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게스테겐(메디케이션)
Progestogen (medication)프로게스테겐(메디케이션) | |
---|---|
마약류 | |
프로게스테론(Prometrium, Utrogestan)은 체내에서 자연적인 프로게스테론(Prometrium, Utrogestan)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게스테론 약물 중 하나이다. | |
클래스 식별자 | |
동의어 | 프로게스타겐, 게슈타겐, 게슈타겐, 프로게스틴(합성 프로게스테론);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작용제 |
사용하다 | 호르몬 산아제한, 호르몬 치료, 산부인과 장애, 임신 촉진제 및 임신 지원, 성호르몬 억제 등 |
ATC 코드 | G03 |
생물학적 표적 |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A, PR-B, PR-C), 멤브레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mPRα, mPRβ, mPRΔ, mP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막 성분(PGRMC1, PGRMC2) |
케미컬 클래스 | 스테로이드(예전, 노예전, 레트로프 기체 및 에스트레인, 에스트레인) |
임상자료 | |
Drugs.com | 마약 클래스 |
외부 링크 | |
메슈 | D011372 |
위키다타에서 |
프로게스테르겐은 프로게스테르겐, 게슈타겐, 게스테르겐이라고도 불리는데, 체내에서 자연적인 여성 호르몬 프로게스테론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약의 일종이다.[1] 프로게스틴은 합성 프로게스겐이다.[1] 프로게스테르균은 호르몬 분비와 갱년기 호르몬 요법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1] 그것들은 또한 산부인과 질환의 치료, 다산과 임신을 지원하는 것, 다양한 목적의 성 호르몬 수치를 낮추는 것, 그리고 다른 적응증에도 사용될 수 있다.[1] 프로게스테르균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사용된다.[1] 그것들은 매우 다양한 제형으로 이용가능하며 다양한 행정경로에서 이용가능하다.[1] 프로게스테론의 예로는 천연 또는 생체인식 프로게스테론뿐만 아니라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나 노레시스테론 같은 프로게스틴도 있다.[1]
프로게스테르균의 부작용으로는 생리불균형, 두통, 메스꺼움, 유방연기, 기분변화, 여드름, 모발성장증가, 간단백질생성 변화 등이 있다.[1][2] 프로게스테르균의 다른 부작용은 유방암, 심혈관 질환, 혈액 응고 위험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2] 프로게스테르균은 높은 용량에서 낮은 성호르몬 수치와 성기능 장애와 뼈 골절 위험 증가와 같은 관련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3]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의 작용제로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의 작용제로서 프로게스테론 또는 프로게스테론 효과를 생성한다.[1] 그것들은 여성 생식계(자궁, 자궁경부, 질)와 유방, 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 또한 많은 프로게스테르겐은 안드로겐, 항안드로겐, 에스트로겐, 글루코르티코이드, 또는 항민항산화 활성과 같은 다른 호르몬 활동도 가지고 있다.[1] 그들은 또한 항원 항정신성 효과를 가지고 있고 많은 양을 복용하면 성호르몬 생성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다.[1] 프로게스테르균은 배란을 억제하고 자궁경부 점액을 두껍게 하여 피임 효과를 중재하여 수정을 방지한다.[4][5] 그들은 자궁내막과 같은 특정 조직에서 기능적인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갱년기 호르몬 치료에서 그들의 사용을 뒷받침한다.[1]
프로게스테론은 1934년에 의학용으로 처음 도입되었고, 1939년에 최초의 프로게스틴인 에티스테론이 의학용으로 도입되었다.[6][7][8] 노레스티스테론과 같은 보다 강력한 프로게스틴이 개발되어 1950년대부터 산아제한에 이용되기 시작했다.[6] 약 60개의 프로게스틴이 인간에게 임상적으로 사용되거나 수의학에서 사용하기 위해 판매되었다.[9][10][11][12][13] 이러한 프로게스틴은 다른 계층과 세대로 분류될 수 있다.[1][14][15] 프로게스테르균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모든 형태의 호르몬 분만 조절과 대부분의 갱년기 호르몬 요법에서 사용된다.[1][9][10][12][11]
의학적 용법
사용 가능한 양식
일반명 | 클래스[a] | 브랜드명 | 경로[b] | Intr. | |
---|---|---|---|---|---|
아세토메프레게놀 | P[i][ii] | 디아몰 | PO | 1981 | |
알제스톤 아세토페니드 | P[i][iii] | 들라드록사이트[c] | IM | 1964 | |
앨리스트레놀 | T[iv][v] | 게스타닌[c] | PO | 1961 | |
알트레노게스트[d] | T[iv][v] | 섭정[c] | PO | 1980년대 | |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 P[i][ii] | 벨라라[c] | PO | 1965 | |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 P[i][ii] | 안드로쿠르[c] | PO, IM | 1973 | |
다나졸 | T[v] | 다노크린 | PO | 1971 | |
아세테이트 델마디노네[d] | P[i][ii] | 타닥 | PO | 1972 | |
데소게스트렐 | T[iv][vi] | 세라제트[c] | PO | 1981 | |
다이노게스트 | T[iv][v] | 나타지아[c] | PO | 1995 | |
드로스피레논 | S[vii] | 안젤리크[c] | PO | 2000 | |
디드로게스테론 | RP | 뒤파스턴 | PO | 1961 | |
에토노게스트렐 | T[iv][vi] | 임파논(SC), 누바링(V) | SC, V | 1998 | |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 T[iv][v][ii] | 데물렌[c] | PO | 1965 | |
연석 아세테이트[d] | P[i][ii] | 크로노게스트 | PO | 1960년대 | |
게스토데네 | T[iv][vi] | 페모딘[c] | PO | 1987 | |
게스토노론 카프로이트 | P[i][viii][ii] | 디포스타트[c] | IM | 1968 | |
게스트리노네 | T[iv][vi] | 디메트리오스[c] | PO | 1986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이트 | P[i][ii] | 마케나[c] | IM | 1954 | |
레보노르제스트렐 | T[iv][vi] | 플랜[c] B | PO, TD, IUD, SC | 1970 | |
리네스트레놀 | T[iv][v] | 엑슬루턴[c] | PO | 1961 | |
메드로게스톤 | P[ix] | 콜플레퍼시 | PO | 1966 |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P[i][ii] | 프로베라[c] | PO, IM, SC | 1958 | |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P[i][ii] | 메가스 | PO, IM | 1963 | |
멜렌게스트롤 아세테이트[d] | P[i][ii] | 하이퍼맥스[c] | IM | 1960년대 | |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 P[viii][ii] | 루테닐[c] | PO | 1986 | |
노렐게스트로민 | T[iv][vi] | 에브라[c] | TD 패치 | 2002 | |
노리스테론 | T[iv][v] | 아이게스틴[c] | PO | 1957 |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 T[iv][v][ii] | 프리몰루트노르 | PO, TD 패치 | 1964 | |
노리스테론 에난산염 | T[iv][v][ii] | 노리스테라트[c] | IM | 1957 | |
노르게스테이트 | T[iv][vi][ii] | 오르토사이클로넨[c] | PO | 1986 | |
노르게스토메트[d] | P[viii][ii] | 싱크로-메이트 B | PO | 1970년대 | |
노게스트렐 | T[iv][vi] | 난형 | PO | 1966 | |
노르메탄드론 | T[iv][v] | 메탈루틴 | PO | 1957 | |
아세테이트 오사테론[d] | P[i][ii] | 이포잔 | PO | 2007 | |
옥센돌론 | T[iv][v] | 프로스테틴[c] | IM | 1981 | |
프로게스테론 | BI | 프로메트리움[c] | PO, V, IM | 1934 | |
프롤리그스톤[d] | P[i][iii] | 코르비난[c] | PO | 1975 | |
프로메게스톤 | P[viii] | 서게스톤 | PO | 1983 | |
세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P[i][ii] | 엘코메트린[c] | SC, V | 2000 | |
티볼론 | T[iv][v] | 리비알[c] | PO | 1988 | |
트리메스테스톤 | P[viii] | 러블레[c] | PO | 2001 | |
프로게스테르균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투여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경구용 알약과 캡슐, 오일 및 수용액과 분자 내 또는 피하주사를 위한 중단 및 기타 여러 가지(예: 경피 패치, 질 링, 자궁 내 장치, 피하 삽입물)가 포함된다.
수십 가지의 다양한 프로게스테르균이 임상 및/또는 수의용으로 판매되었다.
산아 제한
프로게스테르균은 복합 경구 피임약, 복합 피임약, 복합 피임약, 복합 피임용 질고리, 복합 주입식 피임약과 같은 복합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만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여성 호르몬 분만 조절에 사용된다.ptive 알약("mini-time"), 프로게스테겐 전용 응급피임약("day-authorine"), 프로게스테겐 전용 피임약 임플란트, 프로게스테겐 전용 자궁내 장치, 프로게스테겐 전용 피임용 질 링, 프로게스테겐 전용 주사용 피임약.[16][17][18][19]
프로게스테르균은 항항정신성 효과를 통한 배란 방지, 자궁경부 점액의 두꺼움, 자궁경부를 정자에 거의 관통할 수 없게 만드는 것, 자궁경부 액체의 변화에 따른 정자의 정전 방지, 난자에 정자를 침투시킬 수 없게 하는 것, 그리고 위축시키는 것 등 여러 메커니즘에 의해 피임 효과를 매개한다.자궁내막의 IC 변화로 자궁내막이 임플란트에 적합하지 않다.[20][21][22][23] 그들은 또한 관의 운동성과 담도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23]
호르몬 치료
갱년기 및 저포고나드증
프로게스테르균은 여성의 갱년기 호르몬 치료에서 에스트로겐과 함께 사용된다. 그들은 또한 저포고나디즘과 소녀와 여성의 지연된 사춘기를 위한 호르몬 치료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그것들은 주로 자궁내막 과대증상과 에스트로겐 치료로 인한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
프로게스테르균은 트랜스젠더 여성과 트랜스젠더 남성의 호르몬 치료 성분으로 사용된다. 그들은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고 차단하기 위해 에스트로겐과 함께 트랜스젠더 여성들에게 사용된다. 프로게스테르균은 트랜스젠더 여성들에게 다른 이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현재 이러한 것들은 논란이 되고 있고 지원되지 않는다. 트랜스젠더 여성의 호르몬 치료에 사용되는 프로게스테론의 예로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아세테이트, 프로게스테론 등이 있다.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린에스트레놀과 같은 프로게스테르겐은 트랜스젠더 남성에게 사용되어 메스꺼움 억제를 돕는다. 프로게스테르균은 또한 트랜스젠더 소년 소녀들의 사춘기를 지연시키는데 사용되었다.
기타 용도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를 포함한 특정 프로게스테르겐이 전립선암 치료와 같은 안드로겐 결핍 치료를 받는 남성들에게서 뜨거운 섬광을 줄이기 위해 많은 용량에 사용되어 왔다.[24][25][26]
산부인과 장애
월경 장애
프로게스테르균은 2차 아메노레아, 기능장애 자궁 출혈과 같은 생리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17][18] 정상적인 생리 주기에서 프로게스테론의 감소는 월경을 유발한다. 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 같은 프로게스테르균을 사용하여 프로게스테론 관련 돌파 출혈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27]
아메노레아를 진단하기 위해 프로게스테겐 챌린지 테스트 또는 프로게스테겐 철퇴 테스트를 사용한다. 에스트로겐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어세이들의 이용가능성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자궁 장애
프로게스테르균은 자궁내막과다증, 자궁내막증, 자궁섬유종, 자궁하이포플라시아와 같은 자궁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된다.
유방 장애
프로게스테르균은 양성 유방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28][29] 그것들은 유방 통증의 감소뿐만 아니라 유방 세포 증식의 감소, 유방암의 크기 감소, 그리고 유방 결절의 소멸과 관련이 있다.[28][29][30]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프로게스테론에는 국소적 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프로메제스테론, 린스테르놀,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디에노게스트, 메드로게스톤 등이 있다.[28][29][31][30]
프로게스테르균은 유방 히포플라시아와 젖 부족의 치료에 사용된다. 젖과 모유 수유에 필요한 젖가슴의 전두엽 발달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확대 전립선
프로게스테르균은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을 치료하기 위해 많은 용량에 사용되어 왔다. 그들은 고나달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억제하고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안드로겐은 전립선의 성장을 자극한다.
호르몬에 민감한 암
자궁내막암
프로게스테르균은 1959년 자궁내막과다증, 자궁내막암 치료에서 높은 용량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처음 밝혀졌다.[32][33][34] 이어서 고선량 게스토노론 카프로아테론,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아테론,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메게스트롤아세테이트 등이 자궁내막암 치료 승인을 받았다.[35][36][37]
유방암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와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 같은 프로게스테르균은 고도 폐경 후 유방암 치료에 많은 용량에 효과적이다.[38][39] 그들은 이 적응증에 대한 2선 치료법으로 광범위하게 평가되어 왔다.[38] 그러나 호흡곤란, 체중증가, 질 출혈, 메스꺼움, 유체 보유, 고혈압, 혈전증, 혈전증 합병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킨다.[38][39] 또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가 유방암 치료에서 아로마타아제 억제제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프로게스테르균은 질병의 순차 치료에서 아래로 이동하였다.[38]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승인한 유일한 유방암 프로게스테겐이다.[38] 유방암 치료에서 프로게스테르균의 작용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기능 항에스트로겐 및/또는 항원항산화 효과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38]
전립선암
특히 항안드로겐 특성을 가진 특정 프로게스테르균은 전립선암 치료에 많은 용량에 사용되어 왔다.[40][41] 여기에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된다.[40][41]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이트, 게스토노론 카프로이트 등 다른 프로게스테르균도 연구됐지만 효과가 미비하다. 그들은 고나달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억제하고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테스토스테론과 같은 안드로겐은 전립선 종양의 성장을 자극한다.
