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031B1 -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5031B1 KR101095031B1 KR20090128214A KR20090128214A KR101095031B1 KR 101095031 B1 KR101095031 B1 KR 101095031B1 KR 20090128214 A KR20090128214 A KR 20090128214A KR 20090128214 A KR20090128214 A KR 20090128214A KR 101095031 B1 KR101095031 B1 KR 1010950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
- driver
- gear
- beam pattern
- optical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드 구동부, 좌우 구동부 및 레벨링 구동부 등의 연동에 의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 주행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조명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헤드램프의 규격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 통행(좌측 운전)인가 좌측 통행(우측 운전)인가에 따라서 헤드 램프 빔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기존의 차량용 헤드 램프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도로의 상황에 상관없이 고정된 조명 패턴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이 기존 보다 원거리의 시야 확보가 필요한 고속주행, 주변 조명이 다른 도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밝아 헤드 램프의 밝기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도심지 주행, 비나 눈 혹은 젖은 도로의 반사로 인해 눈부심이 증가하고, 시야가 감소되는 악천후 시에 주행을 할 때는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는 적절한 시야가 확보되지 못한다.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는 운전자와 상대 운전자의 전방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에 의해 도입되었다.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AFLS)는 자동차의 운전조건, 도로조건, 환경조건 등에 따라서 헤드라이트 불빛의 폭과 길이를 변경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선회도로를 저속으로 코너링할 때에는 별도의 조명을 비추는 일이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 에서는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반대차선에서 접근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눈이 부시지 않도록 헤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드 구동부, 좌우 구동부 및 레벨링 구동부의 연동에 의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의 일 양태(Aspect)는 하나 이상의 실드(Shield)를 통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학 모듈; 상기 광학 모듈의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 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레벨링 구동부; 및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연동시켜 서로 다른 빔 패턴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실드 구동부, 좌우 구동부 및 레벨링 구동부가 상호 조합에 의하여 연동됨으로써 적절한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는 광학 모듈(100),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레벨링 구동부(400), 페일 감지부(5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모듈(100)은 소정의 광을 조사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빔 패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모듈(100)은 램프, 리플렉터 및 실드 등의 소정의 빔 패턴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학 모 듈(100)은 후술할 실드(Shield)의 구동 및 광학 모듈(100)의 광축 위치의 조정 등에 의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세부적인 광학 모듈(100)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실드 구동부(200)는 광학 모듈(100)의 실드를 구동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드 구동부(200)는 예를 들어, 실드를 회전시키거나 실드의 돌기 패턴을 변화시켜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V, E 및 W 클래스 등의 다양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C, V, E 및 W 클래스 등의 빔 패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좌우 구동부(300)는 광학 모듈(100)의 빔 조사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레벨링 구동부(400)는 광학 모듈(100)의 빔 조사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는 소정의 실드 또는 광학 모듈(100)을 회전 또는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기에, 소정의 구성을 회전시키거나 움직이는 액추에이터(미도시) 또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며, 발생된 동력원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부(미도시) 또는 구동 전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500)는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이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상이라 함은 작동하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에 의하여 더 이상의 작동이 되지 않는 상태를 통칭하기 로 한다. 또한, 페일(Fail)이란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 중 하나의 이상으로 인하여 빔 패턴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빔 조사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페일(Fail)은 페일 모드(Fail-mode)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페일 모드에서 최소한의 권고 또는 안전한 모드로 빔 패턴을 전환시키거나 빔 조사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페일-세이프(Fail-Safe; 이중 안전)라 한다.
