홀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배치된 체결홀을 제 1 체결홀(403-1)이라 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배치된 체결홀을 제 2 체결홀(403-1)이라 한다.
그리고 체결부재(401)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체결홀(40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01)를 제 1 체결부재(401-1)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체결홀(40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01)를 제 2 체결부재(401-2)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401-1)는 상기 제 1 체결홀을 관통하고,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체결부재(401-2)는 상기 제 2 체결홀을 관통하고,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를 체결고정하기 전에, 상기 모듈바디(400)의 위치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모듈후크(405)가 배치된다.
상기 모듈후크(405)는 프론트패널(300, 구체적으로 프론트바디(310))과 결합됩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후크(405) 및 프론트바디(310)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하나의 모듈바디에 복수개의 모듈후크(40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바디부(402)의 바깥쪽 가장자리 및 전방 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다. 즉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바깥쪽에 각각 모듈후크(405)가 배치되고, 각 모듈후크(405)는 좌우방향에 대해 대칭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모듈후크(405)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모듈후크(405)에 의해 상기 베인모듈(200)을 프레임바디(310)에 임시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후크(405)들에 의한 고정은 결합구조 상 약간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체결부재(401)는 임시고정된 상기 모듈바디(400)를 프론프바디(3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부재(401)가 설치되는 체결홀(403)은 상기 모듈후크(405)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측 및 타측의 모듈후크(405)들 사이에 제 1 모듈바디(410)의 체결홀(403)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체결홀(40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후크(405)들 및 체결홀(403)들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재(401)들이 해체되어도, 상기 모듈후크(405)들에 의해 베인모듈(200)이 상기 프레임바디(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리 또는 고장 시, 상기 베인모듈(200)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체결부재(401)를 분리하여도 상기 베인모듈(200)은 프론트패널(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재(401)의 해체 시, 상기 베인모듈(200)을 별도로 지지할 필요가 없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모듈후크(405)에 의한 1차 고정 및 체결부재(401)에 의한 2차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시 작업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링크설치부(404)는 설치된 상태로 볼 때, 상기 모듈바디부(4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 또는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결합되어 상기 베인모듈(200)이 일체화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베인모터설치부(406)가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에 상기 베인모터(230)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는 보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에 고정된다. 베인모터설치부(406)로 인해 상기 링크설치부(404) 및 베인모터(230)는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링크설치부(404)에는 상기 구동링크(240)가 조립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구동링크결합부(407)와, 상기 제 1 베인링크(250)가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와, 상기 제 2 베인(220)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2 베인결합부(409)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링크결합부(407),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 및 제 2 베인결합부(409)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축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설치부(404)에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270)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270)는 반대편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 시 특정위치에서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설치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 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링크(240)의 진동 또는 유격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동링크의 구성>
상기 구동링크(240)는 베인모터(230)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구동링크(240)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230)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량이 결정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상기 링크설치부(404)를 관통하여 상기 베인모터(23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는 구동링크결합부(407)를 관통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구동링크바디(245)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과,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 구체적으로 구동링크결합부(4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어링크축(243)과,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구동링크축(24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링크바디(245)는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2 구동링크바디(247) 및 코어바디(248)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바디(248)에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에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에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배치된다.
상기 코어바디(248)는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를 연결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대체적으로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제 2 구동링크바디(247)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링크설치부(404)에 형성된 구동링크결합부(407)에 조립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결합부(407)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제 1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2 구동링크축(242)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코어링크축(24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제 1 베인(210)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제 1 베인(210) 또는 조인트리브(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 및 모듈바디(구체적으로 링크설치부(404))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및 구동링크(240)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는 상기 코어링크축(24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코어링크축(24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제 1 베인링크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상기 제 1 베인링크바디(25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대 회전되는 제 1-1 베인링크축(251)과, 상기 제 1 베인링크바디(255)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바디(400, 구체적으로 링크설치부(404))와 조립되고, 상기 모듈바디(400)와 상대 회전되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 베인(21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상기 제 1 베인(210)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상기 모듈바디(400)의 링크설치부(404)에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와 상대회전될 수 있다.
<제 2 베인링크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직선의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제 2 베인링크바디(265)와, 상기 제 2 베인링크바디(26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과 조립되고, 상기 제 2 베인(220)과 상대 회전되는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상기 제 2 베인링크바디(265)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링크(240, 구체적으로 제 2 구동링크축(242))와 조립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와 상대 회전되는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는 제 2 베인링크바디(265)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2 구동링크축(242)는 상대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가 축의 형태로 형성되면 나머지 하나는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를 축의 형태로 형성하고, 제 2 구동링크축을 홀의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동링크, 제 1 베인링크, 제 2 베인링크와 결합되어 상대회전 가능한 모든 구성에서 이와 같은 구성의 치환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변형가능한 예를 따로 상세하게 설명하진 않겠다.
<베인의 구성>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각 스텝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상대적인 배치 및 상대적인 각도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인모터(230)의 각 스텝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쌍을 이뤄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을 제공한다.
상기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은 상기 제 1 베인(2100 및 제 2 베인(22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정의한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무빙스텝을 제공할 수 있다. 무빙스텝은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들의 조합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작동되면서 제공하는 기류로 정의한다.