출산과 임신
프로게스테르균은 여성용 불임약에 쓰인다. 예를 들어, 프로게스테론(또는 때때로 디드로게스테론 또는 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카프로이트)은 체내 수정 프로토콜에서 루테랄 지지에 사용된다.[42]
프로게스테론,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테론, 디드로게스테론, 앨리estrenol을 포함한 특정 프로게스테론이 임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것들은 의심의 여지 없이 최소 한 번의 자발적 임신 전 출산 이력이 있는 임산부의 재발 임신 상실 치료와 임신 전 출산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42]
사춘기 억제
프로게스테르균은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모두의 조숙한 사춘기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들은 또한 트랜스젠더 청소년들의 사춘기를 늦추는 데 사용되어 왔다.
성적 일탈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와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아세테이트와 같은 특정 프로게스테르균은 남성, 특히 성범죄자의 성적 일탈을 치료하기 위한 화학적 거세의 한 형태로 사용된다. 그들은 특히 성욕과 과잉 성욕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그들은 고나달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억제하고 따라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순환시킴으로써 일을 한다. 이것은 성욕을 감소시키고 발기 기능 및 오르가즘에 도달하는 능력에 대한 간섭을 초래한다.
피부 및 모발 상태
프로게스테르균은 여성의 안드로겐 의존적인 피부와 모발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지성피부, 여드름, 지루증, 히르수티즘, 두피 탈모, 잠복염 등이 이에 속한다.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억제하고, 항안드로겐 프로게스균의 경우 안드로겐의 작용을 직접 차단해 작용한다.
안드로겐과잉여
프로게스테르균은 여성에게서 다낭성 난소증후군, 선천성 부신성 과대증 등으로 인한 과난독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와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가 있다.
식욕 자극
어떤 프로게스틴은 캐시샤, 거식증, 그리고 낭비성 신드롬과 같은 조건에서 식욕을 증가시키기 위해 매우 높은 용량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것들은 덱사메타손과 같은 특정한 다른 스테로이드 약물과 함께 사용된다. 그들의 효과는 분명해지는데 몇 주가 걸리지만,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효과와 비교하면 비교적 오래 간다. 게다가, 그것들은 마른 체중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약으로 인정받고 있다.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가 이 등급의 캐시샤 관리를 위한 납약으로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아세테이트도 사용된다.[43][44] 이 두 가지 약물의 식욕 관련 효과의 작용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들의 가장 발육적인 활동과는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와 같은 매우 많은 양의 다른 프로게스테르균은 식욕과 몸무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프로게스테르균의 방제에는 유방암과 다른 것들 중에서도 정맥 혈전증 이력이 포함될 수 있다.[45][citation needed]
부작용
프로게스테르균은 일반적인 복용량에서 부작용이 비교적 적다.[46] 프로게스테르균의 부작용으로는 피로감, 이상증, 우울증, 기분변화, 월경불규칙, 부종, 질건조증, 질 위축, 두통, 메스꺼움, 유방연기감소, 성욕감퇴 등이 있을 수 있다.[1][2][46] 안드로겐 활동을 하는 프로게스틴, 즉 19-노르테스토스테론 유도체는 여드름, 히르수티즘, 지루성, 음성 심화, 간 단백질 생성의 변화(예: HDL 콜레스테롤 감소,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 식욕 증가, 체중 증가 등을 유발할 수 있다.[1][46] 프로게스테르균의 다른 부작용으로는 유방암, 심혈관 질환, 혈액 응고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2] 프로게스테르균의 부작용 중 일부는 프로게스테르제 유발 활동이 아니라 표적 밖의 활동(예: 안드로겐 활동, 글루코르티코이드 활동, 항이민코르티코이드 활동) 때문이다.[1][47] 높은 복용량에서, 항원성 효과 때문에, 프로게스테르겐은 낮은 성 호르몬 수치와 감소된 2차 성기능 장애, 성기능 장애(예: 성욕과 발기부전 감소), 가역불임, 골밀도 감소, 골절 위험 증가와 같은 관련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남녀노소 할 [3]것 없이
임상 결과 | 귀무 가설 위험에 영향을 미치다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CEs0.625 mg/day p.o. + 2.5 mg/day p.o.) (n = 16,608, 자궁 포함, 5.2–5.6년 후속) | 에스트로겐만 (CEs0.625 mg/일 p.o.) (n = 10,739, 자궁 없음, 6.8–7.1년 후) | ||||
---|---|---|---|---|---|---|---|
HR | 95% CI | AR | HR | 95% CI | AR | ||
관상동맥 심장병 | 감소됨 | 1.24 | 1.00–1.54 | +6 / 10,000 PY | 0.95 | 0.79–1.15 | −3 / 10,000 PYs |
스트로크 | 감소됨 | 1.31 | 1.02–1.68 | +8 / 10,000 PY | 1.37 | 1.09–1.73 | +12 / 10,000 PY |
폐색전증 | 증가된 | 2.13 | 1.45–3.11 | +10 / 10,000 PY | 1.37 | 0.90–2.07 | +4 / 10,000 PY |
정맥 혈전증 | 증가된 | 2.06 | 1.57–2.70 | +18 / 10,000 PY | 1.32 | 0.99–1.75 | +8 / 10,000 PY |
유방암 | 증가된 | 1.24 | 1.02–1.50 | +8 / 10,000 PY | 0.80 | 0.62–1.04 | -6 / 1만 PY |
대장암 | 감소됨 | 0.56 | 0.38–0.81 | -7 / 1만 PY | 1.08 | 0.75–1.55 | +1 / 10,000 PY |
자궁내막암 | – | 0.81 | 0.48–1.36 | -1 / 10,000 PY | – | – | – |
고관절 골절 | 감소됨 | 0.67 | 0.47–0.96 | -5 / 1만 PY | 0.65 | 0.45–0.94 | -7 / 1만 PY |
전체 골절 | 감소됨 | 0.76 | 0.69–0.83 | -47 / 1만 PY | 0.71 | 0.64–0.80 | -53 / 1만 PY |
총사망률 | 감소됨 | 0.98 | 0.82–1.18 | -1 / 10,000 PY | 1.04 | 0.91–1.12 | +3 / 10,000 PY |
글로벌지수 | – | 1.15 | 1.03–1.28 | +19 / 10,000 PY | 1.01 | 1.09–1.12 | +2 / 10,000 PY |
당뇨병 | – | 0.79 | 0.67–0.93 | 0.88 | 0.77–1.01 | ||
담낭병 | 증가된 | 1.59 | 1.28–1.97 | 1.67 | 1.35–2.06 | ||
스트레스실금 | – | 1.87 | 1.61–2.18 | 2.15 | 1.77–2.82 | ||
요실금 강요 | – | 1.15 | 0.99–1.34 | 1.32 | 1.10–1.58 | ||
말초동맥질환 | – | 0.89 | 0.63–1.25 | 1.32 | 0.99–1.77 | ||
발생성 치매 | 감소됨 | 2.05 | 1.21–3.48 | 1.49 | 0.83–2.66 | ||
약어: CEs = 결합 에스트로겐. MPA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p.o. = 구강당. HR = 위험비. AR = 귀책 위험. PYs = 사람-년. CI = 신뢰 구간. 참고: 표본 크기(n)에는 환자의 약 절반인 위약 수신자가 포함된다. '지구적 지수'는 각 여성에 대해 관상동맥 심장병, 뇌졸중, 폐색전증, 유방암, 대장암, 자궁내막암(에스트로겐+프로제스겐군만 해당), 고관절 골절, 기타 원인에 의한 사망 등에 대한 가장 이른 진단 시간으로 정의된다.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기분 전환
산아 제한
호르몬 분비를 하는 프로게스테르균에 의한 기분변화와 우울증의 위험에 대한 이용 가능한 증거는 제한적이다.[48][49] 2019년 현재 일반 인구에서 프로게스테겐 전용 산아제한과 복합 산아제한 등 호르몬 산아제한 기분에 대한 부작용에 대한 일관된 증거가 없다.[50][51] 복합 산아제한을 받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기분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로운 영향을 받지 않는다.[48][51][49] 기분에 대한 부작용은 드물게 나타나며, 여성들 중 극히 일부에서만 발생한다.[48][51][49] 여성의 약 5~10%가 복합피임약으로 부정적인 기분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여성의 약 5%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피임약을 중단한다.[52][48] 약 4,0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아세테이트를 함유한 프로게스테겐 전용 산아제한이 1.5%의 우울증 발생과 0.[51][53][54]5%의 우울증으로 인한 중단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통 감소, 출혈 등 호르몬 산아제한의 이로운 효과가 기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48]
2018년 무작위 통제 재판 5회, 관찰 연구 21회 등 26개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 전체 증거가 프로게스테겐 전용 산아 제한과 우울증 사이에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51] 평가된 프로게스틴에는 아세테이트 디포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레보노게스트렐 함유 피임용 임플란트 및 자궁내 장치, 프로게스테겐 전용 피임약이 포함되었다.[51] 큰 관찰 연구의 발견은 현저한 교란 요인에 의해 혼합되지만 전반적으로 호르몬 산아제한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은 없다.[50][51] 무작위화된 통제 실험은 일반적으로 호르몬 산아제한이 기분에 미치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발견하지 못한다.[50][51] 1980년 이전 리뷰에서는 복합 피임약과 함께 기분 나쁜 영향이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48] 그러나 1980년 이전의 피임약에 포함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균의 복용량은 오늘날 사용되는 것보다 상당히 높았고, 이러한 복용량은 기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쾌한 부작용을 자주 일으켰다.[48][55]
피임약을 복용한 기분은 삼발성, 주기성 조제보다 단발성, 연속성 조제법이 더 나을 수 있다.[48][52] 제한적이고 일관성이 없는 증거는 피임약 대 피임 질 링 및 피임용 패치와 같은 서로 다른 양의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 또는 다른 투여 경로를 사용한 호르몬 산아제한과의 기분 차이를 뒷받침한다.[48][52] 데소게스트렐, 게슈타인, 드로스피레논과 같은 안드로겐성 또는 항안드로겐성 프로게스틴을 덜 가진 결합 피임법은 레보노게스트렐과 같은 안드로겐성 프로게스틴을 더 많이 가진 피임보다 기분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48][52] 다만 호르몬 분비를 통한 안드로겐 보충제 역시 기분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48]
배란을 억제하는 호르몬 분비가 월경 전 난독증(PMDD) 치료에 효과적이다.[50][56] 드로스피레논이 함유된 복합 피임약은 PMDD 치료용으로 승인되며 드로스피레논의 안티미노코르티코이드 활성으로 인해 특히 유익할 수 있다.[50][57][58] 기존 기분장애나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가진 여성의 호르몬 분비가 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이고 혼합되어 있다.[50][48] 정서장애가 기저에 있는 여성들은 호르몬 분비를 통해 기분 변화를 더 많이 경험할 수 있다.[48][50][59] 2016년 체계적 검토 결과 복합 피임약, 디포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레보노르제스트렐 함유 자궁내 장치 등 호르몬 분비가 우울증이나 양극성 질환을 가진 여성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에 비해 더 나쁜 결과와 관련이 없다는 6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한적으로 입증됐다.[60] 2008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프로게스테론만 주입 가능한 산아제한의 한 형태로 노르에스티스테론 에난산염을 투여한 여성에게 산후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고, 산후기 프로게스테론만 산아제한 사용에 대한 주의를 권고했다.[61]
연구는 호르몬 산아 제한에 대한 감정 인식과 반응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편견을 제시한다.[59] 일부 데이터는 일부 여성의 호르몬 산아제한으로 인한 스트레스 반응의 무감각한 보상 반응과 잠재적인 과소 조절을 제안한다.[59][50]
호르몬 치료
에스트로겐 요법은 우울증과 폐경 여성들에게 기분 전환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62][63][64] 반대로 갱년기 여성의 우울증 증상에 대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드물고 결론도 나지 않는다.[62][63] 일부 연구자들은 프로게스균이 기분에 악영향을 미치고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감소시킨다고 주장하는 반면,[65][66][2] 다른 연구자들은 프로게스균이 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67][68] 프로게스테론은 뇌의 효과 면에서 프로게스틴과 다르며, 그에 비해 기분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69][1] 이용 가능한 증거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갱년기 호르몬 요법에 사용될 때 프로게스테론이 기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시사한다.[70]
성기능
대부분의 여성에서, 성욕은 변화하지 않거나 결합 피임약으로 증가한다.[71] 이는 성호르몬 구속 글로불린(SHBG) 수치가 증가하고 총 및 자유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다.[71][72] 그러나 연구결과는 상충되고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73]
피가 응고되다.
