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41340A -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340A
KR20150041340A KR20130119741A KR20130119741A KR20150041340A KR 20150041340 A KR20150041340 A KR 20150041340A KR 20130119741 A KR20130119741 A KR 20130119741A KR 20130119741 A KR20130119741 A KR 20130119741A KR 20150041340 A KR20150041340 A KR 2015004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panel
suction
discharge port
dri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1340A/ko
Priority to CN201410502515.1A priority patent/CN104515203B/zh
Priority to EP14187785.2A priority patent/EP2860462B1/en
Priority to US14/508,161 priority patent/US20150096723A1/en
Publication of KR2015004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의 구동을 위한 베인 구동 어셈블리가 베인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개선하고, 베인의 양측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구동을 위한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외측면이 베인과 접하여 토출 공기의 유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oiner }
본 발명은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시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 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실내열교환기)에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이나 소음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된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 중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중에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는 상부를 형성하는 케이싱 본체(10)가 천장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며, 하면을 형성하는 판넬(200)과 흡입 그릴(40)은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는 상기 케이싱 본체(10)가 천장 상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천장을 올려다 보았을 때 판넬(20)과 흡입 그릴(40)만 보이게 된다.
상기 판넬(20)은 실내기(1)의 하면 외관 테두리부를 형상하는 것으로,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으로 천공되어 실내 공기가 실내기(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미도시)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분출구(26)가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20)은 상기 분출구(26)를 기준으로 외측을 형성하는 외측 프레임 판넬(22)과, 내측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 판넬(2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출구(26)는 상기 외측 프레임 판넬(22)과 내측 프레임 판넬(24)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레임 판넬(24)과 외측 프레임 판넬(22)의 사이에는 상기 분출구(26)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조절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내측 프레임 판넬(24)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안착 공간이 형성되며, 안착 공간에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2)가 형성된 흡입 그릴(4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40)은 내측 프레임 판넬(24)의 하면에 함몰된 안착 공간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 공간의 둘레와는 밀착되어 일체감이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부(30)는 상기 내측 프레임 판넬(24)과 외측 프레임 판넬(22)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라운드 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풍향조절부(30)는 상기 풍향조절부(3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풍향조절 구동부(32)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와 연결되어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의 동작에 따라 상기 풍향조절부(30)가 회전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실내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풍향조절부(30)는 회전시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풍향조절부(30)의 위치가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의 사이에 위치되어야 하며, 상기 풍향조절부(30)의 크기는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의 사이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는 외측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풍향조절 구동부(32)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내측 프레임 판넬(24)과 외측 프레임 판넬(22)의 사이 간격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상기 실내기(1)를 하방에서 바라보게 될 때, 비교적 크기가 큰 상기 내측 프레임 판넬(24)과 외측 프레임 판넬(22) 사이 그리고 풍향조절부(30)와 외측 프레임 판넬(22) 사이의 틈새가 노출될 뿐만 아니라, 풍향조절 구동부(32)가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부(30)는 풍향조절 구동부(3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분출구(26)의 크기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분출구(26)의 크기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외관이 좋지 못함은 물론 공기의 토출 효율 또한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의 구동을 위한 베인 구동 어셈블리가 베인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을 개선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인의 양측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구동을 위한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외측면이 베인과 접하여 토출 공기의 유동을 개선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장착되며,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면을 형성하는 판넬; 상기 판넬의 중앙에 개구되며,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외측의 판넬에 개구되며, 양측 단부가 라운드진 두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베인; 상기 판넬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인의 양측과 결합되어 상기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판넬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외측면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시 상기 베인의 단부와 간섭을 방지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토출구의 양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베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베인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인과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베인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의 단부 라인을 따라 접하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과 스토퍼부를 따라 상기 토출구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인의 회전 축과 결합되어 회전 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절곡된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회전 축을 탄성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다수의 베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에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그릴의 외측단에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 라인과 일치되도록 연장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에는 상기 다수의 토출구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외측단은,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넬에는 상기 토출구의 외측 라인과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의 라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 그릴은 판넬을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며, 특히 흡입 그릴이 판넬의 토출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토출구의 내측 라인을 형상하도록 구성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의 외측 라인과 흡입 그릴의 돌출부가 라운드 홈에 의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하여 부품간의 연결부위로 인해 발생되는 라인을 최소화 하여 외관이 한층 더 깔끔하고 정돈된 이미지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구와 베인의 양측단이 라운드진 두개의 곡선이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의 내측면에는 베인 구동 어셈블리가 장착되며, 상기 베인이 닫힌 상태에서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이 