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49616B1 -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616B1
KR100549616B1 KR1020010042283A KR20010042283A KR100549616B1 KR 100549616 B1 KR100549616 B1 KR 100549616B1 KR 1020010042283 A KR1020010042283 A KR 1020010042283A KR 20010042283 A KR20010042283 A KR 20010042283A KR 100549616 B1 KR100549616 B1 KR 10054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body
moving
drive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014A (ko
Inventor
기쿠사와이사오
야마구치마사히로
오하시가오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교산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2000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수납부가 얇고 또한 개구폭을 크게 할 수 있는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도어수납부(111)의 한끝단에서 제 1 도어체(200)가, 다른 끝단에서 제 2 도어체(300)가 출몰하도록 하고, 제 1 도어체(200)의 후단 상부로부터 다른쪽의 도어체를 향하여 제 1 연결부(210)를 돌출시키고, 또한 제 2 도어체(300)의 후단 하부로부터 다른쪽의 도어체를 향하여 제 2 연결부(310)를 돌출시키며, 또한 이들 돌출위치를 서로 동일평면내에서 평행해지도록 설정한다. 각 도어체를 제 1 연결부 (210), 제 2 연결부(310)로서 구동기구와 연결함과 동시에, 양쪽 도어의 구동기구를 도어체의 한쪽면측에 가지런히 하여 배치한다. 상하로 어긋나게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서로 충돌하지 않고, 도어체의 후단끼리가 도어수납부내에서 충분히 근접할 수 있어, 도어가 나오는 길이에 대한 도어수납부 전체길이의 비율이 작아진다. 또한 구동기구를 같은 쪽에 배치함으로써 도어수납부가 얇아진다.

Description

도어장치{PLATFORM DO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에 있어서의 도어수납부내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를 플랫폼에 설치한 상태로서 도어를 닫은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를 플랫폼에 설치한 상태로서 도어를 연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를 플랫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를 플랫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에 있어서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 및 제 2 도어체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연결부, 제 2 연결부가 부착된 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의 도어수납부 내부를 측방향에서 본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 치에 있어서 양쪽의 도어체를 격납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어수납부내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옆에서 가이드 레일에 걸어맞춤하도록 구성한 도어장치의 도어수납부 내부를 측방향에서 본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로서 2단식의 도어를 구비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도어장치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도어장치의 도어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로서 도어의 후단끼리가 도어수납부 내부에서 도어수납부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로서 도어의 후단끼리가 도어수납부 내부에서 도어수납부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랫폼 100 : 가동플랫폼 난간장치
110 :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 111 : 도어수납부
112 : 제 1 개구 113 : 제 2 개구
120 : 한쪽으로 열린 도어장치 121 : 도어수납부
122 : 도어 200 : 제 1 도어체
210 : 제 1 연결부 211 : 도어체돌출부
212 : 연결베이스부 220 : 제 1 구동기구
221 : 상부프레임 222 : 제 1 도어용 볼나사
223 : 제 1 도어용 고정부재 224 : 제 1 도어용 구동부
225 : 제 1 도어용 이동부 231 : 제 1 도어용 가이드 레일
232 : 제 1 도어용 가이드 롤러 240 : 제 1 도어용 L자형 부재
240a : 수직부분 240b : 수평부
241 : 제 1 도어용 보조 가이드레일
242 : 제 1 도어용 보조 가이드롤러
300 : 제 2 도어체 310 : 제 2 연결부
311 : 도어체돌출부 312 : 연결베이스부
320 : 제 2 구동기구 321 : 하부 프레임
322 : 제 2 도어용 볼나사 323 : 제 2 도어용 고정부재
324 : 제 2 도어용 구동부 325 : 제 2 도어용 이동부
331 : 제 2 도어용 가이드 레일 332 : 제 2 도어용 가이드 롤러
340 : 제 2 도어용 L자형 부재 340a : 수직부분
340b : 수평부 341 : 제 2 도어용 보조 가이드레일
342 : 제 2 도어용 보조 가이드롤러
본 발명은 도어수납부의 양 끝단에 설치한 제 1 개구와 제 2 개구의 각각으로부터 도어체가 출입하는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의 교통기관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가동난간에서는 개구시에 있어서의 폭치수가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승강구폭치수에 차량 등의 정지위치의 오차를 가미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1개구마다 독립한 양쪽으로 열리는 가동난간에 있어서의 가동도어는, 설치기초부에 대하여 고정된 스트로크로 개폐하고 있다.