정맥혈전증(VTE)은 심부정맥혈전증(DVT)과 폐색전증(PE)으로 구성되며,[74] DVT는 다리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깊은 정맥의 혈전인 반면, PE는 응혈이 자유로워져서 폐의 동맥이 막힐 때 발생한다.[74] VTE는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이다.[74]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르겐은 응고 인자의 합성을 변조하여 응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1][75][76][77] 그 결과, 특히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매우 높은 임신 기간에는 산후 기간뿐만 아니라 VTE의 위험을 증가시킨다.[75][76][78] 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테론의 생리학적 수준은 VTE의 위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늦은 폐경기 (1955년)가 조기 폐경기 (1945년)보다 더 큰 위험과 관련되어 있다.[79][80]
프로게스테겐일원요법
예를 들어 프로게스테겐 전용 산아제한과 같은 일반적인 임상 용량에서 스스로 사용하는 프로게스테르균은 응고에[81][82][83][84][75][77]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정맥 혈전증(VTE)의 높은 위험과 관련이 없다.[85][86][87][88] 프로게스테르겐 전용 주입 피임약으로서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가 예외로, 다른 프로게스테르겐 및 비사용에 비해 VTE의 위험이 2-4배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89][90][91][92][93][94][88] 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관찰 결과는 VTE의 위험에 처한 여성들에게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아세테이트를 우선 처방하는 통계적 인공물일 수 있다.[90] 또는 부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으로 인해 VTE 위험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가 프로게스테르균 중 예외일 수 있다.[88][92][81][94][1][6][81] 디포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는 대조적으로 VTE 위험의 증가는 제한된 데이터에 근거하지만 관련 프로게스틴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18~20일/주기 동안 10mg/day)의 적당히 높은 선량으로 관찰되지 않았다.[94][95]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를 포함한 매우 고선량 프로게스테론 치료는 응고 활성화 및 용량 의존적인 VTE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82][87][96][97][98][99] 특히 고선량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를 사용한 연구에서 VTE 위험의 증가는 3배에서 5배까지 다양했다.[96][98][99] 매우 고선량 프로게스테겐요법을 이용한 연구에서 VTE의 발생률은 2~8%[82][100][101]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관련 환자 인구, 즉 암에 걸린 고령자는 이미 VTE에 걸리기 쉬우며, 이는 위험을 크게 증폭시킨다.[82][87][102]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겐 치료
프로게스테겐 전용 산아제한과는 대조적으로, 복합 피임약과 갱년기 호르몬 요법을 포함한 구강 에스트로겐 요법에 프로게스틴을 첨가하는 것은 구강 에스트로겐 요법만으로는 VTE의 위험이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103][104][105][106][107] 갱년기 호르몬 치료에서 이러한 요법으로 VTE의 위험은 약 2배 이하, 그리고 비사용에 비해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이 함유된 복합 피임약으로 약 2-4배 증가한다.[103][76][106][107] 경구 에스트로겐 치료와 달리 경피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파렌탈 에스트라디올은 VTE의 높은 위험과 관련이 없다.[103][92][106] 이는 간에서 퍼스트패스 효과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1][89] 일부 연구에서는 위험 증가가 없고 다른 연구에서는 더 높은 위험을 발견하는 등 경피 에스트라디올에 프로게스틴을 첨가하는 것이 VTE의 더 큰 위험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혼합되어 있다.[103][92][106] 경피 에스트라디올의 경우와 달리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 함유 피임용 질고리와 피임용 패치가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과 결합된 피임약에 비해 VTE 위험은 낮지 않다.[76][108][81] 이는 에틸비닐라디오올이 간 대사에 대한 저항 때문이라고 생각된다.[1][109][89][81]
결합된 산아제한에서 프로게스틴의 유형은 VTE의 위험을 조절할 수 있다.[104][105][94] 연구에 따르면 복합 피임 약 desogestrel,gestodene,norgestimate, drospirenone, 시프로 테론 아세테이트. 같은 newer-generation 황체 호르몬이 들어 있는 VTE의 피임 약보다 1.5-에 3-fold 높은 리스크 levonorgestrel과 norethisterone 같은 1세대 황체 호르몬이 함유된 것과 관련된 발견했다.[104][105][107][94][110][111] 단, 이것이 소급 코호트 및 내포된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명백했지만, 사전 코호트 및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VTE의 더 큰 위험이 관찰되지 않았다.[104][105][112][113][107] 이러한 종류의 관찰 연구는 앞서 언급한 유형의 연구보다 확실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새로운 사용자 편향과 같은 교란 요인에 대한 제어 능력 향상이다.[113][81] 이와 같이 신세대 피임약을 복용한 VTE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이 진짜 발견인지 통계적 인공물인지는 불분명하다.[113] 안드로겐 프로게스틴은 에스트로겐이 응고에 미치는 영향을 어느 정도 반감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83][84][75][114][81] 1세대 프로게스틴은 안드로겐성인 반면, 신세대 프로게스틴은 안드로겐성 또는 항안드로겐성인 반면, 이는 VTE의 관찰된 위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104][115][75][114] 에스트로겐의 종류는 VTE 위험에도 영향을 미친다.[109][116][117] 에스트라디올 발리테이트를 함유한 피임약은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을 함유한 피임약에 대한 VTE 위험의 약 절반과 관련이 있다.[116][117]
복합 갱년기 호르몬 치료에서 프로게스테겐의 유형도 VTE 위험을 조절할 수 있다.[118][119] 구강 에스트로겐과 디드로게스테론은 다른 프로게스틴을 포함하는 것에 비해 VTE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120][121][106] nomegestrol acetate와 promeestone과 같은 노르프레그나 파생상품은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acetate와 dydrogesterone과 같은 임신파생상품과 norethisterone, levonorgestrel과 같은 노르테스토스테론 파생상품보다 VTE의 위험성이 훨씬 더 높다.[118][119] 그러나 이러한 발견은 통계적 유물에 불과할 수도 있다.[119] 프로게스틴과는 대조적으로 구강 또는 경피 에스트로겐 치료제에 구강 프로게스테론을 첨가하는 것은 VTE의 높은 위험과 관련이 없다.[92][122] 그러나, 구강 프로게스테론은 매우 낮은 프로게스테론 레벨을 달성하고 상대적으로 프로게스테론 유발 효과가 약하며, 이는 VTE 위험의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122] 질 또는 주입 가능한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프로게스테론은 프로게스테론의 루테랄 위상 수준과 관련된 프로게스테론 관련 프로게스테론으로서 VTE 위험 측면에서 특징지어지지 않았다.[122]
2012년 메타분석 결과 VTE의 절대위험도는 비사용 여성 1만명당 2명, 에틸비닐라디올과 레보노르제스텔 함유 피임약은 여성 1만명당 8명, 에틸비닐라디올과 신세대 프로게스틴이 함유된 피임약은 여성 1만명당 10~15명으로 추정됐다.[76] 비교를 위해, VTE의 절대 위험은 일반적으로 비사용의 경우 1만 년당 1~5년, 임신 1만 년당 5~20년, 산후 기간의 경우 1만 년당 40~65년으로 추정된다.[76] 특히 첫 해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요법을 사용한 VTE의 위험은 치료 시작 시 가장 높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89][123] 노년기, 몸무게 증가, 신체 활동 감소, 그리고 흡연은 모두 구강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요법으로 VTE의 높은 위험과 관련이 있다.[89][122][123][124] 혈우병 환자들은 혈우병이 없는 여성들보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요법으로 VTE에 걸릴 확률이 현저히 높다.[76][108] 상태에 따라, 이러한 여성에게서 VTE의 위험은 비사용에 비해 5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76][108]
에스트로겐은 간에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의 생성을 유도한다.[1][81] 이와 같이 SHBG 수준은 간 에스트로겐 피폭을 나타내며, 에스트로겐 요법으로 응고 및 VTE 위험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대리 마커일 수 있다.[125][126][127] 프로게스틴이 다른 복합 피임약은 레보노게스트렐이 1.5배~2배, 데소게스트렐과 게스토덴이 2.5배~4배, 드로스피레논과 디에노게스트가 3.5배~4배,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가 4~5배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125] 안드로겐 프로게스틴은 에틸비닐에스테스트라디올이 간상 SHBG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반대하기 때문에 프로게스틴에 따라 SHBG 수준이 다르다.[1][81] 피임용 질고리와 피임용 패치 역시 SHBG 수치가 각각 2.5배, 3.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5][81] 에틸비닐에스테라디올(>50μg)을 고선량 함유한 피임약은 SHBG 수치를 5~10배까지 높일 수 있어 임신 중 발생하는 증가와 비슷하다.[128] 반대로 SHBG 수준의 증가는 에스트라디올과 함께 훨씬 더 낮으며, 특히 파렌탈로 사용될 때는 더욱 그러하다.[129][130][131][132][133] 에스트라디올 함유 복합 피임약인 에스트라디올 발리탈/다이노게스트, 에스트라디올/네스트롤 아세테이트, 고선량 파렌탈 폴리페스트라디올 인산염 치료제 모두 모두 SHBG 수치가 약 1.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1][134][132][131]
트랜스젠더 여성의 고선량 에틸비닐에스테라디올과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호르몬 치료는 비사용에 비해 VTE의 20배에서 45배 높은 위험성과 관련이 있다.[102][123] 절대 발생률은 6% [102][123]정도였습니다. 반대로 트랜스젠더 여성의 VTE 위험은 경구 또는 경구 에스트라디올과 고선량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를 더하면 훨씬 낮다.[102][123]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은 VTE 위험에 주로 책임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도 기여했을 수 있다.[102]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은 트랜스젠더 호르몬 치료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135][136][137]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의 복용량이 줄어들었다.[138][139]
유형 | 경로 | 약물 | 승산비(95%) |
---|---|---|---|
갱년기 호르몬 치료 | 구강 | 에스트라디올만 ≤1 mg/일 >1mg/일 | 1.27 (1.16–1.39)* 1.22 (1.09–1.37)* 1.35 (1.18–1.55)* |
결합 에스트로겐만 ≤0.625 mg/일 >0.625 mg/일 | 1.49 (1.39–1.60)* 1.40 (1.28–1.53)* 1.71 (1.51–1.93)* | ||
에스트라디올/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1.44 (1.09–1.89)* | ||
에스트라디올/디드로게스테론 ≤1 mg/일 >1mg/일 | 1.18 (0.98–1.42) 1.12 (0.90–1.40) 1.34 (0.94–1.90) | ||
에스트라디올/노레티스테론 ≤1 mg/일 >1mg/일 | 1.68 (1.57–1.80)* 1.38 (1.23–1.56)* 1.84 (1.69–2.00)* | ||
에스트라디올/노르제스트렐 또는 에스트라디올/드로스피레논 | 1.42 (1.00–2.03) | ||
혼합 에스트로겐/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2.10 (1.92–2.31)* | ||
결합 에스트로겐/노르제스트렐 ≤0.625 mg/일 >0.625 mg/일 | 1.73 (1.57–1.91)* 1.53 (1.36–1.72)* 2.38 (1.99–2.85)* | ||
티볼론만 | 1.02 (0.90–1.15) | ||
랄록시펜만 | 1.49 (1.24–1.79)* | ||
경피 | 에스트라디올만 ≤50μg/일 >50μg/일 | 0.96 (0.88–1.04) 0.94 (0.85–1.03) 1.05 (0.88–1.24) | |
에스트라디올/프로게스테겐 | 0.88 (0.73–1.01) | ||
질내 | 에스트라디올만 | 0.84 (0.73–0.97) | |
결합 에스트로겐만 | 1.04 (0.76–1.43) | ||
복합출생조절 | 구강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노레시스테론 | 2.56 (2.15–3.06)* |
에틸비닐스트라디올/레보노르제스트렐 | 2.38 (2.18–2.59)* |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노르스테이트 | 2.53 (2.17–2.96)* |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데소게스트렐 | 4.28 (3.66–5.01)* |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제스토덴 | 3.64 (3.00–4.43)* |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드로스피레논 | 4.12 (3.43–4.96)* |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 4.27 (3.57–5.11)* | ||
참고: (1) QResearch 및 CPRD(Clinical Practice Research Datalink)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내포된 사례-제어 연구(2015, 2019). (2) 생물학적 식별 프로게스테론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에스트로겐에만 관련된 추가적인 위험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주: * = 통계적으로 유의함(p < 0.01)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심혈관계 건강
프로게스테르균은 여성의 심혈관 질환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8] 여성 건강 이니셔티브(WHI)에서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특히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의 결합으로 관상동맥 심장병의 위험이 에스트로겐 단독보다 더 컸다.[140][141][142] 그러나 프로게스테르균은 활동량이 다양하며 심혈관 위험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118][143][144][145][146][147] 2015년 코크란 리뷰는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 질환 호르몬 치료 치료는 효과가 거의 없고 뇌졸중과 정맥 혈전증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했다.[148]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나 노레시스테론과 같은 안드로겐 프로게스틴은 심혈관 건강의 바이오마커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유익한 효과에 반감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118][149]예: 우호적인 지질 프로파일 변경). 그러나 이런 연구 결과는 엇갈리고 논란이 많다.[149] 심혈관 건강 및 위해성에 대한 프로게스균의 차이를 검토하고 요약했다.[118]
- "불행히도, 심혈관 결과와 관련하여 [호르몬 요법]에 사용된 다른 프로게스테르균을 비교하는 장기 임상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나 잠재적 심혈관 위험의 일부 측면, 즉 지질, 혈관 기능/혈압, 염증, 혈전증, 탄수화물 신진대사에 대한 영향 등이 조사되었다.[...] 프로게스틴은 심혈관 위험 측면에 다른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게스테론과 더 유사한 측면은 a와 연관되어 있다. 동반성 에스트로겐 치료의 유익한 효과에 대한 안드로겐성 프로게스틴보다 낮은 영향 그러나 장기 임상연구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심혈관 위험의 다양한 표지에 대한 단기적 영향을 장기 심혈관 질환으로 추정하기 어렵다.[118]
투여 경로는 또한 프로게스테르균의 심혈관 건강 영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와 유사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150]
유방암
