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1040B1 -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040B1
KR101111040B1 KR1020097006909A KR20097006909A KR101111040B1 KR 101111040 B1 KR101111040 B1 KR 101111040B1 KR 1020097006909 A KR1020097006909 A KR 1020097006909A KR 20097006909 A KR20097006909 A KR 20097006909A KR 101111040 B1 KR101111040 B1 KR 10111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ing
polyester film
polyester
degre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264A (ko
Inventor
가쯔후미 구마노
유키 하라구치
야스시 사사키
마사토시 다나베
가쯔야 이토
겐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parallel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낮은 온도 및 낮은 압력하에서의 성형성, 투명성, 내용제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롤상으로 권취(捲取)한 장척의 필름을 권출(捲出)할 때 블로킹이나 필름의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환경부하가 작은, 가전, 자동차의 명판용 또는 건재용 부재로서 적합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1)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이, 모두 25℃에 있어서 40~300 ㎫ 및 100℃에 있어서 1~100 ㎫, (2) 필름의 150℃에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이 0.01~5.0%, (3) 헤이즈가 0.1~3.0%, (4) 적어도 한쪽 면의 필름의 표면 조도(Ra)가 0.005~0.030 ㎛, (5) 면배향도가 0.0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for molding}
본 발명은 낮은 온도 및 낮은 압력하에서의 성형성, 투명성, 내용제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롤상으로 권취(捲取)한 장척의 필름을 권출(捲出)할 때에 블로킹이나 필름의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환경부하가 작은, 각종 휴대기기의 상자체 내지 그의 부재, 가전이나 자동차의 명판용 부재 또는 건재용 부재로서 적합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옥외에서 사용되는 용도(자동차의 외장용 또는 건재용 부재)에 적합한 내광성도 우수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찰상성이 우수한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성형용 시트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이 대표적으로, 가공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어 왔다. 한편, 상기 필름은 화재 등에 의해 필름이 연소되었을 때의 유독가스 발생의 문제,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 등의 문제가 있어, 최근의 내환경성의 요구에 따라, 환경부하가 작은 새로운 소재가 요구되어 오고 있다.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비염소계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계 수지로 되는 미연신 시트가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미연신 시트는 기계적 특성, 투명성이 좋고, 또한 경제성이 우수하여 주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있어서의 에틸렌글리콜 성분의 약 30 몰%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한, 실질적으로 비결정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미연신 폴리에스테르계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를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9-15626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7166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80251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2995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49652호 공보
상기의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시트는 성형성이나 라미네이트 적성에 관해서는 시장 요구를 만족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미연신 시트이기 때문에 내열성이나 내용제성이 충분하지 않아, 시장의 고도한 요구를 만족시키기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9를 참조).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평9-187903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96937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공개 평11-10816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68215호 공보
그러나, 상기 방법은 내열성이나 내용제성은 개선되지만, 성형성이 불충분해져, 종합적인 품질의 균형 측면에서 시장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필름의 100% 신장시 응력을 특정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0, 11을 참조)
특허문헌 10: 일본국 특허공개 평2-204020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347565호 공보
이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비해 성형성은 개선되어 있지만, 성형성에 관한 시장의 고도한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레벨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특히, 성형온도의 저온화에 적합할 수 있는 성형성이나 얻어진 성형품의 마무리성에 과제가 남겨져 있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해결에 대해서 검토를 하여, 이미 특정한 조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원료로 하고, 또한 필름의 100% 신장시 응력을 특정화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2를 참조).
특허문헌 1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075713호 공보
이 방법에 의해, 성형시의 성형압력이 높은 금형성형법에 있어서는, 시장 요구를 만족하는, 성형온도의 저온화에 적합 가능한 성형성이나 얻어진 성형품의 마무리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시장에서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압공(壓空)성형법이나 진공성형법 등의 성형시의 성형압력이 낮은 성형방법의 경우, 성형품의 마무리성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성형시의 성형압력이 낮은 성형방법인 압공성형법이나 진공성형법에 적용할 수 있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고, 필름의 25℃와 100℃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 100℃와 1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E'), 175℃에 있어서의 열변형률을 특정 범위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본 발명자 등은 제안하였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을 참조). 그러나, 이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여, 롤상으로 권취한 후, 필름을 권출하여 후가공하는 경우, 블로킹이나 찢어짐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필름에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을 증착 또는 스퍼터링하는 경우나 인쇄를 행하는 등의 후가공시에, 생산성이나 품질의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3: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5-290354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낮은 온도 및 낮은 압력하에서의 성형성, 투명성, 내용제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롤상으로 권취한 장척의 필름을 권출할 때 블로킹이나 필름의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환경부하가 작은, 각종 휴대기기의 상자체 내지 그의 부재, 가전이나 자동차의 명판용 부재 또는 건재용 부재로서 적합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하의 구성으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1)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이, 모두 25℃에 있어서 40~300 ㎫ 및 100℃에 있어서 1~100 ㎫, (2) 필름의 150℃에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이 0.01~5.0%, (3) 헤이즈가 0.1~3.0%, (4) 적어도 한쪽 면의 필름의 표면 조도(Ra)가 0.005~0.030 ㎛, (5) 면배향도가 0.0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2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파장 370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발명에 기재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3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a)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 또는 지환족 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b)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또는 2 발명에 기재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4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가, 추가적으로 글리콜 성분으로서 1,3-프로판디올 단위 또는 1,4-부탄디올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발명에 기재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5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융점이 200~2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6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하고, 이 기재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두께가 0.01~5 ㎛인 표면층을 적층해서 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은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표면층에만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7 발명은 표면층이 밀착성 개질 수지와 입자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 발명에 기재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8 발명은 상기 제1~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제9 발명은 상기 제1~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진공성형, 압공성형 및 금형성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성형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이다.
제10 발명은 상기 제9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낮은 온도나 낮은 압력하에서의 가열 성형시의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폭 넓은 성형방법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성형품으로서 상온 분위기하에서 사용할 때, 탄성 및 형태 안정성(열수축 특성, 두께 불균일)이 우수하며, 또한 내용제성, 내열성, 또한 환경부하가 작다. 또한, 후가공시에 롤상으로 권취한 장척의 필름을 권출할 때, 블로킹이나 찢어짐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평활성과 투명성이 고도로 우수하기 때문에, 후가공시에 증착층, 스퍼터링층, 또는 인쇄층을 설치했을 때의 의장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각종 휴대기기의 상자체 내지 그의 부재, 가전이나 자동차의 명판용 부재 또는 건재용 부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필름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켜, 자외영역의 투과율을 저감시킴으로써, 내광성을 부여할 수 있고, 특히 옥외에서 사용되는 용도(자동차의 외장용 또는 건재용 부재)의 성형재료로서 적합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성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 규정한 물성의 기술적 의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성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물성의 기술적 의미와 의의)
본 발명에 있어서 100% 신장시의 응력(F100)이란, 필름의 성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척도이다. F100이 필름의 성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이유로서, 예를 들면 진공성형법을 사용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성형할 때, 금형의 코너 부근에서는 필름은 국부적으로 100% 이상으로 신장하는 경우가 있다. F100이 높은 필름에서는 이와 같은 국소적으로 신장된 부분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매우 높은 응력이 발생하고, 이 응력집중에 의해 필름이 파단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F100이 지나치게 작은 필름에서는 성형성은 양호해지지만, 금형의 평면부와 같은 균일하게 신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매우 약한 장력밖에 발생하지 않아, 그 결과, 이 부분에 있어서의 필름의 균일한 신장이 얻어지지 않는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성형시의 온도에 대응하는 성형성과 관련이 있는 물성으로서, 100℃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F100100)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요철이나 팬 곳이 있는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할 때, 성형 전의 필름을 사전에 그들의 틀(型)에 가볍게 추수(追隨)시켜서 성형할 때의 성형성과 관련이 있는 물성으로서, 25℃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F10025)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25℃에서의 100% 신장시 응력(F10025)이 모두 30~300 ㎫이다.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F10025는 40~300 ㎫로,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다. 또한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이다. F10025가 40 ㎫ 미만인 경우, 롤상의 필름을 잡아당겨 권출할 때, 필름이 늘어나거나 찢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량해진다. 한편, F10025가 300 ㎫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성이 불량해진다. 특히, 요철이나 팬 곳이 있는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성형 전의 필름을 사전에 그들의 틀에 가볍게 추수시켜 성형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필름의 형태가 만들어지기 어려워져, 완성품의 의장성이 불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100℃에서의 100% 신장시 응력(F100100)이 모두 1~100 ㎫인 것이 중요하다.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F100100의 상한은 성형성의 측면에서 90 ㎫가 바람직하고, 80 ㎫가 보다 바람직하며, 70 ㎫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F100100의 하한은 성형품을 사용할 때의 탄성이나 형태 안정성의 측면에서 5 ㎫가 바람직하고, 10 ㎫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1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은 0.01~5.0%이다. 15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의 하한값은 0.1%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다. 한편, 15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의 상한값은 4.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더욱 바람직하게는 3.2%이다. 1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필름의 열수축률이 0.01% 미만인 성형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해도, 실용상의 효과에 현저한 차가 보이지 않고, 생산성이 매우 저하되기 때문에, 150℃에서의 열수축률을 0.01% 미만으로 할 필연성은 없다. 한편, 1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필름의 열수축률이 5.0%를 초과하면,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인쇄 등의 열이 걸리는 후처리공정에 있어서, 필름이 변형되기 쉬워져, 후가공 후의 필름의 외관이나 의장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헤이즈는 0.1~3.0%이다. 헤이즈의 하한값은 0.3%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다. 한편, 헤이즈의 상한값은 2.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다. 헤이즈가 0.1% 미만인 필름은 활성(滑性)이 나쁘기 때문에 통상의 생산성으로 공업규모로 생산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필름의 헤이즈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 등의 증착이나 스퍼터링면, 또는 인쇄면을 필름의 이면(裏面)에서 본 경우, 금속이나 인쇄면이 거무스름해져 보이기 때문에, 의장성이 부족해진다. 또한, 필름 중의 핸들링성의 개량을 위해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입자를 필름 중에 함유시켜서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헤이즈가 2.0% 이하인 필름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 면의 필름의 표면 조도(Ra)는 0.005~0.030 ㎛이다. Ra의 하한값은 0.006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7 ㎛이다. 한편, Ra의 상한값은 0.025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이다. 적어도 한쪽 면의 필름의 Ra가 작아짐에 따라, 필름을 권취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한 일단 롤상으로 권취한 필름을 권출할 때, 블로킹이나 필름의 찢어짐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한다. 또한, Ra가 0.03 ㎛를 초과하면, 증착, 스퍼터링 또는 인쇄 등의 후가공공정에서 돌기가 결점이 되어 의장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면배향도(△P)도 성형성과 관련이 있는 물성으로, 면배향도가 높을수록 분자 사슬이 면방향으로 배열되어, 성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면배향도는 0.095 이하이다. 면배향도의 상한은 0.090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배향도가 작을수록 성형성은 좋아지지만,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두께 불균일 등의 평면성이 악화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면배향도의 하한은 0.0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이 보다 바람직하며, 0.04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상점)