페일 감지부(500)는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이상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페일 감지부(500)는 실드 구동부(200)의 이상을 감지하는 실드 페일 감지부(미도시), 좌우 구동부(300)의 이상을 감지하는 모듈 페일 감지부(미도시)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이상을 감지하는 레벨링 페일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빔 패턴 전환의 명령을 입력 받아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오동작 또는 이상 시에는 페일-세이프 기능에 의하여 소정의 기준 모드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가 조립된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는 램프(70), 실드 구동부(200), 홀더(250), 베이스(350), 렌즈(80), 리플렉터(9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70)는 헤드 램프 장치의 광원을 제공한다. 상기의 램프(70)는 고전압방출(HID) 램프, 할로겐 램프 또는 LED 광원 등의 공지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80)는 램프(70)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면(미도시됨)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퍼지는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한 방향으로 빛을 모아 전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렌즈(80)는 홀더(250)에 부착되고, 홀더(250)는 리플렉터(90)와 결합되어 광학 모듈(1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리플렉터(Reflector; 90)은 램프(70)를 수용하여, 램프(70)에서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램프 주위를 후방에서 둘러싸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350)는 광학 모듈(100)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350)는 광학 모듈(100)에 형성된 소정의 회전축 돌기를 수용하여 광학 모듈(100)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실드 구동부(200)는 램프(70)에 의해 제공된 광을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실드(210, 22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드(shield; 210, 220)는 램프(70)에 의해 곧바로 조사된 빛 및 반사면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된 빛이 전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실드 상단의 컷 오프 형상에 의하여 빛의 일부가 차단되어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는 소정의 빔 패턴에 따라 다양한 종류, 형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 구동부(200)에 의해 구동되는 실드는 제1 실드(first shield; 210) 및 제2 실드(second shield; 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실드(210) 및 제2 실드(220)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좌우 구동부(300)는 광학 모듈(10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광축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우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을 우측으로 회전시켜, 빔의 조사 방향을 차량의 이동방향보다 우측으로 조사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이 좌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차량의 이동방향보다 좌측으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레벨링 구동부(400)는 베이스(3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광학 모듈에 의한 광축의 방향을 상하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는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 및 상기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페일 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페일 감지부(500) 및 제어부(600)는 각각 실드 구동부(200),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 또는 센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서의 제1 실드 및 제2 실드 배치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제1 실드(210)와 제2 실드(220)는 각각 회전 축(212, 222)을 중심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실드(210)는 원통형의 외주면(215)에 하나 이상의 실드 돌기(232, 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드 돌기의 패턴은 생성하려는 빔 패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드 돌기는 원통의 외주면(215)에 각도에 따라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도 4a과 같이 일부분은 합쳐져 있고 일부분만 실드 돌기를 형성하여 분리될 수도 있다. 제1 실드(210)는 제1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수직 선상의 최상부에 위치한 실드 돌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제2 실드(220)는 정지된 상태에서 제1 실드(210)를 회전시켜 제1 회전축(212)의 수직 선상에 제1 실드 돌기(232)가 위치하여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실드(210)를 제1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 시킴으로써 제2 실드 돌기(234)를 '활성화'시켜 클래스 V의 빔 패턴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드의 어떠한 실드 돌기(232, 234)도 '활성화'되지 아니하도록 제1 실드(210)의 원통형 외주면(215)이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원거리를 넓게 비추는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는 원기둥의 외주면(215)에 부착된 실드 돌기(232, 234)가 수직 선상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전면으로 조사되는 광을 일부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실드(210)를 제1 회전축(212)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제1 실드(200)에 부착된 실드 돌기(232, 234)들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생성되는 빔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실드(220)는 판 형상의 실드판(224)을 제2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한 쪽 편에 치우쳐 부착한다. 제2 실드(220)는 평소에는 실드판(224)을 수직으로 내리지 아니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와 같이 제2 실드(220)의 실드판(224)을 수평으로 향하도록 고정시켜 두면, 램프(70)에 의해 제공된 광은 반사판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수평으로 되어 있는 실드판(224)은 전방으로 향하는 광을 방해하지 아니하여, 전방으로 향하는 광은 도로면에 조사된다. 실드판(224)이 전방으로 향하는 광의 일부를 가로막지 못하도록 수평 또는 그 이상의 높이에 멈춰져 있는 것을 제2 실드(220)가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실드판(224)의 '비활성화'라고 칭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실드(210)는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 실드(220)를 제2 회전축(222) 상으로 회전시켜 실드판(224)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등의 노면이 물기에 젖어 헤드 램프에 의해 눈부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근거리 영역에서의 광량을 줄이고자 할 때 제2 실드(220)를 회전시켜 실드판(224)을 수직으로 내릴 수 있다. 이 때에는 반사판에 반사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광은 제2 실드(220)의 실드판(224)에 의해 일부 저지되어 전방으로 향하는 광 영역 중 근거리 광 영역에 음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구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클래스 C를 나타낸다. 클래스 C는 차량(20)이 시골 도로(country road)를 주행할 때 또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어서 다른 모드의 빔 패턴을 적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 적합한 빔 패턴(30)이다. 일반적인 하향등(low-beam)과 비교할 때, 대향 차로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킨 패턴이다.