에스트로겐만, 프로게스겐만, 복합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겐 요법은 모두 비사용에 비해 폐경 후 여성의 갱년기 호르몬 요법에 사용될 경우 유방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151][152][153] 이러한 위험은 에스트로겐 단독 또는 프로게스테겐 단독보다 복합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치료에 더 높다.[151][153] 유방암 위험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겐 요법이 유방암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154] 20년 사용 시 유방암 발병률은 에스트로겐만으로 약 1.5배, 비사용에 비해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겐 치료로 약 2.5배 높다.[151]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르겐 치료로 유방암 위험의 증가는 여성 건강 이니셔티브 무작위 통제 실험에서 결합된 에스트로겐과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에 의해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2][155]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복합요법으로 인한 유방암 위험은 사용되는 프로게스테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52][151][118][156]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메드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프로메게스톤, 티볼론 등 프로게스틴은 모두 유방암 발병률이 비슷하게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56][152][151] 일부 연구에서는 구강 프로게스테론과 단기 사용(<5년) 디드로게스테론이 다른 프로게스틴에 비해 유방암 발병 위험이 낮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52][151][118][156]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5년) 구강 프로게스테론과 디드로게스테론이 다른 프로게스테론과 유사하게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151][157] 다른 프로게스테론보다 구강 프로게스테론 유방암의 위험이 낮은 것은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매우 낮고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58][122][6]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겐 치료로 유방암에 걸릴 위험은 치료 기간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 기간 5년 이상이 사용 기간 5년 미만보다 훨씬 큰 위험과 연관된다.[151][152] 또한 지속적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치료는 순환기 사용보다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151][152]
전국적인 관찰 연구에 따르면 에스트로겐과 고선량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를 첨가한 수페미니네 호르몬 요법이 시스젠더 남성의 예상 발병률에 비해 트랜스젠더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이 46배 증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159][160][161][162] 그러나, 유방암의 위험은 여전히 시스젠더 여성에 비해 낮았다.[159][160][161][162] 유방암 위험의 증가가 에스트로겐 대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59][160][161][162]
치료 | <5년> | 5~14년 | 15년 이상 | |||
---|---|---|---|---|---|---|
경우들 | RR (95% CI) | 경우들 | RR (95% CI) | 경우들 | RR (95% CI) | |
에스트로겐만 | 1259 | 1.18 (1.10–1.26) | 4869 | 1.33 (1.28–1.37) | 2183 | 1.58 (1.51–1.67) |
에스트로겐에 의해 | ||||||
결합 에스트로겐 | 481 | 1.22 (1.09–1.35) | 1910 | 1.32 (1.25–1.39) | 1179 | 1.68 (1.57–1.80) |
에스트라디올 | 346 | 1.20 (1.05–1.36) | 1580 | 1.38 (1.30–1.46) | 435 | 1.78 (1.58–1.99) |
에스트로피페이트(황산 에스트론) | 9 | 1.45 (0.67–3.15) | 50 | 1.09 (0.79–1.51) | 28 | 1.53 (1.01–2.33) |
에스트리올 | 15 | 1.21 (0.68–2.14) | 44 | 1.24 (0.89–1.73) | 9 | 1.41 (0.67–2.93) |
기타 에스트로겐 | 15 | 0.98 (0.46–2.09) | 21 | 0.98 (0.58–1.66) | 5 | 0.77 (0.27–2.21) |
경로별 | ||||||
구강 에스트로겐 | – | – | 3633 | 1.33 (1.27–1.38) | – | – |
경피 에스트로겐 | – | – | 919 | 1.35 (1.25–1.46) | – | – |
질 에스트로겐 | – | – | 437 | 1.09 (0.97–1.23) | – | –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겐 | 2419 | 1.58 (1.51–1.67) | 8319 | 2.08 (2.02–2.15) | 1424 | 2.51 (2.34–2.68) |
프로게스테겐에 의해 | ||||||
(레보)노르제스트렐 | 343 | 1.70 (1.49–1.94) | 1735 | 2.12 (1.99–2.25) | 219 | 2.69 (2.27–3.18)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 650 | 1.61 (1.46–1.77) | 2642 | 2.20 (2.09–2.32) | 420 | 2.97 (2.60–3.39)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714 | 1.64 (1.50–1.79) | 2012 | 2.07 (1.96–2.19) | 411 | 2.71 (2.39–3.07) |
디드로게스테론 | 65 | 1.21 (0.90–1.61) | 162 | 1.41 (1.17–1.71) | 26 | 2.23 (1.32–3.76) |
프로게스테론 | 11 | 0.91 (0.47–1.78) | 38 | 2.05 (1.38–3.06) | 1 | – |
프로메게스톤 | 12 | 1.68 (0.85–3.31) | 19 | 2.06 (1.19–3.56) | 0 | – |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 8 | 1.60 (0.70–3.64) | 14 | 1.38 (0.75–2.53) | 0 | – |
기타프로제스균 | 12 | 1.70 (0.86–3.38) | 19 | 1.79 (1.05–3.05) | 0 | – |
프로게스테겐 주파수에 의해 | ||||||
연속 | – | – | 3948 | 2.30 (2.21–2.40) | – | – |
간헐적 | – | – | 3467 | 1.93 (1.84–2.01) | – | – |
프로게스테겐만 | 98 | 1.37 (1.08–1.74) | 107 | 1.39 (1.11–1.75) | 30 | 2.10 (1.35–3.27) |
프로게스테겐에 의해 |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28 | 1.68 (1.06–2.66) | 18 | 1.16 (0.68–1.98) | 7 | 3.42 (1.26–9.30)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 13 | 1.58 (0.77–3.24) | 24 | 1.55 (0.88–2.74) | 6 | 3.33 (0.81–13.8) |
디드로게스테론 | 3 | 2.30 (0.49–10.9) | 11 | 3.31 (1.39–7.84) | 0 | – |
기타프로제스균 | 8 | 2.83 (1.04–7.68) | 5 | 1.47 (0.47–4.56) | 1 | – |
잡다한 | ||||||
티볼론 | – | – | 680 | 1.57 (1.43–1.72) | – | – |
참고: CGHFBC(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CGHFBC)의 갱년기 호르몬 치료 및 유방암 위험에 대한 전세계 역학 증거 메타 분석. 갱년기 호르몬 치료의 현재 사용자 대 비사용자에 대한 완전히 조정된 상대적 위험.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공부하다 | 치료 | 위험비(95%) |
---|---|---|
E3N-EPIC: Fournier 등. (2005) | 에스트로겐만 | 1.1 (0.8–1.6)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론 경피 에스트로겐 경구 에스트로겐 | 0.9 (0.7–1.2) 0.9 (0.7–1.2) 이벤트 없음 |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틴 경피 에스트로겐 경구 에스트로겐 | 1.4 (1.2–1.7) 1.4 (1.2–1.7) 1.5 (1.1–1.9) | |
E3N-EPIC: Fournier 등. (2008) | 경구 에스트로겐만 | 1.32 (0.76–2.29) |
경구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겐 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메드로게스톤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프로메게스톤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분석되지a 않음 0.77 (0.36–1.62) 2.74 (1.42–5.29) 2.02 (1.00–4.06) 2.57 (1.81–3.65) 1.62 (0.94–2.82) 1.10 (0.55–2.21) 2.11 (1.56–2.86) 1.48 (1.02–2.16) | |
경피 에스트로겐만 | 1.28 (0.98–1.69) | |
경피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겐 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메드로게스톤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프로메게스톤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1.08 (0.89–1.31) 1.18 (0.95–1.48) 2.03 (1.39–2.97) 1.48 (1.05–2.09) 분석되지a 않음 1.52 (1.19–1.96) 1.60 (1.28–2.01) 분석되지a 않음 분석되지a 않음 | |
E3N-EPIC: Fournier et al. (2014) | 에스트로겐만 | 1.17 (0.99–1.38)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론 또는 디드로게스테론 | 1.22 (1.11–1.35) |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틴 | 1.87 (1.71–2.04) | |
CEILE: Cordina-Doverger 외 (2013) | 에스트로겐만 | 1.19 (0.69–2.04)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겐 프로게스테론 프로게스틴 프로게스테론 파생상품 테스토스테론 유도체 | 1.33 (0.92–1.92) 0.80 (0.44–1.43) 1.72 (1.11–2.65) 1.57 (0.99–2.49) 3.35 (1.07–10.4) | |
각주: = 분석되지 않음, 사례 5건 미만.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공부하다 | 치료 | 위험비(95%) |
---|---|---|
E3N-EPIC: Fournier 등. (2005)a | 경피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론 <2년 2~4년 4년 | 0.9 (0.6–1.4) 0.7 (0.4–1.2) 1.2 (0.7–2.0) |
경피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틴 <2년 2~4년 4년 | 1.6 (1.3–2.0) 1.4 (1.0–1.8) 1.2 (0.8–1.7) | |
경구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틴 <2년 2~4년 4년 | 1.2 (0.9–1.8) 1.6 (1.1–2.3) 1.9 (1.2–3.2) | |
E3N-EPIC: Fournier 등. (2008)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론 <2년 2~4년 4~6년 6년 | 0.71 (0.44–1.14) 0.95 (0.67–1.36) 1.26 (0.87–1.82) 1.22 (0.89–1.67) |
에스트로겐 플러스 디드로게스테론 <2년 2~4년 4~6년 6년 | 0.84 (0.51–1.38) 1.16 (0.79–1.71) 1.28 (0.83–1.99) 1.32 (0.93–1.86) | |
에스트로겐 플러스 기타 프로게스테르균 <2년 2~4년 4~6년 6년 | 1.36 (1.07–1.72) 1.59 (1.30–1.94) 1.79 (1.44–2.23) 1.95 (1.62–2.35) | |
E3N-EPIC: Fournier et al. (2014) |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론 또는 디드로게스테론 <5년> ≥5년 | 1.13 (0.99–1.29) 1.31 (1.15–1.48) |
에스트로겐 플러스 기타 프로게스테르균 <5년> ≥5년 | 1.70 (1.50–1.91) 2.02 (1.81–2.26) | |
각주: = 구강 에스트로겐 플러스 프로게스테론은 이 요법을 사용한 여성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분석되지 않았다.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과다 복용
프로게스테르균은 급성 과다복용에 비교적 안전하다.[citation needed]
상호작용
시토크롬 P450 효소와 5α-저감효소 같은 다른 효소의 억제제 및 유도제는 프로게스테르균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약리학
약리역학
프로게스테르균은 PR-A, PR-B, PR-C를 포함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에 결합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작용한다.[1][163][164] 프로게스테르균의 영향을 받는 주요 조직으로는 자궁, 자궁경부, 질, 유방, 뇌 등이 있다.[1]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PR을 활성화함으로써 프로게스테르균은 고나도트로핀의 분비를 억제하고, 따라서 충분히 많은 용량에서 항원라도트로핀의 기능을 한다.[1] 프로게스테론은 멤브레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지만 프로게스틴과 이들 수용체의 상호작용이 명확하지 않다.[165][166] 프로게스테르겐은 프로게스테르겐 활동 외에도 안드로겐, 항안드로겐, 에스트로겐, 글루코르티코이드, 안티메랄로코르티코이드 활동과 같은 비표적 활동을 많이 가지고 있다.[1][2][47]
프로게스테르균은 여성에게서 배란을 억제하고(항원항우울 효과로) 경추 점액을 두꺼워줌으로써 피임 효과를 중재하여 정자에 의한 난자의 수정 가능성을 방지한다.[4][5] 프로게스테르균은 PR의 활성화를 통해 자궁내막과 같은 다양한 조직에서 기능적인 항에스트로겐 효과가 있으며, 이는 갱년기 호르몬 요법(에스트로겐에 의한 자궁내막 과다증상과 자궁내막암을 예방하기 위한 것)에 그 근거가 된다.[1] 유방 PR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유도되며, 이 때문에 에스트로겐이 없는 상태에서는 프로게스테르균이 유방변화를 중재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167] 프로게스테르균의 표적 밖의 활동은 유익한 효과와 부작용 모두에 기여할 수 있다.[1][2][58]
프로게스테겐 | 클래스 | 목표 외 활동 | 상대 결합 친화도(%) | |||||||||||
---|---|---|---|---|---|---|---|---|---|---|---|---|---|---|
ES | AN | AA | GC | AM | PR | AR | ER | GR | MR | SHBG | CBG | |||
앨리스트레놀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1 | 0 | 0 | 0 | ? | 0 | ? | |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 | – | + | + | – | 67 | 5 | 0 | 8 | 0 | 0 | 0 | |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 | – | ++ | + | – | 90 | 6 | 0 | 6 | 8 | 0 | 0 | |
데메게스톤 | 노르프레그나인 | – | – | – | – | – | 115 | 1 | 0 | 5 | 1–2 | ? | ? | |
데소게스트렐a | 고나네 | – | + | – | ± | – | 1 | 0 | 0 | 0 | 0 | 0 | 0 | |
다이노게스트 | 고나네 | – | – | + | – | – | 5 | 10 | 0 | 1 | 0 | 0 | 0 | |
드로스피레논 | 스피롤락톤 | – | – | + | – | + | 35 | 65 | 0 | 6 | 230 | 0 | 0 | |
디드로게스테론a | 임페레인 | – | – | – | – | ± | 75 | 0 | ? | ? | ? | ? | ? | |
에티스테론 | 안드로스테인 | – | + | – | – | – | 18 | 0 | 0 | 0 | 0 | ? | ? | |
에토노게스트렐 | 고나네 | – | + | – | ± | – | 150 | 20 | 0 | 14 | 0 | 15 | 0 | |
에티노디올AB | 에스트레인 | + | + | – | – | – | 1 | 0 | 11–18 | 0 | ? | ? | ? | |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1 | 0 | 0 | 0 | 0 | ? | ? | |
게스토데네 | 고나네 | – | + | – | + | + | 90–432 | 85 | 0 | 27–38 | 97–290 | 40 | 0 | |
게스토노론 카프로이트 | 임페레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이트 | 임페레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레보노르제스트렐 | 고나네 | – | + | – | – | – | 150–162 | 45 | 0 | 1–8 | 17–75 | 50 | 0 | |
리네스트레놀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1 | 1 | 3 | 0 | 0 | ? | ? | |
메드로게스톤 | 임페레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 | ± | – | + | – | 115–149 | 5 | 0 | 29–58 | 3–160 | 0 | 0 | |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 | ± | + | + | – | 65 | 5 | 0 | 30 | 0 | 0 | 0 | |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 노르프레그나인 | – | – | + | – | – | 125 | 42 | 0 | 6 | 0 | 0 | 0 | |
노렐게스트로민 | 고나네 | – | ± | – | – | – | 10 | 0 | ? | ? | ? | 0 | ? | |