본원은 종래기술에 기재한 특허문헌 12의 개량 발명이다.
본 발명과 같이 공중합 성분을 5~50 몰%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과 비교하여 결정화 속도가 느리고, 또한 결정성이 낮다. 또한, 면배향도와 150℃의 열수축률을 작게 하기 위해, 특허문헌 12에 기재한 통상보다도 고온에서 열처리한다는 방법을 사용한 경우, 연신 종료 후에 급격하게 고온에서 열처리를 하기 때문에, 열처리 존에 있어서 결정성이 낮은 재료를 구성하는 분자의 운동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연신공정에 있어서 입자(이축배향 필름 중의 입자 또는 코팅층 중의 입자)가 융기함으로써 형성된 표면 돌기가, 열처리 존에 있어서 다시 매몰되어 버리기 때문에, 충분한 표면 조도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필름을 깨끗하게 권취하고, 또한 롤상으로 권취한 필름을 권출할 때의 블로킹이나 찢어짐을 억제하기 위해, 입자의 첨가량을 필요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헤이즈가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열처리 존을 2단(이상)으로 하고, 1단째의 열처리온도 TS1과 2단째의 열처리온도 TS2를 특정 범위로 제어한다는 적합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제1단째의 열처리 존에 있어서, 입자가 필름 내부에 매몰되기 전에, 어느 정도 필름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두고, 추가적으로 2단째의 열처리 존에 있어서 충분히 온도를 높여도, 분자의 운동성은 충분히 저하되어 있어, 표면의 돌기를 형성한채로, 더욱 결정성을 촉진시켜, 열수축률이 낮은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투명성의 측면에서 필요 이상으로 입자를 함유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필름의 적합한 제조방법)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원료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는 (a)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 또는 지환족 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b)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또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가, 추가적으로 글리콜 성분으로서 1,3-프로판디올 단위 또는 1,4-부탄디올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성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원료로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단독, 1종류 이상의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 또는 호모폴리에스테르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조합 중 어떤 방법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블렌드법이 융점의 저하를 억제하는 측면에서 적합하다.
상기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 또는 지환족 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가 적합하고,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한 테레프탈산 및/또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양은 7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몰%이다.
또한,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등이 예시된다. 지환족 글리콜로서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네오펜틸글리콜이나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글리콜 성분에 더하여 1,3-프로판디올이나 1,4-부탄디올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이들의 글리콜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상기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적합하고, 또한 투명성이나 내열성도 우수하여, 밀착성 개질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경우, 에틸렌글리콜의 양은 전체 글리콜 성분에 대해 7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몰%이다.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상기의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이나 지환족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이 적합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토류금속화합물, 망간화합물, 코발트화합물, 알루미늄화합물, 안티몬화합물, 티탄화합물, 티탄/규소 복합산화물, 게르마늄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티탄화합물, 안티몬화합물, 게르마늄화합물, 알루미늄화합물이 촉매활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때, 열안정제로서 인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인산, 아인산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성형성, 밀착성, 제막 안정성의 측면에서, 고유점도가 0.50 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 dl/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60 dl/g 이상이다. 고유점도가 0.50 dl/g 미만에서는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멜트라인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를 설치한 경우, 용융 수지의 압출시에 있어서의 토출 안정성의 측면에서, 고유점도의 상한을 1.0 dl/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 원료로서, 1종류 이상의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이들을 블렌드하여 필름을 제막함으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만을 사용한 경우와 동등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투명성과 높은 융점(내열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융점의 호모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유연성과 실용상 문제가 없는 융점(내열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호모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적어도 1종 이상 블렌드하여,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은 성형성의 측면에서도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융점은 내열성 및 성형성의 측면에서, 200~2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폴리머의 종류나 조성, 또한 제막조건을 상기 융점의 범위내로 제어함으로써, 성형성과 마무리성의 균형을 취할 수 있어, 고품위의 성형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융점이란, 이른바 시차주사열량측정(DSC)의 1차 승온시에 검출되는 융해시의 흡열피크온도이다. 이 융점은 시차주사열량 분석장치(맥 사이언스사제, DSC3100S)를 사용하여, 승온속도 20℃/분으로 측정하여 구하였다. 융점의 하한값은 210℃가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30℃이다. 융점이 200℃ 미만이면, 내열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성형시나 성형품의 사용시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파장 370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파장 370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을 5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특히 이 필름에 인쇄를 한 경우에 인쇄층의 내광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파장 370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을 50% 이하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구성층 중 어느 하나에 자외선흡수제를 배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상기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무기계, 유기계 중 어느 쪽이어도 상관없다. 유기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환상(環狀) 이미노에스테르계 등, 및 그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내열성의 관점에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가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자외선흡수제를 병용한 경우에는, 각각의 파장의 자외선을 동시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자외선흡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부틸-3'-(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메톡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시아노-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tert-부틸-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니트로-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2'-(1,4-페닐렌)비스(4H-3,1-벤즈옥사진-4-온), 2-메틸-3,1-벤즈옥사진-4-온, 2-부틸-3,1-벤즈옥사진-4-온, 2-페닐-3,1-벤즈옥사진-4-온, 2-(1- 또는 2-나프틸)-3,1-벤즈옥사진-4-온, 2-(4-비페닐)-3,1-벤즈옥사진-4-온, 2-p-니트로페닐-3,1-벤즈옥사진-4-온, 2-m-니트로페닐-3,1-벤즈옥사진-4-온, 2-p-벤조일페닐-3,1-벤즈옥사진-4-온, 2-p-메톡시페닐-3,1-벤즈옥사진-4-온, 2-o-메톡시페닐-3,1-벤즈옥사진-4-온, 2-시클로헥실-3,1-벤즈옥사진-4-온, 2-p-(또는 m-)프탈이미드페닐-3,1-벤즈옥사진-4-온, 2,2'-(1,4-페닐렌)비스(4H-3,1-벤즈옥사지논-4-온), 2,2'-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데카메틸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4,4'-디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2,6- 또는 1,5-나프탈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2-메틸-p-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2-니트로-p-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2-클로로-p-페닐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2,2'-(1,4-시클로헥실렌)비스(3,1-벤즈옥사진-4-온), 1,3,5-트리(3,1-벤즈옥사진-4-온-2-일)벤젠, 1,3,5-트리(3,1-벤즈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및 2,4,6-트리(3,1-벤즈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8-디메틸-4H,6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메틸-4H,9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9-디온, 2,8-디페닐-4H,8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페닐-4H,9H-벤조(1,2-d;5,4-d')비스-(1,3)-옥사진-4,6-디온, 6,6'-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비스(2-에틸-4H,3,1-벤즈옥사진-4-온), 6,6'-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6'-옥시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옥시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6'-설포닐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설포닐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6'-카르보닐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6'-카르보닐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7,7'-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7,7'-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7,7'-옥시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7,7'-설포닐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7,7'-카르보닐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7'-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6,7'-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즈옥사진-4-온), 및 6,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즈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유기계 자외선흡수제를 필름에 배합하는 경우는 압출공정에서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자외선흡수제는 분해개시온도가 290℃ 이상인 자외선흡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제막시의 공정오염을 적게 하는데 바람직하다. 분해개시온도가 290℃ 이하인 자외선흡수제를 사용하면 제막 중에 자외선흡수제의 분해물이 제조장치의 롤군 등에 부착되어, 더 나아가서는 필름에 재부착되거나, 흠집을 내어 광학적인 결점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무기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산화세륨,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의 금속산화물의 초미립자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융점의 상한값은 내열성의 측면에서는 높은 편이 좋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체로 한 경우, 융점이 250℃를 초과하는 필름에서는 성형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투명성도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도의 성형성이나 투명성을 얻기 위해서는 융점의 상한을 24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활성이나 권취성 등의 핸들링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필름 중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입자로서는, 평균입경이 0.01~10 ㎛인 내부 석출입자, 무기입자 및/또는 유기입자 등의 외부입자를 들 수 있다. 평균입경이 10 ㎛를 초과하는 입자를 사용하면, 필름의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져, 의장성이나 투명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평균입경이 0.01 ㎛ 미만인 입자에서는 필름의 활성이나 권취성 등의 핸들링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입자의 평균입경은 활성이나 권취성 등의 핸들링성의 측면에서 하한은 0.10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이다. 한편, 상기 입자의 평균입경은 투명성이나 조대 돌기에 의한 필름 결점의 저감 측면에서, 상한은 5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이다.
