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 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1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는 빛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 면에서 유리하고, 차량 전면 형상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한다.
발광 램프(11)에서 방출된 빛은 소정 형상(예: 타원형)의 거울면(12)에 반사되어 상기 램프(11)의 전방향 일 지점(16)에 집중된다. 상기 집중된 빛은 전방에 구비된 굴절 렌즈(15)에서 굴절되어 실질적으로 전방향으로 조사된다. 그런데, 상기 방출된 빛 중 상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거울면(12)에 반사되어 하방향으로 진행되고, 하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거울면(13)에 반사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런데, 하이 빔(high beam)을 조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하방향으로 방출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은 쉴드(shield; 14)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다른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10)는 클리어 타입의 헤드 램프와는 달리 거울면(12)에서 반사된 빛이 실질적으로 일 지점(16)에 집중되므로, 실드(14) 중 상기 일 지점(16) 부근의 형상을 약간만 다르게 하더라도,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다만, 도 3의 경우 헤드램프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전면부에 위치하는 렌즈(80)가 생략되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램프(70), 램프 실드 구동 장치(100), 렌즈(80) 및 하우징(90)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70)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광원을 제공한다. 상기의 램프(70)는 고전압방출(HID) 램프, 할로겐 램프 또는 LED 광원 등의 공지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램프 실드 구동 장치(100)는 램프(70)에 의해 제공된 광을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실드를 구동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며, 램프 실드 구동 장치(100)에 의해 구동되는 실드는 제1 실드(Ratation shield; 200)와 제2 실드(Wet shield; 300)이며, 상기 제1 실드와 제2 실드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렌즈(80)는 램프(70)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면(미도시됨)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퍼지는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한 방향으로 빛을 모아 전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 다. 렌즈(80)는 렌즈 홀더(85)에 부착되고, 렌즈 홀더(85)는 하우징(90)과 조립되어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Housing; 90)은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몸체로서, 하우징(90)에 램프(70), 램프 실드 구동 장치(100) 및 렌즈(80)가 조립되어 헤드 램프 어셈블리가 완성된다. 하우징(90)은 램프에 의해 공급된 광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램프 주위를 후방에서 둘러싸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0)은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서의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는 각각 회전축(210, 310)을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드(200)는 원통형의 외주면(220)에 하나 이상의 실드 돌기(230, 232, 234, 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드 돌기의 패턴은 생성하려는 빔 패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드 돌기는 원통의 외주면에 각도에 따라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일부분은 합쳐져 있고 일부분만 실드 돌기를 형성하여 분리될 수도 있다. 제1 실드(200)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수직 선상의 최상부에 위치한 실드 돌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회전축의 수직 선상에 제3 실드 돌기(234)가 위치하여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실드(200)를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 시킴으로써 제1 실드 돌기(230), 제2 실드 돌기(232) 또는 제4 실드 돌기(236)를 '활성화'시켜 제1 실드(2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활성화'는 원기둥의 외주면(220)에 부착된 실드 돌기가 수직 선상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전면으로 조사되는 광을 일부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실드(200)를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제1 실드(200)에 부착된 실드 돌기(230, 232, 234, 236)가 활성화되면서 생성되는 빔 패턴이 달라질 수 있고, 상기 빔 패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4에서 도시하는 제1 실드(200)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아니하며, 원통형의 외주면(220)에 실드 돌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시켜 주는 다른 제1 실드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드(300)는 판 형상의 실드판(320)을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한쪽 편에 치우쳐 부착한다. 제2 실드(300)는 평소에는 실드판(320)을 수직으로 내리지 아니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제2 실드(300)의 실드판(320)을 수평으로 향하도록 고정시켜 두면, 램프(70)에 의해 제공된 광은 하우징(90)의 반사판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수평으로 되어 있는 실드판(320)은 전방으로 향하는 광을 방해하지 아니하여, 전방으로 향하는 광은 도로면에 조사된다. 실드판(320)이 전방으로 향하는 광의 일부를 가로막지 못하도록 수평 또는 그 이상의 높이에 멈춰져 있는 것을 제2 실드(300)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 라고 칭한다.