노리스테론 | 에스트레인 | + | + | – | – | – | 67–75 | 15 | 0 | 0–1 | 0–3 | 16 | 0 |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20 | 5 | 1 | 0 | 0 | ? | ? | |
노리스테론 에난산염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노레티노드렐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6 | 0 | 2 | 0 | 0 | 0 | 0 | |
노르게스테이트a | 고나네 | – | + | – | – | – | 15 | 0 | 0 | 1 | 0 | 0 | 0 | |
프로게스테론 | 임페레인 | – | – | ± | + | + | 50 | 0 | 0 | 10 | 100 | 0 | 36 | |
프로메게스톤a | 노르프레그나인 | – | – | – | + | – | 100 | 0 | 0 | 5 | 53 | 0 | 0 | |
세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노르프레그나인 | – | – | – | – | – | 136 | 0 | 0 | 38 | ? | 0 | ? | |
티볼론a | 에스트레인 | + | ++ | – | – | – | 6 | 6 | 1 | ? | ? | ? | ||
Δ-티볼론4b | 에스트레인 | – | ++ | – | – | – | 90 | 35 | 1 | 0 | 2 | 1 | 0 | |
트리메스테스톤 | 노르프레그나인 | – | – | ± | – | ± | 294–330 | 1 | 0 | 9–13 | 42–120 | ? | ? | |
각주: = 약물을 복용하십시오. b = 대사물(시장되지 않음). Class: 임페란 = 프로게스테론 파생상품. 노르프레냐인 = 19-Norprogesterone 파생상품. 안드로스테인 = 테스토스테론 유도체. 에스트란 = 19-Nortestosterone 파생상품. 고나네 = 13β-에틸고나네 = 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유도체. 스피롤락톤 = 스피롤락톤 파생상품. 진도: ++ = 높음. + = 중간. ± = 낮음. – = 없음. 활동: ES = 에스트로겐. A = 안드로겐성. AA = 항안드로겐성. GC = 글루코르티코이드. AM = 안티미노코르티코이드. 바인딩: 프로메게스톤 = 100%. AR: 메트리볼론 = 100%. ER: 에스트라디올 = 100% GR: 덱사메타손 = 100% MR: 알도스테론 = 100% SHBG: DHT = 100%. CBG: 코티솔 = 100%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화합물 | 특정 용도에 대한 선량(mg/일)[a] | |||||||
---|---|---|---|---|---|---|---|---|
OID | TFD | MDT | BCPD | ECD | ||||
사이클 | 데일리 | |||||||
앨리스트레놀 | 25 | 150–300 | - | 30 | – | - | ||
브로모케토프로게스테론[b] | - | - | 100–160 | - | – | - | ||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 1.5–4.0 | 20–30 | 3–10 | 1.0–4.0 | 2.0 | 5–10 | ||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 1.0 | 20–30 | 1.0–3.0 | 1.0–4.0 | 2.0 | 1.0 | ||
데소게스트렐 | 0.06 | 0.4–2.5 | 0.15 | 0.25 | 0.15 | 0.15 | ||
다이노게스트 | 1.0 | 6.0–6.3 | - | - | 2.0–3.0 | 2.0 | ||
드로스피레논 | 2.0 | 40–80 | - | - | 3.0 | 2.0 | ||
디드로게스테론 | >30 | 140–200 | 10–20 | 20 | – | 10 | ||
에티스테론 | - | 200–700 | 50–250 | - | – | - | ||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 2.0 | 10–15 | - | 1.0 | 1.0–20 | - | ||
게스토데네 | 0.03 | 2.0–3.0 | - | - | 0.06–0.075 | 0.20 | ||
히드록시프로제스트. 아세테이트의 | - | - | 70–125 | - | 100 | - | ||
히드록시프로제스트. 카프로이트 | - | 700–1400 | 70 | - | – | - | ||
레보노르제스트렐 | 0.05 | 2.5–6.0 | 0.15–0.25 | 0.5 | 0.1–0.15 | 0.075 | ||
리네스트레놀 | 2.0 | 35–150 | 5.0 | 10 | - | - | ||
메드로게스톤 | 10 | 50–100 | 10 | 15 | – | 10 | ||
메드록시프로제스트. 아세테이트의 | 10 | 40–120 | 2.5–10 | 20–30 | 5–10 | 5.0 | ||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5[c] | 30–70 | - | 5–10 | 1.0–5.0 | 5.0 | ||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 1.25–5.0 | 100 | 5.0 | - | 2.5 | 3.75–5.0 | ||
노레산드로론[b] | - | - | 10 | - | – | - | ||
노리스테론 | 0.4–0.5 | 100–150 | 5–10 | 10–15 | 0.5 | 0.7–1.0 |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 0.5 | 30–60 | 2.5–5.0 | 7.5 | 0.6 | 1.0 | ||
노레스티스트. 아세테이트(아세트산) | - | 12–14 | - | - | – | - | ||
노레티노드렐 | 4.0 | 150–200 | - | 14 | 2.5–10 | - | ||
노르게스테이트 | 0.2 | 2.0–10 | - | - | 0.25 | 0.09 | ||
노게스트렐 | 0.1 | 12 | - | 0.5–2.0 | - | - | ||
노르메탄드론 | - | 150 | 10 | - | – | - | ||
프로게스테론(비미크론) | >300[d] | - | - | - | - | - | ||
프로게스테론(미크론화) | - | 4200 | 200–300 | 1000 | – | 200 | ||
프로메게스톤 | 0.5 | 10 | 0.5 | - | – | 0.5 | ||
티볼론 | 2.5 | - | - | - | – | - | ||
트렌게스톤 | - | 50–70 | - | - | – | - | ||
트리메스테스톤 | 0.5 | - | 0.25–0.5 | - | – | 0.0625–0.5 | ||
화합물 | 형태 | 특정 용도에 대한 선량(mg)[c] | DOA[d] | |||
---|---|---|---|---|---|---|
TFD[e] | POICD[f] | CICD[g] | ||||
알제스톤 아세토페니드 | 오일 솔렌. | - | – | 75–150 | 14-32 d | |
게스토노론 카프로이트 | 오일 솔렌. | 25–50 | – | – | 8-13 d | |
히드록시프로제스트. 아세테이트의[h] | Aq. 정지. | 350 | – | – | 9-16 d | |
히드록시프로제스트. 카프로이트 | 오일 솔렌. | 250–500[i] | – | 250–500 | 5–21 d | |
메드록시프로그 아세테이트의 | Aq. 정지. | 50–100 | 150 | 25 | 14-50+d | |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Aq. 정지. | - | – | 25 | >14 d | |
노리스테론 에난산염 | 오일 솔렌. | 100–200 | 200 | 50 | 11-52 d | |
프로게스테론 | 오일 솔렌. | 200[i] | – | – | 2–6 d | |
Aq. soln. | ? | – | – | 1-2d | ||
Aq. 정지. | 50–200 | – | – | 7-14 d | ||
참고 및 출처:
|
안티고나데오틱 효과
프로게스균은 각각의 수용체를 통해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뇌하수체 내 PR의 활성화를 통해 고나도트로핀 엽상 자극 호르몬(FSH)과 루테인화 호르몬(LH)의 분비를 억제한다. 이 효과는 시상하부-피질-곤다축(HPG축)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의 한 형태로, 성호르몬 수치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신체가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활용한다.[216][217][218] 따라서 내생성과 외생성(즉, 프로게스틴) 둘 다 항원성 효과를 가지며,[219] 충분히 많은 양의 프로게스테균은 신체의 정상적인 프로게스테균,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생산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식(남성의 여성 및 정자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218]
프로게스테르균은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순환 수치를 충분히 높은 용량에서 최대 70~80%까지 최대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20][221] 이는 테스토스테론의 생식기 생산을 효과적으로 폐지하고 순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95%까지 [222]억제할 수 있는 GnRH 유사점이 달성한 것보다 현저하게 적다. 그것은 또한 GnRH 유사점과 유사하게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거세된 범위로 억제할 수 있는 고선량 에스트로겐 요법에 의해 달성된 것보다 적다.[223]
레트로프로게스테론 파생상품인 디드로게스테론과 트렌게스테론은 비정형 프로게스테론이며,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모든 프로게스테론과는 달리 매우 높은 용량에서도 항원항동성 효과를 가지거나 배란을 억제하지 않는다.[1][224] 실제로 트렌지스톤은 프로곤아독방성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실제로 배란을 유도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약 50%의 성공률을 보인다.[224] 또한 이러한 프로게스틴은 다른 프로게스균에 비해 열효과의 부족과 같은 다른 비정형적인 성질을 보여준다.[1][224]
안드로겐 활성
일부 프로게스틴은 안드로겐 활성이 있어 피지 생산량 증가(오일 피부), 여드름, 히르수티즘(과다한 얼굴/신체 모발 성장) 등 안드로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간 단백질 생산량 변화도 있다.[225][226][227] 그러나 특정 프로게스틴만이 안드로겐성인데, 이는 테스토스테론 유도체 및 17α-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유도체, 메그스트롤 아세테이트가 그것이다.[228][226][229] 다른 프로게스틴은 그러한 활동을 하지 않는다(반대로 일부 프로게스틴은 항안드로겐 활동을 가지고 있다).[226][229] 더욱이 테스토스테론 유도체 내에서 프로게스틴의 안드로겐 활성도 또한 다양하며, 어떤 것은 안드로겐 활성도가 높거나 중간 정도인 반면, 다른 것들은 그러한 활성도가 낮거나 아예 없다.[21][230]
안드로겐 프로게스틴의 안드로겐 활성도는 1)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한 직접 결합과 활성화, 2)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변위, 그 결과 자유(따라서 생체활성)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증가한다.[231] 많은 안드로겐 프로게스틴의 안드로겐 활성은 에틸비닐에스테스트라디올과 결합하여 상쇄되는데, 이것은 SHBG 수치를 강력하게 증가시키며, 대부분의 경구 피임약은 사실 자유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여드름과 히르수티즘을 치료하거나 개선할 수 있다.[231] 프로게스틴 전용 피임약은 예외로 에스트로겐도 함유하지 않는다.[231]
안드로겐 활동을 하는 테스토스테론-파생성 프로게스틴 및 기타 프로게스틴의 상대 안드로겐 활성도는 대략 다음과 같이 순위를 매길 수 있다.
- 매우 높음: 다나졸, 에티스테론, 게스트리논, 노르메탄드론, 노르비니스테론[232][233][234][235]
- 높음: Levonorgestrel, norgestrel, norgestrienone, tibolone[21][230][232][7][236][237][1]
- 보통: 노레스티스테론 및 그 프로드약(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노레스티스테론 에난테이트,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린에스트레놀, 퀘잉게스탄올 아세테이트)[238][21][230][236][239]
- 낮음: 데소게스트렐, etonogestrel, 게스토덴, norgestimate[236][239][240]
- 매우 낮거나 무시할 수 있음: allistrenol, dimetherone,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egestrol acetate, norelgestromin, noretynodrel, norgesterone[1][241][242][243][244][245][246][247]
- 항안드로겐성: 다이노게스트, 옥센돌론[248][1]
그러나 위에 열거한 안드로겐 프로게스틴의 임상 안드로겐 및 아나볼릭 활성도가 테스토스테론과 난드롤론 에스테르와 같은 기존 안드로겐과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에 비해 여전히 훨씬 낮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여성에게만 그러한 효과와 연관되어 있으며 종종 높은 복용량에서만 관련된다. 남성의 경우 동반성 프로제스트 유발 활동과 확장성에 의한 항원 항산화 효과로 인해 이러한 프로제스틴은 테스토스테론 생산과 수준의 억제를 통해 강력한 기능 항안드로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항안드로겐 활성
일부 프로게스테르겐은 프로게스테르겐 활동 외에 항안드로겐 활동성을 가지고 있다.[249] 이러한 프로게스테르균은 항안드로겐으로서의 효력이 다양한 수준으로 클로마디논 아세테이트,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디에노게스트, 드로스피레논, 메드로게스톤,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누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오세테론 아세테이트(초), 옥센돌론 등을 포함한다.[249][248][250][251] 이들 프로게스테론 중 일부 동물에서 상대적인 항안드로겐 활성도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100%) > 네오메스트롤 아세테이트(30~40%) di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30%) = 드로스피레논(30%)[1][83] 등이었다. 특정 프로게스테르균에서 항안드로겐 활성은 여성의 여드름, 지루성, 히르수티즘, 그리고 다른 안드로겐 의존적 조건의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1][249]
에스트로겐 활성
몇몇 프로게스틴은 에스트로겐 활성도가 약하다.[1] 여기에는 19-노르테스토스테론 유도체 노레스테론, 노레티노드렐, 티볼론뿐만 아니라 노리스테론 프로드레스테론[252] 아세테이트, 노리스테론 에반테산, 린에스트레놀,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된다.[1] 노레스티스테론과 그 프로드러그의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로의 신진대사에 기인한다.[1] 많은 양의 노레티스테론과 노레티노드렐은 여성의 유방 확대와 남성의 회유와 같은 에스트로겐 부작용과 관련이 있지만 폐경 후 여성의 갱년기 증상 완화와도 관련이 있다.[253]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에스트로겐 프로게스틴은 그러한 효과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253]
글루코르티코이드 활성
주로 17α-히드로록시프로게스테론 유도체인 일부 프로게스테르겐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도가 약하다.[254] 이것은 충분히 많은 용량에서 쿠싱 증후군, 스테로이드 당뇨병, 부신 억제 및 불충분한 증상과 같은 부작용과 우울증, 불안감, 자극성, 인지장애와 같은 신경정신과적 증상에서 나타날 수 있다.[254][255][256] Progestogens with the potential for clinically relevant glucocorticoid effects include the 17α-hydroxyprogesterone derivatives chlormadinone acetate, cyproterone acetate,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egestrol acetate, promegestone, and segesterone acetate and the testosterone derivatives desogestrel, etonogestrel, and gestodene.[1][255][257][258] 반대로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아테론은 그런 활동이 없는 반면 프로게스테론 자체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동이 매우 약하다.[259][1]
스테로이드 | 클래스 | TR (↑)a | GR (%)b |
---|---|---|---|
덱사메타손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 | 100 |
에틸비닐레스트라디올 | 에스트로겐 | – | 0 |
에토노게스트렐 | 프로게스틴 | + | 14 |
게스토데네 | 프로게스틴 | + | 27 |
레보노르제스트렐 | 프로게스틴 | – | 1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프로게스틴 | + | 29 |
노리스테론 | 프로게스틴 | – | 0 |
노르게스테이트 | 프로게스틴 | – | 1 |
프로게스테론 | 프로게스테겐 | + | 10 |
각주: = 혈관 평활근 세포(VSMCs)에서 트롬빈 수용체(TR) 상향 조절(iiior) b = (%)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 강도: – = 효과가 없음. + = 발음 효과. ++ = 강한 효과. 출처: |
안티미노코르티코이드 활동
프로게스테론, 드로스피레논, 게스토덴을 포함한 특정 프로게스테론, 그리고 덜한 정도는 디드로게스테론, 트리메게스톤은 다양한 안티미노코르티코이드 활성도를 가지고 있다.[1][58] 다른 프로게스틴은 또한 상당한 항민항체 활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261] 프로게스테론 자체에는 강력한 안티미노코르티코이드 활동이 있다.[1]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게스테르균은 광물코르티코이드 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1]
드로스피레논과 같은 강력한 안티미노코르티코이드 활성을 가진 프로게스틴은 순환성 에스트로겐 유도 나트륨과 유체 보유, 부종 및 관련 체중 증가의 반작용과 같은 자연 프로게스테론과 더 유사한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혈압 저하, 심혈관 건강의 개선도 있을 수 있다.[262][263][264][265]
신경스테로이드 활성
