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인
Malaysians이 기사의 일부(인구와 문화에 대한 통계 부분과 관련된 부분)는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2020년 8월) |
말레이시아 디아스포라의 지도 | |
총인구 | |
c. 3,000~3,500만 (말레이시아 디아스포라 1,730,152)[1] | |
인구가 많은 지역 | |
(디아스포라 제외)[2] | |
소수민족 | 981이상[3] |
952,261[1] | |
174,136[1] | |
84,638[1] | |
77,647[4][1] | |
52,001[5][6][1] | |
26,248[7][1] | |
25,337[1] | |
18,821 (2017)[8] | |
8,661 (2019)[1] | |
12,228[1] | |
8,404[1] | |
5,676[1] | |
4,595[1] | |
4,036[1] | |
2,608[9] | |
2,363[1] | |
언어들 | |
말레이어 말레이어 • 북보르네오어 • 멜라노-카장어 • 아슬리아어 • 육지다야크어 • 사마-바자어 • 필리핀어 | |
종교 | |
우세하게 소수자 | |
관련 민족 | |
필리핀인 인도네시아인 |
말레이시아인은 말레이시아 국가와 동일한 시민입니다. 말레이시아인들은 시민들이 대부분이지만, 시민이 아닌 주민들이나 해외 말레이시아인들도 말레이시아인의 정체성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10]
이 나라는 다양한 민족적, 민족적, 종교적 출신의 사람들의 고향입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말레이시아인들은 그들의 국적을 민족성과 동일시하지 않고, 시민권과 말레이시아에 대한 충성심과 동일시합니다. 그러나 인구의 대부분은 말레이시아인, 오랑 아슬리(원주민), 말레이시아 화교(주로 한족), 말레이시아 인도인(주로 타밀인) 등 뚜렷한 문화와 전통을 가진 여러 민족에 속합니다. 현대 말레이시아의 비말레이인 및 비원주민 인구의 대부분은 이민자와 그 후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포르투갈, 네덜란드, 그리고 훨씬 더 긴 영국 식민지 시대 이후, 원주민이 아닌 사람들의 이민과 정착에 대한 다른 물결(또는 정점)이 거의 5세기 동안 일어났고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11]
1957년 말레이시아의 독립은 1948년 말라야 연방이 형성된 이후 20세기 후반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했습니다(싱가포르의 크라운 식민지, 북보르네오의 크라운 식민지, 사라왁의 크라운 식민지 제외).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은 말레이인들 사이에서 자국을 시민권을 가진 완전한 주권국가로 인정받으려는 열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인구.
2010년 현재 말레이시아인은 세계 전체 인구의 0.4%를 차지하며 인구 증가와 사회 발전을 위해 이민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현재 말레이시아인의 약 30%는 1세 또는 2세 이민자이며, 2000년대 말레이시아 거주자의 20%는 말레이시아 땅에서 태어나지 않았습니다.[citation needed] 2031년까지 15세 이상 말레이시아인의 절반 가까이가 외국에서 태어나거나 한 명의 외국인 부모를 갖게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2010년 말레이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미푸테라는 인구 28,334,135명의 61.85%인 17,523,508명입니다.
시민권과 디아스포라
유엔 경제사회부에 따르면 2019년 말레이시아 디아스포라의 인구는 1,730,152명입니다.[1] 말레이시아는 이민을 추적하지 않으며, 따라서 해외에 있는 말레이시아인의 수는 목적지 국가가 보관하는 통계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아스포라에는 말레이시아에서 온 초기 이민자의 후손과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온 이민자가 모두 포함됩니다.
독립 이후 말레이시아 국적을 부여받은 귀화 외국인은 총 688,766명, 국적이 취소된 사람은 10,828명이었습니다.[12][13] 호주의 외부 영토인 크리스마스 섬에 있는 말레이시아인 공동체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싱가포르는 952,261명으로 말레이시아인의 소수 공동체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호주, 영국, 미국 순입니다.
민족과 시민권
2010년 인구조사 민족별 분류는 부록 1의 IATC(Inter-Agency Technical Committee)에서 정한 바와 같습니다. IATC는 통계부, 말레이시아 및 기타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표준화된 코드, 분류 및 정의의 구현 및 사용을 조정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입니다. 표와 분석을 위해 말레이시아 반도, 사바, 라부안, 사라왁 연방 준주의 다양한 민족을 고려하고 지역에 따라 주요 민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말레이시아 반도 | 사바와 라부안 연방 준주 | 사라왁 주 |
---|---|---|
말레이시아 시민 | ||
부미푸테라 | 부미푸테라 말레이어 | 부미푸테라 |
기타부미푸테라
| ||
비말레이시아 시민 (영주권자 포함) | ||
민족 및 시민권을 포함한 인구 조사에서 수집된 정보는 응답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했으며 공식 문서를 참조하지 않았습니다.
