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덧

Morning sickness
입덧
기타 이름임신의 메스꺼움과 구토, 메스꺼움 중력, 구토 중력, 임신병
전문산부인과
증상메스꺼움[1], 구토
합병증베르니케뇌증, 식도파열[1]
통상적인 개시임신[2] 4주째
지속임신[2] 16주까지
원인들불명[2]
진단 방법다른 원인이 배제된[3] 후의 증상에 근거합니다
차동 진단충혈 중력[1]
예방태아용 비타민[3]
치료독실아민 및 피리독신[3][4]
빈도수.임신의[4][5] 75%까지

임신의 메스꺼움 구토라고도 불리는 입덧메스꺼움이나 [1]구토를 수반하는 임신의 증상이다.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메스꺼움이나 구토는 하루 [2]중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임신 [2]4주에서 16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난다.여성의 약 10%는 임신 [2]20주 이후에도 여전히 증상이 나타난다.이 질환의 심각한 형태는 과혈 중력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체중 [1][6]감소를 초래한다.

입덧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인간 융모막 성선 호르몬의 [2]수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일부 사람들은 입덧이 진화적[1]관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진단은 다른 가능한 원인이 [3]배제된 후에만 이루어져야 합니다.복통, 발열 또는 두통은 일반적으로 [1]입덧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임신 전에 태아용 비타민을 복용하는 [3]것은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가벼운 경우에는 [2][6][3]싱거운 식단 이외의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치료를 사용할 경우 처음에는 [3][4]독실아민과 피리독신을 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생강이 [3][7]유용할 수 있다는 제한된 증거가 있다.다른 방법으로 개선되지 않은 심각한 경우에는 메틸프레드니솔론[3]시도할 수 있다.체중[3]줄이고 있는 여성들에게 튜브 수유가 필요할 수 있다.

입덧은 모든 임산부의 70-80%에 어느 [4][5]정도 영향을 미친다.여성의 약 60%가 [2]구토를 경험한다.임신의 [1]약 1.6%에서 육즙 과다가 발생한다.입덧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임신 중에 일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건강 관리 [3]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경증에서 중등도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대부분의 중증도 [1]정상입니다.일부 여성들은 [1]증상의 심각성 때문에 낙태를 선택한다.베르니케 뇌증이나 식도 파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매우 [1]드물다.

징후 및 증상

여성의 약 66%가 메스꺼움과 구토를 동반하는 반면 33%는 [1]메스꺼움만 동반한다.메스꺼움과 구토 증상은 보통 임신 10주에서 16주 정도에 절정에 달하며 20주 [8]정도 가라앉는다.그러나 약 22주가 지난 후에도 10%의 여성들이 계속 증상이 [8]지속되고 있다.

원인

입덧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에스트로겐과 인간 융모성 성선 호르몬[2][9]수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일부 사람들은 입덧이 태아가 가장 [1]취약할 때 임신부와 발육 중인 배아를 보호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입덧이 진화적인 관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진단은 다른 가능한 원인이 [3]배제된 후에만 이루어져야 합니다.복통, 발열 또는 두통은 일반적으로 [1]입덧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메스꺼움[10]구토 또한 어금니 임신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입덧은 곡물이 적고 당분, 기름기름, 술, 육류가 [11]많은 식단과 관련이 있다.

병태생리학

호르몬 변화

임신 중 구토 병태생리학
  •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순환 [12]수치의 증가.그러나 질병을 경험한 여성과 그렇지 [13]않은 여성 사이에 에스트로겐 수치와 빌리루빈 수치 차이가 있다는 일관된 증거는 없다.증가된 에스트로겐 수치와 관련하여, 유사한 형태의 메스꺼움은 호르몬 피임이나 호르몬 대체 요법을 사용하는 일부 여성들에게도 나타난다.
  • 프로게스테론의 증가는 자궁근육을 이완시켜 조기 출산을 방해하지만 위와 을 이완시켜 위산위식도 역류 질환(GERD)을 유발할 수 있다.
  • 인간 융모막 성선 호르몬의 증가.메스꺼움을 일으키는 것은 아마 HCG 자체가 아닐 것이다.아마 HCG가 산모의 난소를 자극하여 에스트로겐을 분비하게 되고,[14] 이는 다시 메스꺼움을 유발하게 됩니다.