프로게스테론은 GABAA 수용체에서 강력한 양의 알로스테리릭 조절기인 알로페놀론과 임페놀론으로 신진대사를 통해 신경스테로이드 활동을 한다.[1] 그 결과 진정, 졸음, 인지장애와 같은 관련 효과가 있다.[1] 어떤 프로게스틴도 이와 유사한 신경스테로이드 활동이나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1] 그러나 프로게스테론은 프로게스테론과 유사한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비경쟁적 길항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66]
기타 활동
어떤 프로게스틴은 체외에서 MCF-7 유방암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고전적 PR에 독립적이며 대신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막 성분-1(PGRMC1)을 통해 매개되는 작용이다.[267] 노레스테론, 데소게스트렐, 레보노게스트렐, 드로스피레논은 증식을 강하게 자극하고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론, 디에노게스트, 디드로게스테론은 증식을 약하게 자극하는 반면 프로게스테론, 느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클로르마디논 아세테론은 검사에서 중성적으로 작용하며 증식을 자극하지 않는다.[267][268] 이러한 발견이 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그리고 임상 연구에서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노레시스테론 같은 다른 프로게스틴과 함께 관찰된 유방암의 다양한 위험을 설명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269]
약동학
구강 프로게스테론은 생체이용률과 효력이 매우 낮다.[1][6][158][122][270] 경구 미크론화 프로게스테론(OMP)으로 알려진 제제인 기름 충전 캡슐의 미크론화 및 해산은 프로게스테론의 생체이용률을 몇 배 증가시킨다.[270][271]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강 미크론 프로게스테론의 생체이용률은 2.[1][6][158][122][272]4% 미만으로 매우 낮다. 프로게스테론은 또한 1.5시간 이하의 순환에서 매우 짧은 제거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273][1][270] 구강 미크론 프로게스테론의 구강 활성도가 좋지 않아 상대적으로 프로게스테론 효과가 약하다.[6][158][122] 근육내 주입에 의한 오일 용액 내 프로게스테론 투여는 약 2~3일의 지속시간이 있어 잦은 주사가 필요하다.[1][274][275][276][277][278] 크림이나 젤 형태의 프로게스테론의 경피 투여는 프로게스테론의 매우 낮은 수준과 약한 프로게스테론 효과를 얻을 뿐이다.[279][280]
프로게스테론의 구강 활성도가 떨어지고 근육 주사 기간이 짧아 구강 사용과 파랑 투여를 위해 프로게스틴이 제자리에 개발됐다.[281] 구강 활성 프로게스틴은 구강 미크론 프로게스테론에 비해 구강 생체이용률이 높다.[1] 그들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은 일반적으로 60~100%[1]의 범위에 있다. 그들의 제거 반감기는 프로게스테론보다 8시간에서 80시간 정도 더 길다.[1] 주로 약동학적 개선으로 프로게스틴은 경구 미크론화 프로게스테론의 그것보다 몇 배나 더 큰 경구적 효력이 있다.[1] 예를 들어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의 구강 효력은 구강 미크론 프로게스테론의 최소 30배인 반면 게스토덴의 구강 효력은 구강 미크론 프로게스테론의 최소 10,000배이다.[1] 유액에서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아테론, 유액에서 노레시스테론 에난산염,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아큐스 중단에서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 같이 파렌터 투여 프로게스틴은 수주에서 수개월의 기간이 있다.[274][275][276][277][278]
프로게스테겐 | 클래스 | 복용량a | 생체이용가능성 | Half-life | |
---|---|---|---|---|---|
앨리스트레놀 | 에스트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2mg | ~100% | 80시간 | |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2mg | ~100% | 54-79시간 | |
데소게스트렐 | 고나네 | 0.15mg | 63% | 프로드러그 | |
다이노게스트 | 고나네 | 4mg | 96% | 11-12시간 | |
드로스피레논 | 스피롤락톤 | 3mg | 66% | 31~33시간 | |
디드로게스테론 | 임페레인 | 10mg | 28% | 14-17시간 | |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 에스트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게스토데네 | 고나네 | 0.075mg | 88–99% | 12-14시간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이트 | 임페레인 | ND | – | 8일b | |
레보노르제스트렐 | 고나네 | 0.15–0.25mg | 90% | 10-13시간 | |
리네스트레놀 | 에스트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메드로게스톤 | 임페레인 | 5mg | ~100% | 35시간 |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10mg | ~100% | 24시간이 모자라 | |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160mg | ~100% | 22시간 | |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 임페레인 | 2.5mg | 60% | 50시간 | |
노리스테론 | 에스트레인 | 1mg | 64% | 8시간 |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 에스트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노레티노드렐 | 에스트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노르게스테이트 | 고나네 | NA | ? | 프로드러그 | |
프로게스테론(미크론화) | 임페레인 | 100–200mg | <2.4% | 5시간 | |
프로메게스톤 | 임페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티볼론 | 에스트레인 | NA | ? | 프로드러그 | |
트리메스테스톤 | 임페레인 | 0.5mg | ~100% | 15시간 | |
참고: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모두 구술에 의한 것이다. 각주: = 나열된 약동학 값에 대한 경우. b = 근육내 주입에 의해. 출처: 템플릿을 참조하십시오. |
화학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프로게스테르균은 화학구조 면에서 스테로이드제다.[1] 프로게스테론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프로게스테론과 합성 프로게스테론(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음)을 포함한다.[1] 프로게스틴은 크게 프로게스테론의 화학적 파생상품과 테스토스테론의 화학적 파생상품이라는 두 가지 구조적 분류로 분류할 수 있다.[1] 프로게스테론 파생상품은 임신부, 레트로프탈레네, 노르프레레네, 스피롤락톤 등 하위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이러한 각 부분군의 프로게스틴의 예로는 각각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디드로게스테론,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드로스피레논이 있다.[1] 테스토스테론 유도체는 안드로스테인, 에스트라네인(19노란드로스테인), 고나네(18메틸에스트레인)를 포함한 하위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1][282] 이러한 각 부분군의 프로게스틴의 예로는 각각 에티스테론, 노리스테론, 레보노게스트렐이 있다.[1] 많은 프로게스틴은 에스테르 및/또는 에테르 대체물(프로게스테르겐 에스테르 참조)을 가지고 있어 지방질이 더 많이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문제의 프로게스틴이 신체에서 프로게스틴으로 작용하게 된다.[1]
클래스 | 서브클래스 | 프로게스테겐 | 구조 | 화학명 | 특징들 |
---|---|---|---|---|---|
임페레인 | 프로게스테론 | 프로게스테론 | 임신-4-ene-3,20-dione | – | |
팅게스트론 | 프로게스테론 3사이클로펜틸 에톨에테르 | 에테르 | |||
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 아세토메프레게놀 | 3-데케토-3β,17α-디히드로xy-6-데히드로-6-메틸프로게스테론 3β,17α-디아세테이트 | 에스테르 | ||
알제스톤 아세토페니드 | 16α,17α-디하이드록시프로제스테론 16α,17α-(아세트페논이 있는 순환아세트) | 순환아세트 | |||
아나그스톤 아세테이트 | 3-데케토-6α-메틸-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클로르마디논 아세테이트 | 6-Dehydro-6-cloro-17α-hydroxyprogesterone 17α-acetate | 에스테르 | |||
클로르메텐마디논 아세테이트 | 6-Dehydro-6-cloro-16-메틸렌-17α-hydroxyprogesterone 17α-acetate | 에스테르 | |||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 1,2α-메틸렌-6-데히드로-6-클로로-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링-퓨즈 | |||
아세테이트 델마디노네 | 1,6-다이데하이드로-6-클로로-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연석 아세테이트 | 9α-Fluoro-11β,17α-dihydroxyprogesterone 17α-acetate | 에스테르 | |||
플루메드록손 아세테이트 | 6α-(트리플루오로메틸)-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카프로이트 | 17α-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17α-헥사노산염 | 에스테르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헵탄산염 | 17α-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17α-헵탄산염 | 에스테르 | |||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6α-메틸-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6-Dehydro-6-methyl-17α-hydroxyprogesterone 17α-acetate | 에스테르 | |||
멜렌게스트롤 아세테이트 | 6-Dehydro-6-methyl-16-methylen-17α-hydroxyprogesterone 17α-acetate | 에스테르 | |||
메텐마디논 아세테이트 | 6-Dehydro-16-메틸렌-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아세테이트 오사테론 | 2-옥사-6-데하이드로-6-클로로-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펜타게스트론 아세테이트 | 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3-사이클로펜틸 에테르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에테르 | |||
프롤리그스톤 | 14α,17α-디하이드록시프로제스테론 14α,17α-(프로피온알데히드가 있는 순환아세트) | 순환아세트 | |||
기타 17α 대체 프로게스테론 | 할로프로게스테론 | 6α-플루오로-17α-브로모프로게스테론 | – | ||
메드로게스톤 | 6-Dehydro-6,17α-디메틸프로게스테론 | – | |||
스피롤락톤 | 드로스피레논 | 6β,7β:15β,16β-디메틸렌피롤락톤 | 링-퓨즈 | ||
노르프레그나인 | 19-Norprogesterone; 17α-히드록시프로제스테론 | 게스토노론 카프로이트 | 17α-히드록시-19-노르프로게스테론 17α-헥사노산염 | 에스테르 | |
노메스트롤 아세테이트 | 6-Dehydro-6-methyl-17α-hydroxy-19-norprogesterone 17α-acetate | 에스테르 | |||
노르게스토메트 | 11β-메틸-17α-하이드록시-19-노르프로게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세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16-메틸렌-17α-하이드록시-19-노르프로게스테론 17α-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19-Norprogesterone; 기타 17α 대체 프로게스테론 | 데메게스톤 | 9-데히드로-17α-메틸-19-노르프로게스테론 | – | ||
프로메게스톤 | 9-Dehydro-17α,21-dimethyl-19-norprogesterone | – | |||
트리메스테스톤 | 9-Dehydro-17α,21-dimethyl-19-nor-21β-hydroxyprogesterone | – | |||
레트로프페르네인 | 레트로프로게스테론 | 디드로게스테론 | 6-Dehydro-9β,10α-프로제스테론 | – | |
트렌게스톤 | 1,6-다이데하이드로-6-클로로-9β,10α-프로게스테론 | – | |||
안드로스테인 | 17α-에틸렌테스토스테론 | 다나졸 | 2,3-d-이소사졸-17α-에틸테스토스테론 | 링-퓨즈 | |
디메티스테론 | 6α,21-디메틸-17α-에틸스틸테스토스테론 | – | |||
에티스테론 | 17α-에틸렌테스토스테론 | – | |||
에스트레인 | 19-노르테스토스테론; 17α-에틸렌테스토스테론 | 에티노디올 디아세테이트 | 3-데케토-3β-히드록시-17α-ethyl-19-노르테스토스테론 3β, 17β-디아세테이트 | 에스테르 | |
리네스트레놀 | 3-데케토-17α-에티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리스테론 | 17α-에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레스티스테론 아세테이트 | 17α-에틸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17β-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 |||
노리스테론 에난산염 | 17α-에티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17β-헵탄산염 | 에스테르 | |||
노레티노드렐 | 5(10)-데히드로-17α-에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게스트리에논 | 9,11-디데하이드로-17α-에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아세트산 퀘잉게스탄올 | 17α-에틸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3-사이클로펜틸 에테르 17β-아세트산염 | 에스테르; 에테르 | |||
티볼론 | 5(10)-데히드로-7α-메틸-17α-에틸-에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19-노르테스토스테론; 기타 17α 대체 테스토스테론 (및 16β-테스토스테론) | 앨리스트레놀 | 3-데케토-17α-알릴-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알트레노게스트 | 9,11-디데하이드로-17α-알릴-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다이노게스트 | 9-데히드로-17α-시아노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르에스테론 | 5(10)-데히드로-17α-비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르메탄드론 | 17α-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르비니스테론 | 17α-비닐-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옥센돌론 | 16β-에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고나네 | 19-노르테스토스테론; 17α-에틸렌테스토스테론; 18-메틸테스토스테론 | 데소게스트렐 | 3-데케토-11-메틸렌-17α-에틸닐-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에토노게스트렐 | 11-메틸렌-17α-ethyl-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게스토데네 | 15-데히드로-17α-에틸닐-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게스트리노네 | 9,11-디데하이드로-17α-에틸닐-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레보노르제스트렐 | 17α-에틸-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 – | |||
노렐게스트로민 | 17α-에틸-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3-옥시메 | 옥사임 | |||
노르게스테이트 | 17α-에틸닐-18-메틸-19-노르테스토스테론 3-oxime 17β-아세트산염 | 옥시메; 에스테르 | |||
노게스트렐 | rac-13-Ethyl-17α-ethyl-19-nortestosterone | – |
역사
일반명 | 클래스[a] | 브랜드명 | 경로[b] | Intr. | |
---|---|---|---|---|---|
아나그스톤 아세테이트 | P[i][ii] | 아나트로핀 | PO | 1968 | |
클로르메텐마디논 아세테이트 | P[i][ii] | 바이오제스트[c] | PO | 1960년대 | |
데메게스톤 | P[iii] | 루탈렉스 | PO | 1974 | |
디메티스테론 | T[iv] | 루타간[c] | PO | 1959 | |
에티스테론 | T[iv] | 프라노네[c] | PO, SL | 1939 | |
플루메드록손 아세테이트 | P[i][ii] | 데미그란[c] | PO | 1960년대 | |
할로프로게스테론 | P[v] | 프로할린 | PO | 1961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 P[i][ii] | 프로독스 | PO | 1957 | |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헵탄산염 | P[i][ii] | H.O.P.[c] | IM | 1950년대 | |
메텐마디논 아세테이트 | P[i][ii] | 슈퍼루틴[c] | PO | 1960년대 | |
노레티노드렐 | T[vi][iv] | 에노비드 | PO | 1957 | |
노르에스테론 | T[vi][iv] | 베스타린 | PO | 1960년대 | |
노게스트리에논 | T[vi][iv] | 오글라인[c] | PO | 1960년대 | |
노르비니스테론 | T[vi][iv] | 네오프로게스틴[c] | PO | 1960년대 | |
펜타게스트론 아세테이트 | P[i][ii] | 게스토비스[c] | PO | 1961 | |
아세트산 퀘잉게스탄올 | T[vi][vii][ii][viii] | 데모비스[c] | PO | 1972 | |
팅게스트론 | P[viii] | 에놀루테오비스 | PO | 1962 | |
트렌게스톤 | RP | 리턴원 | PO | 1974 | |
프로게스테론의 임신 중 배란 억제 능력에 대한 인식은 프로게스테론 투여와 관련된 문제를 우회할 수 있는 유사한 호르몬을 찾아냈다.배란 조절의 목적이지 그 결과로 생긴 많은 합성 호르몬은 프로게스틴이라고 알려져 있다.