정지위치오차를 크게 설정한 경우에는, 차량 등의 승강구 간격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난간 개구부의 폭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인접한 도어수납부의 간섭에 의해 도어의 수납이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가동난간에서는,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자체가 2단계로 신축하도록 구성하여, 도어수납부의 사이즈를 작게 하면서 개구폭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10은 가동난간의 상면을, 도 11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의 정면을, 도 12는 도어를 열어 도어수납부에 격납한 상태에서의 정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가동난간(1000)은, 도어가 외측도어(1001)와 내측도어(1002)로 구성되어 있고, 도어를 열어 도어수납부(1003)의 내부로 격납할 때에는, 외측도어(1001) 속에 내측도어(1002)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외측도어 속에서 내측도어가 펼쳐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수납부(1013)내에서, 도어 (1011)끼리의 후단부가 도어수납부의 두께 방향에서 겹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구폭 의 확대를 도모한 것도 있다. 또 도 13은, 가동난간의 상면을, 도 14는, 가동난간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계로 신축이 가능한 도어를 사용한 것은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1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끼리의 후단이 도어수납부내에서 도어수납부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한 것은 도어수납부가 두꺼워짐과 동시에, 복수의 가동난간을 연달아 설치하였을 때에, 문이 일직선으로 나란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가진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어수납부가 얇고 또한 개구폭을 크게 할 수 있는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다음 각 항의 발명으로 알 수 있다.
[1] 도어수납부(111)의 양끝단에 설치한 제 1 개구(112)와 제 2 개구(113)의 각각으로부터 도어체가 출입하는 도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직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도어체(200)로서 상기 제 1 개구(112)를 통하여 상기 도어수납부(1l1)에서 출몰하는 것과, 상기 제 1 도어체(200)의 이동궤적의 연장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도어체(300)로서 상기 제 2 개구(113)를 통하여 상기 도어수납부(111)에서 출몰하는 것과, 상기 제 1 도어체(2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는 제 1 구동기구(220)와, 상기 제 2 도어체(3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는 제 2 구동기구(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도어체(200)는, 상기 도어수납부(111)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이 되는 후단부의 일부에서 상기 진행방향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1 구동기구(22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10)를 가지며,
상기 제 2 도어체(300)는, 상기 도어수납부(111)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이 되는 후단부의 일부에서 상기 진행방향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2 구동기구(320)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10)를 가지며,
상기 제 1 연결부(210)의 상기 제 1 도어체(200)로부터의 돌출위치와 상기 제 2 연결부(310)의 상기 제 2 도어체(300)로부터의 돌출위치를, 상기 제 1 도어체 (200) 및 제 2 도어체(300)가 전진 및 후퇴이동할 때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연결부 (210)의 이동궤적과 상기 제 2 연결부(310)의 이동궤적이 동일평면내에서 또한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2] 도어수납부(111)의 양 끝단에 형성한 제 1 개구(112)와 제 2 개구(113)의 각각으로부터 도어체가 출입하는 도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직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도어체(200)로서 상기 제 1 개구(112)를 통하여 상기 도어수납부(111)에서 출몰하는 것과, 상기 제 1 도어체(200)의 이동궤적의 연장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도어체(300)로서 상기 제 2 개구(113)를 통하여 상기 도어수납부(111)에서 출몰하는 것과, 상기 제 1 도어체(2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는 제 1 구동기구(220)와, 상기 제 2 도어체(3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는 제 2 구동기구(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구동기구(220)는, 상기 도어수납부(111)측에 고정된 제 1 고정부 (221,223)와, 제 1 이동부(225)와, 상기 제 1 이동부(225)를 상기 제 1 고정부(221 ,223)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 1 이동기구(222,225)와, 상기 상대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부(224)를 가진 것이며,
상기 제 2 구동기구(320)는, 상기 도어수납부(111)측에 고정된 제 2 고정부 (321,323)와, 제 2 이동부(325)와, 상기 제 2 이동부(325)를 상기 제 2 고정부 (321,323)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 2 이동기구(322,325)와, 상기 상대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구동부(324)를 가진 것이며,
상기 제 1 도어체(200)는, 상기 도어수납부(111)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이 되는 후단부의 일부에서 상기 진행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1 이동부(225)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10)를 가지며,
상기 제 2 도어체(300)는, 상기 도어수납부(111)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이 되는 후단부의 일부에서 상기 진행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2 이동부(325)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310)를 가지며,
상기 제 1 연결부(210)의 상기 제 1 도어체(200)로부터의 돌출위치와 상기 제 2 연결부(310)의 상기 제 2 도어체(300)로부터의 돌출위치를, 상기 제 1 도어체 (200) 및 제 2 도어체(300)가 전진 및 후퇴이동할 때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연결부 (210)의 이동궤적과 상기 제 2 연결부(310)의 이동궤적이 동일평면내에서 또한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3] 상기 제 1 구동기구(220)의 제 1 이동기구(222,225)는, 상기 도어수납부 (111)측에 고정된 상기 제 1 고정부(221,223)에 지지된 볼나사(222)로서 적어도 상기 제 1 도어체(200)의 제 1 연결부(21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하는 범위에 걸쳐 연이어 설치된 것과, 상기 볼나사(222)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225)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나사(222)와 상기 너트부재(225)중의 어느 한쪽을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다른쪽을 회전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구동부(224)는, 상기 너트부재(225) 또는 상기 볼나사 (222)중의 상기 회전이동이 가능한 것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 1 이동부(225)는, 상기 너트부재(225)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이고,
상기 제 2 구동기구(320)의 상기 제 2 이동기구(322,325)는, 상기 도어수납부(111)측에 고정된 상기 제 2 고정부(321,323)에 지지된 볼나사 (322)로서 적어도 상기 제 2 도어체(300)의 제 2 연결부(31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되는 범위에 걸쳐 연이어 설치된 것과, 상기 볼나사(322)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325)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나사(322)와 상기 너트부재(325)중의 어느 한쪽을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다른 쪽을 회전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구동부(324)는, 상기 너트부재(325) 또는 상기 볼나사 (322)중 상기 회전이동이 가능한 것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 2 이동부(325)는, 상기 너트부재(325)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도어장치.