<제 1 베인의 구성>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구(210)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결합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각각 상대회전된다.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위치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결합된 구동링크(240)를 제 1 구동링크라 하고, 제 1 모듈바디(410)에 결합된 제 1 베인링크(250)를 제 1-1 베인링크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결합된 구동링크(240)를 제 2 구동링크라 하고, 제 2 모듈바디(420)에 결합된 제 1 베인링크(250)를 제 1-2 베인링크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베인바디(212)와,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가 결합되는 조인트리브(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토출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그래서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측(전방)이 낮고, 공기가 진입되는 방향 측(후방)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가 결합되는 측이 높고 제 1 베인링크(250)가 결합되는 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부(217)와,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조인트부(216)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리브(214)를 관통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에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조립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와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는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조립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와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 조인트부(216)를 관통하고, 서로 조립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구동링크(250)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상기 조인트리브(214) 및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간격 보다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된다.
<제 2 베인의 구성>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222)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리브(224)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축(221)을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리브(224)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을 제 3 조인트부(226)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조인트부(226)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리브(224)를 관통한다. 상기 제 3 조인트부(226)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제 1 베인의 조인트리브(214)와 제 2 베인의 조인트리브(224)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베인의 조인트를 제 1 조인트리브(214)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의 조인트를 제 2 조인트리브(224)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조인트리브(224)를 중심으로 상대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도 상대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조인트리브(224) 및 제 2 베인축(221) 각각에서 상대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축(22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도로 움직인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2)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베인(220)이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전방 측 단은 상기 제 1 조인트부(214)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전방측 길이는 상기 제 1 조인트부(214) 사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제 2 베인링크(260)와의 조립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조인트부(226)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가 상대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일측의 제 2 베인축(221)은 일측에 배치된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타측의 제 2 베인축(221)은 타측에 배치된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모듈바디(400)에는 상기 제 2 베인축(2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41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결합부(411)는 상기 모듈바디(400)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은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 전방으로 제 2 베인링크(26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결합부(411) 전방으로 구동링크결합부(407),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베인모듈 및 흡입그릴의 배치>
도 1 내지 4 및,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베인모듈의 결합구조 및 분리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상태에서 흡입그릴(320)을 분리하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베인모듈(200)이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다양한 방법으로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는 한쪽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반대쪽이 분리되어 회전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상호걸림된 상태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흡입그릴(200)은 자기력에 의해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복수개 배치되고, 각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양측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입그릴(320)의해 가려져 있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노출될 수 있다.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베인(210)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실내기가 작동되어 토출공기가 배출될 때는 상기 제 2 베인(220)이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 중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흡입그릴(320)에 가려진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각각 체결홀(403)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각 체결홀(403)은 상기 흡입그릴(320)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은닉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구성하는 상기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형성된 체결홀(403)들이 노출되는 것도 차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체결홀(403)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홀(403)은 상기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은닉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제 4 그릴코너부(327-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 제 2 베인모듈(202)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및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1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2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2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3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3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4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1)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4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1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12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1 베인모듈(201)로 정의하고, 3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2 베인모듈(202)로 정의하고, 6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3 베인모듈(203)로 정의하고, 9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4 베인모듈(20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는 4개의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1 사이드커버(314-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2 사이드커버(314-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3 사이드커버(314-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4 사이드커버(314-4)로 정의한다.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되고, 각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1 코너커버(316-1)로 정의한다.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2 코너커버(316-2)로 정의한다.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3 코너커버(316-3)로 정의한다.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4 코너커버(316-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커버(314-1) 및 제 2 사이드커버(314-2)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커버(314-2) 및 제 3 사이드커버(314-3)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사이드커버(314-1) 및 제 4 사이드커버(314-4)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사이드커버(314-1) 및 제 1 사이드커버(314-1)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대각선을 P1 및 P2로 정의한다. 상기 P1은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고, 상기 P2는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다.
상기 흡입패널(320)에는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가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은 및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의 그릴 코너보더(326)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대향되고,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나머지 그릴코너부(327)의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코너커버(316)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도 각각 대향되고, 각각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코너커버(316) 내측(구체적으로 프론트패널의 중심(C) 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가상의 대각선(P1, P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은닉한다. 즉,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경우,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은 흡입그릴(320)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이 숨겨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은 흡입그릴(320)에 형성된 체결홀(403)들도 사용자에게 숨겨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각 코너커버(316)들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4개의 그릴코너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각 코너커버(316)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3 그릴코너부(327-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4 그릴코너부(327-4)로 정의한다.
바텀뷰로 볼 때, 복수개의 모듈바디(400)들은 그릴코너부(327)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특히,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코너보더(326)는 제 1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영구자석(318) 또는 자기력고정부(328)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상기 자기력고정부(328) 또는 영구자석(318)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흡입그릴(320)의 각 모서리 바깥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과 프론트바디(310)의 이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가 이격될 경우, 상기 흡입유로(103) 내부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구자석은 코너프레임(313)에 배치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영구자석(318)와 상호작용되어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영구자석(318)에 근접될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이 상기 자기력고정부(328)을 끌어당겨 상기 흡입그릴(320)를 고정한다. 상기 영구자석(318)의 자기력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자중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흡입그릴(320)이 당겨지지 않을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의 결합은 해제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가상의 대각선 P1 및 P2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은 코너커버(316) 내측에 위치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4개의 영구자석(318) 중 하나는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나머지 3개의 영구자석도 각 베인모듈들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베인모터의 작동에 따른 토출스텝>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각 베인모듈(200)은, 도시된 것 처럼, 제 2 베인(220)이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흡입그릴(320)의 하측면 및 사이드커버(314)의 하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의 대부분만을 커버하지만, 설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2 베인(220)이 수납된 상태에서 실내송풍기가 작동되면, 상기 베인모터(230)가 작동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정지되어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를 정지스텝 P0라고 정의한다.