또한, 입자의 평균입경은 적어도 200개 이상의 입자를 전자현미경법으로 복수장 사진 촬영하여, OHP 필름에 입자의 윤곽을 트레이스하고, 이 트레이스상을 화상해석장치로 원상당 직경으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상기 외부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습식 및 건식 실리카, 콜로이달 실리카,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탄,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바륨, 알루미나, 마이카, 카올린, 클레이,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등의 무기입자 및 스티렌, 실리콘, 아크릴산류 등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유기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건식, 습식 및 건식 콜로이드상 실리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입자 및 스티렌, 실리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폴리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등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유기입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내부입자, 무기입자 및/또는 유기입자는 2종 이상을 본원발명에서 규정한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병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입자의 필름 중에서의 함유량은 0.001~10 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 질량% 미만인 경우, 필름의 활성이 악화되거나, 권취가 곤란해지는 등 핸들링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10 질량%를 초과하면, 조대 돌기의 형성, 제막성이나 투명성의 악화 등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입자는, 일반적으로는 굴절률이 폴리에스테르와 상이하기 때문에,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성형품은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필름을 성형하기 전에 필름 표면에 인쇄가 실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인쇄층은 성형용 필름의 뒤쪽에 실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쇄 선명성의 측면에서 필름의 투명성이 높은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필름의 핸들링성을 유지하면서, 고도의 투명성을 얻기 위해, 주층의 기재 필름 중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고, 두께가 0.01~5 ㎛인 표면층에만 입자를 함유시킨 적층구조를 갖는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표면층 두께의 상한은 3 ㎛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다. 이 경우, 입자는 상기에서 예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헤이즈를 0.1~3.0%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기재 필름 중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고, 두께가 0.01~5 ㎛인 표면층을 형성하여 표면층에만 입자를 함유시킨 적층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링성을 유지하면서, 필름 중에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만으로, 헤이즈가 2.0% 이하가 되는 필름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기에서 말하는 「기재 필름 중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고」란, 예를 들면 무기입자의 경우 형광 X선 분석으로 무기원소를 정량한 경우에 검출한계 이하가 되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이는 의식적으로 입자를 기재 필름에 첨가시키지 않아도, 외래 이물질 유래의 오염 성분 등이 혼입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헤이즈가 낮고 의장성이 높은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기재 필름 중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30 ppm 이하이면 기재 필름 중에 입자를 첨가해도 상관없다.
두께가 얇은 표면층의 형성은 코팅법 또는 공압출법으로 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코팅법의 경우, 입자를 함유하는 밀착성 개질 수지로 되는 조성물을 도포층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인쇄층과의 밀착성도 개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다. 상기의 밀착성 개질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계 중합체 및/또는 그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상기에서 기재한 입자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 중에서도, 실리카 입자, 유리 필러, 실리카-알루미나 복합산화물 입자는 굴절률이 폴리에스테르에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투명성의 측면에서 특히 적합하다.
또한,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입자 함유량은 0.01~25 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 질량% 미만인 경우, 필름의 활성이 악화되거나, 권취가 곤란해지는 등 핸들링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25 질량%를 초과하면, 투명성이나 도포성이 악화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종류가 상이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적층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A/B의 2종 2층 구성, B/A/B 구성의 2종 3층 구성, C/A/B의 3종 3층 구성의 적층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축연신 필름인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축연신에 의한 분자배향에 의해, 상기 필름의 미소장력(초기 하중 49 mN)하에서의 열변형률을 본 발명의 범위내로 제어할 수 있고, 미연신 시트의 결점인 내용제성이나 치수 안정성이 개선된다. 즉, 미연신 시트의 성형성의 양호함을 유지하면서, 미연신 시트의 결점인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을 개선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상기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필요에 따라서 건조한 후, 공지의 용융 압출기에 공급하여, 슬릿상의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여, 정전인가 등의 방식으로 캐스팅 드럼에 밀착시키고,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원반)를 얻은 후, 이와 같은 미연신 시트를 이축연신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이축연신 방법으로서는 미연신 시트를 필름의 길이방향(MD) 및 폭방향(TD)으로 연신, 열처리하여, 목적으로 하는 면내 배향도를 갖는 이축연신 필름을 얻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들의 방식 중에서도 필름 품질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신한 후,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MD/TD법, 또는 폭방향으로 연신한 후, 길이방향으로 연신하는 TD/MD법 등의 축차 이축연신 방식,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거의 동시에 연신해가는 동시 이축연신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시 이축연신법의 경우, 리니어 모터로 구동하는 텐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동일 방향의 연신을 다단계로 나누어 행하는 다단 연신법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축연신시의 필름 연신배율로서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1.6~4.2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7~4.0배이다. 이 경우,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연신배율은 어느 쪽을 크게 해도 되고, 동일 배율로 해도 된다. 길이방향의 연신배율은 2.8~4.0배, 폭방향의 연신배율은 3.0~4.5배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때의 연신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에 있어서는 이후의 횡연신이 매끄럽게 될 수 있도록, 연신온도는 50~110℃, 연신배율은 1.6~4.0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연신할 때, 적절한 조건에 비해 연신온도가 낮은 경우는 횡연신의 개시초기에서 급격하게 항복응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신이 불가능하다. 또한, 설령 연신이 가능하더라도 두께나 연신배율이 불균일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적절한 조건에 비해 연신온도가 높은 경우는 초기의 응력은 낮아지는데, 연신배율이 높아져도 응력은 높아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25℃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이 작은 필름이 된다. 따라서, 최적의 연신온도를 취함으로써, 연신성을 확보하면서 배향이 높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공중합 성분을 1~40 몰% 포함하는 경우, 항복응력을 없애도록 연신온도를 높여가면, 연신응력은 급격하게 저하된다. 특히, 연신 후반에서도 응력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배향이 높아지지 않아, 25℃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필름의 두께가 60~500 ㎛에서 발생하기 쉽고, 특히 두께가 100~300 ㎛인 필름에서 현저하게 보인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필름의 경우, 가로방향의 연신온도는 이하의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예열온도는 필름 재료를 압출기로 압출한 후의 혼합물(원반)을 DSC에 있어서 측정한 경우의 유리전이온도의 +10℃~+50℃의 범위에서 행한다. 이어서, 횡연신의 전반부에서는 연신온도는 예열온도에 대해 -20℃~+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연신의 후반부에서는 연신온도는 전반부의 연신온도에 대해 0℃~-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반부의 연신온도에 대해 -10℃~-2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횡연신의 전반에서는 항복응력이 작기 때문에 연신하기 쉽고, 또한 후반에서는 배향하기 쉬워진다. 또한, 횡방향의 연신배율은 2.5~5.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규정한 F10025나 F100100을 만족하는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축연신 후에 필름의 열처리(열고정처리)를 행한다. 이 열처리조건은 헤이즈와 표면 조도, 즉 필름의 활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중요한 조건이다. 연신 종료 후의 필름을 계속해서 텐터 내에서 열처리하는데, 이 경우 열처리는 2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1단째의 열처리온도(TS1)는 2단째의 열처리온도(TS2)의 -5℃~-30℃의 범위,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TS2-10℃,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TS2-25℃이다. 2단째의 열처리온도(TS2)는 필름 재료를 압출기로 압출한 후의 혼합물(원반)을 후술의 DSC에 있어서 측정한 경우의 융점의 -5℃~-35℃의 범위에서 행한다. TS2의 하한값은 바람직하게는 융점-10℃, TS2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융점-30℃이다. 또한, TS1과 TS2 사이에 중간 열처리 존을 설치하는 것도, 또한 TS2 후에 열처리 존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경우, TS2는 최고의 열처리온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조건을 취함으로써, 헤이즈가 낮고, 활성이 양호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열처리는 긴장열처리, 이완열처리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다. 열수축률을 낮게 하기 위해서는, 3~10%의 이완열처리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 본 발명과 같은 공중합 성분이 5~50 몰% 정도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과 비교하여 결정화 속도가 느리고, 또한 결정성이 낮다. 