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론

Regress argument
무한퇴행

인식론학에서 퇴행론어떤 명제라도 정당성을 필요로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어떤 명분 그 자체도 지지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어떤 명제라도 끝없이(무한히) 의문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무한히 퇴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인식론과 진술이 정당화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문제다.[1][2][3]

이 주장은 그리스 디의 "서로 또는 서로에 의해" 또는 "서로" 그리고 인식론적 퇴행 문제에서 나온, 다이얼렐루스[4](라틴어) 또는 다이얼렐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뮌하우젠 3중마마의 한 요소다.[5]

기원

이 주장은 보통 "아그리파의 삼엽사"로 알려지게 된 것의 일부로서 회의론자 아그리파 철학자 아그리파에게 기인한다. 그 주장은 지식이 참된 믿음으로 정당화된다는 플라톤테아에토스의 제안에 대한 응답으로 볼 수 있다. 피루니스트 철학자 젝투스 엠피리쿠스는 아그리파의 트로피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논쟁에서 파생된 모드에 따르면, 우리는 제안된 문제에 대해 일반 생활과 철학자들 사이에서 불변의 불일치가 발생했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 때문에 우리는 어떤 것도 선택하거나 배제할 수 없으며 결국 판결의 정지에 이르게 된다. 무한 퇴행으로부터 파생되는 모드에서, 우리는 제안된 문제에 대한 확신의 원천으로서 앞으로 제기되는 것은 그 자체로 또 다른 그러한 원천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애드 인피니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우리가 어떤 것을 확립하기 시작할 지에 대한 요점이 없고, 판단의 정지가 뒤따른다고 말한다. 상대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드에서,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기존의 물체는 대상의 판단과 그것과 함께 관찰되는 것에 관계되는 등등의 것으로 보이지만, 그 성격상 어떤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보류한다. 우리는 도그매티스트들이, 그들이 확립한 것이 아니라 양보를 위해 증거 없이 단순하게 가정한다고 주장하는 것에서 시작되었을 때, 가설로부터 모드를 가진다. 상호모드는 조사 대상의 확증이 되어야 하는 것이 조사 대상의 설득력을 필요로 할 때 발생한다. 그런 다음, 다른 대상의 확립을 위해 둘 중 하나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양쪽 모두에 대한 판단을 보류한다.[6]

그러나 퇴행론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알고 있었듯이 아그리파보다 앞서야 하며, 일부 지식은 시위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아는 것은 무한한 퇴행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어떤 사람들은, 주요 전제를 알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지식이 없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은 있다고 생각하지만, 모든 진실은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두 교리는 모두 진실하지도, 전제로부터 필요한 추론도 아니다. 첫 번째 학교는, 데모 외에는 알 방법이 없다고 가정하고, 만일 전자의 뒤에 서 있지 않으면, 전자를 통해 후방을 알 수 없다는 이유로, 무한 퇴행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유지한다(어느 쪽이 옳은지, 무한 시리즈를 횡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들은 말한다.e 시리즈는 종료되고 일차적인 전제가 있지만, 이것들이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알 수 없으며, 그것들에 따르면 지식의 유일한 형태라고 한다. 그리고 따라서 일차적인 전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그 전제를 따르는 결론에 대한 지식은 순수한 과학적 지식이나 전혀 제대로 아는 것이 아니라, 전제가 사실이라는 단순한 추측에 의존한다. 상대방이 아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며, 그것은 오직 시위에 의해서만 가능하지만, 그들은 시위가 순환적이고 상호적일 수 있다는 이유로 모든 진실이 증명된다는 것을 고수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본다. 우리 자신의 원칙은 모든 지식이 실증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반대로, 즉각적인 전제에 대한 지식은 실증과는 무관하다. (이러한 필요성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시위가 그려지는 이전의 전제를 알고 있어야 하고, 퇴행은 즉각적인 진실로 끝나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진실은 불분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러한 것이 우리의 교리인데, 게다가 우리는 과학적 지식 이외에도 우리가 정의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원천이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7][8]

Aristotle, Posterior Analytics I.3 72b1–15

구조

지식이 참된 신념이 정당하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1. P가 지식의 일부라고 가정해 보자. 그렇다면 P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다.
  2. P를 정당화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다른 진술이다. P는1 P라고1 부르자. 그래서 P는 P를 정당화한다.
  3. 그러나 P가1 P에 대한 만족스러운 정당성이 되려면 P가1 사실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4. 그러나 P가1 알려지기 위해서는 또한 정당화된 참된 신념이 되어야 한다.
  5. 정당성은 또 다른 진술이 될 것이다. P는22 P를1 정당화한다.
  6. 그러나 P가2 P에1 대한 만족스러운 정당성이 되려면 P가2 사실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7. 그러나 P가2 지식으로 헤아리기 위해서는 그 자체가 정당화된 참된 신념이어야 한다.
  8. 정당성은 결국 또 다른 진술이 될 것이다. P는 그것을3 P라고 부르자. 그래서3 P는2 P를 정당화한다.
  9. 등등 애드 인피니텀.