[4] 상기 도어수납부(111)에 격납하였을 때의 제 1 도어체(200) 및 상기 제 2 도어체(300)의 정지위치를, 이 정지위치에서 상기 제 1 연결부(210)의 선단이 상기 제 2 연결부(310)의 선단보다도 상기 제 2 도어체(300)의 후단부측으로 진행한 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2]또는 [3]에 기재된 도어장치.
[5] 상기 제 1 연결부(210) 및 상기 제 2 연결부(310)와 상기 제 1 도어체 (200) 및 상기 제 2 도어체(300)가 동일평면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2], [3] 또는 [4]에 기재된 도어장치.
[6] 상기 제 1 연결부(210) 및 상기 제 2 연결부(310)가 상기 제 1 도어체 (200) 및 상기 제 2 도어체(300)가 존재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2], [3] 또는 [4]에 기재된 도어장치.
[7] 상기 제 1 도어체(200)의 한쪽의 측면에 상기 제 1 구동기구(220)와 상기 제 2 구동기구(320)의 양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2], [3], [4], [5] 또는 [6]에 기재된 도어장치.
[8] 플랫폼(10)상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열차가 지나는 궤도측과 플랫폼(10)측을 구획하기 위한 가동플팻폼 난간장치(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2], [3], [4], [5], [6] 또는 [7]에 기재된 도어장치.
[9] 적어도 상기 제 1 구동기구(220) 및 상기 제 2 구동기구(320)를 상기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에 대하여 상기 궤도측과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도어장치.
상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전진 및 후퇴이동을 위한 힘을 제 1 구동기구(220)로부터 받는 제 1 연결부 (210)를, 제 1 도어체(200)의 후단부의 일부에서 몰입시의 진행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 1 도어체(200)의 대부분을 도어수납부(111)에서 나오게 할 수 있다. 제 2 도어체(3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 1 연결부(210)의 제 1 도어체(200)로부터의 돌출위치와 제 2 연결부 (310)의 제 2 도어체(300)로부터의 돌출위치를,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 (300)가 전진 및 후퇴이동할 때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210)의 이동궤적과 제 2 연결부(310)의 이동궤적이 동일평면내에서 또한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를 도어수납부(111)내의 아무리 깊숙하게 수용하여도,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가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즉, 도어수납부(111)에 격납하였을 때의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 (300)의 정지위치를, 이 정지위치에서 제 1 연결부(210)의 선단이 제 2 연결부 (310)의 선단보다도 제 2 도어체(300)의 후단부측으로 진행한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와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가 동일평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연결부(210)의 선단과 제 2 도어체(300)의 후단이 접촉하거나 혹은 제 2 연결부(310)의 선단과 제 1 도어체 (200)의 후단이 접촉하기 직전까지 근접시켜 도어수납부(111)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수납부(111)의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개구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210) 및 제 2 연결부(310)가,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가 존재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에 존재하도록 하면, 각 도어체를 도어수납부(111)의 아무리 깊숙하게 격납하여도 제 1 연결부(210)와 제 2 도어체(300)가 접촉하거나, 제 2 연결부(310)와 제 1 도어체(200)가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의 후단끼리 접촉하기 직전까지, 이들 도어체를 도어수납부(111)의 깊숙한 곳까지 수납할 수 있으므로, 더 한층, 개구폭을 크게 잡을 수 있다.
또,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가 동일평면내에 있으므로, 연결부가 다른 평면내에 있는 경우에 비해서 도어수납부(111)를 얇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를 제 1 도어체(200)의 표면측에 가지런히 하여 배치하면, 제 1 구동기구(220)와 제 2 구동기구(320)의 양쪽을 제 1 도어체(200)의 한쪽의 측면쪽에 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연결부(210) 및 제 1 구동기구(220)와 제 2 연결부(310) 및 제 2 구동기구(320)를 도어체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나누어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도어수납부(111)를 얇게 할 수가 있다.