다만, 비가 오는 등의 노면이 물기에 젖어 헤드 램프에 의해 눈부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근거리 영역에서의 광량을 줄이고자 할 때 제2 실드(300)를 회전시켜 실드판(320)을 수직으로 내릴 수 있다. 이때에는 반사판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광은 제2 실드(300)의 실드판(320)에 의해 저지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광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구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클래스(Class) H를 나타낸다. 클래스 H는 원거리를 넓게 비쳐주는 상향등(High-beam)으로 불리는 빔 패턴(21)으로서, 전방에 타 차량이 없으면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환경에 적합한 빔 패턴이다.
도 5b는 클래스 RHD C를 나타낸다. 클래스 RHD C는 도로 주행 환경이 차량을 기준으로 우측통행에서 좌측통행으로 변동되었을 때 사용되는 빔 패턴(22)이다. 따라서, 클래스 RHD C는 도 5c의 클래스 C의 빔 패턴(30)을 상하로 대칭된 빔 패턴(22)을 가진다.
도 5c는 클래스 C를 나타낸다. 클래스 C는 차량(20)이 시골 도로(country road)를 주행할 때 또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어서 다른 모드의 빔 패턴을 적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 적합한 빔 패턴(30)이다. 일반적인 하향등(low-beam)과 비교할 때, 대향 차로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킨 패턴이다.
도 5d는 클래스 V를 나타낸다. 클래스 V는 차량(20)이 시가지와 같이 주변의 조명의 밝기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환경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24)으로서, 예를 들어 시가지 운행시에 차량의 속도가 60km/h 이하이고 노면의 휘도가 1cd/m2 이상인 경우이다. 특히, 좌/우의 시야가 클래스 C(30)에 비하여 넓어지며, 클래스 C(30)보다 다소 짧은 거리(대략 전방 50 내지 60m 정도)의 시야가 확보된다. 다만, 상기 좌/우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하여는 좌/우의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을 바깥 방향으로 다소간 경동(tilting)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5e는 클래스 E를 나타낸다. 클래스 E는 차량(20)이 고속도로나, 상당 부분 직선 구간이 유지되는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이다. 따라서, 클래스 E(25)는 전방 원거리 시야가 클래스 C(30)에 비하여 다소 긴 특성을 갖는다.
도 5f는 클래스 W를 나타낸다. 클래스 W는 차량(20)이 비가 내리는 날씨, 또는 젖은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26)이다. 따라서, 전방 원거리 시야는 클래스 E(25)와 다소 유사하나, 전방의 10 내지 20m 부근까지는 반사광(Reflective glare)을 줄이기 위하여, 오히려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래스 W는 클래스 E(25)에서 근거리 영역에서의 광이 제거된 영역(27)이 존재하는 빔 패턴(26)을 가진다.
도 5a 내지 도 5f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 차량(20)은 다양한 주행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빔 패턴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실드를 변동시켜 가변적인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한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를 연계하여 구동시키거나 독립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도 5a 내지 5f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f는 상기 도 5a 내지 5f의 빔 패턴에 각각 대응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6a는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의 배치이다. 클래스 H의 빔 패턴은 일반적인 하이빔(High-beam)을 생성하는 빔 패턴으로서, 제1 실드(200)의 어떠한 실드 돌기(230, 232, 234, 236)도 '활성화' 되지 아니하며, 제2 실드(300)도 실드판(320)이 수평으로 향하여 작동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반사판을 통하여 전방으로 진행하는 광은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에 의해 진로가 차단되지 아니하면서 원거리를 넓게 비추는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는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배치이다.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은 제1 실드(200)의 제1 실드 돌기(230)가 '활성화' 됨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실드(200)의 제1 실드 돌기(230)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200)의 배치에서 제1 실드(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실드 돌기(230)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드(300)는 고정되어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방으로 향하는 광은 제1 실드 돌기(230)에 의하여 일부가 차단되면서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c는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배치이다. 클래스 C의 빔 패턴은 제1 실드(200)의 제2 실드 돌기(232)가 '활성화' 됨에 의하 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실드(200)의 제2 실드 돌기(232)의 활성화시키는 것은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를 형성하는 제1 실드의 배치에서 제1 실드(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실드 돌기(232)를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드(300)는 고정되어 작동되지 않는다.