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
History of Korean한국어의 전통적 시대화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1][2]
- 가장 먼저 증명된 언어 단계인 옛 한국어(고대한국어, 古韓國語, 918년 ~ 918년)는 통일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많은 저자들은 삼국시대에 신라에서 온 몇 안 되는 비문을 포함하고 있다. 저자들은 고구려와 백제 왕국과 가야 연맹의 서투른 언사가 구국어의 방언이었는지, 아니면 별개의 언어였는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3]
- 수도가 남동쪽에서 개성으로, 조선이 임진왜란(1592~1598)에 이르는 고려시대(918~1392)에 해당하는 중한족(中漢族, 中韓國族, 918~1600년)이다. 중세 한국어는 종종 두 왕조에 해당하는 초기 시기와 후기로 구분된다. 1446년(후기 초)에 한글이 도입되면서 한자의 적응을 바탕으로 한 이전 제도와 비교해서 한글의 문서화가 변모되었다.
- 조선 후기에 해당하는 초기 근대 한국어(朝鮮語, 17~19세기)이다.
- 현대 한국어(20세기 초부터 한국어, 近現韓語, 韓國語.
남풍현은 몽골의 한국 침략 당시(13세기 중엽)에 고대인과 중세의 분단을 그려야 한다고 제안했다.[4][5] 그는 자신의 오랜 한국 시기를 초기(삼국), 중기(통일신라), 후기(고려초)로 나눈다.[4]
오리진스
한국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제주어가 콤팩트한 한국어 계열을 이루고 있다. 자포닉 언어와의 관계는 논의되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6][7] 다른 이론은 알타이(Altai)와 드라비도(Dravido-Korean) 이론이지만 둘 다 신빙성이 없거나 변두리에 있다.
호머 헐버트는 저서 『한국의 역사』(1905)에서 한국어가 우랄 알타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어의 알타이 분류는 구스타프 존 람스테트(1928년)에 의해 도입되었지만, 실체화된 알타이 가설 안에서도 자포닉에 대한 한국인의 위치가 불분명하다. 사무엘 마틴, 로이 앤드류 밀러,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이 알타이 내 한국-자포닉 그룹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다른 사람들, 특히 Vovin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친밀감을 지리적으로 근접해서 생긴 영향, 즉 스프래치번트라고 해석한다.
고대 한국어
한국인의 고전 한자의 사용은 4세기 또는 그 이전부터 시작되었고, 이두 문자에서의 음운론적 글쓰기는 6세기에 이르러 발전되었다.[8]
고대 한국어가 톤 언어였는지는 불분명하다.[9] 옛 한국어는 삼국지에 해당하는 방언으로 나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실란어는 7세기까지 후신라의 정치적 지배로 인해 가장 잘 증명된 언어다.
고려 문헌으로 변경된 통일신라 문헌 기록 중 일부만이 현존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의 문헌(원문체)은 현재 대부분 비문 형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삼국시대의 언어는 일반적으로 관명과 지방지명을 통해 조사된다.
고대 한국어의 연구를 위한 문헌은 거의 없다. 고대 한국어의 첫 번째 텍스트는 한자를 사용하여 현지 언어의 소리와 문법을 나타내기 위해 쓰여졌다.
이 언어에 대한 추가 정보는 한국어와 중국어 기록에 기록된 다양한 고유 명사와 한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어원학적 연구로부터 얻어진다.
임시방편에서 시작하여 점차 이두문자, 시에 사용되는 향찰체계에 성문화되는 등 다양한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이것들은 일본 가나처럼 음운론적으로 언어를 나타내는 한자의 배열이었다.
중간 한국어
이 시기의 언어 기준은 고려가 한반도 북부로 수도를 옮겼기 때문에 개성의 방언에 근거하고 있다.
한국어의 첫 번째 외국 기록은 지린 레이시로, 1103년 중국의 송나라 작가인 수난 mù이 쓴 것이다.[10][11] 고려시대 한국어 어휘의 수백 가지 항목과 한자의 사용으로 표기된 발음이 수록되어 있어 초기 중 한국어 정보 제공의 주요 원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음운론적 관점에서 볼 때, 이 자료의 유용성은 문자의 기록적 특성 때문에 제한적이다.
중국 명나라 번역국은 16세기 중엽 조선 시대 한국어의 중한 어휘를 편찬하였다.[12]
한글의 원래 이름인 훈민정음("민중의 가르침을 위한 올바른 소리")의 창제는 1443년 제4대 조선왕 세종대왕에 의해 완성되어 1446년 9월 또는 10월에 공포되었다.
훈민정음은 전혀 새롭고 한국어와 민족을 위한 토착 문자였다. 이 대본은 처음에는 출판물의 이름을 따서 지었지만, 후에 "한글"로 알려지게 되었다. 한자에 문맹인 서민들이 한국어를 정확하고 쉽게 읽고 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출간 예정일인 10월 9일은 현재 한국에서 "한글의 날"이다.
한국어 위키에서, 중간 한국어의 발음은 예일어 한글 로마자화로 표현된다. 개정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현대 한국어만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예일 로마자 표기법은 주로 단어의 형태소독적 구조를 보여주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당시의 실제 발음을 나타내지 않는다.
현대 한국어
625전쟁과 분단 이후 수십 년간 발음, 동사변형, 어휘의 차이 등 우리말의 남북차가 심화됐다.
참조
- ^ Lee & Ramsey(2000), 페이지 273–274.
- ^ 조앤 휘트먼(2019), 페이지 9-10.
- ^ Lee & Ramsey(2000), 페이지 276.
- ^ Jump up to: a b 남(2012), 페이지 41.
- ^ 휘트먼(2015), 페이지 421.
- ^ 손(1999), 페이지 29.
- ^ 보빈(2017년).
- ^ "Korean literature".
- ^ 김(2004) 페이지 80.
- ^ 용&펑(2008), 페이지 374–375.
- ^ 오구라(1926), 페이지 1.
- ^ 오구라(1926), 페이지 1, 10.
- ^ 손(1999), 페이지 48.
- ^ Lee & Ramsey(2000), 페이지 315.
- ^ Lee & Ramsey(2011), 페이지 168.
인용된 작품
- Cho, Sungdai; Whitman, John (2019), Kore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1485-9.
- Kim, Mu-rim (김무림) (2004), 국어의 역사 (Gugeo-ui yeoks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Seoul: Hankook Munhwasa, ISBN 89-5726-185-0.
- Lee, Iksop; Ramsey, S. Robert (2000), The Korean Language, SUNY Press, ISBN 978-0-7914-4831-1.
- Lee, Ki-Moon; Ramsey, S. Robert (2011), 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49448-9.
- Nam, Pung-hyun (2012), "Old Korean", in Tranter, Nicolas (ed.), The Languages of Japan and Korea, Routledge, pp. 41–72, ISBN 978-0-415-46287-7.
- Ogura, S. (1926), "A Corean Vocabulary",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Studies, 4 (1): 1–10, JSTOR 607397.
- Sohn, Ho-Min (1999),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36123-1.
- Vovin, Alexander (2017), "Origins of the Japanese Language",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ore/9780199384655.013.277.
- Whitman, John (2015), "Old Korean", in Brown, Lucien; Yeon, Jaehoon (eds.), The Handbook of Korean Linguistics, Wiley, pp. 421–438, ISBN 978-1-118-35491-9.
- Yong, Heming; Peng, Jing (2008), Chinese lexicography: a history from 1046 BC to AD 1911,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1561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