제 1 구동기구(220)로서는, 도어수납부(111)측에 고정된 제 1 고정부(221, 223)와, 제 1 이동부(225)와, 제 1 이동부(225)를 제 1 고정부(221,223)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 1 이동기구(222,225)와, 상대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부(224)를 가진 것을 사용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구동기구(320)로서는, 도어수납부(111)측에 고정된 제 2 고정부(321,323)와, 제 2 이동부(325)와, 제 2 이동부(325)를 제 2 고정부(321,323)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상대이 동시키는 제 2 이동기구(322,325)와, 상대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구동부(324)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동기구를 무단의 벨트로 하고, 구동부에 의해서 이 무단의 벨트를 회전시켜, 해당 벨트의 소정 부분에 이동부를 부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나사이송기구에 의해 이동부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고정부에 지지된 볼나사(222,322)로서 적어도 대응하는 도어체의 연결부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하는 범위에 걸쳐 연이어 설치된 것과, 이 볼나사(222,322)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225,325)에 의하여 이동기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볼나사(222,322)와 너트부재(225,325)중의 어느 한쪽을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다른쪽을 회전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들중 회전이동이 가능한 쪽을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시켜, 이동부를 너트부와 함께 전진 및 후퇴이동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도어장치는, 플랫폼(10)상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어, 열차가 지나는 궤도측과 플랫폼(10)측을 구획하기 위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에 적합하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제 1 구동기구(220) 및 제 2 구동기구(320)를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에 대하여 궤도측과 반대측, 즉 플랫폼(10)의 내측 부근에 배치한 것은 장치의 설치 및 보수점검작업을 난간의 내측(궤도반대측)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도어장치를 적용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를 정면에서, 도 4는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를 상면에서, 도 5는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를 측면에서 본 모양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는, 플랫폼(10)상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플랫폼(10)의 옆으로 이어지는 선로(궤도)상의 정위치에 정지하는 열차와의 사이에 난간을 형성하여, 열차의 승강시에 있어서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10)와 이들 양끝단에 배치된 한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20)로 구성된다. 한편 도 2∼도 4에서는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10)를 1개만 가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10) 및 한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20)의 도어수납부(111,121)는 각각 전체적으로는 편평한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도어수납부(111,121)의 하단이 플랫폼(10)의 기초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플랫폼(10)상에는 소정위치에 정차한 열차의 각 승강 도어(도시생략)와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폭이 오도록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10) 및 한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20)가 배치된다. 한편 열차는 통상 정위치에 정지하지만, 이 기준이 되는 정위치에 대하여 소정범위내의 허용오차가 설정되어 있다. 이 오차에 대응하기 위해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100)의 개구폭은 열차의 승강 도어 개구틀의 폭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한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20)는, 한쪽에만 개구를 가진 도어수납부(121) 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출몰하는 1개의 도어(122)와, 이 도어(122)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10)는, 양끝단에 개구를 가진 도어수납부(111)와,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와, 제 1 도어체(2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부를 이루는 제 1 구동기구(220)와, 제 2 도어체(3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이루는 제 2 구동기구(3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는 같은 직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어수납부(111)로 몰입할 때의 진행방향 선두측이 되는 각 도어체(200,300)의 후단끼리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는 동일평면내에 있고, 제 1 도어체(200)의 이동궤적의 연장선상을 제 2 도어체(300)가 전진 및 후퇴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양쪽으로 열리는 도어장치(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제 1 개구(112)측의 도어수납부 끝단부를 파단하여 도어수납부(111)의 내부를 본 모양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수납부(111)의 한 끝단에 설치한 제 1 개구(112)를 통하여 출몰하는 제 1 도어체(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평판의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도어체(200)의 후단부중, 상단근방의 일부에서 제 1 도어체(200)가 도어수납부(111)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화살표(201)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제 1 연결부(210)가 돌출하고 있다.
제 1 연결부(2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도어체(200)의 후단으로부터 제 1 도어체(200)와 동일평면내에서 도어의 몰입시의 진행방향으로 소정량만 큼 사각형상으로 돌출한 도어체 돌출부(211)와, 이 도어체 돌출부(211)에 한끝단측을 겹쳐 나사고정되고, 또한 다른 끝단측이 도어체 돌출부(211)보다도 도어의 몰입시에 진행방향으로 더욱 돌출한 사각형 평판형상의 연결베이스부(212)로 이루어진다.
도어수납부(111)중 제 1 개구(112)를 형성한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형성한 제 2 개구(113)를 통하여 출몰하는 제 2 도어체(300)는, 제 1 도어체(20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두께를 가진 평판의 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도어체(300)의 후단부중, 하단근방의 일부에서는, 제 2 도어체(300)가 도어수납부(111)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화살표(202)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제 2 연결부(310)가 돌출하고 있다.
제 2 연결부(3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도어체(300)의 후단하부에서 제 2 도어체(300)와 동일평면내에서 도어의 몰입시의 진행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사각형상으로 돌출한 도어체 돌출부(311)와, 도어체 돌출부(311)에 한끝단측을 겹쳐 나사고정되고, 또한 다른 끝단측이 도어체 돌출부(311)보다도 도어의 몰입시의 진행방향으로 더욱 돌출한 사각형의 평판형상의 연결베이스부(312)로 이루어진다.
연결베이스부(212) 및 연결베이스부(312)는, 플랫폼(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체 돌출부(211,311)의 표리면중 궤도가 있는 쪽과 반대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어수납부(111)중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를 사이에 두고 궤도반대측의 내측 상부에는, 제 1 연결부(210)에 대응하는 높이로 도어수납부(111) 의 거의 폭 1매에 걸쳐 수평[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가 전진 및 후퇴하는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 상부 프레임(22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어수납부(111)의 내부에는, 각 부를 지지하는 구조형태를 이루는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221)은 그 일부를 이루고 있다.