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은 제2 실드 돌기(232)에 의하여 일부가 차단되면서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d는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배치이다. 클래스 V의 빔 패턴은 제1 실드(200)의 제3 실드 돌기(234)가 '활성화' 됨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3 실드 돌기(234)의 활성화 또한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의 배치에서 제1 실드(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제2 실드(200)는 고정되어 작동되지 않는다. 제3 실드 돌기(234)에 의하여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면서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e는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배치이다. 클래스 E의 빔 패턴은 제1 실드(200)의 제4 실드 돌기(236)가 '활성화' 됨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빔 패턴이 클래스 E 인 경우에는 제2 실드(300)는 작동하지 아니하며, 제1 실드(200)의 제4 실드 돌기(236)를 수직으로 세워 제1 실드(200)의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4 실드 돌기(236)에 의하여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을 일부 차단한다. 따라서 클래스 E의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a 내지 6e 까지는 제2 실드(300)는 작동시키지 아니하고, 제1 실드(200)를 회전시켜 각 빔 패턴에 따른 실드 돌기(230, 232, 234, 236)를 활성 화시켜 클래스 H, RHD C, C, V 및 E의 빔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키는 각도는 제1 실드(200)에 부착되는 실드 돌기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례로서는 도 6a 내지 6e에서의 45도(°) 각도씩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f는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실드와 제2 실드의 배치이다. 빔 패턴이 클래스 W인 경우에는 제2 실드(300)가 작동되어 램프에 의해 조사되는 광을 일부 차단한다. 제2 실드(300)는 회전축(310)을 따라 회전하여 실드판(320)이 수직으로 내려서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드(200)는 클래스 E의 빔 패턴 형성할 때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클래스 E와 클래스 W의 빔 패턴은 다소 유사하지만, 클래스 W의 경우에는 제2 실드(300)를 작동시켜 근거리 영역에서의 반사광(Reflective glare)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할 때에는 제1 실드(200)가 작동하고 제2 실드(300)는 작동하지 아니하며,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형성할 때에는 제1 실드(200)가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할 때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실드(300)는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의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클래스 E의 빔 패턴에서 클래스 W의 빔 패턴으로 전환시킬 때 제1 실드(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 실드(300)만을 구동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부품을 보여준 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제1 실드(200), 제2 실드(300) 및 실드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기에 생략하기로 하며, 실드 구동부(4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드 구동부(400)는 구동 수단 및 구동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구동 기어부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수단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 모터(410)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텝 모터(410)는 다른 AC 서보 모터, DC 서보 모터에 비하여 정확한 각도 제어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스텝 모터(410)는 디지털 펄스를 기계적인 축 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기기이며, 펄스는 디지털 소스에 의해 가해진다. 매 펄스 수에 따라 모터의 축은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며 펄스 간격을 알맞게 정하면 구동방식과 속도제어를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텝 모터 대신에 서보 모터, 리니어 모터 등 기타 다른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구동 기어부는 구동부 몸체(420), 제1 구동 기어부(510), 제2 구동 기어부(550) 및 메인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어부는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 몸체(420)는 구동 수단, 제1 구동 기어부(510), 제2 구동 기어 부(550) 및 메인 기어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 몸체(420)는 제1 실드(200)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1 걸림부(501), 제2 실드(300)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 걸림부(503) 및 제3 걸림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부(510)는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킨다. 제1 구동 기어부(510)는 제1 피동체(520), 제1 탄성부(540) 및 제1 구동 기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동체(520)는 제1 실드(200)의 회전축(210)에 삽입 장착되어 제1 실드(200)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1 피동체(520)는 외주면에 반지름 방향으로 제1 걸림 돌기(522)를 구비하여, 제1 걸림 돌기(522)가 제1 걸림부(501)에 걸리는 경우에는 제1 실드(200)의 회전이 정지된다.