이 때문에, 연신 종료 후에 급격하게 고온에서 열처리를 하면, 열처리 존에 있어서 결정성이 낮은 재료를 구성하는 분자의 운동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연신공정에 있어서 입자(필름 중의 입자 및/또는 코팅층의 입자)가 융기함으로써 형성된 표면 돌기가, 열처리 존에 있어서 다시 매몰되어 버리기 때문에, 충분한 표면 조도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필름을 깨끗하게 권취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함유량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필요량 이상으로 증가시키게 되어, 헤이즈가 악화되는 원인이 된다. 한편, TS2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보다 낮게 하면, 150℃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이 충분히 낮은 필름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열처리 존을 2단(이상)으로 하는 본원 발명의 방법을 취하는 것은 TS1에 있어서 입자가 필름 내부에 매몰되기 전에, 어느 정도 필름의 결정화를 촉진시켜 두고, 또한 TS2 존에 있어서 충분히 온도를 높여도, 전항의 상태에 비하면 충분히 분자의 운동성은 저하되어 있어 표면의 돌기를 형성한채로, 더욱 결정성을 촉진시켜, 열수축률이 낮은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필요 이상의 입자의 첨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면배향도를 낮추는 수단으로서는 연신배율을 낮추는 방법과 공중합 성분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전자의 방법은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악화되고, 후자의 방법으로는 필름의 융점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배향도와 150℃의 열수축률을 작게 하기 위해, 통상보다도 고온에서 열고정을 행한다. 열고정은 전술한 열처리, 특히 2단째의 열처리에 있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융점이 균일 중합체에 비해 낮기 때문에, 열고정온도를 높게 하면, 횡연신공정에서 필름을 유지하는 클립에 필름이 융착되어 박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텐터 출구에서 클립이 필름을 개방할 때 클립 근방을 충분히 냉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필름과 클립을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1) 클립이 가열되기 어렵도록, 클립 부분에 열차폐벽을 설치하는 방법, (2) 클립 냉각기구를 텐터에 부가하는 방법, (3) 냉각능력의 강화를 행하기 위해 열고정 후의 냉각구간을 길게 설정하여, 필름 전체의 냉각을 충분히 행하는 방법, (4) 냉각구간의 길이, 구획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냉각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5) 클립의 리턴부분이 로(爐)의 바깥쪽을 주행하는 타입을 사용하여 클립의 냉각을 강화하는 방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였던, 성형시의 성형압력이 10 기압 이하인 저압하에서의 진공성형이나 압공성형 등의 성형방법에 있어서도, 마무리성이 양호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성형법은 성형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성형품의 제조에 있어서의 경제성에 있어서 우위이다. 따라서, 이들의 성형법에 적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효과를 가장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금형성형은 금형이나 성형장치가 고가여서, 경제성의 측면에서는 불리하지만, 상기의 성형법보다도 복잡한 형상의 성형품이 고정밀도로 성형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금형성형한 경우는 종래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비해, 보다 낮은 성형온도에서 성형이 가능하고, 또한 성형품의 마무리성이 개선된다는 현저한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성형된 성형품은 상온 분위기하에서 사용할 때, 탄성 및 형태 안정성(열수축 특성, 두께 불균일)이 우수하고, 또한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환경부하도 작기 때문에, 가전용 명판, 자동차용 명판, 모형캔, 건재, 화장판, 화장강판, 전사 시트 등의 성형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의 성형방법 이외에도 프레스 성형, 라미네이트 성형, 인몰드 성형, 드로잉 성형, 굽힘 성형 등의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성형용 재료로서도 적합하다.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또는 밀착성 개량 수지로 되는 표면층을 매개로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이란,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기재의 표면경도를 보충하여,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보다도 고경도의 피막을 갖는 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코트성을 갖는 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멜라민계, 아크릴계, 실리콘계의 하드코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딱딱한 하드코트 피막이 얻어지는 측면에서 아크릴계의 하드코트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하드코트층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한 후, 중합, 및/또는 반응시킴으로써 수지로 한 피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은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단,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타)아크릴로일기」의 기재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약칭하여 표시한 것이다)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로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의 상기 수산기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화물로 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1분자 중에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화합물과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경도 및 경화성은 물론 내찰상성과 가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1분자 중에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로서는, (a) 탄소수 2~12의 알킬렌글리콜의 (메타)아크릴산 디에스테르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 (b)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의 (메타)아크릴레이트산 디에스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 (c) 다가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디에스테르류: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 (d)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A의 수소화물의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산 디에스테르류: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등, (e)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2개 이상의 알코올성 수산기 함유 화합물을 미리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에, 추가적으로 알코올성 수산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류, (f)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화합물이나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의 사용비율은 고형분 총량에 대해 30~90 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의 사용비율이 3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내찰상성을 갖는 경화피막이 얻어지기 어렵고, 또한 그 양이 9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피막의 가요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성형시에 하드코트층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하드코트층의 화합물 조성을 중합, 및/또는 반응시키는 방법으로서 전자선, 방사선,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자외선 조사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에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p-디메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벤조페논, 2-클로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질,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메틸벤조일포메이트, p-이소프로필-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카르보닐화합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피드,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등의 황화합물, 벤조일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등의 퍼옥시드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광중합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해도 된다. 광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고형분 중 0.01~10 질량%가 적당하고, 사용량이 적은 경우는 반응이 느려 생산성이 불량해질 뿐 아니라, 잔존하는 미반응물에 의해 충분한 하드코트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광개시제에 의해 하드코트층이 황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화합물 조성에는 제조시의 열중합이나 저장 중의 암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2,5-t-부틸히드로퀴논 등, 공지의 열중합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중합 방지제의 첨가량은 고형분 중 0.005~0.05 질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화합물 조성에는 도공시의 작업성의 향상, 도공막 두께의 조절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유기용제를 배합할 수 있다.
유기용제로서는 기재가 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내열성의 문제로부터 도포 후의 건조온도를 150℃ 이하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점이 5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초산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제, 디옥산 등의 환상 에테르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용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드코트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요철 부여나 내부응력의 완화를 위한 필러,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불소나 실리콘계 화합물, 도공성이나 외관 향상을 위한 레벨링제나 소포제, 더 나아가서는 착색용 염료나 안료를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은 성형가공 후에 도포해도 되지만, 롤형태로 연속가공할 수 있는 성형가공 전의 필름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스프레이법, 침지(딥)법, 롤 코팅법, 다이스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0.5 ㎛ 이상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하드코트성이 얻어지기 어렵고, 반대로 두꺼운 경우에는 경화수축에 의한 컬이 나쁜 경향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는 1 ㎛ 이상 6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필름은 성형성이 양호하고 마무리성이 양호한 성형품이 얻어지고, 또한 표면의 내찰상성이 우수한 성형품이 용이하게 얻어져, 가전용 명판, 자동차용 명판, 모형캔, 건재, 화장판, 화장강판 등의 성형부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필름 특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 평가하였다.