도 5b는 클래스 V를 나타낸다. 클래스 V는 차량(20)이 시가지와 같이 주변의 조명의 밝기가 어느 정도 확보되는 환경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24)으로서, 예를 들어 시가지 운행시에 차량의 속도가 60km/h 이하이고 노면의 휘도가 1cd/m2 이상인 경우이다. 특히, 좌/우의 시야가 클래스 C(30)에 비하여 넓어지며, 클래스 C(30)보다 다소 짧은 거리(대략 전방 50 내지 60m 정도)의 시야가 확보된다. 다만, 상기 좌/우 시야를 넓게 하기 위하여는 좌/우의 헤드 램프의 조사 방향을 바깥 방향으로 다소간 경동(tilting)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5c는 클래스 E를 나타낸다. 클래스 E는 차량(20)이 고속도로나, 상당 부분 직선 구간이 유지되는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이다. 따라서, 클래스 E(25)는 전방 원거리 시야가 클래스 C(30)에 비하여 다소 긴 특성을 갖는다.
도 5d는 클래스 W를 나타낸다. 클래스 W는 차량(20)이 비가 내리는 날씨, 또는 젖은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26)이다. 따라서, 전방 원거리 시야는 클래스 E(25)와 다소 유사하나, 전방의 10 내지 20m 부근까지는 반사광(Reflective glare)을 줄이기 위하여, 오히려 광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래스 W는 클래스 E(25)에서 근거리 영역에서의 광이 제거된 영역(27)이 존재하는 빔 패턴(26)을 가진다.
도 5e는 클래스(Class) H를 나타낸다. 클래스 H는 원거리를 넓게 비쳐주는 상향등(High-beam)으로 불리는 빔 패턴(21)으로서, 전방에 타 차량이 없으면서 고 속으로 주행하는 환경에 적합한 빔 패턴이다.
도 5a 내지 도 5e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제 차량(20)은 다양한 주행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빔 패턴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의 실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6의 기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서의 실드 구동부(200)는 상부 케이스(415), 하부 케이스(417), 스텝 모터(480), 인쇄회로기판(PCB; 470), 스텝 기어(485), 제1 기어(420), 제2 기어(425), 제1 서브 기어(430), 제2 서브 기어(435), 제1 스프링(460), 제2 스프링(465) 및 마그넷(4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5) 및 하부 케이스(417)는 실드 구동부(200)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415) 및 하부 케이스(417)를 통칭하여 실드 하우징(미도시)이라 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5) 및 하부 케이스(417)는 소정의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볼트(406, 407, 408, 409) 등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스텝 모터(480)는 스텝 기어(485)를 통하여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스텝 모터(480)는 제어부(600)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스텝 기어(485)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기어(420), 제2 기어(425), 제1 서브 기어(430), 제2 서브 기어(435), 제1 스프링(460) 및 제2 스프링(465)은 소정의 기어부(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는 스텝 기어(485) 사이에 위치하여 스텝 기어(485)의 회전에 맞물려 회전한다. 예를 들어, 스텝 기어(48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기어(420)는 제1 서브 기어(430)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제1 돌기(440)를 포함하며, 제2 기어(425)는 제2 서브 기어(435)와 맞물려 회전시키는 제2 돌기(4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기어(430) 및 제2 서브 기어(435)는 각각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에 결합하여 연동될 수 있다. 제1 서브 기어(430) 및 제2 서브 기어(435)는 각각 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한다. 제1 서브 기어(430) 및 제2 서브 기어(435)는 각각 제1 실드(210) 및 제2 실드(2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기어(430)의 회전에 따라 제1 실드(210)는 회전하며, 제2 서브 기어(435)의 회전에 따라 제2 실드(220)는 회전한다.