응답

역사를 통틀어 이 문제에 대한 많은 응답들이 생성되었다. 주요 반론은 다음과 같다.

  • 어떤 진술은 정당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추리 사슬은 스스로 되돌아간다.
  • 그 순서는 결코 끝나지 않는다.
  • 믿음은 의심의 여지없이 정당화될 수 없다.

근본주의

아마도 사슬은 정당하지만 다른 신념에 의해 정당화되지 않는 믿음에서 시작되는 것일 것이다. 그런 신앙을 기본 신앙이라고 한다. 근본주의라고 불리는 이 해법에서는 모든 신앙이 기본적인 신념에 의해 정당화된다. 근본주의는 정당성을 요구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일부 신념이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퇴보론에서 벗어나려 한다. (선험도 참조) 이것은 어떤 것(기본적인 믿음)은 그 자체로 진실이라는 주장이 될 것이다.

근본주의는 정당화라는 사슬은 정당화되나 다른 신념에 의해 정당화되지 않는 믿음에서 시작된다는 믿음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믿음이 정당화된다.

  1. 그것은 기본적인/기초적인 믿음이다.
  2. 그것은 기본적인 신념에 의해 정당화된다.
  3. 그것은 궁극적으로 기본적인 신념이나 신념에 의해 정당화되는 믿음의 연쇄에 의해 정당화된다.

근본주의는 건물과 비교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개인신앙은 건물의 상층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본신앙이나 근본신앙은 지하실, 건물기초에서 다른 모든 것을 지탱하고 있다. 비슷한 방법으로, 개인의 신념, 즉 경제나 윤리에 관한 것, 보다 기본적인 신념에 관한 것, 인간의 본성에 관한 것, 그리고 여전히 더 기본적인 신념에 관한 것, 정신에 관한 것, 그리고 결국 전체 체제는 다른 신념에 의해 정당화되지 않는 일련의 기본적인 신념에 달려 있다.

논리학

또는, 추리의 사슬이 스스로 순환하여 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떤 진술의 정당성은 아마도 오랜 추리의 사슬 끝에 정당화하는데 이용되고, 그 주장은 순환적이다. 이것은 논리적인 개념이다.

논리정연주의는 어떤 생각이 상호 지지되는 신념의 일관성 있는 시스템(즉, 서로를 지지하는 신념)의 일부일 경우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사실상 코리시즘은 명분이 사슬의 형태만 취할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일관성은 사슬을 전체론적인 웹으로 대체한다.

순진무구주의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반대는 순환적 정당성이 수용 가능하다는 생각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P는 궁극적으로 P를 지지하며 질문을 구걸한다. 논리정연주의자들은 P를 지지하는 것은 P뿐 아니라 전체 신념 체계에서 다른 진술의 총체성과 함께 P라고 대답한다.

논리정연주의는 신념의 일관성 있는 시스템의 일부인 어떤 믿음도 받아들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P는 P1, P, P가2 진실되지 않고 P1, P와2 함께 공존할 수 있다. 그 대신, 논리학자들은 전체 시스템이 거짓이고 일관성이 없을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만약 시스템의 일부가 거짓이라면, 그것은 거의 확실히 시스템의 다른 부분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세 번째 반대는 어떤 신념은 경험에서 생겨나는 것이지 다른 신념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완전히 어두운 방을 들여다보고 있다. 불이 순간 켜지고 방안의 하얀 캐노피 침대가 보인다. 이 방에 하얀 캐노피 침대가 있다는 믿음은 전적으로 경험에 근거한 것이지 다른 어떤 신념에 근거한 것은 아니다. 물론 하얀 캐노피 침대가 완전히 착각이거나 환각 상태라는 등 다른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그 믿음은 여전히 정당화돼 있다. 논리학자들은 이 방에 하얀 캐노피 침대가 있다는 믿음을 뒷받침하는 믿음은 비록 잠깐이지만 침대를 봤다는 믿음이라고 반응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다른 신념에 의존하지 않는 즉각적인 한정자로 보이며, 따라서 신념은 신념 이외의 개념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기 때문에 논리정연주의가 사실이 아님을 증명하는 것 같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침대를 보는 경험은 실제로 침대와 캐노피 등이 실제로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다른 믿음에 달려 있다고 주장해왔다.

사상체계의 '일관성'을 요구하는 규정이 정당하지 않은 신념인 것 같다는 반론도 있다.