방어 기구

입덧은 엄마가 섭취한 독소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진화한 특성일 수 있다.시애틀에서 온 독립학자-생물학자 마지 프로펫은 입덧 미스터리를 최초로 조사한 사람 중 한 명이었다.그녀는 임신 중 메스꺼움과 음식 거부감이 엄마와 배아가 면역학적으로 가장 취약한 임신 초기 몇 주 동안 돌연변이원이나 [15]기형물질과 같은 독소에 대한 태아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모에게 식이 제한을 가하도록 진화했다고 주장했다.여성과 그녀의 태아는 임신 중 독소에 매우 취약하다.이러한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을 줄임으로써 입덧은 정상적인 태아의 발달 장애를 줄이고 산모의 생식 성공과 생존 성공을 증가시킨다.

어미와 그 자식들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다음과 같다.[16][11]

  • 입덧은 임산부들 사이에서 매우 흔하며, 입덧은 기능적 적응에 찬성하고 입덧은 병리학이라는 생각에 반대한다.
  • 독소에 대한 태아의 취약성은 약 3개월에 절정에 달하며, 입덧에 가장 잘 걸리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 음식의 독소 농도와 혐오감을 유발하는 맛과 냄새 사이에는 좋은 상관관계가 있다.

입덧이 없는 여성은 유산[17]할 확률이 높다.이것은 아마도 그러한 여성들이 [18]태아에게 해로운 물질을 섭취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일 것이다.

입덧은 태아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산모도 보호할 수 있습니다.임신한 여성의 면역 체계는 임신 중에 억제되는데, 아마도 자신의 [19]자손의 조직을 거부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이다.이 때문에 기생충과 유해 박테리아가 함유된 동물성 식품은 임산부에게 특히 위험할 수 있다.입덧은 종종 고기와 [20]생선을 포함한 동물성 식품에 의해 유발된다는 증거가 있다.

입덧이 독소 섭취에 대한 방어 기구라면, 임신부에게 항간호제를 처방하는 것은 해로운 식사 [16]선택을 장려함으로써 선천적 결함이나 유산을 야기하는 원치 않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입덧은 배아의 성장을 분석할 때, 대량 증식과 세포 분열이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시기가 확인되기 때문에 매우 민감한 심장과 중추 신경계가 발달하기 때문이다.그 기간 동안 태아는 독소와 돌연변이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가장 위험합니다.이러한 증상은 임신 중 메스꺼움과 구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6-18주차까지 발생합니다(NVP(임신 중 메스꺼움 및 구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에 발생합니다.태아가 독소에 가장 취약한 시기와 가장 심각한 NVP 증상이 나타나는 시점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이 NVP가 태아의 민감성을 나타내기 위해 산모에서 발달한 진화적 반응임을 시사하며 태아가 건강을 조심하고 [20]태아를 보호하도록 한다.

치료법

입덧에 [21]대한 특별한 개입의 사용을 뒷받침하는 좋은 증거가 부족하다.

약품

피리독신/독실아민, 항히스타민(디펜히드라민 등), 메토클로프라미드페노티아진(프로메타진 [22][23]등)을 포함한 많은 항토제들이 임신 중에 효과적이고 안전하다.효율에 관해서는, 어느 쪽이 다른 [22]쪽보다 뛰어난지는 알 수 없다.미국과 캐나다에서,[23] 독실아민-피리독신 조합(미국의 디클기스와 캐나다의 디클렉틴)은 임신의 메스꺼움과 구토에 대한 유일한 승인된 임신 범주 "A" 처방 치료제이다.

온단셋론은 유익할 수 있지만,[24] 구개열과의 연관성에 대한 우려가 있고,[22] 양질의 데이터가 거의 없다.메토클로프라미드도 사용되며 비교적 [25]내성이 좋다.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에 대한 증거는 [26]약하다.