제1 서브 기어(430)는, 도 10에서와 같이, 제1 서브 기어(430)의 외측면에서 제1 돌기(44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맞물리는 부분이 없는 소정의 '제1 헛돌이 구간(4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서브 기어(430)는 제1 기어(420)의 중심에 소정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며, 제1 서브 기어(430)는 소정의 원판에서 소정 각도만큼의 부채꼴의 형상을 잘라낸 형상으로 이 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서브 기어(435)는 제2 서브 기어(435)의 외측면에서 제2 돌기(445)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맞물리는 부분이 없는 소정의 '제2 헛돌이 구간(4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기어(435)도 소정의 원판에서 소정 각도만큼의 부채꼴의 형상을 잘라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프링(460) 및 제2 스프링(465)은 각각 제1 실드(210) 및 제2 실드(220)를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스텝 모터(480)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 상태이거나, 또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시점, 또는 페일(Fail)로 판정되는 경우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 실드(210) 및 제2 실드(220)를 기준 위치인 클래스 C 빔 패턴 모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1 스프링(460) 및 제2 스프링(465)은 각각 제1 서브 기어(430) 및 제2 서브 기어(435)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넷(490)은 제1 서브 기어(430)의 측면 판상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넷(490)은 제1 서브 기어(430)의 측면에 부착되어, 제1 서브 기어(4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490)의 회전량을 홀 센서(미도시) 등의 감지 센서에 의하여 제1 서브 기어(43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1 실드(210)의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490)은 제2 서브 기어(435)의 측면에 장착되어 제2 서브 기어(435)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2 실드(22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 470)은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 다. 인쇄회로기판(470)에는 홀 센서(미도시) 등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 기판(PCB)은 다수개의 구동 부품들을 실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동 부품들은 원칩화 기술에 의해 설계된 반도체 칩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 8a 및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서의 실드 구동부(2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가지는 기준 모드에서는 스텝 기어(485)에는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의 톱니가 연결된 상태로 정지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스텝 모터(48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스텝 기어(485)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모드'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 전원을 인가시킨 경우 또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빔 패턴 모드로서, 실드(210, 220)의 회전 위치 및 광학 모듈(100)이 광축 위치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 위치로 복귀하거나 또는 기준 위치로 이동된 모드이다.