인피니티즘

인피니티즘은 사슬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평가들은 이것이 사슬의 어떤 진술에 대한 적절한 명분이 결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회의론

회의론자들은 위의 세 가지 반응을 거부하고 믿음이 의심의 여지없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많은 회의론자들은 일이 특정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하라. 그러나 그러한 감각적 인상은 회의적인 시각에서 의심할 수 없는 믿음을 찾는 데 이용될 수 없다. 또한, 회의론자들은 예를 들어, 많은 자연의 법칙들이 일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특정한 일을 하는 것이 쾌락/고통을 낳는 것처럼 보이게 하거나 심지어 이성과 논리가 유용한 도구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이러한 회의론은 지속적인 조사를 장려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9]

합성 접근법

상식

토마스 리드G. E. 무어와 같은 철학자들이 옹호하는 상식의 방법은 우리가 어떤 것을 전혀 조사할 때마다, 어떤 주제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할 때마다, 우리는 가정을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어떤 사람이 이유를 가지고 자신의 가정을 지지하려고 할 때, 사람들은 여전히 더 많은 가정을 해야 한다. 우리가 몇 가지 가정을 하는 것은 불가피하므로, 가장 명백한 것, 즉 아무도 심각하게 의심하지 않는 상식의 문제를 상정해 보는 것은 어떨까.

여기서 '상식'은 '치킨스프는 감기에 좋다'와 같은 오래된 격언이 아니라, 우리의 경험이 생기는 배경에 대한 진술을 의미한다. 그 예로는 "인간은 전형적으로 두 눈, 두 귀, 두 손, 두 발을 가지고 있다" 또는 "세상은 땅과 하늘을 가지고 있다" 또는 "식물들과 동물들은 다양한 크기와 색깔로 나온다" 또는 "나는 지금 의식하고 살아 있다"가 있다. 이런 주장들은 누구나 할 수 있는 가장 명백한 종류의 주장들이다. 그리고 리드와 무어는 이런 주장들이 상식을 구성하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견해는 상식적인 진술이 기본 진술의 역할을 하는 근본주의의 한 버전이나, 또는 논리주의의 한 버전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상식적인 진술은 회계처리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진술이어서 거의 부인할 수 없다.

상식의 방법이 옳다면 철학자들은 상식의 원리를 당연하게 여길지도 모른다. 그들은 명제가 사실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필요하지 않다. 그들은 또한 상식에 따라 약간의 정당성을 당연시 할 수 있다. 그들은 무한한 퇴보나 추리의 원이 없기 때문에 젝투스의 기준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데, 이는 상식의 원리가 추리의 전체 사슬을 기초하기 때문이다.

비판 철학

투석론으로부터의 또 다른 탈출구는 비판철학인데, 그것은 신념이 조금이라도 정당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부정한다. 오히려 철학자들의 일은 모든 신념(진리 기준에 대한 믿음 포함)을 비판에 귀속시키는 것으로, 그들을 정당화시키기보다는 신용을 떨어뜨리려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철학자들은, 그들이 어떤 특정한 진리의 기준을 충족시키든 아니든, 비판을 가장 잘 견딘 그러한 신념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한다. Karl Popper는 이 아이디어에 대해 그가 진실성, 즉 진실성이라고 부르는 양적 측정을 포함하도록 확장했다. 그는 특정 주장을 결코 정당화할 수 없더라도 비판에 의해 경쟁하는 두 주장이 어떤 것이 다른 주장보다 우월하다고 판단하는 진실성을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용주의

실용주의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이 특정 개인의 심리적 욕구에 맞는 개인의 선호에 근거하여 어느 정도 수준의 설명으로 정착할 것을 제안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필요에 맞는 설명의 어떤 수준이든 선택하고, 논리와 이성이 아닌 다른 것들이 그 필요를 결정한다. '합리성의 정서'에서 제임스는 고도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철학자와 별 생각 없이 이상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야유를 비교한다.

그러므로 철학자의 논리적인 평온은 본질적으로 다름아닌 부랑자의 평온이다. 그들은 단지 각자가 추정한 자료의 절대성을 뒤집는 더 이상의 고려를 하지 않으려 하는 점에 관해서만 다르다.

참고 항목

참조

  1. ^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
  2. ^ 지식 이론
  3. ^ 리딩 대학교
  4. ^ 니콜라스 레셔, 인식론: 지식 이론 소개, 22페이지, 구글 북스
  5. ^ D. Klein, Peter (2004). "What IS Wrong with Foundationalism is that it Cannot Solve the Epistemic Regress Problem".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Retrieved 2019-12-25.
  6. ^ Sextus Empiricus, Pyrhoneioi hypotyposeis i, Annas, J, Outlors of Sceptism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7. ^ Byrne, Patrick Hugh (1997). Analysis & Science in Aristotle. SUNY Series in Ancient Greek Philosoph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83. ISBN 9780791433218. LCCN 96037783.
  8. ^ Aristotle (1901). Posterior Analytics. B.H. Blackwell. p. 7.
  9. ^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에 대한 회의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