제1 탄성부(540)는 제1 실드(200)의 회전축(210)에 삽입 장착되어 제1 실드(2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제1 탄성부(540)는 제1 피동체(520)에 고정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제1 탄성부(540)는 제1 피동체(520)에 부착되면서 탄성력을 지니는 하나의 족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드(200)가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족부(542)에 힘이 가해지면 제1 탄성부의 족부(542)는 탄성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뒤로 밀려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530)는 제1 실드(200)의 회전축(2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끼워진다. 제1 구동 기어(530)는 제1 피동체(520)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1 구동 기어(530)는 제1 실드(200)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할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 제1 구동 기어(530) 홀로(alone) 회전하며, 제1 실드(200)는 회전하지 아니한다. 다만, 제1 구동 기어(530)는 제1 구동 돌기(532)를 구비하여, 제1 구동 기어(530)가 회전 하는 동안 제1 구동 돌기(532)가 제1 탄성부(540)의 족부(542)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제1 구동 돌기(532)가 제1 탄성부(540)의 족부(542)를 밀게 되어, 제1 탄성부(540)와 일체로 연결된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실드(200)는 제1 걸림부(501)에 걸림으로써 제1 실드(200)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제1 구동 기어(530)는 계속 회전한다. 제1 구동 기어(530)의 제1 구동 돌기(532)는 제1 탄성부(540)의 족부(542)를 밀지만, 제1 실드(200)가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족부(542)의 탄성력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족부(542)가 뒤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제1 구동 기어부(510)의 작동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구동 기어부(550)는 제2 실드(300)를 회전시킨다. 제2 구동 기어부(550)는 제2 피동체(570), 제2 구동 기어(560), 제2 탄성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동체(570)는 제2 실드(300)의 회전축(310)에 삽입 장착되고 외주면에 돌출부(575)를 구비한다. 제2 피동체(570)를 회전시키면 일체로 연결된 제2 실드(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돌출부(575)는 외주면의 일부에 돌출되어 제2 구동 기어(560)의 제2 구동 돌기(565)에 걸리는 부분이며, 돌출부(575)의 외주면을 따라 제2 구동 기어(560)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560)는 외주면에 기어 톱니를 구비하고, 제2 피동체(570)를 내부에 삽입한다. 다만, 제2 구동 기어(560)는 제2 피동체(570)와 일체로 부착되지 아니하며, 제2 구동 기어(560)가 회전하더라도 제2 피동체(57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560)는 내주면에 제2 구동 돌기(565)를 구비하여, 제2 구 동 기어(560)가 회전하는 동안 제2 구동 돌기(565)에 제2 피동체(570)의 돌출부(575)가 걸리게 되면 제2 피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탄성부(580)는 제2 실드(300)의 회전축(310)에 부착되며 두 개의 족부(583, 585)를 포함한다. 제2 탄성부(580)는 두 개의 족부(583, 585)에 의하여 구동부 몸체의 제2 걸림부(503)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2 실드(300)의 회전을 억제한다. 다만, 제2 피동체(57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2 탄성부(580)의 하나의 족부(583)는 구동부 몸체의 제2 걸림부(503)에 걸리며, 다른 하나의 족부(585)는 제2 피동체(570)의 옆돌기(577)에 걸린 상태로 제2 피동체(570)의 회전함에 따라 족부(585)가 뒤로 밀려난다. 상기 제2 구동 기어부(550)의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메인 기어부는 구동 수단이 제공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1 구동 기어부(510)와 제2 구동 기어부(550)에 동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메인 기어부는 스텝 모터(410)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된 긴 원기둥의 외주면에 톱니를 포함하는 리드 스크류(595)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스크류(595)는 제1 구동 기어부(510)와 제2 구동 기어부(550)의 회전축과 교차하지도 평행하지도 않는 요소로서, 피니언(Pinion)과 유사한 형태이며 웜 기어로 불릴 수도 있다. 리드 스크류(595)의 긴 원기둥이 회전하면 원기둥에 부착된 톱니에 의하여 제1 구동 기어부의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부의 제2 구동 기어(560)를 회전시킨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빔 패턴에 따른 작동을 보여준다.
도 8a는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 준다. 실드 구동부(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1 구동 기어부(510)의 제1 탄성부(540)의 족부(542)가 구동부 몸체의 제3 걸림부(505)에 벌려진 상태로 걸려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탄성부의 예로서 회전축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에 하나의 족부(542)를 포함하고 있으며, 도 8a의 족부(542)는 크게 벌려진 상태로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복원(Recover)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다만, 제1 피동체(520)의 제1 걸림 돌기(522)가 제1 구동 기어(530)의 제1 구동 돌기(532)에 걸려져 있어 제1 피동체(520) 및 제1 피동체에 연결된 제1 실드(200)를 정지시킨 상태이다.
제2 구동 기어부(550)에서는 제2 탄성부(580)의 두 개의 족부(583, 585)가 제2 걸림부(503)에 걸쳐져 있으므로 제2 피동체(570) 및 제2 피동체에 연결된 제2 실드(300)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도 6a와 같은 제1 실드와 제2 실드가 배치가 이루어져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한다.