예를 들어, 기준 모드가 클래스 C의 빔 패턴 생성 모드인 경우에는 제1 실드(210) 및 제2 실드(220)의 축상으로의 회전 위치 및 광학 모듈(100)의 광축의 방향이 소정 위치로 설정되어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기어(430)는 제1 실드(210)에 일체로 부착되며, 제2 서브 기어(435)는 제2 실드(220)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1 서브 기어(430) 및 제2 서브 기어(435)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제1 실드(210) 및 제2 실드(220)는 회전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스텝 기어(48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이다. 스 텝 기어(48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기어(4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기어(42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 기어(420)는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1 기어(420)의 제1 돌기(440)가 제1 서브 기어(430)와 맞물려 제1 서브 기어(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제2 기어(4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425)의 제2 돌기(445)가 제2 서브 기어(435)와 맞물리지 않고, 제2 서브 기어(435)의 "제2 헛돌이 구간(455)" 상으로 이동하여 제2 서브 기어(435)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스텝 기어(485)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는 제1 서브 기어(430)에 결합된 제1 실드(210)를 회전시켜 제1 실드(210)에 부착된 실드 돌기를 활성화시킨 클래스 V 또는 실드의 원통형 외주면(215)을 최상부에 위치하게 한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클래스 H를 위한 별도의 실드 돌기 없이 실드의 원통형 외주면을 이용하였지만, 클래스 C, V와 마찬가지로 클래스 H를 위한 실드 돌기를 실드의 원통형 외주면 상에 배치하여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스텝 기어(48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이다. 스텝 기어(48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기어(4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기어(425)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2 기어(425)는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2 기어(425)의 제2 돌기(445)가 제2 서브 기어(435)와 맞물려 제2 서브 기어(4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제1 기어(4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기어(420)의 제1 돌기(440)가 제1 서브 기어(430) 와 맞물리지 않고, 제1 서브 기어(430)의 "제1 헛돌이 구간(450)" 상으로 이동하여 제1 서브 기어(430)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스텝 기어(485)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는 제2 서브 기어(435)에 결합된 제2 실드(220)를 회전시켜 제2 실드(220)에 부착된 실드판을 활성화시켜 소정의 클래스 W의 빔 패턴에서의 근거리 음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드 구동부(200)에서의 초기의 기준 모드에서 제1 기어(420) 및 제2 기어(425) 사이의 스텝 기어(485)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제1 실드(210) 또는 제2 실드(220)를 각각 구동시켜 소정의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생성하는 조합을 도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서는 실드 구동부 및 레벨링 구동부의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는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기준 모드로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준 모드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의 초기의 동작 되는 모드 또는 전원이 오프(Off) 상태에 위치하거나 또는 페일-세이프 기능에 의하여 복귀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후 빔 패턴을 클래스 V 및 H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드 구동부(200)에 의하여 제1 실드(210)를 회전시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래스 C의 빔 패턴에서 클래스 V 또는 H의 빔 패턴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제1 실드(2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실드 돌기의 패턴 또는 돌기의 유무에 따라 클래스 V 및 H의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클래스 C 빔 패턴에서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조사 방향을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래스 C의 빔 패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조사하는 빔 패턴인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클래스 W 빔 패턴은 클래스 E의 빔 패턴에서 근거리 영역에서의 광이 일부 제거된 빔 패턴이다. 따라서, 클래스 W 빔 패턴은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생성시키는 동작 후 또는 동작과 동시에, 실드 구동부(200)에 의하여 제2 실드(220)를 동작시켜 실드판(224)에 의하여 근거리로 향하는 광을 일부 단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클래스 C 빔 패턴에서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 방향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실드 구동부(200)에 의하여 제2 실드(220)를 동작시킴으로써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드 구동부(2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연동에 의하여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드(210)에는 2개의 실드 돌기를 형성하여, 제2 실드(220) 및 레벨링 구동부(400)와의 연동에 의하여 클래스 C, V, E, W 및 H의 빔 패턴이 모두 구현 가능하므로, 각각의 빔 패턴에 대한 실드 돌기를 제1 실드(210) 상에 모두 구비한 경우에 비하여 실드 돌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실 드(210)의 실드 돌기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실드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오른쪽 방향 이동시킨 예를 보여주며,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상향 시킨 예를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빔의 조사 방향을 정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왼편에서 마주보고 달려오는 상대방 운전자의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오른쪽에서 마주보고 달려오는 도로 환경에서는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빔의 조사 방향을 정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베이스(35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광학 모듈(100)에 의한 빔의 조사 방향을 정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빔의 조사 방향을 상대적으로 상승시켜 원거리까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좌우 구동부(3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좌우 구동부(300) 또는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조정하여 소정의 빔 패턴 변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 구동부(200)의 제1 실드(210) 및/또는 제2 실드(220)의 구동 및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 조정 등에 의하여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빔 패 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에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소정의 모드에 따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준 모드'는 클래스 C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모드로서 제1 실드(210)의 제1 실드 돌기(232)가 활성화되며, 제2 실드(220)의 실드판(224)은 비활성화된다.