회전 되는 상태에서 상기 베인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상면에는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기 베인의 원할한 회전에 의한 토출구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인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와 밀착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베인과 스토퍼의 외면을 따라서 중앙측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게 되어 냉기가 효과적으로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구의 단부에 적체되지 않고 베인과 상기 스토퍼를 따라 원할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구의 단부 또는 베인의 단부에 결로가 발생되거나 그로 인한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판넬과 흡입 그릴이 결합된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베인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베인과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베인과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흡입 그릴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흡입 그릴의 그릴부 단면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연결부재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흡입 그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베인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베인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판넬 및 흡입 그릴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이하 "실내기"라 칭함)는 전체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 내부에 삽입되는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의 설치시 상기 천장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판넬(200) 및 흡입 그릴(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10)와, 실내공기의 강제 흡입 및 토출을 위한 송풍팬(120)과, 상기 송풍팬(12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벨마우스 형상의 에어가이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은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은 상기 캐비넷(11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200)에는 상기 캐비넷(11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토출구(210)가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판넬(200)의 각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판넬(200)의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에 장착되는 베인(2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200)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실내기(1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적어도 일부는 그릴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유입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판넬(200) 및 흡입 그릴(30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판넬과 흡입 그릴이 결합된 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200)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흡입구(230)가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230)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의 크기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30)의 외측에는 상기 토출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상하좌우 모두 네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30) 외측에는 그릴 안착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안착부(232)는 상기 흡입 그릴(3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연결부재(400)가 장착되는 판넬측 장착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둘레는 전체적으로 상기 토출구(210)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둘레는 라운드 홈(23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라운드 홈(234)은 네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흡입 그릴(300)의 돌출부(320)의 단부와 대응하는 라인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토출구(210)의 베인(220)과 흡입 그릴(300) 및 상기 판넬(200)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은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판넬(200)을 따라 흐르지 않고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단면이 소정의 라운드 또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천장면이 젖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넬(200)의 네 모서리에는 점검구(240)가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40)는 상기 판넬(200)의 고정 및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판넬(200) 배면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의 서비스 또는 상기 실내기(100)의 동작 확인을 위한 것으로 코너 커버(242)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구(240)와 코너 커버(242)는 상기 판넬(200)의 네 모서리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 커버(242)의 단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을 경계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돌출부(320)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코너 커버(242)와 상기 돌출부(320)는 모두 상기 라운드 홈(234)과 대응하는 라인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체감이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넬(200)의 그릴 안착부(232)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판넬 브라켓(236)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판넬 브라켓(236)은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보강은 물론,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 장착되는 흡입 그릴(300)의 장착 및 개폐를 위한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판넬 브라켓(236)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그릴 안착부(232)와 판넬 브라켓(236)이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그릴 안착부(232)가 판넬 브라켓(236)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판넬 브라켓(236)은 상기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23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 브라켓(236)은 상기 판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부재(340)와 고정부재(330)가 걸림 구속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힌 상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 브라켓(236)은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과는 다른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넬 브라켓(236)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판넬(20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넬 브라켓(236)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23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37) 및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는 상기 개폐부재(340)와 고정부재(330)가 상기 판넬(200)의 전단 및 후단과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판넬 브라켓(236)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이 상기 개폐부재(340)와 고정부재(330) 및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에 의해 네 방향에서 모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후 방향으로 중간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가 상기 판넬 브라켓(236)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좌우 양측단이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후단은 상기 개폐부재(340)와 고정부재(33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흡입 그릴(300)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판넬 브라켓(236)이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판넬(200)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340)와 고정부재(330) 및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는 상기 판넬(200)의 대응하는 위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340)와 고정부재(330) 그리고 상기 그릴 