<정지스텝 P0>
정지스텝 P0 상태일 때, 베인모듈(200)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베인모듈(200)은 정지스텝 P0 상태를 유지한다.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베인모터(230)는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링크(240)를 구성하는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스토퍼(270)의 일측단(271)에 지지되고, 제 1 방향으로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구동링크(240)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스텝 P0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와 스토퍼(270)의 타측단(270b)이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상기 스토퍼(270)에 지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코어링크축(243)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은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토출구(10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상기 흡입패널(320) 및 사이드커버(314)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조인트들(2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위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상기 제 1 베인(210)에 의해 가려지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즉,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를 커버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정지스텝 P0 상태일때, 상기 구동링크(240)는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최대로 상승된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정지스텝 P0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1 조인트리브(214) 상측에 위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에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역시 상기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바디(22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실내기가 정지중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 상측에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가 더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는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부(26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정지스텝 P0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은 상단이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공기의 토출방향 후방 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전방 측에 위치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제 1-1 베인링크축(251)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기준으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전방 측에 위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부(261)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을 기준으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 방향과 교차된다.
<토출스텝 P1>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1을 제공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수평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상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토출공기를 하나의 베인처럼 연결되고, 토출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a) 보다 상측에 위치에 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상측면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면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공기의 유동방향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 2 베인(220)은 토출공기의 유동방향 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이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에 근접 또는 접촉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1)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b)은 상기 토출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전방측 단(222a) 및 후방측 단(212b)을 근접 또는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측 단(222a) 및 후방측 단(212b)을 밀착시키되 접촉시키지는 않는다.
그리고 토출스텝 P1에서 베인모듈(200)이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연결되어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되기 때문에, 수평풍의 기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토출공기는 상기 제 2 베인(220)의 상면 및 제 1 베인(210)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1개의 베인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토출공기의 방향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에 비해 상기 제 2 베인(220)은 좀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풍의 경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102)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회동(스윙)된다.
P0에서 P1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하측으로 하강되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회전(rotation)을 통해 제 1 베인(210)을 토출구(10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1 베인(210)을 대략 수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종래 실내기의 베인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제 1 베인(210)과 같은 배치를 구현할 수 없다.
정지스텝 P0에서 상기 베인모터(230)가 구동링크(240)를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구동링크(240)에 결합된 제 2 베인링크(260)도 상기 구동링크(240)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정지스텝 P0에서 토출스텝 P1으로 변경될 때, 상기 구동링크(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링크(2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20)는 상대회전되면서 하강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상기 수평풍을 형성시키기 위해, 정지스텝 P0에서 토출스텝 P1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반대다.
상기 토출스텝 P1에서, 베인모터(230)는 73도(P1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13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52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1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P0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낮게 위치된다.
P1 상태에서,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되고, 배치방향은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하측을 향한다.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축(221), 제 2-1 베인링크축(261),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일렬로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2 베인축(221)도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베인축(221)이 상기 제 3 조인트부(226)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수평풍을 제공한다. 상기 수평풍은 공기의 토출방향이 정확하게 수평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하나의 베인처럼 연결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연결을 통해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가장 멀리 유동시키는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1)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풍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210)으로 안내된다. P1 상태를 통해,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흡입구(101)와 가까운 제 2 베인(220)의 경사가 상기 제 1 베인(210)의 경사보다 가파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 구동링크축(242) 및 코어링크축(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은 그 사이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 사이에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가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 사이에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위치된다.
그리고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해,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후방 측 단(222b)은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방향을 D-D'라 정의한다. 제 1 베인링크(250)의 길이방향을 L1-L1'이라 정의한다. 제 2 베인링크(260)의 길이 방향을 L2-L2'라 정의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토출스텝 P1 상태일 때, 모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거의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도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수평풍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일부만 토출구(102) 밖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토출구(102) 밖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토출구(102)의 전방 측 가장자리(102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의 회풍방지구조>
상기 토출유로(104)는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배치된 어퍼토출유로(104-1)와,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토출유로(104-1)와 연통되고, 상기 어퍼토출유로(104-1) 하측에 위치되는 로어토출유로(10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토출유로(104-2)는 프론트패널(300)의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로어토출유로(104-2)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토출유로(104-2)는, 공기 토출방향 전방 측에 위치되는 사이드커버(314), 공기 토출방향 후방 측에 위치되는 드레인팬(132), 공기토출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제 1 모듈바디(310) 및 제 2 모듈바디(320)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로어토출유로(104-2)를 제공하기 위해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전면, 후면, 양측면이 막히 별도의 부품이 설치되어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어토출유로(104-2)를 제공하는 사이드커버(314)의 내측면, 드레인팬(132)의 외측면,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를 토출가이드(360)로 정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이드커버(314) 측을 전방, 드레인팬(132) 측을 후방, 제 1 모듈바디(410) 측을 좌측방향, 제 2 모듈바디(420) 측을 우측방향이라고 정의한다.