'레벨링 모드'는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상향시킨 모드를 말한다. 레벨링 모드에서는 기준 모드 스테이지에서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클래스 C 빔 패턴으로부터 광축을 상향시킴 의하여 클래스 E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클래스 W의 빔 패턴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한 구동 및 실드 구동부(200)의 제2 실드(220) 구동에 의하여 실드판(224)이 활성화되어 근거리로 향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클래스 W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 구동부(200)는 스텝 모터(480)를 구동시켜 스텝 기어(48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서브 기어(430)의 제1 헛돌이 구간(450) 상으로 제1 기어(420)의 제1 돌기(440)가 회전하여 제1 서브 기어(430)를 회전시키지 아니하면서, 제2 서브 기어(435)에 대하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실드(220)만을 구동시켜 실드판(224)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드 모드'는 실드 구동부(200)에 의하여 제1 실드(210)를 구동시키는 모드를 말한다. 실드 모드에서는 기준 모드 스테이지에서 제1 실드(210)의 기준 모드의 실드 돌기(232)외의 실드 돌기(234)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실드 돌기들(232, 234)을 비활성화시켜 다른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 구동부(200)는 스텝 모터(480)를 구동시켜 스텝 기어(48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서브 기어(435)의 제2 헛돌이 구간(455) 상으로 제2 기어(425)의 제2 돌기(44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서브 기어(435)를 회전시키지 아니하면서, 제1 서브 기어(43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실드(210)만을 구동시켜 제2 실드 돌기(23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2 실드 돌기(234)의 활성화에 의하여는 클래스 V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의 다양한 빔 패턴을 단순히 실드 구동부(200)에 의존하여 생성하지 않으면서 실드 구동부(2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상호 조합에 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실드(210)의 실드 돌기들의 개수를 감소시켜 제1 실드(21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며 제1 실드(210)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드 구동부(200)에 의존하여 빔 패턴을 생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1 실드(210)의 회전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페일-세이프 기능을 위한 스프링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줄일 수 있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텝 모터(48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생성하는 조합을 도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준 모드'로서 클래스 E의 빔 패턴을 생성하는 모드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클래스 C, V 및 H 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는 레벨링 구동 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의 광축을 낮추는 광축 조절 및 실드 구동부(200)에 의하여 제1 실드(210)를 회전시켜 적절한 실드 돌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클래스 W 빔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는 기준 모드에서 실드 구동부(200)에 의하여 제2 실드(220)를 회전시켜 실드판(224)을 활성화시켜 근거리로 조사되는 광을 일부 차단시켜 클래스 E의 빔 패턴으로부터 클래스 W 빔 패턴으로 전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에서는 실드 구동부 및 레벨링 구동부의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로 실드 구동부(200) 및 레벨링 구동부(400)의 연동에 대하여 언급하였지만, 이와 함께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광학 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축을 좌우로 이동시켜 조사되는 빔 패턴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에서의 실드 구동부에서 페일 모드를 감지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드 구동부(200)의 인쇄회로기판(470) 상에 마그넷(490)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472)를 소정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490)은 제1 서브 기어(430)에 부착되어, 소정의 기준 모드인 C 클래스의 빔 패턴을 나타내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에, 제1 서브 기어(4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클래스 V, 및 H 등의 빔 패턴을 제1 서브 기어(430)의 회전량 또는 일체로 결합된 제1 실드(210)의 회전량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마그넷(490)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472)는 클래스 V를 나타내는 빔 패턴에서의 마그넷의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 모터(48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MCU 유닛 등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어부(미도시)가 동작하지 않는 등의 소정의 페일(Fail) 모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기어(430) 상에 제1 스프링(460)을 장착하여, 실드 구동부(200)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클래스 C의 기준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하지만, 페일 모드 상에서 제1 스프링(460) 또한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제1 실드(210)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460)에 영구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이 약화되어 정상적인 빔 