도 8b는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메인 기어부인 리드 스크류(595)를 회전시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도 8a의 배치로부터 제1 실드 돌기(230)가 활성화되도록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45도(°) 각도만큼 회전시켜 제1 실드를 45도(°)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는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와 일체로 부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원칙적으로는 제1 구동 기어(530) 와 제2 구동 기어(560)가 회전에 의하여 곧바로 제1 실드와 제2 실드를 회전시킬 수 없다.
다만,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45도(°)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 제2 실드는 정지된 상태에서 제1 실드만 45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구동 기어(5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탄성부의 족부(542)에 의한 복원력으로 제1 피동체(5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피동체(520)와 일체로 연결된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제1 구동 기어(530)가 회전한 각도만큼만 제1 피동체(520)도 회전하여, 제1 피동체(520)의 걸림 돌기(522)가 제1 구동 돌기(532)에 걸려 제1 피동체(520)의 회전이 멈춰진다.
한편, 제2 구동 기어(560)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을 하더라도 제2 구동 돌기(565)에 제2 피동체(570)의 돌출부(575)가 걸리지 않아 제2 구동 기어(560)만 회전한다.
따라서,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제1 실드(200)를 회전시켜 제1 실드 돌기(230)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제1 실드는 작동시키고, 제2 실드를 작동시키지 아니한다. 그리하여 도 6b와 같은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한다.
도 8c는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8b의 배치 상태로부터 리드 스크류(495)를 회전시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제1 구동 기어(5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구동 기어(530)의 제1 구동 돌기(532)가 구동부 몸체의 제3 걸림부(505)와 동일한 위치까지 회전한다. 제1 탄성부의 족부(542)에 의한 복원력으로 제1 피동체(5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피동체(520)와 일체로 연결된 제1 실드(200)도 회전하며, 제1 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2 실드 돌기(532)가 활성화되어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한다.
한편, 제2 구동 기어(560)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을 하더라도 제2 구동 돌기(565)에 제2 피동체(570)의 돌출부(575)가 걸리지 않아 제2 구동 기어(560)만 회전하므로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않는다.
도 8d는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4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8c의 배치 상태로부터 리드 스크류(595)를 회전시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제1 구동 기어(5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구동 기어(530)의 제1 구동 돌기(532)가 제1 탄성부의 족부(542)를 밀어준다. 따라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1 탄성부(540)가 함께 회전하며, 제1 탄성부(540)에 일체로 연결된 제1 피동체(520) 및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킨다. 제1 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3 실드 돌기(234)가 활성화되어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한다.
한편, 제2 구동 기어(560)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을 하더 라도 제2 구동 돌기(565)에 제2 피동체(570)의 돌출부(575)가 걸리지 않아 제2 구동 기어(560)만 회전하므로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않고 제1 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e는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8d의 배치 상태로부터 리드 스크류(595)를 회전시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제1 구동 기어(5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구동 기어(530)의 제1 구동 돌기(532)가 제1 탄성부의 족부(542)를 밀어준다. 따라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1 탄성부(540)가 함께 회전하며, 제1 탄성부(540)에 일체로 연결된 제1 피동체(520) 및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킨다. 제1 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4 실드 돌기(236)가 활성화되어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한다. 제1 실드(200)의 회전 후에 제1 피동체(520)의 제1 걸림 돌기(522)는 제1 걸림부(50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 피동체(520)와 일체로 연결된 제1 실드(200)는 이후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한편, 제2 구동 기어(560)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을 하더라도 제2 구동 돌기(565)에 제2 피동체의 돌출부(575)가 걸리지 않아 제2 구동 기어(560)만 회전하므로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않는다.