구속부재(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판넬 브라켓(236)과 구속되고, 나머지는 판넬(200)과 구속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그릴 안착부(232)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판넬(200)의 하면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각 변에는 요입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310)는 각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의 라인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 라인과 상기 요입부(31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요입부(310)는 양측단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의 곡률은 상기 토출구(210) 및 베인(22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220)의 내측 라인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단부는 동일 간격으로 인접하게 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과 판넬(200)은 보다 일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 그릴(300)의 네 모서리에는 돌출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각각의 요입부(310) 사이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요입부(310) 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장착시 각각의 상기 토출구(21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320)의 단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 그릴(300) 및 상기 베인(220)이 형성하는 둘레의 형상과 상기 라운드 홈(234)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20)의 폭은 상기 코너 커버(242)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320)를 따라 형성되는 사이드 홈(238)은 상기 코너 커버(242)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판넬(200)의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홈(238)은 상기 흡입 그릴(300)의 요입부(310) 및 상기 베인(220)의 내측 라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의 하면을 바라보게 될 때 상기 라운드 홈(234)이 중앙에 위치되고, 네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사이드 홈(238)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 홈(234) 및 사이드 홈(238)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과 토출구(210) 및 베인(220)의 형상이 정의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베인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베인과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베인과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210)는 베인(2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인(220)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 모터(277)가 구비되어 상기 베인(220)이 구동 모터(277)에 의해 회전하여 개폐되거나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인(220)의 형상은 상기 토출구(2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210)와 동일하게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인(220)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토출구(210)를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210)의 외측 라인 즉, 라운드 홈(234)과 동일한 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베인(22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베인(220)의 외측단은 상기 라운드 홈(234)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판넬(200)과 접하고, 상기 베인(220)의 내측단은 상기 흡입 그릴(360)의 요입부(310)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210)의 형상과 대응하는 판상의 플레이트(221)와, 상기 판상의 플레이트(221)의 하면에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21)는 토출 공기의 원활한 안내를 위해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 및 흡입 그릴(300)의 외측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21)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221)의 상면과 하면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1)의 하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베인 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인 홈(222)은 공기의 토출시 상기 베인(220)의 표면에 결로 발생시 물방울이 맺힐 수 있도록 하여 실내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부(223)는 상기 베인(220)의 하면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에 상기 베인(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223)는 상기 베인(220)의 하면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4)와, 상기 연장부(224)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축(2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4)는 상기 회전 축(225)이 상기 플레이트(221)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베인(220)의 회전시 상기 플레이트(221)와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4)의 내측면과 상기 플레이트(221)의 사이에는 보강 지지부(226)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지지부(226)는 상기 베인(220)의 장착시 상기 연장부(224)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연장부(224)와 플레이트(221)가 인접하는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225)은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좌우 양측의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225)상기 회전 축(225)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보강 돌기(22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210)의 좌우 양측에는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가 장착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는 상기 베인(220)을 좌우 양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판넬(200)의 상면에 각각 고정 장착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는 케이스(27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71)의 내부에는 구동 모터(277) 또는 서포트 플레이트(278)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는 상기 베인(2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이 중 일측방에 구비되는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는 내부에 구동 모터(277)가 구비되어 상기 베인(220)이 회전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게 되며, 다른 일측방에 구비되는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는 내부에 서포트 플레이트(278)가 구비되어 상기 베인(220)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인(220)의 좌우 양측방에 구비되는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케이스(271)의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지만, 일측방의 케이스(271)에는 구동 모터(277)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방의 케이스(271)에는 서포트 플레이트(278)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271)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판넬(200)의 상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71)의 일측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 고정부(27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고정부(272)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케이스(271)가 상기 판넬(20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71)의 상면에는 스토퍼부(273)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273)는 상기 케이스(271)의 상면 일부가 경사 또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인(220)의 회전시 간섭되지 않도록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271) 상면 중 좌측(도 6에서 볼 때)이 우측 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상기 베인(2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인(220)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부(273)는 상기 베인(220)이 완전히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베인(220)의 단부와 접하게 되며, 상기 베인(220)이 더 이상 회전 하지 않도록 제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273)의 경사 또는 곡면은 적으로 상기 스토퍼부(273)가 완전히 회전(도 6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70°~ 90°)상기 토출구(210)를 개방할 때까지는 상기 베인(220)의 