패턴 변환 작동이 되지 않거나, 클래스 C의 기준 모드로 복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실드(210)의 복귀하는 중간 지점에 홀 센서(472)를 부착함으로써, 제1 실드(210)의 이동을 감지하거나 제1 실드(210)의 클래스 C의 기준 위치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만일, 홀 센서(472)에 제1 서브 기어(430)에 부착된 마그넷(490)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정상적인 기능이 수행되지 않음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 또는 알람 표시로 실드 구동부(200)의 고장을 알려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실드(210)에 일체로 부착되는 제1 서브 기어(430)에 마그넷(490)을 부착하고, 상기 마그넷(490)의 이동을 홀 센서(472)에 의해 감지함으로써 실드 구동부(200)의 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실드 구동 장치에서의 제1 실드 및 제2 실드 배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구현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의 실드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도 7의 기어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생성하는 조합을 도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우 구동부(300)에 의하여 광학 모듈의 광축을 오른쪽 방향 이동시킨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벨링 구동부(400)에 의하여 광학 모듈의 광축을 위쪽 방향 이동시킨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헤드 램프 시스템에서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소정의 모드에 따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생성하는 조합을 도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광학 모듈 200: 실드 구동부
300: 좌우 구동부 400: 레벨링 구동부
500: 페일 감지부 600: 제어부
70: 램프 80: 렌즈
90: 리플렉터
210: 제1 실드 220: 제2 실드
260: 회전축 돌기 350: 베이스
232, 234, 236: 실드 돌기
420: 제1 기어 425: 제2 기어
430: 제1 서브 기어 435: 제2 서브 기어
440: 제1 돌기 445: 제2 돌기
450: 제1 헛돌이 구간 455: 제2 헛돌이 구간
480: 스텝 모터 485: 스텝 기어
490: 마그넷
Claims (16)
- 하나 이상의 실드(Shield)를 통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학 모듈;상기 광학 모듈의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레벨링 구동부; 및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연동시켜 복수의 빔 패턴을 생성하고,상기 제어부는 기준 모드로부터 특정 빔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어 신호를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에 전달하며, 상기 기준 모드는 상기 실드의 회전 위치 및 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 위치가 기준 위치로 지정되어 상기 실드 및 상기 광학 모듈이 상기 기준 위치로 이동되어 제1 빔 패턴을 생성하는 모드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빔 패턴은 클래스 C 빔 패턴 또는 클래스 E 빔 패턴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하나 이상의 실드(Shield)를 통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학 모듈;상기 광학 모듈의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레벨링 구동부; 및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연동시켜 복수의 빔 패턴을 생성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드 구동부로 하여금 제1 실드의 제1 실드 돌기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레벨링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상향 또는 하향시켜 제2 빔 패턴을 각각 생성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2 빔 패턴은 클래스 C 빔 또는 클래스 E 빔 패턴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2 빔 패턴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실드 구동부로 하여금 제2 실드를 동작시켜 제3 빔 패턴을 생성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제3 빔 패턴은 클래스 W 빔 패턴인,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하나 이상의 실드(Shield)를 통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학 모듈;상기 광학 모듈의 실드를 구동시키는 실드 구동부;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레벨링 구동부; 및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드 구동부 및 상기 레벨링 구동부를 연동시켜 복수의 빔 패턴을 생성하고,상기 제어부는 클래스 E 빔 패턴인 기준 모드에서 상기 레벨링 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하강시키고, 상기 실드 구동부로 하여금 제1 실드를 구동시켜 제2 실드 돌기를 활성화시킨 클래스 V 또는 실드의 원통형 외주면을 최상부에 위치하게 한 클래스 H의 빔 패턴을 생성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 4,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광학 모듈의 광축을 좌우로 조정하는 좌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 4 및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구동부는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된 스텝 기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 및 제2 기어;상기 제1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제1 실드를 구동시키는 제1 서브 기어; 및상기 제2 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을 공유하며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제2 실드를 구동시키는 제2 서브 기어를 포함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기준 모드에서 상기 스텝 기어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상기 제1 기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기어의 제1 돌기가 상기 제1 