그래서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내측면을 전면토출가이드(361), 드레인팬(132)의 외측면을 배면토출가이드(370), 링크설치부(404)의 내측면을 측면토출가이드(362)로 정의한다.
토출가이드(360)의 상측면 및 하측면을 개구된다. 토출가이드(360)의 상측면을 어퍼토출유로(104-1)와 연통된다. 토출가이드(360)의 하측면은 토출구(10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가이드(360)는 각 토출구(102)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1은 수평풍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 2 베인(220)의 저면(222c)과 배면토출가이드(370) 사이로 토출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제 2 베인(220)의 저면(222c)과 배면토출가이드(370) 사이를 누설공간(LS)이라 정의한다. 상기 누설공간(LS)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적을 수록,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한다.
토출공기는 중 일부는 누설공간(LS)의 상측을 통해 상기 누설공간(LS)에 진입하고, 상기 누설공간(LS)의 하측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누설공간(LS)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흡입구(101)로 리턴되는 토출공기의 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바로 흡입구(101)로 흡입되는 현상을 회풍이라 정의한다.
상기 회풍이 발생되면, 회풍이 발생되는 흡입패널(320) 가장자리에 이슬맺힘이 발생된다. 상기 토출구(102)에 토출된 공기의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회풍은 흡입패널(320) 가장자리의 온도는 낮추고, 이로 인해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누설공간(LS)으로 유동되는 토출공기는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그릴 사이드보더(325) 사이의 간격(W)이 좁을수록 회풍이 발생될 수 있다. 회풍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격(W)을 넓히면 흡입구(101)의 면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이드(360)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토출가이드(360)에서 흡입구(101) 측에 배치된 배면토출가이드(370)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배면토출가이드(370)는, 토출구(102) 및 흡입구(101)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버티컬가이드바디(372)와,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의 하측에서 제 2 베인(22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토출구(102)를 형성하는 로어가이드바디(374)를 포함한다.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 및 로어가이드바디(374)에서 상기 토출유로(104)에 노출되는 면을 가이드면(375)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면(375)은 상기 드레인팬(132)의 토출유로 측 측면일 수 있다.
가이드면(375)은, 상기 버티컬가이드바디(37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면(375a), 제 2 가이드면(375b) 및 제 3 가이드면(375c)과, 상기 로어가이드바디(374)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 4 가이드면(375d)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면(375a)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제 2 가이드면(375b)가 제 1 가이드면(375a) 하측에 위치되고, 제 3 가이드면(375c)가 제 2 가이드면(375b) 하측에 위치되며, 제 4 가이드면(375d)가 제 3 가이드면(375c) 하측에 위치된다.
제 1 가이드면(375a)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 2 베인(220)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제 1 가이드면(375a)은 로어토출유로(104-2)를 형성한다.
제 3 가이드면(375c)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 3 가이드면(375c) 중 적어도 일부는 제 2 베인(220)과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제 3 가이드면(375c) 및 제 2 베인(220)의 저면(222c) 사이에 누설공간(LS)이 위치된다.
제 3 가이드면(375c)은 제 1 가이드면(375a) 보다 더 흡입구(101) 측에 위치된다. 즉, 측단면으로 볼 때, 제 1 가이드면(375a) 및 제 3 가이드면(375c)은 수평방향으로 확장깊이(T)를 형성한다.
상기 확장깊이(T)는 상기 누설공간(LS)의 단면적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 3 가이드면(375c)의 상측단(376a)은 제 2 베인축(221) 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 2 가이드면(375b)은 제 1 가이드면(375a)의 하단과 제 3 가이드면(375c)의 상단(376a)을 연결한다. 제 2 가이드면(375b)은 완만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면(375b)의 상단은 토출유로(104)를 향하고, 하단은 흡입구(101)를 향하게 배치된다.
제 4 가이드면(375d)은 제 3 가이드면(375b)의 하단(376b)과 연결된다. 제 4 가이드면(375d)은 토출구(102)를 향하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4 가이드면(375d)의 하단(376c)에 단(376)이 형성된다. 상기 단(376)은 제 4 가이드면(375d) 하단(376c)에서 토출구(102)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 4 가이드면(375d)의 하단(376c)은 제 1 가이드면(375a) 보다 제 2 베인(220) 측으로 더 돌출된다. 수직하게 형성된 제 1 가이드면(375a)의 연장선은 상기 제 4 가이드면(375d)과 교차된다.
확장깊이(T)만큼 상기 흡입유로(103) 측으로 함몰된 제 2 가이드면(376b), 제 3 가이드면(376c) 및 제 4 가이드면(375d)은 누설공간(LS)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c)은 상기 함몰된 확장깊이(T)의 높이에 위치된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a) 및 토출가이드(37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376c) 및 제 2 베인의 저면(222c)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설공간(LS)의 단면을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설공간(LS)의 입구(LS1) 면적이 가장 넓고, 출구(LS2) 면적이 가장 좁게 형성된다.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a) 및 토출가이드(구체적으로,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구체적으로 제 4 가이드면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222c)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누설공간(LS)의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토출공기가 누설공간(LS)으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갈 수록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한다.