이 상부 프레임(221)의 윗면에는, 개폐이동하는 제 1 도어체(200)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도어용 가이드 레일(231)이 부착되어 있다. 연결베이스부(212)에는, 제 1 도어용 가이드 레일(231)에 걸어맞춤하는 피안내부로서의 제 1 도어용 가이드 롤러(232)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도어체(200)의 하중의 대부분은, 제 1 도어용 가이드 롤러(232) 및 제 1 도어용 가이드 레일(231)을 통해 상부 프레임(221)으로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도어체(200)의 후단의 하단부에는 제 1 도어용 L자형 부재(240)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도어용 L자형 부재(240)는 L자의 수평부(240b)를 제 1 도어체 (200)의 하단측으로 하고, 또한 L자의 수평부(240b)를 도어의 몰입시 진행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L자의 수직부분(240a)이 제 1 도어체(200)의 후단하부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제 1 도어용 L자형 부재(240)의 수평부(240b)의 바닥면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제 1 도어용 보조 가이드 롤러(242)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수납부(111)의 내측 바닥부에는 제 1 도어용 보조 가이드 롤러(242)의 걸어맞춤상대가 되는 제 1 도어용 보조 가이드 레일(24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도어체(200)의 상부를 제 1 도어용 가이드 롤러(232)로 지지함과 동시에 제 1 도어체(200)의 하부를 제 1 도어용 보조 가이드 롤러(242)로 지지함으로써 제 1 도어체(200)의 요동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221)의 아랫면의 양끝단 근방에는 제 1 도어용 고정부재(223)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 1 구동기구(220)를 구성하는 제 1 도어용 볼나사(222)의 양끝단부가 제 1 도어용 고정부재(223)에 의해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1 도어용 볼나사(222)의 제 2 개구(113)측 기초끝단부가,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어용 구동부(224)에 소정의 감속기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 1 도어용 구동부(224)는 제 1 도어용 고정부재(223)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연결부 (210)의 연결베이스부(212)에는 제 1 도어용 볼나사(222)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제 1 도어용 이동부(225)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도어용이동부(225)의 너트부재는 회전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도어용구동부(224)가 제 1 도어용 볼나사(222)를 회전이동시키면, 회전이동이 불가능하게 지지된 너트부를 포함하는 제 1 도어용 이동부(225)가 제 1 도어용 볼나사(2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제 1 도어용 볼나사(22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제 1 도어용 이동부(225)와 제 1 연결부(210)가 고정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도어체(200)는 제 1 도어용 이동부(225)의 수평이동을 따라 수평으로 전진 및 후퇴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도어용 볼나사(222)는 적어도 제 1 도어체(2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되는 소정범위에 대응하는 길이[제 1 도어체(200)의 개폐행정거리이상의 거리]로 되어 있고, 제 1 도어체(2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도어용이동부(225)가 전 진 및 후퇴이동하는 범위를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수납부(111)중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를 사이에 두고 반궤도측의 내측 하부에는, 제 2 연결부(310)에 대응하는 높이로 도어수납부(111)의 거의 폭 1매에 걸쳐 수평으로 연이어 설치된 하부 프레임(3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프레임(321)의 아랫면에는 개폐이동하는 제 2 도어체(300)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도어용 가이드 레일(331)이 부착되어 있다. 연결베이스부(312)에는 제 2 도어용 가이드 레일(331)에 걸어맞춤하는 피안내부로서의 제 2 도어용 가이드 롤러 (332)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도어체(300)의 하중 대부분은, 제 2 도어용 가이드 롤러(332) 및 제 2 도어용 가이드 레일(331)을 통해 하부 프레임(321)으로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도어체(300)의 후단의 상단부에는 제 2 도어용 L자형 부재(340)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도어용 L자형 부재(340)는 L자의 수평부(340b)를 제 2 도어체 (300)의 상단측으로 하고 또한 L자의 수평부(340b)를 도어의 몰입시 진행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L자의 수직부분(340a)이 제 2 도어체(300)의 후단상부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제 2 도어용 L자형 부재(340)의 수평부(340b)의 윗면에는 상향으로 제 2 도어용 보조 가이드 롤러(342)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수납부(111)의 내측 상부에는 제 2 도어용 보조 가이드 롤러(342)의 걸어맞춤상대가 되는 제 2 도어용 보조 가이드 레일(341)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어체(300)의 하부를 제 2 도어용 가이드 롤러(332)로 지지함과 동시에 제 2 도어체(300)의 상부를 제 2 도어용 보조 가이드 롤러(342)로 지지함으로써 제 2 도어체(300)의 요동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321)의 윗면에는 그 양끝단 근방에 제 2 도어용 고정부재(323)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 2 구동기구(320)를 구성하는 제 2 도어용 볼나사(322)의 양끝단부가 제 2 도어용 고정부재(323)에 의해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 2 도어용 볼나사(322)의 제 1 개구(112) 측 기초끝단부가,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어용 구동부(324)에 소정의 감속기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어용 구동부(324)는 제 2 도어용 고정부재(323)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310)의 연결베이스부(312)에는 제 2 도어용 볼나사(322)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제 2 도어용 이동부(325)가 고정되어 있다. 제 2 도어용 이동부 (325)의 너트부재는 회전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도어용 구동부(324)가 제 2 도어용 볼나사(322)를 회전이동시키면, 회전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도어용 이동부(325)가 제 2 도어용 볼나사(3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제 2 도어용 볼나사(32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제 2 도어용 이동부(325)와 제 2 연결부(310)가 고정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도어체(300)는 제 2 도어용 이동부(325)의 수평이동에 따라 수평으로 전진 및 후퇴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도어용 볼나사(322)는, 적어도 제 2 도어체(300)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되는 소정범위에 대응하는 길이[제 2 도어체(300)의 개폐행정거리이상의 거리]로 되어 있고, 제 2 도어체(3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2 도어용 이동부(325)가 전진 및 후퇴이동하는 범위를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제 1 구동기구(220), 제 2 구동기구(320)는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에 대하여 궤도가 있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어용 구동부(224) 및 제 2 도어용 구동부(324)는 각종의 상기 부품을 장착한 도시되지 않은 제어반에 의해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의 양쪽을 도어수납부(111) 속으로 완전히 격납한 정지위치에서 이동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8에서는 제 1 구동기구(220) 및 제 2 구동기구(320)나 가이드레일 등의 기재는 생략되어 있다.