플레이트(22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향 경사 또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인(22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레이트(221)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273)와 접하여 밀착 되며, 토출되는 공기가 플레이트(221)와 상기 스토퍼부(273)에 의해 측방으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토출구(210) 내측에서 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단열부재(280)의 곡면을 따라서 실내공간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베인(220)에 의해 상기 토출구(210)는 상기 베인(220)의 전면과 후면측으로 구획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베인(220)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271)의 측면에는 관통홀(27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74)은 상기 베인(220)의 회전 축(225)이 삽입되는 구멍으로, 상기 베인(220)의 장착시 상기 회전 축(225)이 삽입되거나, 상기 회전 축(225)과 연결되는 링크 또는 부싱 등이 통과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71)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 모터(277) 또는 서포트 플레이트(278)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277)가 장착되는 케이스(271)의 내부에는 모터 장착부(275)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 장착부(275)는 구동 모터(277)의 양측의 모터 브라켓(277a)과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터 장착부(275)는 상기 관통홀(274)이 형성되는 측면에서 연장되며,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모터 브라켓(277a)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가 장착되는 케이스(271)의 내부에는 플레이트 장착부(276)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6)는 상기 케이스(27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를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6)는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6)와 상기 케이스(271)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는 상기 베인(22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인(220)의 회전 축(225)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인(220)의 장착시 양측의 회전 축(225) 중 서포트 플레이트(278)와 일측의 회전 축(225)을 먼저 결합시키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를 밀어 상기 구동 모터(277)와 상기 다른 일측의 회전 축(225)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는 좌우 양측이 절곡되는 절곡부(278a)와 상기 절곡부(278a) 사이의 연결부(278b)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278b)에는 상기 케이스(271)의 관통홀(27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결 보스(278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78a)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276)와 접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보스(278c)는 관통홀(274)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271)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베인(220)의 회전 축(225)은 상기 연결 보스(278c)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는 상기 연결 보스(278c)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베인(220)의 회전 축(225)이 상기 관통홀(274)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278b)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회전 축(22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220)을 상기 회전 축(225)의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78)가 탄성 변형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측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베인(22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 축(225)을 상기 구동 모터(277)에 장착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흡입 그릴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300) 상면의 좌우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부재(400)가 장착되는 그릴측 장착부(37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부(350)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한쌍의 리브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의 상면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상기 흡입 그릴(30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330)과, 상기 흡입 그릴(300)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개폐부재(3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후측에 별도의 부재로 장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쌍의 돌출된 고정편(332)과 상기 고정편(332)을 연결하며, 상기 흡입 그릴(30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3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고정편(332)은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을 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고정편(332)이 상기 판넬(2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의 후단이 상기 판넬(2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흡입 그릴(300)을 전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흡입 그릴(300)의 후단이 상기 판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흡입 그릴(30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30)와 대응하는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에는 상기 고정부재(330)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부재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고정부재(330)가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판넬(200) 또는 판넬 브라켓(236)과 구속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 및 구속해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34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전반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재(330)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좌우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40)는 사용자의 조작시 탄성에 의해 상기 판넬(200)과 흡입 그릴(300)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분리 또는 장착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340)의 조작부(341) 조작을 위해 상기 흡입 그릴(300) 하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40)에는 한쌍의 삽입편(34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340)의 조작에 따라 삽입편(343)이 상기 흡입 그릴(3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삽입편(343)이 상기 흡입 그릴(300)의 일측과 걸림 구속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그릴(300)의 상방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25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25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물리 화학적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가기 위한 상기 에어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는 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필터 케이스(250)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00)의 중앙에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흡입부(35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350)는 상기 판넬(200)의 흡입구(230)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며, 흡입되는 공기가 온전히 상기 판넬(200)을 통해 상기 캐비넷(110)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입부(35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면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상기 흡입 그릴의 그릴부 단면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의 10-10'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그릴(300)의 흡입부(35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그릴(360)에 의해 격자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차되는 그릴(360)의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352)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그릴(360)의 단 면형상은 