여기서도, 도 8d와 동일한 작동 원리에 의하여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아 니하며 회전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f는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4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8e의 배치 상태로부터 리드 스크류(595)를 회전시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구동 기어(530)와 제2 구동 기어(560)를 90도(°)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5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피동체(520)는 제1 걸림 돌기(522)가 제1 걸림부(501)에 걸린 상태이므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1 실드(200)도 더 이상 회전하지 아니한다. 다만 제1 구동 기어(530)의 제1 구동 돌기(532)는 제1 탄성부의 족부(542)를 밀면서 회전하여 제1 탄성부의 족부(542)와 함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구동 기어(560)는 회전하면서 제2 구동 돌기(565)에 의해 제2 피동체(570)의 돌출부(575)에 걸려 제2 피동체(57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2 피동체(570)와 일체로 연결된 제2 실드(300)도 회전하게 되고, 제2 실드의 실드판(320)도 90도(°)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향하는 광을 일부분 막아준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실드(2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 실드(300)를 작동시킴으로써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빔 패턴을 제1 실드와 제2 실드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클래스 H, RHD C, C, V, E 및 W 순으로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의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반대로도 작동되어 클 래스 W, E, V, C, RHD C 및 H 순서로 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클래스 C를 기준으로 클래스 RHD C 및 H 순서로 작동되거나 또는 클래스 C를 기준으로 클래스 V, E 및 W 순서로 작동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동부에 의하여 제1 실드와 제2 실드를 작동시키지만, 제1 실드와 제2 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다양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서는 상태 회복(Fail safe)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회복 메커니즘이란, 램프 실드 구동 장치가 오작동하거나 또는 특정 빔 패턴의 구현한 후에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메커니즘을 말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클래스 H 빔 패턴에서 로우 빔 패턴 중의 하나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은 클래스 RHD C, C, V 및 E 중에 하나 일 수 있다. 클래스 H 빔 패턴이 생성된 후에 실드 구동 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에 의하여 클래스 H 빔 패턴이 유지된 채로 주행이 계속되면 맞은 편에서 마주보고 달려오는 운전자에게 시야 방해를 통하여 사고의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드 구동 장치를 작동시켜 로우 빔 패턴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도 8a의 클래스 H 빔 상태에서 제1 탄성부(5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피동체(520)와 제1 실드(200)를 회전시켜 도 8c의 클래스 C 빔 패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클래스 W의 빔 패턴에서 클래스 E의 빔 패턴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e 및 도 8f를 참조하면, 도 8f의 클래스 W 빔 상태에서 제2 탄 성부(58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 피동체(570)와 제2 실드(300)을 회전시켜 도 8e의 클래스 E 빔 패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동기어(56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리드 스크류(595)를 통하여 제1 구동기어(5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지만, 제1 구동돌기(532)가 제1 걸림돌기(522)에 걸리지 아니하므로 제1 회전실드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클래스 W에서 클래스 E로의 복귀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클래스 E 빔 패턴은 클래스 W로의 변환 이전의 빔 패턴의 배치에 따라 클래스 C, V, E 빔 패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래스 W의 빔 패턴에서 실드 구동 장치의 상태 회복(Fail safe)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클래스 C, V 및 E 중의 하나의 빔 패턴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제1 실드(200), 제2 실드(300) 및 실드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기에 생략하기로 하며, 실드 구동부(6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드 구동부(600)는 구동 수단 및 구동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구동 기어부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 수단으로는 리드 스크류(595)를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스텝 모터(410) 등의 공지의 구동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 기어부는 제1 구동 기어(610), 제2 구동 기어부(650) 및 메인 기어 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610)는 제1 실드(200)의 회전축(210)에 삽입 장착되며 외주면에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610)는 외주면에 평기어(Spur gear)의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610)는 메인 기어부(690)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부(650)는 피동체(670) 및 제2 구동 기어(66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동체(670)는 제2 실드(300)의 회전축(310)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돌출부(675)를 가진다. 돌출부(675)는 외주면의 일부에 돌출되어 제2 구동 기어(660)의 구동 돌기(665)에 걸리는 부분이며, 돌출부(675)의 외주면을 따라 제2 구동 기어(660)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660)는 피동체(670)를 내부에 삽입하며, 피동체(67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구동 기어(660)는 외주면에는 톱니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피동체의 돌출부(675)에 걸릴 수 있는 구동 돌기(665)를 포함한다. 제2 구동 기어(660)가 회전하더라도 피동체(670)는 일체로 부착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곧바로 회전하지 아니하며, 다만 제2 구동 기어의 구동 돌기(665)에 피동체의 돌출부(675)가 걸리면, 피동체(670)가 제2 구동 기어(66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동체(670)와 일체로 부착된 제2 실드(300)가 회전한다.
메인 기어부(690)는 제1 메인 기어(693), 제2 메인 기어(695) 및 리드 스크류(5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693)와 제2 메인 기어(695)는 일체로 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율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693)는 제1 구동 기어(610)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제2 메인 기어(695)는 제2 구동 기어(660)에 구동력 을 전달한다.