(1) 고유점도
칩 샘플 0.1 g을 정밀하게 무게달아, 25 ㎖의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질량비)의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오스트발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30℃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3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2) 두께 불균일
횡연신방향으로 길이 3 m, 종연신방향으로 폭 5 ㎝의 필름의 연속된 테이프상 샘플을 권취하고, 필름 두께 연속 측정기(안리츠 주식회사제)로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여, 레코더에 기록한다. 차트로부터 두께의 최대값(Tmax), 최소값(Tmin), 평균값(Tav)을 구하여, 하기 식으로 두께 불균일(%)을 산출하였다. 또한, 측정은 3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횡연신방향의 길이가 3 m에 미치지 않은 경우는 함께 연결하여 행한다. 또한,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측정 데이터는 삭제하였다.
두께 불균일(%)=((Tmax-Tmin)/Tav)×100
(3) 헤이즈
JIS-K7136-2000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닛폰덴쇼쿠 공업주식회사제, 300A)를 사용하여 필름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2회 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4) 필름의 두께
밀리트론을 사용하여 1장당 5점, 총 3장의 15점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 하였다.
(5) 100% 신장시 응력, 파단신도
이축연신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 각각 길이 180 ㎜ 및 폭 10 ㎜의 직사각형상으로 시료를 한쪽 칼날 면도기로 잘라내었다. 이어서, 인장시험기(도요 세이키 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상 시료를 인장하고, 얻어진 하중-왜곡선으로부터 각 방향의 100% 신장시 응력(㎫) 및 파단신도(%)를 구하였다.
또한, 측정은 25℃의 분위기하에서, 초기 길이(표선간 거리) 40 ㎜, 척간 거리 100 ㎜, 크로스헤드 스피드 100 ㎜/min, 기록계의 차트 스피드 200 ㎜/min, 로드 셀 25 ㎏f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또한, 이 측정은 10회 행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100℃의 분위기하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인장시험을 행하였다. 이때, 시료는 100℃의 분위기하에서 30초 유지한 후,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측정은 10회 행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6) 표면 조도(Ra)
JIS-B601-2001을 토대로, 설프콤 304B(주식회사 도쿄세이미쯔제)로 필름의 Ra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조건은 컷오프 0.08 ㎛, 촉침 반경 2 ㎛, 측정 길이 0.8 ㎜, 측정 속도 0.03 ㎜/초로 행하였다.
(7) 150℃에서의 열수축률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 각각 길이 150 ㎜ 및 폭 20 ㎜의 직사각형상 시료를 잘라낸다. 각 시료의 길이방향에 100 ㎜ 간격으로 2개의 표시를 하여, 무하중하에서 2개의 표시의 간격 A를 측정한다. 계속해서, 직사각형상의 각 시료의 한쪽을 바구니에 무하중하에서 클립으로 매달아, 150℃ 분위기하의 기어 오븐에 넣는 동시에 시간을 측정한다. 30분 후, 기어 오븐으로부터 바구니를 꺼내어,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다. 이어서, 각 시료에 대해서 무하중하에서 간격 B를 읽어낸다. 읽어낸 간격 A 및 B로부터 각 시료의 150℃에서의 열수축률을 하기 식으로 산출한다.
열수축률(%)=((A-B)/A)×100
(8) 면배향도(△P)
나트륨 D선(파장 589 ㎚)을 광원으로 하고, 아베 굴절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길이방향의 굴절률(Nz), 폭방향의 굴절률(Ny), 두께방향의 굴절률(Nz)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면배향도(△P)를 산출하였다.
△P=((Nx+Ny)/2)-Nz
(9) 파장 370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
분광광도계(시마즈세이사쿠쇼(주)제, UV-1200)를 사용하여, 파장 370 ㎚의 자외영역에 있어서의 필름의 광선투과율을 측정하였다.
(10) 롤상의 필름의 권출성
제막한 필름을 300 ㎜ 폭×200 m 길이로 3인치 종이관에 휘감고, 23℃ 65RH%분위기하에서 72시간 방치한다. 그 후, 진공증착기 내에 필름을 설치하여, 1×10-4 torr의 분위기하에서 50 m/분의 속도로 권출하였을 때, 다 감을 때까지 이하와 같 은 평가를 하였다. 판정기준은 모든 관점에서 문제가 없는 것을 ○, 하나 이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를 ×로 하였다.
a. 필름의 찢어짐
b. 끈적임의 발생
c. 필름끼리 또는 필름/롤 사이에서의 마찰에 의한 큰 소리의 발생
(11) 원료(대상물)의 유리전이온도(Tg) 및 융점(Tm)
시차주사열량 분석장치(맥 사이언스사제, DSC3100S)를 사용하여, 각 실시예의 조건으로 압출한 원료 약 7 ㎎을 샘플 팬에 넣고, 팬의 뚜껑을 닫아, 질소가스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300℃로 20℃/분의 승온속도로 승온하여 측정하였다. Tg(℃)는 JIS-K7121-1987, 9?3항을 토대로, 융점은 9?1항에 정의되는 융해피크온도(Tpm)로 구하였다.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융점도 동일하게 측정하여, 융해피크온도(Tpm)를 구한다.
(12) 내광성
암상자 중에서 형광등 램프(마쯔시타 전기(주)사제, U형 형광등 FUL9EX)의 바로 아래 3 ㎝의 위치에, 오프셋 인쇄한 인쇄 샘플을 인쇄 샘플의 인쇄면이 뒤쪽이 되도록 두었다. 이어서, 연속 2000시간의 광조사를 행하여, 인쇄면측의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컬러(a*, b*, L*)를 토대로 JIS Z 8730에 준거하여, 색차(△E값)를 측정하였다. 색차(△E값)가 작을수록,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색의 변화가 작은, 즉 내광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내광성의 합격 레벨은 색차(△E값)에서 0.5 이하이다. 또한, 색차(△E값)는 하기의 식으로 산출된다.
△E=√(△a2+△b2+△L2)
(13) 성형성
(a) 진공성형성
필름에 가로세로 5 ㎜의 모눈 인쇄를 실시한 후, 500℃로 가열한 적외선 히터로 필름을 10~15초 가열한 후, 금형온도 30~100℃에서 진공성형을 행하였다. 또한, 가열조건은 각 필름에 대해, 상기 범위내에서 최적 조건을 선택하였다. 금형의 형상은 컵형으로, 개구부는 직경이 50 ㎜이고, 바닥면부는 직경이 40 ㎜이며, 깊이가 50 ㎜이고, 모든 코너는 직경 0.5 ㎜로 만곡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진공성형한 성형품 5개에 대해서 성형성 및 마무리성을 평가하고, 하기 기준으로 순위 매김을 행하였다. 또한, ◎ 및 ○를 합격으로 하고, ×를 불합격으로 하였다.
◎:(ⅰ) 성형품에 찢어짐이 없고,
(ⅱ)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 ㎜ 이하이며, 또한 인쇄 어긋남이 0.1 ㎜ 이하이고,
(ⅲ) 또한 ×에 해당하는 외관 불량이 없는 것
○:(ⅰ) 성형품에 찢어짐이 없고,
(ⅱ)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 ㎜를 초과 1.5 ㎜ 이하, 또는 인쇄 어긋남이 0.1 ㎜를 초과 0.2 ㎜ 이하이며,
(ⅲ) 또한 ×에 해당하는 외관 불량이 없고,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인 것
×: 성형품에 찢어짐이 있는 것, 또는 찢어짐이 없어도 이하의 항목 (i)~(iv)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ⅰ)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5 ㎜를 초과하는 것
(ⅱ) 큰 주름이 생겨 외관이 나쁜 것
(ⅲ) 필름이 백화(白化)되어 투명성이 저하된 것
(ⅳ) 인쇄의 어긋남이 0.2 ㎜를 초과하는 것
(b) 압공성형성
필름에 가로세로 5 ㎜의 모눈 인쇄를 실시한 후, 500℃로 가열한 적외선 히터로 필름을 10~15초 가열한 후, 금형온도 30~100℃에서 4기압의 가압하에서 압공성형을 행하였다. 또한, 가열조건은 각 필름에 대해, 상기 범위내에서 최적 조건을 선택하였다. 금형의 형상은 컵형으로, 개구부는 직경이 60 ㎜이고, 바닥면부는 직경이 55 ㎜이며, 깊이가 50 ㎜이고, 모든 코너는 직경 0.5 ㎜로 만곡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진공성형한 성형품 5개에 대해서 성형성 및 마무리성을 평가하고, 하기 기준으로 순위 매김을 행하여다. 또한, ◎ 및 ○를 합격으로 하고, ×를 불합격으로 하였다.