대체의학

몇몇 연구들은 생강의 사용을 지지하지만, 전반적으로 증거는 제한적이고 [3][7][21][27][9]일관성이 없다.그것의 응고 방지 [28][29][9][30]성질에 대한 안전상의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역사

탈리도마이드

탈리도마이드는 원래 서독에서 입덧 치료제로 개발돼 처방됐지만 선천성 [31]기형을 일으키는 으로 밝혀지면서 사용이 중단됐다.미국 식품의약국은 입덧 [32]치료제로 탈리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승인하지 않았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Practice Bulletin No. 153: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Obstetrics and Gynecology. 126 (3): e12–e24. September 2015. doi:10.1097/AOG.0000000000001048. PMID 26287788. S2CID 19552518.
  2. ^ a b c d e f g h i j Festin M (June 2009). "Nausea and vomiting in early pregnancy". BMJ Clinical Evidence. 2009. PMC 2907767. PMID 21726485.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Practice Bulletin Summary No. 153: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Obstetrics and Gynecology. 126 (3): 687–688. September 2015. doi:10.1097/01.aog.0000471177.80067.19. PMID 26287781. S2CID 39256123.
  4. ^ a b c d Koren G (December 2014). "Treating morning sickness in the United States--changes in prescribing are needed".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11 (6): 602–606. doi:10.1016/j.ajog.2014.08.017. PMID 25151184.
  5. ^ a b Einarson TR, Piwko C, Koren G (2013-01-01). "Prevalence of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in the USA: a meta analysis". Journal of Population Therapeutics and Clinical Pharmacology. 20 (2): e163–e170. PMID 23863545.
  6. ^ a b "Pregnancy". Office on Women's Health. September 27,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15. Retrieved 5 December 2015.
  7. ^ a b Matthews A, Haas DM, O'Mathúna DP, Dowswell T (September 2015). "Interventions for nausea and vomiting in early pregnanc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 (9): CD007575. doi:10.1002/14651858.CD007575.pub4. PMC 4004939. PMID 26348534.open access
  8. ^ a b Lee NM, Saha S (June 2011).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Gastroenter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40 (2): 309–34, vii. doi:10.1016/j.gtc.2011.03.009. PMC 3676933. PMID 21601782.
  9. ^ a b c Viljoen E, Visser J, Koen N, Musekiwa A (March 2014).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and safety of ginger in the treatment of pregnancy-associated nausea and vomiting". Nutrition Journal. 13: 20. doi:10.1186/1475-2891-13-20. PMC 3995184. PMID 24642205.
  10. ^ Verberg MF, Gillott DJ, Al-Fardan N, Grudzinskas JG (2005). "Hyperemesis gravidarum, a literature review". Human Reproduction Update. 11 (5): 527–539. doi:10.1093/humupd/dmi021. PMID 16006438.
  11. ^ a b Pepper GV, Craig Roberts S (October 2006). "Rates of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and dietary characteristics across populations". Proceedings. Biological Sciences. 273 (1601): 2675–2679. doi:10.1098/rspb.2006.3633. PMC 1635459. PMID 17002954.
  12. ^ Lagiou P, Tamimi R, Mucci LA, Trichopoulos D, Adami HO, Hsieh CC (April 2003).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in relation to prolactin, estrogens, and progesterone: a prospective study". Obstetrics and Gynecology. 101 (4): 639–644. doi:10.1016/s0029-7844(02)02730-8. PMID 12681864. S2CID 13103469.
  13. ^ Bauchner E, Marquez W. "Morning Sickness: Coping With The Worst". NY Metro Parents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04. Retrieved 2008-07-06.
  14. ^ Niebyl JR (October 2010). "Clinical practice.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3 (16): 1544–1550. doi:10.1056/NEJMcp1003896. PMID 20942670.
  15. ^ Holt RD, Nesse RM, Williams GC (April 1996). "Why We Get Sick: The New Science of Darwinian Medicine". Ecology. 77 (3): 983. doi:10.2307/2265522. ISSN 0012-9658. JSTOR 2265522.
  16. ^ a b Nesse RM, Williams GC (1996). Why We Get Sick (1st ed.). New York: Vintage Books. p. 290.