상기 누설공간(LS)의 단면적을 점진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입구(LS1)의 압력보다 출구(LS2)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에서, 토출스텝 P1일 때, 상기 누설공간(LS)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상기 누설공간 출구(LS2)의 단면적도 가장 넓게 형성된다.
토출스텝 P1에서, 누설공간(LS)의 상하 방향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함으로써, 회풍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토출스텝 P2 내지 P6에서는 제 2 베인(220)이 배면토출가이드(370) 측으로 더 근접되기 때문에, 상기 누설공간(LS)으로 진입하는 공기는 더 적어진다.
<토출스텝 P2>
토출스텝 P1의 수평풍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인모듈이 P2 내지 P5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스텝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같거나 낮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모듈이 P2 내지 P5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스텝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구동링크축(241)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D-D')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상기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형성하는 사이각은 예각으로 형성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사풍은 수평풍과 수직풍 사이의 토출단계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풍은 P2, P3, P4, P5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경사풍은 토출스텝 P1 단계의 수평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2는 P1에서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2)은 토출스텝 P1 상태에서의 간격(S1)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토출스텝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1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상승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과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유사한 높이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회동(스윙)된다.
특히,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좀더 전진하고,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좀더 회동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회전에 의해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좀더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2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반대다.
상기 토출스텝 P2에서, 베인모터(230)는 78도(P2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1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56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2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P1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P2 상태에서,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토출스텝 P2을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전방으로 좀 더 이동된다. 즉, 제 2 베인(220)과 제 1 베인(210)의 간격은 좀 더 벌어진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구동링크(240)의 배치되는 토출스텝 P1과 유사하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 구동링크축(242) 및 코어링크축(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2 베인축(221)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제 3 조인트부(226)가 제 2 베인축(221)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3 조인트부(226)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조인트부(216)가 제 2 조인트부(217)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후방 측 단(222b)은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대략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특히,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전방측 단(222a)만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로 변경될 때,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토출구(102)의 전방 측 가장자리(102a)보다 좀 더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3>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3를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2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3의 경사풍은 P2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3는 P2에서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3)은 토출스텝 P2 상태에서의 간격(S2)보다 넓게 이격된다.
즉,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2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회동(스윙)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1 베인(210)은 거의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토출방향으로 전진되는 대신 제자리에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상기 토출스텝 P3에서, 베인모터(230)는 95도(P3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29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67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3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P2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을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조금 더 이동된다. 토출스텝 P3을 기준으로,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제 2 방향 회전에 의해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상측으로 상승된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가 제 1 베인링크(250)의 길이 보다 짧기 때문에, 제 2 조인트부(217)의 상측 높이가 더 크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2 상태와 유사하다.
다만,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되어 상하방향에 대해 유사한 높이로 형성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는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2와 유사하다.
그래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및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는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로 변경될 때,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해 좀 더 수직하게 회동 또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4를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3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4의 경사풍은 P3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4는 토출스텝 P3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4)은 토출스텝 P3 상태에서의 간격(S3)보다 넓게 이격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3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3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3보다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이동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움직임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4에서, 베인모터(230)는 100도(P4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35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0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4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P3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4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된다. 토출스텝 P4을 기준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상승하거나 거의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이상으로 제 1 베인(210)이 회전되면, 상기 제 1 베인(210)은 지금까지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1 부터 토출스텝 P4 까지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3 상태와 유사하다. 다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방향과,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된다.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되어,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되고,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직선의 형태이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3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링크(250)을 움직임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링크(250), 제 1 베인(210),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결합관계를 통해, 제 1 베인링크(25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는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B-B'라 정의한다.
토출스텝 P4에서, D-D'과 B-B'은 직선으로 연결되고,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3까지 D-D' 및 B-B'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스텝 P4에서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스텝 P5 및 P6에서는 18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5>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5를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4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5의 경사풍은 토출스텝 P4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5는 토출스텝 P4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조금 더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5)은 토출스텝 P4 상태에서의 간격(S4)보다 넓게 이격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4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4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4보다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즉,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이동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5에서, 베인모터(230)는 105도(P5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44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2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5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출스텝 P4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5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조인트부(216)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 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4 상태와 유사하다.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5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약간 더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일렬로 배치되고, 토출스텝 P5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180도 이상의 둔각(D-D'를 기준으로)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코어링크축(243),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3 조인트부(226)가 형성하는 사이각은 점점 증가된다.
다만,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코어링크축(243),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3 조인트부(226)가 형성하는 사이각은 180도 이내로 형성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3 조인트부(226) 및 코어링크축(243) 사이에 위치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4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는 토출스텝 P4 상태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반대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전방 측)으로 이동되지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 반대 측(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좀 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
토출스텝 P6의 모듈베인(200) 상태를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풍으로 정의한다.