정지위치에서는 제 1 연결부(210)의 연결베이스부(212)의 부분이 상대방이 되는 제 2 도어체(300)와 동일평면상에 없고, 옆쪽(도면의 앞쪽…궤도반대측)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연결부(310)의 연결베이스부(312)의 부분이 상대방이 되는 제 1 도어체(200)와 동일평면상에 없고, 옆쪽(도면의 앞쪽…궤도반대측)이 된다. 또한 제 2 도어용 L자형 부재(340)의 수평부(340b)가 제 1 도어체(200)의 상단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제 1 도어용 L자형 부재(240)의 수평부(240b)가 제 2 도어체 (300)의 하단보다도 더욱 아래쪽에 있으므로 이들이 상대쪽 문과 충돌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 1 도어체(200)의 후단과 제 2 도어체(300)측의 도어체 돌출부 (311)가 접촉하기 직전 또는 제 2 도어체(300)의 후단과 제 1 도어체(200)측의 도어체 돌출부(211)가 접촉하기 직전까지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를 근 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구동기구(220)와 제 2 구동기구(320)를 제 1 도어체 (200) 및 제 2 도어체(300)의 표리면중의 어느 한쪽으로 가지런히 하여 배치하였기 때문에, 제 1 구동기구(220)와 제 2 구동기구(320)를 도어체의 표면측과 이면측으로 나누어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도어수납부(111)의 두께를 얇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구동기구(220) 및 제 2 구동기구(320)를 제 1 도어체(200)나 제 2 도어체(300)에 대하여 궤도와 반대측, 즉 플랫폼의 내측부근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본 장치의 설치 및 보수점검작업을 난간의 내측(궤도반대측)에서 행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외에, 제 1 연결부(210) 및 제 2 연결부(310)를 제 1 도어체(200)및 제 2 도어체(300)의 후단부에서 각각의 도어체의 몰입시 진행방향으로 돌출 시키고 있기 때문에, 각 도어체(200,300)의 대부분 전체길이를 도어수납부(111)로부터 나오게 하여 개구폭을 닫을 수 있다. 즉, 닫혔을 때에 도어수납부(111) 속에 남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문이 나오는 길이에 대한 도어수납부(111) 전체길이의 비율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연결부(210)의 연결베이스부(212)의 부분과 제 2 연결부(310)의 연결베이스부(312)의 부분을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와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였지만, 제 1 연결부(210) 및 제 2 연결부(310)의 전부가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와 동일평면이 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어 긋나게 하였기 때문에, 이들이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를 같은 높이로 설정하면 제 1 도어체(200)의 후단과 제 2 도어체(300)의 후단 사이의 최소거리가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의 전체길이를 합한 길이 이상이 되지만,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를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제 1 연결부(210) 또는 제 2 연결부(310)중의 어느 한 쪽의 길이만큼 최소거리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 1 연결부(210)와 제 2 연결부(310)의 전부를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와 다른 평면에 배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도어체(200) 및 제 2 도어체(300)의 후단의 측부에서 제 1 연결부(210)나 제 2 연결부(310)를 돌출시키면, 돌출부의 전체길이를 연결베이스부(212) 및 연결베이스부(312)가 있는 평면내에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도어체(200)의 후단과 제 2 도어체(300)의 후단이 접촉하기 직전까지 제 1 도어체(200)와 제 2 도어체(300)를 근접시켜 격납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어수납부(111)의 전체길이를 더 한층 짧게 하여 개구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구동기구(220) 및 제 2 구동기구(320)를 너트부와 볼나사로 이루어지는 나사이송기구로 구성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어의 이동행정거리에 걸쳐 설치한 무단의 벨트를 구동부로서 회전시키고, 해당 벨트의 소정개소에 이동부를 부착하여, 이 이동부를 각 도어체의 연결부에 연결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프레임(221), 하부 프레임(321)의 윗면 혹은 아 랫면에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안내레일(231,331)을 설치하여, 이 안내 레일(231, 331)에 가이드 롤러(232,332)를 상하방향에서 걸어맞춤시키도록 하였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901,911) 옆에 안내 레일(902,912)을 설치하여, 이 안내 레일에 가이드 롤러(903,913)를 옆에서 걸어맞춤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것은,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905,915)을 상기의 프레임(901,911)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부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수납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도어체의 하단을 플랫폼의 윗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외에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장치를, 플랫폼상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워 설치하고, 열차가 지나는 궤도측과 플랫폼측을 구획하기 위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에 적용하였지만, 양끝단으로부터 문이 출몰하는 것이면, 다른 용도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도어장치에 의하면, 제 1 도어체 후단으로부터의 제 1 연결부의 돌출위치와 제 2 도어체 후단으로부터의 제 2 연결부의 돌출위치를,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가 전진 및 후퇴이동할 때에 형성되는 제 1 연결부의 이동궤적과 제 2 연결부의 이동궤적이 동일평면내에서 또한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를 도어수납부내에서 아무리 근접시켜도,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 1 연결부, 제 2 연결부,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를 동일평면 내에 둔 경우에도, 제 1 연결부의 선단과 제 2 도어체의 후단이 접촉하기 직전이나 혹은 제 2 연결부의 선단과 제 1 도어체의 후단이 접촉하기 직전까지, 도어체끼리를 근접시켜 도어수납부내에 수납할 수 있어, 개구폭에 대한 