서브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실드를 구동시키며,상기 제2 기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제2 돌기가 상기 제2 서브 기어의 제2 헛돌이 구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실드를 구동시키지 아니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기준 모드에서 상기 스텝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상기 제2 기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제2 돌기가 상기 제2 서브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2 실드를 구동시키며,상기 제1 기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기어의 제1 돌기가 상기 제1 서브 기어의 제1 헛돌이 구간을 이동하여 상기 제1 실드를 구동시키지 아니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구동부는상기 실드 구동부가 오작동 하는 경우에,상기 제1 실드를 제1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스프링; 및상기 제2 실드를 제2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구동부는상기 제1 실드 또는 상기 제2 실드의 회전 위치를 알려주는 마그넷을 상기 제1 서브 기어 또는 상기 제2 서브 기어에 부착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구동부는상기 마그넷의 위치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며,상기 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제1 실드 또는 상기 제2 실드의 오동작을 감지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제 1, 4 및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실드 구동부의 동작에 오류가 생긴 페일(Fail) 모드에서, 상기 실드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마그넷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실드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28214A KR101095031B1 (ko) | 2009-12-21 | 2009-12-21 |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28214A KR101095031B1 (ko) | 2009-12-21 | 2009-12-21 |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1599A KR20110071599A (ko) | 2011-06-29 |
KR101095031B1 true KR101095031B1 (ko) | 2011-12-20 |
Family
ID=4440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128214A KR101095031B1 (ko) | 2009-12-21 | 2009-12-21 |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50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9004B1 (ko) * | 2012-04-03 | 2013-1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헤드램프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JP6800586B2 (ja) * | 2016-01-27 | 2020-12-16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1398B1 (ko) | 2007-02-14 | 2008-10-02 | 에스엘 주식회사 | 복수의 빔 패턴을 제공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
KR100913545B1 (ko) * | 2007-10-26 | 2009-08-21 | 에스엘 주식회사 |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어셈블리 |
-
2009
- 2009-12-21 KR KR20090128214A patent/KR1010950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1398B1 (ko) | 2007-02-14 | 2008-10-02 | 에스엘 주식회사 | 복수의 빔 패턴을 제공하는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이용한 램프 어셈블리 |
KR100913545B1 (ko) * | 2007-10-26 | 2009-08-21 | 에스엘 주식회사 |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1599A (ko)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09137B (zh) | 车辆用前照灯装置 | |
KR101095018B1 (ko) | 안전 장치 기능을 구비한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시스템 | |
KR100913545B1 (ko) |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어셈블리 | |
JP5424742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CN102951064B (zh) | 车辆用前照灯装置及配光控制方法 | |
JP5199781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6051533B2 (ja) |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107821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394901B2 (ja) |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 |
JP6261502B2 (ja) | 自動車両ヘッドランプ用の光モジュール | |
KR100798143B1 (ko) | Led 램프 유닛을 적용한 적응형 전조등 장치 | |
JP5430282B2 (ja) |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 |
JP2013161567A (ja) |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 |
JP2009283443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317871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KR101181485B1 (ko) | 차량용 헤드 램프 | |
KR200460748Y1 (ko) |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
JP5470157B2 (ja) | 車両用灯具システム、制御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 |
KR101095031B1 (ko) |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 |
JP6142540B2 (ja) | 車両用前照灯 | |
JP2010015837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4375301B2 (ja) | 車両用前照灯 | |
CN112902107A (zh) | 车灯照明模组出射光形的形成方法 | |
CN112856323A (zh) | 车灯模组及车辆 | |
CN210717353U (zh) | 一种防光晕车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