도면과 같이, 상기 그릴(360)은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흡입홀(35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그릴(360)을 통과한 직후 서로 충돌되지 않고 원할하게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360)은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상방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이물 등이 낙하하여 상기 공간에 모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릴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그릴(360)은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61)와, 상기 경사부(36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3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61)는 하방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230)는 하단이 가장 넓게 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62)는 상기 경사부(361)의 상단에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경사부(361)의 상하 길이(D1)보다는 상기 수직부(362)가 더 짧은 길이(D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361)의 각도는 상기 경사부(361) 상단 즉, 상기 수직부(362)의 상단의 가로방향 거리(D3)와 상기 수직부(362)의 세로방향 길이(D2)를 비교할 때 상기 수직부(362) 상단의 거리(D3)가 적어도 수직부의 길이(D2)보다 2배 이상이 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홀(352)을 통과하는 공기가 각각의 상기 흡입홀(352)의 상단에서도 분리된 상태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홀(35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홀(352)을 통과하게 될때 충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 그릴(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판넬(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폐시 상기 흡입 그릴(300)과 상기 판넬(2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은 상기 판넬(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폐시 상기 흡입 그릴(300)은 슬라이딩 이동 및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재(400) 및 상기 연결부재(400)의 장착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연결부재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흡입 그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0)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판넬(200)과 흡입 그릴(300)에 장착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 그릴(300)과 상기 판넬(200)을 연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입 그릴(30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그릴측 장착부(370)가 형성되고, 상기 판넬(200)에는 판넬측 장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는 상기 연결부재(400)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 결합부(422)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 결합부(4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쌍의 돌출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결합부(422)는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422)의 양측이 상기 그릴측 장착부(3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단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판넬(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구비된다. 즉,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판넬(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모두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의 장착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흡입 그릴(300)의 개방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400)를 상기 판넬(200)의 전반부에 위치된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에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판넬(200)의 전반부를 축으로 상기 흡입 그릴(300)이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연결부재(400)를 상기 판넬(200)의 후반부에 위치된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에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판넬(200)의 후반부를 축으로 상기 흡입 그릴이 회동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넬(200)에 형성되는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그 방향과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조와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261)와 상기 테두리(261)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롯(262)과, 상기 슬롯(262)의 좌우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구속부(265,2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61)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단부가 수용되며,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261)는 전후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안착부(2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262)은 상기 테두리(261)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롯(26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롯(262)의 폭은 상기 연결부재 상단의 폭 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슬롯(262)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단은 상기 슬롯(262)의 양측방으로 돌출되도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롯(262)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재(400) 상단의 폭과 대응하거나 더 크게 개구되어 상기 연결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장착시에는 상기 슬롯(262)의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단이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슬롯(26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롯(2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262)의 좌우 양측방에는 바닥면(26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400) 상단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접촉부(412)와 접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연결부재(400)의 이동시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263)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412)가 자연스럽게 상기 바닥면(263)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롯(262)의 단부에는 제 1 구속부(26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속부(265)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롯(262)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슬롯(262)의 단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슬롯(262)의 하단으로 향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263)의 일측에는 제 2 구속부(26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속부(266)는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412)가 위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263)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부(412)가 상기 흡입 그릴(30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구속부(266)는 상기 제 1 구속부(265)와 가까운 위치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면(267)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267)의 가장 높은 단부에서는 상기 바닥면(263)과 수직한 수직면(268)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을 닫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접촉부(412)가 상기 제 1 구속부(26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별다른 제약없이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경사면(267)을 넘어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30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접촉부(412)는 상기 제 2 구속부(266)의 수직면(268)과 접하여 상기 연결부재(400)의 임의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267)과 수직면(268)은 서로 직교하는 면을 갖도록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412)의 슬라이딩 이동 및 구속이 각각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4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는 상기 흡입 