도어수납부 전체길이의 비율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가,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가 존재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에 존재하도록 한 것은, 제 1 도어체와 제 2 도어체의 후단끼리가 접촉하기 직전까지, 도어체를 도어수납부의 깊숙한 곳까지 수납할 수 있어, 보다 한층, 개구폭을 크게 할 수 있어, 개구폭에 대한 도어수납부 전체길이의 비율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 제 1 구동기구, 제 2 연결부, 제 2 구동기구를 도어체의 표리면중의 어느 한쪽에 모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수납부를 얇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플랫폼상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열차가 지나는 궤도측과 플랫폼측을 구획하기 위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에 본 도어장치를 적용한 것은, 적어도 제 1 구동기구 및 제 2 구동기구를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에 대하여 궤도측과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설치 및 보수점검작업을 난간의 내측에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도어수납부의 양끝단에 형성한 제 1 개구와 제 2 개구의 각각으로부터 도어체가 출입하는 도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직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도어체로서 상기 제 1 개구를 통하여 상기 도어수납부로부터 출몰하는 것과, 상기 제 1 도어체의 이동궤적의 연장선상을 전진 및 후퇴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도어체로서 상기 제 2 개구를 통하여 상기 도어수납부로부터 출몰하는 것과, 상기 제 1 도어체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는 제 1 구동기구와, 상기 제 2 도어체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키는 제 2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구동기구는, 상기 도어수납부측에 고정된 제 1 고정부와, 제 1 이동부와, 상기 제 1 이동부를 상기 제 1 고정부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 1 이동기구와, 상기 상대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부를 갖는 것이고,
    상기 제 2 구동기구는, 상기 도어수납부측에 고정된 제 2 고정부와, 제 2 이동부와, 상기 제 2 이동부를 상기 제 2 고정부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상대이동시키는 제 2 이동기구와, 상기 상대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2 구동부를 갖는 것이며,
    상기 제 1 도어체는, 상기 도어수납부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이 되는 후단부의 일부에서 상기 진행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1 이동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도어체는, 상기 도어수납부로 들어 갈 때의 진행방향측이 되는 후단부의 일부에서 상기 진행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 2 이동부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상기 제 1 도어체로부터의 돌출위치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기 제 2 도어체로부터의 돌출위치를, 상기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가 전진 및 후퇴이동할 때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이동궤적과 상기 제 2 연결부의 이동궤적이 동일평면내에서 또한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한 도어장치로서,
    상기 제 1 구동기구의 상기 제 1 이동기구는, 상기 도어수납부측에 고정된 상기 제 1 고정부에 지지된 볼나사로서 적어도 상기 제 1 도어체의 제 1 연결부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되는 범위에 걸쳐 연이어 설치된 것과, 상기 볼나사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나사와 상기 너트부재중의 어느 한쪽을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다른쪽을 회전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너트부재 또는 상기 볼나사중 상기 회전이동이 가능한 것을 회전구동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이동부는, 상기 너트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이고,
    상기 제 2 구동기구의 상기 제 2 이동기구는, 상기 도어수납부측에 고정된 상기 제 2 고정부에 지지된 볼나사로서 적어도 상기 제 2 도어체의 제 2 연결부를 전진 및 후퇴이동시켜야 되는 범위에 걸쳐 연이어 설치된 것과, 상기 볼나사에 나사맞춤된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나사와 상기 너트부재중의 어느 한쪽을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다른쪽을 회전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너트부재 또는 상기 볼나사중 상기 회전이동이 가능한 것을 회전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이동부는, 상기 너트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수납부에 격납하였을 때의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의 정지위치를, 이 정지위치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제 2 연결부의 선단보다도 상기 제 2 도어체의 후단부측으로 진행한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가 동일평면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연결부가 상기 제 1 도어체 및 상기 제 2 도어체가 존재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체의 한쪽의 측면 측에 상기 제 1 구동기구와 상기 제 2 구동기구 양쪽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플랫폼상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고, 열차가 지나는 궤도측과 플랫폼측을 구획하기 위한 가동플랫폼 난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구동기구 및 상기 제 2 구동기구를 상기 제 1 도어체 및 제 2 도어체에 대하여 상기 궤도측과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KR1020010042283A 2000-07-14 2001-07-13 도어장치 KR100549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14494 2000-07-14
JP2000214494A JP3942346B2 (ja) 2000-07-14 2000-07-14 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14A KR20020008014A (ko) 2002-01-29