상기 수직풍은 모듈베인(200)을 구성하는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수직으로 배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구(102)의 하측으로 토출된다는 의미이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6을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6에서, 토출공기는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은 최소화되고,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이 극대화된다. 상기 토출스텝 P6의 수직풍은 토출스텝 P5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6는 토출스텝 P5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조금 더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b)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 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구(102)를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6)은 토출스텝 P5 상태에서의 간격(S5)보다 넓게 이격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5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5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5보다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즉,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되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상기 토출스텝 P6에서, 베인모터(230)는 110도(P5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5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4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6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출스텝 P5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6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조인트부(216)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 측으로 조금 더 돌출되어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5 상태와 유사하다.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코어링크축(243)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측 가장자리(102a)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6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더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측면에서 볼 때, 토출스텝 P6에서, 제 2 조인트부(217)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겹쳐질 수 있다.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을 보다 수직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다만, 토출스텝 P6에서, 제 2 조인트부(217)는 L1-L1'을 넘어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 보다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제 2 조인트부(217)가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베인모터를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링크(240)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스텝 P6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와 스토퍼(270)의 일측단(270a)이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상기 스토퍼(270)에 지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180도 이상의 둔각(D-D'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코어링크축(243) 하측에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이 위치되고,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하측에 제 2 조인트부(217)가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 하측에 제 3 조인트부(226)가 위치되고, 제 3 조인트부(226) 하측에 제 1 조인트부(216)가 위치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3 조인트부(226) 및 코어링크축(243) 사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는 토출스텝 P5 상태와 유사하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가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보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은 토출스텝 P5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 보다 크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2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승된다. 그러나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강된다. 즉, 토출스텝 P4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움직임이 달라진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을 보다 수직게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일 때,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코어링크축(243)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에서 베인모듈(20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최대로 이격된다.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2 조인트부(217) 또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 1 베인링크(250)와 오버랩된다.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2 조인트부(217) 또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 선상 또는 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구(102) 내측에 위치되고, 사이드커버(314)의 외측면 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이 토출구(102)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02)의 공기를 보다 수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프론트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베인모듈
210 : 제 1 베인 212a :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
212b :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
216 : 제 1 조인트부 217 : 제 2 조인트부
220 : 제 2 베인 222a :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222b :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226 : 제 3 조인트부 230 : 베인모터
240 : 구동링크 241 : 제 1 구동링크축
242 : 제 2 구동링크축 243 : 코어링크축
245 : 구동링크바디 246 : 제 1 구동링크바디
247 : 제 2 구동링크바디 248 : 코어바디
250 : 제 1 베인링크 260: 제 2 베인링크
251 : 제 1-1 베인링크축 252 : 제 1-2 베인링크축
261 : 제 2-1 베인링크축 262 : 제 2-2 베인링크축
300 : 프론트패널 310 : 프론트바디
320 : 흡입그릴 330 : 프리필터
400 : 모듈바디 410 : 제 1 모듈바디
420 : 제 2 모듈바디 500 : 엘리베이터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프론트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베인모듈
210 : 제 1 베인 212a :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
212b :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
216 : 제 1 조인트부 217 : 제 2 조인트부
220 : 제 2 베인 222a :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222b :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226 : 제 3 조인트부 230 : 베인모터
240 : 구동링크 241 : 제 1 구동링크축
242 : 제 2 구동링크축 243 : 코어링크축
245 : 구동링크바디 246 : 제 1 구동링크바디
247 : 제 2 구동링크바디 248 : 코어바디
250 : 제 1 베인링크 260: 제 2 베인링크
251 : 제 1-1 베인링크축 252 : 제 1-2 베인링크축
261 : 제 2-1 베인링크축 262 : 제 2-2 베인링크축
300 : 프론트패널 310 : 프론트바디
320 : 흡입그릴 330 : 프리필터
400 : 모듈바디 410 : 제 1 모듈바디
420 : 제 2 모듈바디 500 : 엘리베이터
Claims (15)
-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저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케이스하우징;
상기 케이스하우징의 저면을 커버하고, 하측을 향해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패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로어토출유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흡입구 및 제 1 베인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베인;
상기 흡입구 및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고,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토출가이드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 중 상기 흡입구 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토출유로에서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함몰된 부분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면;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가이드면; 및