제1 메인 기어(693)는 외주면 일부분에만 톱니(697)를 가질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693)의 외주면의 일부분에는 톱니가 없거나 톱니가 다른 부분에 있는 톱니보다 작아 제1 구동 기어(610)와 맞물리지 아니하는 구간(이를 '헛돌이 구간(699)'이라 칭한다)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1 메인 기어(693)에 톱니(697)가 있는 구간에서는 제1 메인 기어(693)가 회전하면서 제1 구동 기어(610)를 회전시킬 수 있지만, 톱니가 없는 '헛돌이 구간'(699)에서 제1 메인 기어(693)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구동 기어(610)를 회전시킬 수 없다. 제1 구동 기어(610)가 회전하지 아니하면, 이와 일체로 연결된 제1 실드(200)도 회전하지 않는다.
제2 메인 기어(695)는 제2 구동 기어부(650)의 제2 구동 기어(660)를 회전시킨다. 제2 메인 기어(695)는 외주면에 톱니를 구비하여 제2 구동 기어(660)의 톱니와 맞물려 제2 구동 기어(660)를 회전시킨다. 제2 메인 기어(695)는 헬리컬 기어로서, 제2 구동 기어(660)도 이에 맞물리는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리드 스크류(595)는 제2 메인 기어(695)에 동력을 전달한다. 리드 스크류(595)는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며, 리드 스크류(595)의 헬리컬 톱니는 제2 메인 기어의 톱니와 맞물려 제2 메인 기어(695)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구동 수단에 의하여 제2 메인 기어(695)를 회전시키면, 이와 일체로 부착된 제1 메인 기어(694)도 회전하게 되어 제1 구동 기어(610)와 제2 구동 기어(6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빔 패턴에 따른 작동을 보여준다.
도 10a는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클래스 H의 빔 패턴은 일반적인 하이 빔(High-beam)이므로, 도 6a와 같이 제1 실드(200)에서의 어떠한 실드 돌기도 활성화되지 아니하며, 제2 실드(300)도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이므로, 광이 방해를 받지 아니하고 전방으로 조사되어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b는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6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10a의 배치 상태로부터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텝 모터(410)와 스텝 모터(41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리드 스크류(595)가 회전하면서 제1 메인 기어(693)와 제2 메인 기어(695)를 회전시킨다.
제1 메인 기어(693)가 회전하면 제1 메인 기어(693)와 맞물리는 제1 구동 기어(610)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1 구동 기어(610)가 회전하면, 이와 일체로 연결된 제1 실드(20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실드 돌기(230)가 활성화되어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메인 기어(695)는 제1 메인 기어(69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메인 기어(693)의 회전 각도와 동일한 회전 각도를 가지면서 회전한다. 제2 메인 기어(695)는 제2 구동 기어(660)와 맞물려 제2 구동 기어(660)를 회전시킨다. 다만, 제2 구동 기어(660)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구동 돌기(665)가 피동체(670)의 외주면에 있는 돌출부(675)에 걸리지 아니하므로, 제2 구동 기어(660)만 회전한다. 따라서, 피동체(670) 및 피동체와 일체로 연결된 제2 실드(300)는 회전하지 아 니하게 되며,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않고 제1 실드(200)는 회전하면서 제1 실드 돌기(230)가 활성화되어 클래스 RHD C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6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10a의 배치 상태로부터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텝 모터(410)와 스텝 모터(41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리드 스크류(595)가 회전하면서 제1 메인 기어(693)와 제2 메인 기어(695)를 회전시킨다.
제1 메인 기어(693)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구동 기어(610)를 회전시키며, 제1 구동 기어(61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실드(200)가 회전한다. 제1 실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제2 실드 돌기(232)가 활성화되어 제1 실드(200)가 작동된다.
제2 메인 기어(695)의 회전에 의하여 제2 구동 기어(660)를 회전시킨다. 다만, 제2 구동 기어(660)가 회전하더라도 제2 구동 기어(660)의 구동 돌기(665)가 피동체의 돌출부(675)에 걸리지 아니하여 제2 실드(300)를 작동시키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1 실드(200)의 제2 실드 돌기(232)가 활성화되고,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아니하면서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d는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10d는 도 10c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키지만, 제2 실드(300)는 회전시키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1 실드(200)는 제3 실드 돌기(234)에 의해 작동되며,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도 6d와 같 이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가 배치되어 클래스 V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e는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10e에서도 도 10c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제1 실드(200)를 회전시키지만, 제2 실드(300)는 회전시키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1 실드(200)는 제4 실드 돌기(236)에 의해 작동되며, 제2 실드(300)는 작동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도 6e와 동일한 배치를 이루어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f는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동작을 보여준다. 실드 구동부(6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10a의 배치 상태에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텝 모터(410)와 스텝 모터(41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리드 스크류(595)가 회전하면서 제1 메인 기어(693)와 제2 메인 기어(695)를 회전시킨다.