KR100549616B1 true KR100549616B1 (ko) 2006-02-03

Family

ID=1871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283A KR100549616B1 (ko) 2000-07-14 2001-07-13 도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42346B2 (ko)
KR (1) KR100549616B1 (ko)
TW (1) TW54542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687B2 (ja) * 2000-11-06 2010-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停車場用乗降口装置
JP4276926B2 (ja) * 2003-11-07 2009-06-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0805365B1 (ko) * 2007-02-22 2008-02-20 (주) 이엔이씨 난간형 이중 슬라이딩 자동도어
KR100805366B1 (ko) * 2007-02-22 2008-02-20 (주) 이엔이씨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JP5500670B2 (ja) * 2009-04-30 2014-05-21 日本信号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5635793B2 (ja) * 2009-10-23 2014-12-03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可動ホーム柵及び可動ホーム柵システム
WO2011058940A1 (ja) * 2009-11-12 2011-05-19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可動ホーム柵
JP2011178354A (ja) * 2010-03-04 2011-09-15 Nippon Signal Co Ltd:The ホーム柵装置
JP5501804B2 (ja) * 2010-03-04 2014-05-28 日本信号株式会社 ホーム柵装置
JP5654254B2 (ja) * 2010-03-30 2015-01-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406125B2 (ja) * 2010-06-02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可動ホーム柵
JP5727203B2 (ja) * 2010-12-02 2015-06-0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544001B2 (ja) * 2012-10-04 2014-07-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JP5898755B2 (ja) * 2014-11-20 2016-04-0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5955932B2 (ja) * 2014-12-02 2016-07-2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N105818834B (zh) * 2016-05-09 2018-01-09 淮南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煤矿操车弯道牵引轨道系统
JP7098939B2 (ja) * 2018-01-25 2022-07-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消火栓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526B1 (ko) * 1997-01-29 1999-07-15 박우열 전철승차장의 승강대
JPH11256921A (ja) * 1998-02-27 1999-09-21 Otis Elevator Co 水平エレベーターの乗場側ドア開閉機構
JP2000016281A (ja) * 1998-07-02 2000-01-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JP2000016280A (ja) * 1998-06-29 2000-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0045664A (ja) * 1998-07-28 2000-02-15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JP2000108890A (ja) * 1998-10-02 2000-04-18 Fuji Electric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1164833A (ja) * 1999-12-13 2001-06-19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526B1 (ko) * 1997-01-29 1999-07-15 박우열 전철승차장의 승강대
JPH11256921A (ja) * 1998-02-27 1999-09-21 Otis Elevator Co 水平エレベーターの乗場側ドア開閉機構
JP2000016280A (ja) * 1998-06-29 2000-01-18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2000016281A (ja) * 1998-07-02 2000-01-18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JP2000045664A (ja) * 1998-07-28 2000-02-15 Kyosan Electric Mfg Co Ltd 可動ホーム柵装置
JP2000108890A (ja) * 1998-10-02 2000-04-18 Fuji Electric Co Ltd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JP2001164833A (ja) * 1999-12-13 2001-06-19 Hitachi Ltd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29410A (ja) 2002-01-29
KR20020008014A (ko) 2002-01-29
TW545422U (en) 2003-08-01
JP3942346B2 (ja)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616B1 (ko) 도어장치
KR100904118B1 (ko) 플랫폼용 스텝 장치
JP4141790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5400422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JP3942370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EP1867520A2 (de) Ladeboden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es
JP4083995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US7685772B2 (en) Platform door device
JP4425705B2 (ja) 可動式ホーム柵装置
CA2384043A1 (en) Auto rack rail car with end closure
JP3850549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
KR101013823B1 (ko) 전락 방지 장치
JP2005014805A (ja) プラットホームの転落防止装置
JP2951648B1 (ja) 可動ホーム柵装置
JP2000177580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4672424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US5386886A (en) Elevator door lock mechanism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US6131225A (en) Docking assembly for a shuttle
JP4285922B2 (ja) 可動ホーム柵装置
KR20020071431A (ko) 가동 플랫폼 난간장치
JP7161248B1 (ja) 扉装置
JP3942339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02012147A (ja) 乗降補助装置
KR960008533Y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