그릴(300)의 완전한 개방시 상기 흡입 그릴(300)의 단부가 상기 판넬(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전체적으로 상부 절곡부(410)와 하부 절곡부(420) 그리고 중간 연결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410)는 상기 중간 연결부(430)를 기준으로 상방(도 10을 기준으로 할 때)으로 절곡 되고, 상기 하부 절곡부(420)는 그와 대향되는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와 하부 절곡부(420)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절곡부(410)와 하부 절곡부(420)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의 기울기가 하부 절곡부(420)의 기울기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410) 상단에는 접촉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판넬측 장착부(260)의 바닥면(263)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절곡부(410) 상단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12)는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상부 절곡부(410)의 양측에서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절곡부(410)와 중간 연결부(430) 및 하부 절곡부(42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0)가 상기 슬롯(26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 상기 접촉부(412)는 상기 슬롯(262) 양측의 바닥면(263)과 접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절곡부(420)는 상기 중간 연결부(430)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연장되어 중앙 부분이 서로 떨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부(420)의 하단 양측에는 회전 결합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결합부(422)는 상기 흡입 그릴(300)에 형성된 그릴측 장착부(370)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그릴(300)은 개방시 상기 회전 결합부(422)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가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공기의 흡입 및 토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베인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베인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판넬 및 흡입 그릴의 공기 유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220)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토출구(210)를 닫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실내공기의 흡입 및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토출구(2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베인(220)에 의해 상기 토출구(210)는 차폐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흡입 그릴(300)과 베인(220) 및 판넬(200)에 의해 형성되는 라운드 홈(234)이 형성되며, 그 외 상기 흡입 그릴(300), 베인(220), 판넬(200)은 다른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10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270)의 구동 모터(277)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베인(220)은 도 14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인(220)의 양측단은 상기 케이스(271)의 스토퍼부(273) 상방의 공간에서 회전되며, 상기 케이스(271)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상기 베인이 최대 각도로 회전 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베인의 각도는 도 13의 상태와 도 14의 상태 사이의 각도로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인(22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베인(220)의 양측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273)의 상방의 공간에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베인(220)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부(273)에 상기 베인(220)의 양측 단부가 접하여 멈춰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22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부(273)에 상기 베인(220)의 양측단이 접하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기 토출구(2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220)을 따라 흐르되 상기 케이스(271)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베인(220)의 내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구(210)를 통해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베인(220)에 의해 분리되어 토출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인(220)의 상면과 하면과 접하는 방향에서 실내를 향하여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를 통해서 토출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라운드 홈(234)에 의해서 상기 판넬(200)의 외측면을 따라 흐르지 않고, 상기 라운드 홈(234)에 의해 가이드되어 실내 공간을 향하도록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 외측의 판넬(200) 또는 천장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실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기의 전체적인 공기 흡입 토출 상태를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실내기(10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300)을 통해서 상기 실내기(100)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의 내측에서 열교환된 후 다수의 토출구(210)를 통해서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토출구(210)에 구비되는 베인(220)의 회전시 상기 베인(220)의 방향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토출구(210)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판넬(200)의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은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뿐만 아니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단부의 형상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1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단열부재(280)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특히 토출구(210)의 양측단의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271)의 스토퍼부(273)와 베인(220)이 접하게 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외측을 향하지 않고 상기 베인(220)의 내측을 향하게 된다. 또한, 토출되는 공기의 안내를 위해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단열부재(280) 또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중앙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의 양측단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중앙측을 향하여 모아 줄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토출구(210)의 양단 및 상기 베인(220)의 단부에 이슬맺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Claims (13)

  1.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장착되며, 실내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면을 형성하는 판넬;
    상기 판넬의 중앙에 개구되며,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외측의 판넬에 개구되며, 양측 단부가 라운드진 두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며,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베인;
    상기 판넬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베인의 양측과 결합되어 상기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판넬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흡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외측면에는,