◎:(ⅰ) 성형품에 찢어짐이 없고,
(ⅱ)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 ㎜ 이하이며, 또한 인쇄 어긋남이 0.1 ㎜ 이하이고,
(ⅲ) 또한 ×에 해당하는 외관 불량이 없는 것
○:(ⅰ) 성형품에 찢어짐이 없고,
(ⅱ)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 ㎜를 초과 1.5 ㎜ 이하, 또는 인쇄 어긋남이 0.1 ㎜를 초과 0.2 ㎜ 이하이며,
(ⅲ) 또한 ×에 해당하는 외관 불량이 없고,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인 것
×: 성형품에 찢어짐이 있는 것, 또는 찢어짐이 없어도 이하의 항목 (ⅰ)~(ⅳ)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ⅰ)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5 ㎜를 초과하는 것
(ⅱ) 큰 주름이 생겨 외관이 나쁜 것
(ⅲ) 필름이 백화되어 투명성이 저하된 것
(ⅳ) 인쇄의 어긋남이 0.2 ㎜를 초과하는 것
(c) 금형성형성
필름에 인쇄를 한 후, 100~140℃로 가열한 열판에서 4초간 접촉 가열한 후, 금형온도 30~70℃, 보압시간 5초로 프레스성형을 행하였다. 또한, 가열조건은 각 필름에 대해, 상기 범위내에서 최적 조건을 선택하였다. 금형의 형상은 컵형으로, 개구부는 직경이 50 ㎜이고, 바닥면부는 직경이 40 ㎜이며, 깊이가 30 ㎜이고, 모든 코너는 직경 0.5 ㎜로 만곡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최적 조건하에서 금형성형한 성형품 5개에 대해서 성형성 및 마무리성을 평가하고, 하기 기준으로 순위 매김을 행하였다. 또한, ◎ 및 ○를 합격으로 하고, ×를 불합격으로 하였다.
◎:(ⅰ) 성형품에 찢어짐이 없고,
(ⅱ)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 ㎜ 이하이며, 또한 인쇄 어긋남이 0.1 ㎜ 이하이고,
(ⅲ) 또한 ×에 해당하는 외관 불량이 없는 것
○:(ⅰ) 성형품에 찢어짐이 없고,
(ⅱ)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 ㎜를 초과 1.5 ㎜ 이하, 또는 인쇄 어긋남이 0.1 ㎜를 초과 0.2 ㎜ 이하이며,
(ⅲ) 또한 ×에 해당하는 외관 불량이 없고,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인 것
×: 성형품에 찢어짐이 있는 것, 또는 찢어짐이 없어도 이하의 항목 (ⅰ)~(ⅳ)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ⅰ)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1.5 ㎜를 초과하는 것
(ⅱ) 큰 주름이 생겨 외관이 나쁜 것
(ⅲ) 필름이 백화되어 투명성이 저하된 것
(ⅳ) 인쇄의 어긋남이 0.2 ㎜를 초과하는 것
(14) 내용제성
25℃로 온도 조정한 톨루엔에 시료를 30분간 침지하여, 침지 전후의 외관변화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고, ○를 합격으로 하였다. 또한, 헤이즈값은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외관변화가 거의 없고, 헤이즈값의 변화가 1% 미만
×: 외관변화가 확인되거나, 또는 헤이즈값의 변화가 1% 이상
(15) 인쇄품위
인쇄 전의 필름을 90℃에서 30분 열처리하고, 이어서 4색의 스크린 인쇄를 행하였다.
또한, 인쇄층을 설치한 필름을 80℃에서 30분 건조하였다. 인쇄품위의 평가는 하기의 클리어감, 인쇄적성, 인쇄 어긋남 등의 인쇄 외관을 인쇄면으로부터가 아닌, 뒤쪽으로부터 필름을 통해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기준은 모든 관점에서 문제 없는 것을 ○, 1개 이상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을 △, 2개 이상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을 ×로 하였다.
a. 클리어감: 인쇄한 무늬가 기재 필름이나 도포층에 차단되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
b. 인쇄적성: 인쇄 잉크의 전이불량에 의한 색 불균일이나 빠짐이 발생하지 않는 것
c. 인쇄의 어긋남: 인쇄의 어긋남을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는 것.
(16) 내찰상성
JIS-K5600에 준거하여, 하중 1 ㎏f로 #0000의 스틸 울로 표면을 20 왕복하여, 24시간 방치한 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단위 100 몰%,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40 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60 몰%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고유점도가 0.69 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칩(A)와, 고유점도가 0.69 dl/g이 고, 또한 평균입경(SEM법)이 1.5 ㎛인 무정형 실리카를 0.04 질량%,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N)(씨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제, 티누빈326)를 0.67 질량%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B)를 각각 건조시켰다. 또한, 칩(A)와 칩(B)를 25:75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들의 칩 혼합물을 압출기로 T 다이의 슬릿으로부터 270℃에서 용융 압출하고, 표면온도 40℃의 칠 롤 상에서 급랭 고화시키는 동시에 정전인가법을 사용하여 칠 롤에 밀착시키면서 무정형의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가열 롤과 냉각 롤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90℃에서 3.3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일축연신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여, 120℃에서 10초간 예열하고, 횡연신의 전반부를 110℃, 후반부를 100℃에서 3.9배 연신하였다. 또한, 1단째의 열처리(TS1)를 205℃, 2단째의 열처리(TS2)를 가로방향으로 7%의 이완처리를 행하면서 235℃에서 열고정처리를 행하여, 두께 100 ㎛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열고정처리 존에는 연신구간과의 사이에 2 m의 중간구간을 설치하고, 열고정 존의 가열용 구간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설치하여, 구간별로 차폐판을 필름에 접촉하지 않는 한계위치까지 확대하여 설치하였다. 가열 후의 냉각구간에서도 구간 차폐를 강화하여, 클립의 리턴방법으로서 외부 리턴방식을 사용하고, 또한 클립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20℃의 냉풍으로 강제 냉각하고, 텐터 출구에서의 클립 온도를 40℃ 이하로 하는 클립 융착 방지대책을 행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열고정온도를 TS1 및 TS2 모두 235℃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열고정온도를 TS1 및 TS2 모두 205℃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칩(B)를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C)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도포액의 조정)
이소프로판올 40 질량% 수용액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 보세키(주)제, 바이로날 MD-1250)를 고형분으로 3.15 질량%,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친수성기로 블록한 수용성 우레탄 수지(다이이치 공업제약(주)제, 엘라스트론 H-3)를 고형분으로 5.85 질량%, 평균입경 1.0 ㎛의 실리카 입자를 전체 수지에 대해 0.8 질량% 및 평균입경 0.05 ㎛의 실리카 입자를 전체 수지에 대해 10 질량% 함유하도록, 도포액을 조정하였다. 얻어진 도포액을 5 질량%의 중조수용액을 사용하여 pH 6.5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백식 필터(스미토모 쓰리엠(주)제, 리퀴드 필터 백)로 여과하고, 도포액 순환계 스톡 탱크내에서 15℃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실시예 3의 필름 원료로서 하기의 칩(D), (J), (F)를 준비하였다.
칩(D)는 수지 성분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단위 100 몰%,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70 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30 몰%를 구성 성분으로 하고,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N)(씨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제, 티누빈326)를 0.5 질량% 함유하는, 고유점도가 0.77 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칩이다.
칩(J)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N)(씨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제, 티누빈326)를 0.67 질량% 함유하는, 고유점도가 0.77 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이다.
칩(F)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N)(씨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제, 티누빈326)를 0.67 질량% 함유하는, 고유점도가 0.75 dl/g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의 칩이다.