제1 메인 기어(693)는 외주면 일부분에만 톱니(697)를 가지기 때문에, 제1 메인 기어(693)에 톱니가 없는 부분(일명 헛돌이 구간(699))에서는 제1 메인 기어(693)가 회전하더라도 제1 구동 기어(610)를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1 메인 기어(693)를 회전시키더라도 제1 메인 기어(693)의 톱니가 없는 부분에 제1 구동 기어(610)의 톱니와 대응되므로 제1 구동 기어(610)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1 구동 기어(61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1 실드(200)도 회전하지 아니하여 제4 실드 돌기(236)가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에, 제2 메인 기어(695)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기어(660)는 피동체를 회전시킨다. 제2 구동 기어(660)의 내주면에 구동 돌기(665)가 피동체의 돌출 부(675)에 걸리게 되어 제2 구동 기어(660)의 회전에 의하여 피동체(6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피동체(670)의 회전에 의하여 제2 실드(300)도 함께 회전하며, 제2 실드(300)의 실드판(320)이 수직으로 하강하여 제2 실드(300)가 작동된다.
따라서, 제1 실드의 제4 실드 돌기(236)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실드(300)가 작동되어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구동부에 의하여 제1 실드와 제2 실드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켜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 10a 내지 10f에서 다양한 빔 패턴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서 실드 구동부(600)의 작동을 살펴보았다. 실드 구동부(600)는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다양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드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실드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클래스 H, RHD C, C, V, E 및 W 순으로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의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반대로도 작동되어 클래스 W, E, V, C, RHD C 및 H 순서로 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클래스 C를 기준 위치로 하여 클래스 RHD C 및 H 순서로 작동되거나 또는 클래스 C를 기준 위치로 하여 클래스 V, E 및 W 순서로 작동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는 제1 실드(200), 제2 실드(300) 및 실드 구동부(700)를 포함한다. 제1 실드(200), 제2 실드(300) 및 실드 구동부에 대하여 이미 상술하였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실드 구동부(700)는 상기 도 9에서의 실드 구동부(600)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실드 구동부(700)는 구동 수단 및 구동 기어부를 포함하며, 구동 기어부는 제1 구동 기어(710), 제2 구동 기어부(750) 및 메인 기어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710)는 평기어(Spur gear)로서 제1 실드(200)의 회전축(210)에 부착된다. 제2 구동 기어부(750)는 제2 실드(300)의 회전축(310)에 부착되는 피동체(770) 및 피동체(770)를 감싸면서 외주면에 톱니를 가지는 제2 구동 기어(760)를 포함한다. 제2 구동 기어(760)는 평기어이며, 내주면에는 피동체의 돌출부(775)에 걸려 피동체(770)를 회전시키는 구동 돌기(765)를 포함한다.
메인 기어부(790)는 제1 메인 기어(793)와 제2 메인 기어(795)를 포함한다. 제1 메인 기어(793)와 제2 메인 기어(795)는 일체로 결합되며 동일한 회전축(799)을 가진다. 구동 수단은 제1 메인 기어(793)와 제2 메인 기어(795)의 회전축(799)에 직접 연결되어 제1 메인 기어(793)와 제2 메인 기어(79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메인 기어(793)는 제1 구동 기어(710)를 회전시키며, 제2 메인 기어(795)는 제2 구동 기어(760)를 회전시킨다. 제1 메인 기어(793)는 일부분에만 톱니(797)를 구비하여, 톱니가 없는 구간에서는 제1 구동 기어(710)를 회전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톱니가 없는 헛돌이 구간(699)에서는 제1 실드(200)가 회전하지 않는 다.
상기의 메인 기어부(790)에 의하여 제1 구동 기어(710)와 제2 구동 기어(760)를 회전시킴으로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실드(200)와 제2 실드(300)의 순차적인 구동에 대하여는 이미 도 10a 내지 도 10f 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실드 구동부(700)는 도 10a 내지 도 10f 에서와 같이 동일한 동작을 유도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