상기 로어토출유로에 노출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4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제 1 가이드면보다 상기 흡입구 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흡입구 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확장깊이(T)를 형성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높이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이드면에서 상기 제 4 가이드면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의 단면적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면 및 제 3 가이드면을 수직하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은 상기 제 2 베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가이드면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패널에 조립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프론트패널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바디 및 제 1 베인과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링크;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베인과 각각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링크;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 상기 제 2 베인바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리브; 상기 제 2 베인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베인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인축은 상기 제 2 가이드면 하측에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은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및 제 3 가이드면 사이의 단면적은, 상기 제 4 가이드면의 하단 및 제 2 베인의 저면 사이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베인의 저면 및 토출가이드 사이에 누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누설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누설공간의 평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드레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드레인팬에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10449 WO2019050311A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AU2018330131A AU2018330131B2 (en) | 2017-09-06 | 2018-09-06 |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114121 | 2017-09-06 | ||
KR1020170114121 | 2017-09-06 | ||
KR1020170121408 | 2017-09-20 | ||
KR20170121408 | 2017-09-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7348A true KR20190027348A (ko) | 2019-03-14 |
KR102201562B1 KR102201562B1 (ko) | 2021-01-12 |
Family
ID=6575971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6394A KR102165468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0180106647A KR102080512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0180106756A KR102201562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0180106320A KR102165467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0180106319A KR102078277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6394A KR102165468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0180106647A KR102080512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6320A KR102165467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0180106319A KR102078277B1 (ko) | 2017-09-06 | 2018-09-06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6) | EP3680570A4 (ko) |
KR (5) | KR102165468B1 (ko) |
CN (9) | CN111316045B (ko) |
AU (8) | AU2018330131B2 (ko) |
ES (1) | ES2974022T3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5310A (ko) | 2021-09-28 | 202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20230055133A (ko) | 2021-10-18 | 202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23313A (zh) * | 2019-11-18 | 2020-04-17 | 南通康净环保科技有限公司 | 用于中央空调风机盘管的回风口的过滤装置及其安装方法 |
KR20210111108A (ko) * | 2020-03-02 | 2021-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KR102416909B1 (ko) * | 2020-05-07 | 2022-07-04 | 이정민 | 다기능 공기 청정기 |
KR20210154030A (ko) * | 2020-06-11 | 2021-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EP4166857A4 (en) * | 2020-08-11 | 2023-12-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EILING AIR CONDITIONER |
CN112066517B (zh) * | 2020-09-18 | 2021-06-08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温度检测装置的传动机构的故障检测方法、空调 |
KR20220065337A (ko) | 2020-11-13 | 2022-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실내기 |
WO2022257307A1 (zh) * | 2021-06-07 | 2022-12-15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空调室内机 |
CN116897263A (zh) * | 2021-07-12 | 2023-10-17 | 三星电子株式会社 | 空气调节器 |
CN113719999A (zh) * | 2021-09-03 | 2021-11-3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导流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
KR20230060193A (ko) | 2021-10-27 | 2023-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20230060192A (ko) | 2021-10-27 | 2023-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20230157731A (ko) * | 2022-05-10 | 2023-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240124702A (ko) | 2023-02-09 | 2024-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240124701A (ko) | 2023-02-09 | 2024-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16657966B (zh) * | 2023-06-19 | 2024-01-12 | 广州澳企实验室技术股份有限公司 | 一种高精度恒温恒湿微电子百级洁净实验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9838B1 (ko) | 2005-10-05 | 2007-0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KR20080035946A (ko) * | 2006-10-20 | 2008-04-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
Family Cites Families (6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447A (ja) * | 1984-11-16 | 1986-06-10 | Sanyo Electric Co Ltd | 流体偏向装置 |
JPH01217148A (ja) * | 1988-02-25 | 1989-08-30 | Sanyo Electric Co Ltd | 風向変更装置 |
JPH035661A (ja) * | 1989-05-31 | 1991-01-11 | Toshiba Corp |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 |
JP3069577B2 (ja) * | 1990-10-01 | 2000-07-24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JP3293976B2 (ja) * | 1993-09-17 | 2002-06-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
JP3424779B2 (ja) * | 1995-06-09 | 2003-07-07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JPH09145140A (ja) * | 1995-11-24 | 1997-06-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
CN1164004A (zh) * | 1996-03-21 | 1997-11-05 | 三星电子株式会社 | 空气调节器的风向调节装置 |
JP3356257B2 (ja) * | 1996-06-06 | 2002-12-16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調和機 |
JPH10132320A (ja) * | 1996-11-01 | 1998-05-22 | Sanyo Electric Co Ltd | 空気調和機 |
JP3302906B2 (ja) * | 1997-07-15 | 2002-07-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KR100256413B1 (ko) * | 1997-12-15 | 2000-05-15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 좌우풍향 조절장치 |
JPH11237112A (ja) * | 1998-02-24 | 1999-08-31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JP3885846B2 (ja) * | 1998-04-17 | 2007-02-28 |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 空気調和機 |
JP3440016B2 (ja) * | 1999-02-25 | 2003-08-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3438684B2 (ja) * | 1999-11-05 | 2003-08-1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
JP3624808B2 (ja) * | 2000-08-11 | 2005-03-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化粧パネル、吹出口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
JP3899459B2 (ja) * | 2002-01-10 | 2007-03-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
KR100526207B1 (ko) * | 2003-06-10 | 2005-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
JP3988081B2 (ja) * | 2003-06-12 | 2007-10-10 | 豊田合成株式会社 | 風向調整装置 |
JP2005147436A (ja) * | 2003-11-12 | 2005-06-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空気調和装置 |
JP4098704B2 (ja) * | 2003-11-14 | 2008-06-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風向変更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
JP3700718B2 (ja) * | 2003-11-27 | 2005-09-2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KR20070044342A (ko) * | 2005-10-24 | 2007-04-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루버모터 장착구조 |