상기의 칩을 각각 건조시킨 후, 칩(D), 칩(J), 및 칩(F)를 50:10:40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들의 칩 혼합물을 압출기에 의해 T 다이의 슬릿으로부터 270℃에서 용융 압출하고, 표면온도 40℃의 칠 롤 상에서 급랭 고화시키는 동시에 정전인가법을 사용하여 칠 롤에 밀착시키면서 무정형의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가열 롤과 냉각 롤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83℃에서 3.5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일축연신 필름의 칠 롤면측(F면)에 상기 도포액을 리버스 키스 코트법으로 연신 전의 수지 고형분의 두께가 0.9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포층을 갖는 적층 필름을 건조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95℃에서 10초 예열 하고, 횡연신의 전반부를 80℃, 후반부를 75℃에서 3.9배 연신하였다. 또한, 1단째의 열처리(TS1)를 190℃, 2단째의 열처리(TS2)를 가로방향으로 7%의 이완처리를 행하면서 210℃에서 열고정처리를 행하여, 두께 50 ㎛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열고정처리 존에는 연신구간과의 사이에 2 m의 중간구간을 설치하고, 열고정 존의 가열용 구간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설치하여, 구간별 차폐판을 필름에 접촉하지 않는 한계위치까지 확대하여 설치하였다. 가열 후의 냉각구간에서도 구간 차폐를 강화하여, 클립의 리턴방법으로서 외부 리턴방식을 사용하고, 또한 클립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20℃의 냉풍으로 강제 냉각하고, 텐터 출구에서의 클립 온도를 40℃ 이하로 하는 클립 융착 방지대책을 행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 열고정온도를 TS1 및 TS2 모두 205℃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3 있어서, 열고정온도를 180℃(TS1) 및 220℃(TS2)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원료구성을 코어층으로 하고, 스킨층용 원료로서 다른 압출기에 칩(D)와 칩(J)를 50:50의 질량비로 혼합한 칩을 투입하여, 280℃에서 용융하고, 코어층의 원료와, 스킨층/코어층/스킨층=10/80/10이 되도록 피드 블록으로 접합한 후 에, 270℃에서 T-다이로부터 압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원료로서, 상기의 칩(J) 이외에 하기의 칩(O)와 칩(P)를 준비하였다.
칩(O)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단위 60 몰%와 이소프탈산 단위가 40 몰%,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100 몰%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고유점도가 0.71 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칩이다.
칩(P)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단위 60 몰%와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이 40 몰%,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100 몰%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고유점도가 0.71 dl/g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칩이다.
칩(J) 및 상기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칩(O)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P)를 50:25:25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하고, 건조시켰다. 이어서, 이들의 칩 혼합물을 압출기로 T 다이의 슬릿으로부터 270℃에서 용융 압출하고, 표면온도 40℃의 칠 롤 상에서 급랭 고화시키는 동시에 정전인가법을 사용하여 칠 롤에 밀착시키면서 무정형의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가열 롤과 냉각 롤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90℃에서 3.5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일축연신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고, 120℃에서 10초 예열하여, 횡연신의 전반부를 110℃, 후반부를 100℃에서 3.9배 연신하였다. 또한, 1단째의 열처리(TS1)를 205℃, 2단째의 열처리(TS2)를 가로방향으로 7%의 이완처리 를 행하면서 238℃에서 열고정처리를 행하여, 두께 100 ㎛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열고정처리 존에는 연신구간과의 사이에 2 m의 중간구간을 설치하고, 열고정 존의 가열용 구간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설치하여, 구간별 차폐판을 필름에 접촉하지 않는 한계위치까지 확대하여 설치하였다. 가열 후의 냉각구간에서도 구간 차폐를 강화하여, 클립의 리턴방법으로서 외부 리턴방식을 사용하고, 또한 클립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20℃의 냉풍으로 강제 냉각하고, 텐터 출구에서의 클립 온도를 40℃ 이하로 하는 클립 융착 방지대책을 행하였다.
실시예 6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단위 100 몰%,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40 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60 몰%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고유점도 0.69 dl/g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칩(A)와, 고유점도가 1.00 dl/g이고, 또한 평균입경(SEM법)이 1.5 ㎛인 무정형 실리카를 0.04 질량% 함유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I)를 건조시켰다.
이어서, 칩(A), 칩(I),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N)(씨바?스페셜티?케미컬즈 주식회사제, 티누빈326)를 25.0:74.5:0.5의 질량비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들의 혼합물을 압출기로 T 다이의 슬릿으로부터 265℃에서 용융 압출하고, 표면온도 20℃의 칠 롤 상에서 급랭 고화시키는 동시에 정전인가법을 사용하여 칠 롤에 밀착시키면서 무정형의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가열 롤과 냉각 롤 사이에서 세로방향으로 80℃에서 3.3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일축연신 필름을 텐터로 유도하여, 95℃에서 10초 예열하고, 횡연신의 전반부를 85℃, 후반부를 80℃에서 3.8배 연신하였다. 또한, 1단째의 열처리(TS1)를 185℃, 2단째의 열처리(TS2)를 가로방향으로 7%의 이완처리를 행하면서 200℃에서 열고정처리를 행하여, 두께 100 ㎛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열고정처리 존에는 연신구간과의 사이에 2 m의 중간구간을 설치하고, 열고정 존의 가열용 구간에는 원적외선 히터를 설치하여, 구간별 차폐판을 필름에 접촉하지 않는 한계위치까지 확대하여 설치하였다. 가열 후의 냉각구간에서도 구간 차폐를 강화하여, 클립의 리턴방법으로서 외부 리턴방식을 사용하고, 또한 클립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추가적으로 20℃의 냉풍으로 강제 냉각하고, 텐터 출구에서의 클립 온도를 40℃ 이하로 하는 클립 융착 방지대책을 행하였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에 관하여, 사용한 폴리머의 원료 조성과 폴리머 특성을 표 1에, 필름의 제조조건과 특성을 표 2~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20239706-pct00001
Figure 112009020239706-pct00002
Figure 112009020239706-pct00003
Figure 112009020431902-pct00006
Figure 112009020431902-pct00007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하기의 하드코트 도포액을 마이크로 그라비아방식으로 건조 후의 두께가 3 ㎛가 되도록 도포하고, 80℃의 열풍으로 건조하여, 출력 160 W/㎝의 고압수은등하 20 ㎝의 위치를 30 m/min의 스피드로 통과시켜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필름의 성형성(진공성형성, 압공성형성, 금형성형성)은 하드코트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실시예 3의 필름과 동일하였다. 또한, 얻어진 성형품의 코트층에는 균열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내찰상성을 평가한 결과, 표면에 흠집은 발생하지 않고 양호하였다. 한편,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하드코트층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성형용 필름의 성형성(진공성형성, 압공성형성, 금형성형성) 평가로 얻어진 성형품의 내찰상성을 평가하자 다수의 흠집이 발생되어 있어 불량하였다.
(하드코트 도포액)
하기의 재료를 하기에 나타내는 질량비로 혼합하여, 30분 이상 교반하고, 이어서 공칭여과 정밀도가 1 ㎛인 필터를 사용하여 미용해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도포액 A를 제작하였다.
?메틸에틸케톤 48.50 질량%
?6관능 폴리우레탄계 아크릴 모노머 35.00 질량%
(아라카와 화학공업제, 빔 세트 575)
?2관능 폴리우레탄계 아크릴 모노머 15.00 질량%
(아라카와 화학공업제, 빔 세트 505-A6)
?광개시제 1.50 질량%
(씨바?스페셜티제 이루가큐어 184)
본 발명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낮은 온도 및 낮은 압력에서의 가열 성형시의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폭 넓은 성형방법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성 형품으로서 상온 분위기하에서 사용할 때, 탄성 및 형태안정성(열수축 특성, 두께 불균일)이 우수하며, 또한 내용제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환경부하가 작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가공시에 롤상으로 권취한 장척의 필름을 권출할 때, 블로킹이나 찢어짐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평활성과 투명성이 고도로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필름의 인쇄성 개량층에 볼록판 인쇄, 오목판 인쇄, 평판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플렉소 인쇄 등 각종 인쇄 가식법, 및 날염, 전사, 도장, 페인팅, 증착, 스퍼터링, CVD, 라미네이트 등의 가식방법으로 인쇄층, 무늬층 등의 의장을 실시하고, 이어서 금형성형, 압공성형, 진공성형 등의 각종 성형법으로 성형하는 3차원 가식방법에 적합하며, 또한 인몰드 성형성이나 엠보스 성형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 오디오, 포터블 플레이어/레코더, IC 레코더, 카네비게이션, PDA 등의 휴대기기나 노트 PC 등의 상자체 내지 그의 부재, 가전이나 자동차의 명판용 부재 또는 건재용 부재로서 적합하여, 산업계로의 기여는 크다.
또한, 필름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켜, 자외영역의 투과율을 저감시킴으로써, 내광성을 부여할 수 있고, 특히 옥외에서 사용되는 용도(자동차의 외장용 또는 건재용 부재)의 성형재료로서 적합하다.

