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아민
Oxidopamine이름 | |
---|---|
선호 IUPAC 이름 5-(2-아미노에틸)벤젠-1,2,4-트리올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체비 | |
켐벨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13.493 |
케그 | |
펍켐 CID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8H11NO3 | |
어금질량 | 169.18 g/169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NVERIFI (?란 ? | |
Infobox 참조 자료 | |
Oxidopamine, also known as 6-hydroxydopamine (6-OHDA) or 2,4,5-trihydroxyphenethylamine, is a neurotoxic synthetic organic compound used by researchers to selectively destroy dopaminergic and noradrenergic neurons in the brain. 6-OHDA is thought to enter the neurons via the dopamine and noradrenaline (norepinephrine) reuptake transporters. 옥소파민은 도파민성 뉴런을 선택적으로 파괴하기 위해 선택적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데시프라민 등)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과학연구에서 산화오소파민에 주된 용도는 실체형 니그라파스 콤팩타의 도파민성 뉴런을 병변시켜 실험실 동물에서 파킨슨병을 유도하는 것으로 파킨슨병 신약 개발 및 실험에 있다. 동물에게 이러한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뇌의 실체성 니그라에 있는 도파민성 뉴런의 약 70%가 파괴되어야 하며, 이는 산화포파민이나 MPTP로 이루어진다. 이 두 작용제는 모두 과산화질소와 같은 반응성 산소종을 생성함으로써 뉴런을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6-OHDA는 시스틴 수정을 통해 단백질을 변형시켜 신경세포 사망의 추가 원인을 암시하고 있다.[1] 신생아 설치류에서 발생하는 산화아민 독성은 레슈-니한 증후군의 동물 모델로도 사용된다.[2]
참고 항목
참조
- ^ Farzam, Ali; Chohan, Karan; Strmiskova, Miroslava; Hewitt, Sarah J.; Park, David S.; Pezacki, John P.; Özcelik, Dennis (January 2020). "A functionalized hydroxydopamine quinone links thiol modification to neuronal cell death". Redox Biology. 28: 101377. doi:10.1016/j.redox.2019.101377. PMC 6880099. PMID 31760358.
- ^ Breese GR, Knapp DJ, Criswell HE, Moy SS, Papadeas ST, Blake BL (2005). "The neonate-6-hydroxydopamine-lesioned rat: a model for clinical neuroscience and neurobiological principles". Brain Res. Brain Res. Rev. 48 (1): 57–73. doi:10.1016/j.brainresrev.2004.08.004. PMID 15708628. S2CID 22599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