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 니콜라스, 파체틴

Church of St.
성당 니콜라스
흐람 스베토그 니코레
Храм светог Николе
Пачетин-Pačetin 04.JPG
성당 니콜라스
Church of St. Nicholas is located in Vukovar-Syrmia County
Church of St. Nicholas
성당 니콜라스
부코바르스리젬 군 내에 표시됨
Church of St. Nicholas is located in Croatia
Church of St. Nicholas
성당 니콜라스
성당 니콜라스 (크로아티아)
45°22′34″N 18°51′04″E / 45.376°N 18.851°E / 45.376; 18.851
위치파체틴
나라크로아티아
디노미네이션세르비아 정교회
역사
헌신성 니콜라스
건축
스타일바로크고전주의
관리
대교구오제츠코폴레와 바란자의 에파제

성당 니콜라스 (크로아티아어: 흐람 스베토그 니코레, 세르비아 키릴어: 파체틴에 있는 р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ора)크로아티아 동부에 있는 세르비아 정교회 교회다. 그 교회는 세인트루이스에 바쳐졌다. 니콜라스

역사

성당 건물. 파체틴의 니콜라스 교회는 1752년에 시작되어 3년 만에 공사가 마무리되어 1755년 파크소프로니제 요바노비치 주교들의 축복을 받았다.[1] 당시 세 명의 정교사제가 마을에서 종교예배를 드렸다.[1] 교회는 1908년 재건축이 1차 재건축, 1958년 2차 재건축,[1] 1986년 3차 재건축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재건축됐다.

1910년에 세워진 이 새로운 교회의 우상숭배는 화가 이반 티쇼프의 작품이었다.[1] Iconostasis는 호주-헝가리 제국 내의 명목상 자치 왕국인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정부에 의해 의뢰되었는데, 이 왕국 내의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 모두를 위한 신성 교리학의 장비 기준에서 더 높은 품질을 창출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2]

건축

이오노스타시스의 건축틀은 19세기 말~20세기 초 크로아티아 정교회 설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비잔틴 부흥 건축양식으로 설계되었으며, 대부분의 설계 요소는 고전적 기원에 기초하고 있다.[2] 우상파괴의 구성 구조와 화풍은 서양의 학구적인 회화 전통과 일맥상통한다. 어떤 아이콘들은 세시온의 요소들을 가장 많은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 아이코스타시스 위에 성모마리아의 아이콘과 함께 보여준다.[2] 1891년의 오래된 우상파시스는 네슈티나의 조르제 라키치가 그렸다.[1]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성당. 니콜라스는 크로아티아 독립국 당국에 의해 로마 가톨릭 교회로 바뀌었다.[1] 우스타샤스는 이코노스타시와 교구주택을 훼손하고 교회 재고 일부를 강탈했다.[1]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교회는 두 개의 포탄에 맞아 제단 부분이 파손됐다.[1] 2000년대 초 성 니콜라스의 눈물겨운 우상에 대한 이야기가 지역 및 전국 언론에 보도되면서 정교회와 일부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았다.[3]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Sekulić, Srđan (4 May 2018). "Hramovi posvećeni svetom Nikolaju Mirlikijskom – Pačetin, Jagodnjak i Mikluševc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8. Retrieved 3 July 2018.
  2. ^ a b c Damjanović, Dragan (2010). "Ivan Tišov, Vinko Rauscher i ikonostas crkve svetog Nikole u Pačetinu u Slavoniji". Croatian Scientific Bibli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8. Retrieved 3 July 2018.
  3. ^ "U PAČETINSKOJ CRKVI VJERNICI SE MOLE PRED IKONOMOM KOJA "PLAČE"". Index.h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8. Retrieved 3 Jul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