    상기 베인의 회전시 상기 베인의 단부와 간섭을 방지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스토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토출구의 양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베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베인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인과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베인이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의 단부 라인을 따라 접하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베인과 스토퍼부를 따라 상기 토출구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인의 회전 축과 결합되어 회전 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는,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패널에 고정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절곡된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베인의 회전 축을 탄성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베인 구동 어셈블리와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회전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다수의 베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여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의 외측단에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 라인과 일치되도록 연장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의 모서리에는 상기 다수의 토출구 사이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측단은,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에는 상기 토출구의 외측 라인과 상기 베인의 외측 라인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 라인을 연결하는 폐곡선 형상의 라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30119741A 2013-10-08 2013-10-08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741A KR20150041340A (ko) 2013-10-08 2013-10-08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1410502515.1A CN104515203B (zh) 2013-10-08 2014-09-26 嵌入式空气调节器的室内机
EP14187785.2A EP2860462B1 (en) 2013-10-08 2014-10-06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US14/508,161 US20150096723A1 (en) 2013-10-08 2014-10-07 Indoor device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741A KR20150041340A (ko) 2013-10-08 2013-10-08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679A Division KR101833303B1 (ko) 2016-12-24 2016-12-24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340A true KR20150041340A (ko) 2015-04-16

Family

ID=5186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741A KR20150041340A (ko) 2013-10-08 2013-10-08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96723A1 (ko)
EP (1) EP2860462B1 (ko)
KR (1) KR20150041340A (ko)
CN (1) CN104515203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965B1 (ko) * 2015-08-11 2016-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19290A (ko) * 2015-08-1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087628A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80089786A (ko)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US10309683B2 (en) 2015-08-11 2019-06-04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13310208A (zh) * 2021-06-28 2021-08-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口部件的固定机构、风口组件和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41102S (ko) * 2014-06-06 2017-12-18
JP1523384S (ko) * 2014-07-14 2015-05-18
USD759222S1 (en) * 2014-09-23 2016-06-14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USD759223S1 (en) * 2014-09-23 2016-06-14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1536293S (ko) * 2015-01-29 2015-10-26
JP1536295S (ko) * 2015-01-29 2015-10-26
JP1535863S (ko) * 2015-01-29 2015-10-26
JP1535861S (ko) * 2015-01-29 2015-10-26
JP1535862S (ko) * 2015-01-29 2015-10-26
JP1536294S (ko) * 2015-01-29 2015-10-26
US10739034B2 (en) * 2015-03-31 2020-08-1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135734B2 (ja) * 2015-09-29 2017-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D812735S1 (en) * 2015-12-21 2018-03-13 Brandon Murray Unitary duct
CN106352526B (zh) * 2016-09-29 2021-12-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天井机及其面板结构
AU2018311607B2 (en) * 2017-07-31 2021-04-0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Indoor air-conditioning unit
CN111566413B (zh) * 2017-09-06 2021-12-28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天花板式室内机
KR102090647B1 (ko) * 2017-09-20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N207907312U (zh) * 2018-01-31 2018-09-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的出风结构
CN111442374B (zh) * 2019-01-17 2021-09-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吊顶式空调室内机
USD1033621S1 (en) * 2021-09-08 2024-07-02 Lg Electronics Inc. Air ventilation system
USD1033622S1 (en) * 2021-09-08 2024-07-02 Lg Electronics Inc. Air ventilation system
USD1034935S1 (en) * 2021-09-08 2024-07-09 Lg Electronics Inc. Air ventil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608A (en) * 1995-11-01 1997-07-01 Deere & Company Shaft structure for a cotton harvester doffer column
DE69724627T2 (de) * 1997-12-24 2004-06-24 Carrier Corp., Farmington Deckenmontierte Vorrichtung für Heizung und Kühlung
US6802361B2 (en) * 2000-06-22 2004-10-12 Air Techno Company Limited Ceiling panel structure for a ceiling-mounted air-conditioning apparatus or the like
AU2002314572A1 (en) * 2001-06-19 2003-01-02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U2003280658A1 (en) * 2002-10-31 2004-05-25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KR100972273B1 (ko) * 2007-07-25 2010-07-2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065830B1 (ko) * 2008-12-29 2011-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01368569Y (zh) * 2009-01-06 2009-12-2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空调摆风叶限定装置
JP4924697B2 (ja) * 2009-11-05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369684B2 (ja) * 2014-10-10 2018-08-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965B1 (ko) * 2015-08-11 2016-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70019290A (ko) * 2015-08-1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10309683B2 (en) 2015-08-11 2019-06-04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80087628A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80089786A (ko)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3310208A (zh) * 2021-06-28 2021-08-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口部件的固定机构、风口组件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6723A1 (en) 2015-04-09
CN104515203A (zh) 2015-04-15
CN104515203B (zh) 2018-09-25
EP2860462B1 (en) 2019-10-02
EP2860462A1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1340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833303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2169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6812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CN112682850A (zh) 空调器
KR20190084589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969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5860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KR20190084528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CN221375802U (zh) 出风框组件和空调器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0901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45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5383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16764A (ko) 공기조화기
KR100553045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6278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5750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934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3049B1 (ko) 공기조화기
KR100564456B1 (ko) 공기조화기
KR100674274B1 (ko) 환기 청정 장치
KR2008000612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