The first orally active progestin, ethisterone (pregneninolone, 17α-ethynyltestosterone), the C17α ethynyl analogue of testosterone, was synthesized in 1938 from dehydroandrosterone by ethynylation, either before or after oxidation of the C3 hydroxyl group, followed by rearrangement of the C5(6) double bond to the C4(5) position. 이 합성은 한스 헤로프 인호펜, 윌리 로게만, 월터 홀웨그, 아서 세리니가 베를린의 셰링 AG에서 설계했으며 1939년 독일에서 프롤루톤 C로, 1945년 미국의 셰링에 의해 프라노네로 시판되었다.[283][284][285][286][287]
A more potent orally active progestin, norethisterone (norethindrone, 19-nor-17α-ethynyltestosterone), the C19 nor analogue of ethisterone, synthesized in 1951 by Carl Djerassi, Luis Miramontes, and George Rosenkranz at Syntex in Mexico City, was marketed by Parke-Davis in the U.S. in 1957 as Norlutin, and was used as the progestin in some of the f1960년대 초 경구 피임약([284][285][286][287][288]Octo-Novum, Nori닐 등)
노레티스테론의 이성질체인 노레티노드렐은 1952년 프랭크 B에 의해 합성되었다. 일리노이주 스코키에 있는 서글에서 콜튼은 에노비드에서 프로게스틴으로 사용되었고 1957년에 미국에서 시판되었고 1960년에 최초의 경구 피임약으로 승인되었다.[284][285][286][287][289]
사회와 문화
세대
산아제한에 사용되는 프로게스틴은 때때로 다소 임의적이고 모순되게 세대로 분류된다. 이들 세대를 분류하는 한 가지는 다음과 같다.[14]
- 1세대: 1973년 이전에 마케팅 승인을 받았다. 예: 노어티노드렐, 노어티스테론(노어신드론), 린스트레놀, 레보노게스트렐.
- 2세대: 1973년에서 1989년 사이에 마케팅을 위해 승인되었다. 예: desogestrel, nomegestrol acetate, norgestimate.
- 3세대: 1990년과 2000년 사이에 마케팅을 위해 승인되었다. 예: dienogest, etonogestrel.
- 4세대: 2000년 이후 마케팅 승인. 예: 드로스피레논, 노렐게스트로민, 세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대안으로 노레티노드렐, 노레티스테론 등의 에스트레인(estrane)은 1세대로 분류되고, 노게스트렐, 레보노르제스트렐 등의 가몬은 2세대로 분류되며, 데소게스트렐과 같은 안드로겐성 가몬은 적고, 게스토덴은 드로스피레논과 같은 3세대 및 새로운 프로게스트로겐으로 분류된다. 사대부의[15] 그러나 또 다른 분류 체계는 1세대와 2세대 프로게스틴만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citation needed]
유용성
프로게스테르균은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널리 이용 가능하다. 그것들은 모든 피임약에 들어 있다.
어원
프로게스타겐, 프로게스타겐 또는 게스타겐이라고도 불리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작용제 역할을 하는 화합물이다.[118][1][143]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과 합성 프로게스테론(progestogen)은 자연적이고 내생적인 프로게스테론(progestogen)이다.[1] 프로게스틴은 다른 많은 합성 프로게스테론 중 17α-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파생상품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와 19-노르테스토스테론 파생상품 노레티스테론을 포함한다.[118][1] 프로게스테론은 단일 화합물이고 복수형이 없기 때문에 "프로게스테론"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으며 문법적으로 부정확하다.[143] 프로게스테르균을 설명하는 용어들은 종종 혼동된다.[118][143] 그러나 프로게스테르균은 활동과 효과가 다르며 서로 교환하는 것은 부적절하다.[118][1][143]
리서치
남성에서 안드로겐과 결합하여 잠재적 남성 호르몬 피임약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게스틴이 연구되어 왔다.[290] 여기에는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메그스트롤 아세테이트,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노르웨인 세게스테론 아세테이트, 에스트레인 노레시스테론 아세테이트, 노레시스테론 에반테레이트, 레보노레오레스토네이트, 데소게스트렐, 에톤에스테렐 등이 포함된다.[290][291][292][293] 이러한 프로게스틴과 함께 사용되어 온 안드로겐에는 테스토스테론, 테스토스테론 에스테르, 안드로스타놀론, 난드롤론 에스테르 등이 있다.[290] 트레스톨론, 디메탄롤론 불카노이트 등 이중 안드로겐과 프로게스테르겐도 남성피임약으로 개발 연구됐다.[294][295]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bg bh bi bj bk bl bm bn bo bp bq br Kuhl H (2005).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PDF). Climacteric. 8 Suppl 1: 3–63. doi:10.1080/13697130500148875. PMID 16112947. S2CID 24616324.
- ^ a b c d e f g h Wiegratz I, Kuhl H (August 2004). "Progestogen therapies: differences in clinical effects?". Trends Endocrinol. Metab. 15 (6): 277–85. doi:10.1016/j.tem.2004.06.006. PMID 15358281. S2CID 35891204.
- ^ a b Thibaut F, De La Barra F, Gordon H, Cosyns P, Bradford JM (2010). "The World Federation of Societies of Biological Psychiatry (WFSBP) guideline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paraphilias". World J. Biol. Psychiatry. 11 (4): 604–55. doi:10.3109/15622971003671628. PMID 20459370. S2CID 14949511.
- ^ a b Glasier, Anna (March 20, 2015). "Chapter 134. Contraception". In Jameson, J. Larry; De Groot, Leslie J.; de Krester, David; Giudice, Linda C.; Grossman, Ashley; Melmed, Shlomo; Potts, John T., Jr.; Weir, Gordon C. (eds.).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7th ed.). Philadelphia: Saunders Elsevier. p. 2306. ISBN 978-0-323-18907-1.
- ^ a b Pattman, Richard; Sankar, K. Nathan; Elewad, Babiker; Handy, Pauline; Price, David Ashley, eds. (November 19, 2010). "Chapter 33. Contraception including contraception in HIV infection and infection reduction". Oxford Handbook of Genitourinary Medicine, HIV, and Sexual Health (2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360. ISBN 978-0-19-957166-6.
Ovulation may be suppressed in 15–40% of cycles by POPs containing levonorgestrel, norethisterone, or etynodiol diacetate, but in 97–99% by those containing desogestrel.
- ^ a b c d e f g Kuhl H (2011). "Pharmacology of Progestogens" (PDF). J Reproduktionsmed Endokrinol. 8 (1): 157–177.
- ^ a b Christian Lauritzen; John W. W. Studd (22 June 2005). Current Management of the Menopause. CRC Press. p. 45. ISBN 978-0-203-48612-2.
Ethisterone, the first orally effective progestagen, was synthesized by Inhoffen and Hohlweg in 1938. Norethisterone, a progestogen still used worldwide, was synthesized by Djerassi in 1951. But this progestogen was not used immediately and in 1953 Colton discovered norethynodrel, used by Pincus in the first oral contraceptive. Numerous other progestogens were subsequently synthesized, e.g., lynestrenol and ethynodiol diacetate, which were, in fact, prhormones converted in vivo to norethisterone. All these progestogens were also able to induce androgenic effects when high doses were used. More potent progestogens were synthesized in the 1960s, e.g. norgestrel, norgestrienone. These progestogens were also more androgenic.
- ^ Klaus Roth (2014). Chemische Leckerbissen. John Wiley & Sons. p. 69. ISBN 978-3-527-33739-2.
Im Prinzip hatten Hohlweg und Inhoffen die Lösung schon 1938 in der Hand, denn ihr Ethinyltestosteron (11) war eine oral wirksame gestagene Verbindung und Schering hatte daraus bereits 1939 ein Medikament (Proluton C®) entwickelt.
- ^ a b "IBM Watson Health Products: Please Login".
- ^ a b Sweetman, Sean C., ed. (2009). "Sex hormones and their modulators". Martindale: The Complete Drug Reference (36th ed.). London: Pharmaceutical Press. ISBN 978-0-85369-840-1.
- ^ a b "List of Progestins".
- ^ a b Index Nominum 2000: International Drug Directory. Taylor & Francis. January 2000. ISBN 978-3-88763-075-1.
- ^ J. Elks (14 November 2014). The Dictionary of Drugs: Chemical Data: Chemical Data, Structures and Bibliographies. Springer. ISBN 978-1-4757-2085-3.
- ^ a b John David Gordon; Jan Rydfors; Maurice Druzin; Yasser El-Sayed; Yona Tadir (2007). Obstetrics, Gynecology & Infertility: Handbook for Clinicians. Scrub Hill Press, Inc. pp. 229–. ISBN 978-0-9645467-7-6.
- ^ a b Ronald S. Gibbs (2008). Danforth's Obstetrics and Gynec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568–. ISBN 978-0-7817-6937-2.
- ^ J. Larry Jameson; Leslie J. De Groot (25 February 2015). Endocrinology: Adult and Pediatric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pp. 2304–. ISBN 978-0-323-32195-2.
- ^ a b Michelle A. Clark; Richard A. Harvey; Richard Finkel; Jose A. Rey; Karen Whalen (15 December 2011). Pharmac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 322. ISBN 978-1-4511-1314-3.
- ^ a b Bhattacharya (1 January 2003). Pharmacology, 2/e. Elsevier India. p. 378. ISBN 978-81-8147-009-6.
- ^ Rick D. Kellerman; Edward T. Bope (10 November 2017). Conn's Current Therapy 2018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pp. 1124–. ISBN 978-0-323-52961-7.
- ^ Helen Varney; Jan M. Kriebs; Carolyn L. Gegor (2004). Varney's Midwifery. Jones & Bartlett Learning. pp. 513–. ISBN 978-0-7637-1856-5.
- ^ a b c d David E. Golan (2008). Principles of Pharmacology: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520–521. ISBN 978-0-7817-8355-2.
- ^ Pamela S. Miles; William F. Rayburn; J.Christopher Carey (6 December 2012). Obstetrics and Gynec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109–. ISBN 978-1-4684-0220-9.
- ^ a b Erkkola R, Landgren BM (March 2005). "Role of progestins in contraception". Acta Obstet Gynecol Scand. 84 (3): 207–16. doi:10.1111/j.0001-6349.2005.00759.x. PMID 15715527. S2CID 6887415.
- ^ Guise TA, Oefelein MG, Eastham JA, Cookson MS, Higano CS, Smith MR (2007). "Estrogenic side effects of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Rev Urol. 9 (4): 163–80. PMC 2213888. PMID 18231613.
- ^ Frisk J (2010). "Managing hot flushes in men after prostate cancer--a systematic review". Maturitas. 65 (1): 15–22. doi:10.1016/j.maturitas.2009.10.017. PMID 19962840.
- ^ Koike H, Morikawa Y, Matsui H, Shibata Y, Ito K, Suzuki K (2013). "Chlormadinone acetate is effective for hot flush during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Prostate Int. 1 (3): 113–6. doi:10.12954/PI.12010. PMC 3814123. PMID 24223412.
- ^ Hickey M, Fraser IS (August 2000). "A functional model for progestogen-induced breakthrough bleeding". Hum. Reprod. 15 Suppl 3: 1–6. doi:10.1093/humrep/15.suppl_3.1. PMID 11041215.
- ^ a b c Schindler AE (February 2011). "Dydrogesterone and other progestins in benign breast disease: an overview". Arch. Gynecol. Obstet. 283 (2): 369–71. doi:10.1007/s00404-010-1456-7. PMID 20383772. S2CID 9125889.
- ^ a b c Winkler UH, Schindler AE, Brinkmann US, Ebert C, Oberhoff C (December 2001). "Cyclic progestin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mastopathy and mastodynia". Gynecol. Endocrinol. 15 Suppl 6: 37–43. doi:10.1080/gye.15.s6.37.43. PMID 12227885. S2CID 27589741.
- ^ a b Ruan X, Mueck AO (2014). "Systemic progesterone therapy--oral, vaginal, injections and even transdermal?". Maturitas. 79 (3): 248–55. doi:10.1016/j.maturitas.2014.07.009. PMID 25113944.
- ^ Bińkowska, Małgorzata; Woroń, Jarosław (2015). "Progestogens in menopausal hormone therapy". Menopausal Review. 14 (2): 134–143. doi:10.5114/pm.2015.52154. ISSN 1643-8876. PMC 4498031. PMID 26327902.