  17. ^ Chan RL, Olshan AF, Savitz DA, Herring AH, Daniels JL, Peterson HB, Martin SL (November 2010). "Severity and duration of nausea and vomiting symptoms in pregnancy and spontaneous abortion". Human Reproduction. 25 (11): 2907–2912. doi:10.1093/humrep/deq260. PMC 3140259. PMID 20861299.
  18. ^ Sherman PW, Flaxman SM (May 2002). "Nausea and vomiting of pregnanc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86 (5 Suppl Understanding): S190–S197. CiteSeerX 10.1.1.611.7889. doi:10.1067/mob.2002.122593. PMID 12011885.
  19. ^ Haig D (December 1993). "Genetic conflicts in human pregnancy".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68 (4): 495–532. doi:10.1086/418300. PMID 8115596. S2CID 38641716.
  20. ^ a b Flaxman SM, Sherman PW (June 2000). "Morning sickness: a mechanism for protecting mother and embryo".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75 (2): 113–148. doi:10.1086/393377. PMID 10858967. S2CID 28668687.
  21. ^ a b Matthews A, Haas DM, O'Mathúna DP, Dowswell T (September 2015). "Interventions for nausea and vomiting in early pregnancy".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 (9): CD007575. doi:10.1002/14651858.CD007575.pub4. PMC 4004939. PMID 26348534.
  22. ^ a b c Jarvis S, Nelson-Piercy C (June 2011). "Management of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BMJ. 342: d3606. doi:10.1136/bmj.d3606. PMID 21685438. S2CID 32242306.
  23. ^ a b Clark SM, Dutta E, Hankins GD (December 2014). "The outpatient management and special considerations of nausea and vomiting in pregnancy". Seminars in Perinatology. 38 (8): 496–502. doi:10.1053/j.semperi.2014.08.014. PMID 25267280.
  24. ^ Koren G (October 2012). "Motherisk update. Is ondansetron safe for use during pregnancy?". Canadian Family Physician. 58 (10): 1092–1093. PMC 3470505. PMID 23064917.
  25. ^ Tan PC, Omar SZ (April 2011). "Contemporary approaches to hyperemesis during pregnancy".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 Gynecology. 23 (2): 87–93. doi:10.1097/GCO.0b013e328342d208. PMID 21297474. S2CID 11743580.
  26. ^ Poon SL (October 2011). "Towards evidence-based emergency medicine: Best BETs from the Manchester Royal Infirmary. BET 2: Steroid 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hyperemesis gravidarum". Emergency Medicine Journal. 28 (10): 898–900. doi:10.1136/emermed-2011-200636. PMID 21918097. S2CID 6667779.
  27. ^ Thomson M, Corbin R, Leung L (2014). "Effects of ginger for nausea and vomiting in early pregnancy: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of Family Medicine. 27 (1): 115–122. doi:10.3122/jabfm.2014.01.130167. PMID 24390893.
  28. ^ Borrelli F, Capasso R, Aviello G, Pittler MH, Izzo AA (April 2005). "Effectiveness and safety of ginger in the treatment of pregnancy-induced nausea and vomiting". Obstetrics and Gynecology. 105 (4): 849–856. doi:10.1097/01.AOG.0000154890.47642.23. PMID 15802416. S2CID 1607109.
  29. ^ Tiran D (February 2012). "Ginger to reduce nausea and vomiting during pregnancy: evidence of effectiveness is not the same as proof of safety".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18 (1): 22–25. doi:10.1016/j.ctcp.2011.08.007. PMID 22196569.
  30. ^ Hu Y, Amoah AN, Zhang H, Fu R, Qiu Y, Cao Y, et al. (January 2022). "Effect of ginger in the treatment of nausea and vomiting compared with vitamin B6 and placebo during pregnancy: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35 (1): 187–196. doi:10.1080/14767058.2020.1712714. PMID 31937153. S2CID 210827751.
  31. ^ Cohen WR, ed. (2000). Cherry and Merkatz's complications of pregnancy (5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124. ISBN 9780683016734.
  32. ^ Bren L (2001-02-28). "Frances Oldham Kelsey: FDA Medical Reviewer Leaves Her Mark on History". FDA Consumer.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trieved 2009-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