Claims (11)

  1.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1)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이, 모두 25℃에 있어서 40~300 ㎫ 및 100℃에 있어서 1~100 ㎫, (2) 필름의 150℃에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이 0.01~5.0%, (3) 헤이즈가 0.1~3.0%, (4) 적어도 한쪽 면의 필름의 표면 조도(Ra)가 0.005~0.030 ㎛, (5) 면배향도가 0.095 이하,
    (6)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a)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공중합 성분으로서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 또는 지환족 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b) 테레프탈산 및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7)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이 5~50 몰%,
    (8) (A) 상기 필름 중에 입자를 함유하거나, 또는 (B) 상기 필름 중에는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표면층에만 입자를 함유하며,
    (9) 필름의 융점이 200~2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파장 370 ㎚에 있어서의 광선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가, 추가적으로 글리콜 성분으로서 1,3-프로판디올 단위 또는 1,4-부탄디올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표면층이 밀착성 개질 수지와 입자로 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진공성형, 압공성형 및 금형성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성형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
  7. 제6항의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의 적어도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설치한 폴리에스테르 성형품.
  8.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되는 하기 (1)~(6)의 요건을 만족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이축연신 후의 열고정처리에 있어서 열처리를 2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행하고,
    1단째의 열처리온도(TS1)는, 2단째의 열처리온도(TS2)의 -5℃~-30℃의 범위에서 행하며,
    2단째의 열처리온도(TS2)는, 필름의 융점의 -5℃~-35℃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a)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과, 공중합 성분으로서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 또는 지환족 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또는 (b) 테레프탈산 및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글리콜 성분으로 구성된다
    (2)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이 5~50 몰%,
    (3) (a) 상기 필름 중에 입자를 함유하거나, 또는 (b) 상기 필름은 입자를 함유하지 않고, 표면층에만 입자를 함유한다
    (4) 필름의 150℃에서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열수축률이 0.01~5.0%
    (5) 헤이즈가 0.1~3.0%
    (6) 적어도 한쪽 면의 필름의 표면 조도(Ra)가 0.005~0.030 ㎛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단째의 열처리온도(TS2)가 열고정처리에 있어서 최고의 열처리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추가적으로 하기 (7)~(10) 요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7)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있어서의 100% 신장시 응력이, 모두 25℃에 있어서 40~300 ㎫ 및 100℃에 있어서 1~100 ㎫
    (8) 상기 분지상 지방족 글리콜이 네오펜틸글리콜, 상기 지환족 글리콜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다
    (9) 필름의 융점이 200~245℃
    (10) 면배향도가 0.095 이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에 포함되는 입자의 평균입경은 0.01~10 ㎛이고,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입자 함유량은 0.01~25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7006909A 2006-09-06 2007-08-28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111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41629 2006-09-06
JPJP-P-2006-241629 2006-09-06
PCT/JP2007/066606 WO2008029666A1 (fr) 2006-09-06 2007-08-28 Film de polyester pour mou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264A KR20090051264A (ko) 2009-05-21
KR101111040B1 true KR101111040B1 (ko) 2012-03-13

Family

ID=3915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909A KR101111040B1 (ko) 2006-09-06 2007-08-28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4609580B2 (ko)
KR (1) KR101111040B1 (ko)
CN (1) CN101511920B (ko)
TW (1) TWI418578B (ko)
WO (1) WO2008029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40B1 (ko) * 2006-09-06 2012-03-13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392624B1 (ja) * 2008-06-18 2010-01-06 東洋紡績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0052334A (ja) * 2008-08-29 2010-03-11 Tomoegawa Paper Co Ltd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インモールドラベルおよび樹脂成形品
JP4766122B2 (ja) * 2009-02-12 2011-09-07 東洋紡績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71077B2 (ja) * 2009-06-30 2014-04-16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304484B2 (ja) * 2009-06-30 2013-10-02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057850A (ja) * 2009-09-10 2011-03-24 Toyobo Co Ltd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28830B2 (ja) * 2009-12-18 2014-02-26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28829B2 (ja) * 2009-12-18 2014-02-26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370124B2 (ja) * 2009-12-18 2013-12-18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560693B2 (ja) * 2009-12-18 2014-07-30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成型体
JP5402607B2 (ja) * 2009-12-18 2014-01-29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成型体
JP5428831B2 (ja) * 2009-12-18 2014-02-26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71419B2 (ja) * 2009-12-22 2014-04-16 東洋紡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434568B2 (ja) * 2009-12-22 2014-03-05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531854B2 (ja) * 2010-08-17 2014-06-25 東洋紡株式会社 成型用積層体
JP5847562B2 (ja) * 2010-12-02 2016-01-27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5723503B2 (ja) * 2010-12-28 2015-05-27 三菱樹脂株式会社 貼り合せ化粧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12759B2 (ja) * 2011-09-16 2014-06-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2軸延伸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139105A (ja) * 2011-12-30 2013-07-1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成型用積層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JP5869383B2 (ja) * 2012-03-15 2016-02-24 三菱樹脂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4021207A1 (ja) * 2012-07-30 2014-02-06 東レ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16810B2 (ja) * 2013-10-29 2015-05-13 東洋紡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605489B2 (ja) * 2013-10-29 2014-10-15 東洋紡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付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6322031B2 (ja) * 2014-03-31 2018-05-09 株式会社カネカ 透明導電層付き積層体の製造方法
US10774189B2 (en) * 2014-04-11 2020-09-15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olyester mold product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565683B2 (ja) * 2014-11-28 2019-08-28 東レ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4793826B (zh) * 2015-05-01 2022-06-03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双面硬化膜与包括该双面硬化膜的电容式触摸屏
CN108430772A (zh) * 2015-12-28 2018-08-21 东洋纺株式会社 层叠聚酯膜
JP6990984B2 (ja) * 2017-04-20 2022-01-12 旭化成株式会社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及び袋
KR102527436B1 (ko) * 2017-04-28 2023-05-02 주식회사 쿠라레 열가소성 수지 다층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적층체
CN107915960B (zh) * 2017-11-17 2020-09-04 江苏东材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超低表面粗糙度聚酯基膜/复合基膜及其制备方法
JP6927124B2 (ja) * 2018-03-30 2021-08-25 東洋紡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CN111918909B (zh) * 2018-03-30 2024-03-01 东洋纺株式会社 热收缩性聚酯系薄膜
JP7135547B2 (ja) * 2018-08-01 2022-09-13 東洋紡株式会社 表面処理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CN118185254A (zh) * 2020-12-07 2024-06-14 爱思开迈克沃有限公司 聚酯薄膜、保护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349063B1 (ko) * 2021-02-01 2022-01-10 조익래 열 부착 pet 필름
CN114193752B (zh) * 2021-12-13 2023-04-14 扬州苏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拉伸聚酰亚胺薄膜的生产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624A (ja) * 2003-02-21 2004-09-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415B2 (ja) * 1989-02-01 1997-05-21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成形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成形転写用フィルムおよび成形容器用フィルム
JPH04142376A (ja) * 1990-10-03 1992-05-15 Daihachi Chem Ind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耐擦傷性被覆組成物
JP2000141572A (ja) * 1998-11-13 2000-05-23 Kanebo Ltd ポリエステルシート状成形物およびその用途
JP4429515B2 (ja) * 2000-03-09 2010-03-10 帝人株式会社 高分子樹脂積層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積層体からなる成形物
JP2005290354A (ja) * 2003-09-03 2005-10-20 Toyobo Co Ltd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370983B2 (ja) * 2004-06-15 2009-11-25 東洋紡績株式会社 金属板被覆用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被覆金属板、及び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被覆金属容器
JP2006181767A (ja) * 2004-12-27 2006-07-1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46014A (ja) * 2005-11-29 2007-06-14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111040B1 (ko) * 2006-09-06 2012-03-13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624A (ja) * 2003-02-21 2004-09-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透明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87793B2 (ja) 2013-09-11
JP2010248519A (ja) 2010-11-04
CN101511920A (zh) 2009-08-19
JPWO2008029666A1 (ja) 2010-01-21
KR20090051264A (ko) 2009-05-21
JP5170160B2 (ja) 2013-03-27
JP4609580B2 (ja) 2011-01-12
CN101511920B (zh) 2012-05-09
TW200831572A (en) 2008-08-01
WO2008029666A1 (fr) 2008-03-13
JP2010221715A (ja) 2010-10-07
TWI418578B (zh)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040B1 (ko) 성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3994352B2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59992B2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320766B1 (ko) 접착성 개질 기재 필름 및 하드코트 필름
KR100898255B1 (ko) 하드 코트 필름 및 광학기능성 필름
WO2008001932A1 (fr) Film stratifié de polyester pour formag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2008030475A (ja) 成型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54296A (ja) 樹脂シート
JP6610092B2 (ja) 合わせガラス用積層フィルム
JP4604718B2 (ja) 光学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9000984A (ja) 自己修復性フィルム
TWI437034B (zh) 成型用硬被覆膜
JP5070676B2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635434B2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05561B2 (ja) エンボス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82194B2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057850A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