KR100678316B1 (ko) * | 2006-01-19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070077642A (ko) * | 2006-01-24 | 2007-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 실내기 |
JP4720644B2 (ja) * | 2006-06-26 | 2011-07-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2008122003A (ja) * | 2006-11-14 | 2008-05-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 |
JP4365432B2 (ja) * | 2007-09-07 | 2009-11-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100907604B1 (ko) * | 2007-11-09 | 2009-07-14 |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에너지 절감형 공조시스템 |
JP4561924B2 (ja) * | 2008-07-18 | 2010-10-1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天井設置型の空気調和機 |
JP2010060223A (ja) * | 2008-09-04 | 2010-03-18 | Sharp Corp | 空気調和機 |
KR101477814B1 (ko) * | 2008-10-21 | 2014-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
CN101539315A (zh) * | 2009-04-23 | 2009-09-23 |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 空气调节器室内机及其运行模式 |
CN201672642U (zh) * | 2010-04-27 | 2010-12-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空调器的导风结构 |
JP2013133963A (ja) * | 2011-12-26 | 2013-07-08 | Panasonic Corp | 空気調和機 |
JP5408227B2 (ja) * | 2011-10-31 | 2014-02-0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室内機 |
WO2013084426A1 (ja) * | 2011-12-06 | 2013-06-1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2013124805A (ja) * | 2011-12-14 | 2013-06-24 | Panasonic Corp | 空気調和機 |
JP5720600B2 (ja) * | 2012-02-10 | 2015-05-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室内機 |
JP5745480B2 (ja) * | 2012-09-12 | 2015-07-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5754429B2 (ja) * | 2012-09-13 | 2015-07-2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室内機 |
KR101312640B1 (ko) * | 2013-06-14 | 2013-09-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03322661B (zh) * | 2013-06-20 | 2016-11-02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出风口导风结构、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
KR20150041340A (ko) * | 2013-10-08 | 2015-04-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JP6195391B2 (ja) * | 2014-01-24 | 2017-09-13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101662377B1 (ko) * | 2014-01-27 | 2016-10-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2335152B1 (ko) * | 2014-02-28 | 2021-12-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
CN203848467U (zh) * | 2014-05-14 | 2014-09-2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天井机面板以及天井机 |
KR102393966B1 (ko) * | 2015-02-18 | 2022-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JPWO2016207946A1 (ja) * | 2015-06-22 | 2017-06-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6498598B2 (ja) * | 2015-12-21 | 2019-04-10 |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
JP6682901B2 (ja) * | 2016-02-22 | 2020-04-1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風向調整装置 |
CN105571098A (zh) * | 2016-02-23 | 2016-05-1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出风口结构及空调 |
CN205878344U (zh) * | 2016-06-29 | 2017-01-11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室内机 |
KR20180037514A (ko) * | 2016-10-04 | 2018-04-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833303B1 (ko) * | 2016-12-24 | 2018-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N106678982B (zh) * | 2017-02-16 | 2022-07-2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出风面板及具有其的空调装置 |
CN107062399B (zh) * | 2017-04-10 | 2019-05-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器 |
CN108224733B (zh) * | 2018-03-06 | 2023-06-30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空调器的齿轮组传动机构 |
-
2018
- 2018-09-06 EP EP18853201.4A patent/EP3680570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KR KR1020180106394A patent/KR1021654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06 EP EP18854349.0A patent/EP3680572B1/en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18854348.2A patent/EP3680571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CN CN201880071881.2A patent/CN111316045B/zh active Active
- 2018-09-06 KR KR1020180106647A patent/KR10208051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06 AU AU2018330131A patent/AU2018330131B2/en active Active
- 2018-09-06 KR KR1020180106756A patent/KR1022015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06 CN CN201880071875.7A patent/CN111566413B/zh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23216196.8A patent/EP4332446A3/en active Pending
- 2018-09-06 KR KR1020180106320A patent/KR102165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06 CN CN202210475228.0A patent/CN114738986B/zh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111519577.XA patent/CN114165912B/zh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111045041.9A patent/CN113739400B/zh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2111182942.2A patent/CN113864870B/zh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30128A patent/AU2018330128B2/en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1880071874.2A patent/CN111295553B/zh active Active
- 2018-09-06 EP EP18854263.3A patent/EP3693676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EP EP18854669.1A patent/EP3680573A4/en active Pending
- 2018-09-06 CN CN201880071876.1A patent/CN111295554B/zh active Active
- 2018-09-06 CN CN201880071848.XA patent/CN112204315B/zh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30127A patent/AU2018330127B2/en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27937A patent/AU2018327937B2/en active Active
- 2018-09-06 AU AU2018330129A patent/AU2018330129B2/en active Active
- 2018-09-06 ES ES18854349T patent/ES2974022T3/es active Active
- 2018-09-06 KR KR1020180106319A patent/KR1020782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5-04 AU AU2022202993A patent/AU2022202993B2/en active Active
- 2022-05-04 AU AU2022202992A patent/AU2022202992B2/en active Active
- 2022-09-05 AU AU2022228087A patent/AU202222808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9838B1 (ko) | 2005-10-05 | 2007-0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KR20080035946A (ko) * | 2006-10-20 | 2008-04-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장치의 실내유닛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5310A (ko) | 2021-09-28 | 2023-04-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KR20230055133A (ko) | 2021-10-18 | 2023-04-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27348A (ko)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
KR20190039793A (ko) | 공기가 통과하는 행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조립체 | |
AU2018388327B2 (en) |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90033033A (ko)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
CN115244341B (zh) | 吊顶式空调室内机 | |
KR102697590B1 (ko)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
KR102480369B1 (ko) |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천장형 실내기 | |
KR102262738B1 (ko)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
KR20210157135A (ko)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