시민권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인구 조사와 같이 특히 비시민권자의 경우 내용 및 적용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문화
언어
말레이시아에는 137개의 살아있는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으며,[14] 그 중 41개의 언어가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사용됩니다.[15] 말레이시아어, 또는 표준 말레이어는 공식 언어이고 영어는 비즈니스를 위한 사실상의 언어로 간주됩니다. 부미푸테라족은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뿐만 아니라 타이카다이어족, 크레올어족 등의 소규모 언어를 사용합니다. 중국 말레이시아인들은 주로 중국 남부 지방에서 온 다양한 중국어를 구사합니다. 이 나라에서 더 흔한 품종은 광둥어, 만다린, 호키엔, 객가, 테오슈, 하이난어, 푸저우입니다. 타밀어는 인도 말레이시아인들 사이에서 우세하지만 텔루구어, 말라얄람어, 펀자브어와 같은 언어도 사용됩니다.
종교
말레이시아 헌법은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으면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습니다.[16]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수치에 따르면 민족성과 종교적 신념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인구의 약 61.3%가 이슬람교를, 19.8%가 불교를, 9.2%가 기독교를, 6.3%가 힌두교를, 1.3%가 유교, 도교 및 기타 중국 전통 종교를 믿습니다. 0.7%는 종교가 없다고 선언했고 나머지 1.4%는 다른 종교를 믿거나 어떤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International migrant stock 2019". United Nations. 2019. International migrant stock – By destination and origin. Retrieved 25 June 2020. 수치는 유엔 회원국에 있는 말레이시아인들을 포함합니다.
- .xlsx 파일에 대한 직접 링크: [1]
- 열 EE "말레이시아" 아래 표 1에서 행은 목적지입니다.
- ^ "Malaysia Population Clock". Department of Statistics, Malays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13. Retrieved 16 March 2014.
- ^ Simone Dennis (2008). Christmas Island: An Anthropological Study. Cambria Press. pp. 91–. ISBN 9781604975109.
- ^ "Total ancestry categories tallied for people with one or more ancestry categories reported 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15. Retrieved 30 November 2012.
- ^ "Leveraging on Malaysian diaspora". The Star. 16 March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October 2015. Retrieved 23 April 2015.
- ^ Soong Siew Hoong (29 March 2012). "Some Statistics on Malaysian Working in Overseas Countries in OIC; Commonwealth; BRICS; PIIGS; UN" (PDF). Chines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of Kuala Lumpur and Selang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October 2017. Retrieved 23 April 2015.
- ^ Sara Cluster (21 August 2012). "Malaysia PM: study hard abroad and return home". The Pie News. Retrieved 23 April 2015.
- ^ "Japan-Malaysia Relations (Basic Dat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7 Jul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22. Retrieved 29 May 2022.
- ^ "Imigrantes internacionais registrados no Brasil". www.nepo.unicamp.br. Retrieved 20 August 2021.
- ^ Neville Spykerman; Michelle Tam; Victoria Brown (3 May 2015). "Survey: Most prefer to be known as Malaysian". The Star. Retrieved 3 May 2015.
- ^ "Malaysia - Ethnic Groups, Languages, Religions Britannica". www.britannica.com.
- ^ Laili (29 March 2016). "688,766 foreigners granted citizenship since Independence - Home Ministry". New Straits Times. Retrieved 29 June 2016.
- ^ Martin Carvalho (29 March 2016). "Zahid: Close to 700,000 granted citizenship since Merdeka". The Star. Retrieved 29 June 2016.
- ^ "Ethnologue report for Malaysia". Ethnologue.com. Retrieved 18 October 2010.
- ^ "Ethnologue report for Malaysia (Peninsular)". Ethnologu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11. Retrieved 18 October 2010.
- ^ "Malaysia – Religion". Asian Studies Center – Michigan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11. Retrieved 13 July 2011.
더보기
- Saw Swee-Hock (6 January 2015), The Population of Malaysia (Second Edition),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p. 220–, ISBN 978-981-4620-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