- ^ Kistner RW (1959). "Histological effects of progestins on hyperplasia and carcinoma in situ of the endometrium". Cancer. 12 (6): 1106–22. doi:10.1002/1097-0142(195911/12)12:6<1106::aid-cncr2820120607>3.0.co;2-m. PMID 14409476.
- ^ Regulatory Mechanisms in Transcriptional Signaling. Academic Press. 25 July 2009. pp. 62–. ISBN 978-0-08-091198-4.
- ^ Loren K. Mell, MD (20 December 2011). Gynecologic Cancer. Demos Medical Publishing. pp. 393–. ISBN 978-1-61705-095-4.
- ^ Robert G. McKinnell (13 March 1998). The Biological Basis of Canc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62–. ISBN 978-0-521-59695-4.
- ^ Jacqueline Burchum; Laura Rosenthal (2 December 2014). Lehne's Pharmacology for Nursing Care -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pp. 740–. ISBN 978-0-323-34026-7.
- ^ H. John Smith; Hywel Williams (10 October 2005). Smith and Williams'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Drug Design and Action, Fourth Edition. CRC Press. pp. 493–. ISBN 978-0-203-30415-0.
- ^ a b c d e f David J. Winchester (2006). Breast Cancer. PMPH-USA. pp. 333–. ISBN 978-1-55009-272-1.
- ^ a b Gadducci A, Genazzani AR (December 1999). "Endocrine therapy for gynecological cancer". Gynecol. Endocrinol. 13 (6): 441–56. doi:10.3109/09513599909167590. PMID 10685337.
- ^ a b Lam JS, Leppert JT, Vemulapalli SN, Shvarts O, Belldegrun AS (January 2006). "Secondary hormonal therapy for advanced prostate cancer". J. Urol. 175 (1): 27–34. doi:10.1016/S0022-5347(05)00034-0. PMID 16406864.
- ^ a b Fourcade RO, Chatelain C (July 1998). "Androgen deprivation for prostatic carcinoma: a rationale for choosing components". Int. J. Urol. 5 (4): 303–11. doi:10.1111/j.1442-2042.1998.tb00356.x. PMID 9712436. S2CID 25107178.
- ^ a b Loose, Davis S.; Stancel, George M. (2006). "Estrogens and Progestins". In Brunton, Laurence L.; Lazo, John S.; Parker, Keith L. (eds.).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1th ed.). New York: McGraw-Hill. pp. 1541–71. ISBN 978-0-07-142280-2.
- ^ Maltoni M, Nanni O, Scarpi E, Rossi D, Serra P, Amadori D (March 2001). "High-dose progesti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Ann. Oncol. 12 (3): 289–300. doi:10.1023/a:1011156811739. PMID 11332139.
- ^ Lelli G, Montanari M, Gilli G, Scapoli D, Antonietti C, Scapoli D (June 2003). "Treatment of the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a critical reappraisal". J Chemother. 15 (3): 220–5. doi:10.1179/joc.2003.15.3.220. PMID 12868546. S2CID 29442148.
- ^ "IS IT TRUE THAT BIRTH CONTROL PILLS CAUSE BLOOD CLOTS?". National Blood Clot Allia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9. Retrieved 15 April 2019.
- ^ a b c Lauritzen C (September 1990). "Clinical use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Maturitas. 12 (3): 199–214. doi:10.1016/0378-5122(90)90004-P. PMID 2215269.
- ^ a b Africander D, Verhoog N, Hapgood JP (June 2011). "Molecular mechanisms of steroid receptor-mediated actions by synthetic progestins used in HRT and contraception". Steroids. 76 (7): 636–52. doi:10.1016/j.steroids.2011.03.001. PMID 21414337. S2CID 23630452.
- ^ a b c d e f g h i j k l m Schaffir J, Worly BL, Gur TL (October 2016). "Combined hormonal contraception and its effects on mood: a critical review".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21 (5): 347–55. doi:10.1080/13625187.2016.1217327. PMID 27636867. S2CID 11959163.
- ^ a b c Böttcher B, Radenbach K, Wildt L, Hinney B (July 2012). "Hormonal contraception and depression: a survey of the present state of knowledge". Arch. Gynecol. Obstet. 286 (1): 231–6. doi:10.1007/s00404-012-2298-2. PMID 22467147. S2CID 26204975.
- ^ a b c d e f g h Robakis T, Williams KE, Nutkiewicz L, Rasgon NL (June 2019). "Hormonal Contraceptives and Mood: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Curr Psychiatry Rep. 21 (7): 57. doi:10.1007/s11920-019-1034-z. PMID 31172309. S2CID 174818119.
- ^ a b c d e f g h Worly BL, Gur TL, Schaffir J (June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progestin hormonal contraception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Contraception. 97 (6): 478–489. doi:10.1016/j.contraception.2018.01.010. PMID 29496297.
- ^ a b c d Poromaa IS, Segebladh B (April 2012). "Adverse mood symptoms with oral contraceptives". Acta Obstet Gynecol Scand. 91 (4): 420–7. doi:10.1111/j.1600-0412.2011.01333.x. PMID 22136510. S2CID 43671664.
- ^ Bakry S, Merhi ZO, Scalise TJ, Mahmoud MS, Fadiel A, Naftolin F (July 2008). "Depot-medroxyprogesterone acetate: an update". Arch. Gynecol. Obstet. 278 (1): 1–12. doi:10.1007/s00404-007-0497-z. PMID 18470526. S2CID 11340062.
- ^ Westhoff C, Truman C, Kalmuss D, Cushman L, Davidson A, Rulin M, Heartwell S (April 1998). "Depressive symptoms and Depo-Provera". Contraception. 57 (4): 237–40. doi:10.1016/s0010-7824(98)00024-9. PMID 9649914.
- ^ Kahn LS, Halbreich U (September 2001). "Oral contraceptives and mood". Expert Opin Pharmacother. 2 (9): 1367–82. doi:10.1517/14656566.2.9.1367. PMID 11585017. S2CID 45061663.
- ^ Lanza di Scalea T, Pearlstein T (July 2019).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Med. Clin. North Am. 103 (4): 613–628. doi:10.1016/j.mcna.2019.02.007. PMID 31078196.
- ^ Lopez LM, Kaptein AA, Helmerhorst FM (February 2012).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drospirenone for premenstrual syndrom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 CD006586. doi:10.1002/14651858.CD006586.pub4. PMID 22336820.
- ^ a b c Regidor PA, Schindler AE (October 2017). "Antiandrogenic and antimineralocorticoid health benefits of COC containing newer progestogens: dienogest and drospirenone". Oncotarget. 8 (47): 83334–83342. doi:10.18632/oncotarget.19833. PMC 5669973. PMID 29137347.
- ^ a b c Lewis CA, Kimmig AS, Zsido RG, Jank A, Derntl B, Sacher J (November 2019). "Effects of Hormonal Contraceptives on Mood: A Focus on Emotion Recognition and Reactivity, Reward Processing, and Stress Response". Curr Psychiatry Rep. 21 (11): 115. doi:10.1007/s11920-019-1095-z. PMC 6838021. PMID 31701260.
- ^ Pagano HP, Zapata LB, Berry-Bibee EN, Nanda K, Curtis KM (December 2016). "Safety of hormonal contraception and intrauterine devices among women with 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Contraception. 94 (6): 641–649. doi:10.1016/j.contraception.2016.06.012. PMID 27364100.
- ^ Dennis CL, Ross LE, Herxheimer A (October 2008). "Oestrogens and progesti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ostpartum depress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4): CD001690. doi:10.1002/14651858.CD001690.pub2. PMC 7061327. PMID 18843619.
- ^ a b Maki PM, Kornstein SG, Joffe H, Bromberger JT, Freeman EW, Athappilly G, Bobo WV, Rubin LH, Koleva HK, Cohen LS, Soares CN (February 2019).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erimenopausal Depression: Summary and Recommendations". J Womens Health (Larchmt). 28 (2): 117–134. doi:10.1089/jwh.2018.27099.mensocrec. PMID 30182804.
- ^ a b Stute P, Spyropoulou A, Karageorgiou V, Cano A, Bitzer J, Ceausu I, Chedraui P, Durmusoglu F, Erkkola R, Goulis DG, Lindén Hirschberg A, Kiesel L, Lopes P, Pines A, Rees M, van Trotsenburg M, Zervas I, Lambrinoudaki I (January 2020). "Management of depressive symptoms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EMAS position statement". Maturitas. 131: 91–101. doi:10.1016/j.maturitas.2019.11.002. PMID 31740049.
- ^ Gava G, Orsili I, Alvisi S, Mancini I, Seracchioli R, Meriggiola MC (October 2019). "Cognition, Mood and Sleep in Menopausal Transition: The Role of Menopause Hormone Therapy". Medicina. 55 (10): 668. doi:10.3390/medicina55100668. PMC 6843314. PMID 31581598.
- ^ Toffol E, Heikinheimo O, Partonen T (May 2015). "Hormone therapy and mood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a narrative review". Menopause. 22 (5): 564–78. doi:10.1097/GME.0000000000000323. PMID 25203891. S2CID 5830652.
- ^ Zweifel JE, O'Brien WH (April 1997).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upon depressed mood". Psychoneuroendocrinology. 22 (3): 189–212. doi:10.1016/s0306-4530(96)00034-0. PMID 9203229. S2CID 44630030.
- ^ Rogerio A. Lobo (5 June 2007). Treatment of the Postmenopausal Woman: Basic and Clinical Aspects. Elsevier. pp. 211–. ISBN 978-0-08-055309-2.
- ^ Gordon JL, Girdler SS (December 2014).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perimenopausal depression". Curr Psychiatry Rep. 16 (12): 517. doi:10.1007/s11920-014-0517-1. PMID 25308388. S2CID 23794180.
- ^ Fischer B, Gleason C, Asthana S (April 2014). "Effects of hormone therapy on cognition and mood". Fertil. Steril. 101 (4): 898–904. doi:10.1016/j.fertnstert.2014.02.025. PMC 4330961. PMID 24680649.
- ^ Prior JC (August 2018). "Progesterone for treatment of symptomatic menopausal women". Climacteric. 21 (4): 358–365. doi:10.1080/13697137.2018.1472567. PMID 29962247.
- ^ a b Pastor Z, Holla K, Chmel R (February 2013). "The influence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on female sexual desire: a systematic review".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18 (1): 27–43. doi:10.3109/13625187.2012.728643. PMID 23320933. S2CID 34748865.
- ^ Zimmerman Y, Eijkemans MJ, Coelingh Bennink HJ, Blankenstein MA, Fauser BC (2014). "The effec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on on testosterone levels in healthy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um. Reprod. Update. 20 (1): 76–105. doi:10.1093/humupd/dmt038. PMC 3845679. PMID 24082040.
- ^ Casado-Espada NM, de Alarcón R, de la Iglesia-Larrad JI, Bote-Bonaechea B, Montejo ÁL (June 2019). "Hormonal Contraceptives, Female Sexual Dysfunction, and Managing Strategies: A Review".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8 (6): 908. doi:10.3390/jcm8060908. PMC 6617135. PMID 31242625.
- ^ a b c "Deep Vein Thrombosis". NHLBI, NIH. Retrieved 28 December 2019.
- ^ a b c d e Sitruk-Ware R, Nath A (February 2013). "Characteristics and metabolic effects of estrogen and progestins contained in oral contraceptive pills".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7 (1): 13–24. doi:10.1016/j.beem.2012.09.004. PMID 23384742.
- ^ a b c d e f g h Pfeifer, Samantha; Butts, Samantha; Dumesic, Daniel; Fossum, Gregory; Gracia, Clarisa; La Barbera, Andrew; Mersereau, Jennifer; Odem, Randall; Penzias, Alan; Pisarska, Margareta; Rebar, Robert; Reindollar, Richard; Rosen, Mitchell; Sandlow, Jay; Sokol, Rebecca; Vernon, Michael; Widra, Eric (January 2017). "Combined hormonal contraception and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a guideline". Fertil. Steril. 107 (1): 43–51. doi:10.1016/j.fertnstert.2016.09.027. PMID 27793376.
- ^ a b Skouby SO, Sidelmann JJ (November 2018). "Impact of progestogens on hemostasis". Horm Mol Biol Clin Investig. 37 (2). doi:10.1515/hmbci-2018-0041. PMID 30447140. S2CID 53875910.
- ^ Barco S, Nijkeuter M, Middeldorp S (July 2013). "Pregnancy and venous thromboembolism". Semin. Thromb. Hemost. 39 (5): 549–58. doi:10.1055/s-0033-1343893. PMID 23633191.
- ^ Simon T, Beau Yon de Jonage-Canonico M, Oger E, Wahl D, Conard J, Meyer G, Emmerich J, Barrellier MT, Guiraud A, Scarabin PY (January 2006). "Indicators of lifetime endogenous estrogen exposure and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J. Thromb. Haemost. 4 (1): 71–6. doi:10.1111/j.1538-7836.2005.01693.x. PMID 16409454. S2CID 24161765.
- ^ Canonico M, Plu-Bureau G, O'Sullivan MJ, Stefanick ML, Cochrane B, Scarabin PY, Manson JE (March 2014). "Age at menopause, reproductive history, and venous thromboembolism risk among postmenopausal wome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Hormone Therapy clinical trials". Menopause. 21 (3): 214–20. doi:10.1097/GME.0b013e31829752e0. PMC 3815514. PMID 23760439.
- ^ a b c d e f g h i j k Sitruk-Ware R, Nath A (June 2011). "Metabolic effects of contraceptive steroids". Rev Endocr Metab Disord. 12 (2): 63–75. doi:10.1007/s11154-011-9182-4. PMID 21538049. S2CID 23760705.
- ^ a b c d Schindler AE (December 2003). "Differential effects of progestins on hemostasis". Maturitas. 46 Suppl 1: S31–7. doi:10.1016/j.maturitas.2003.09.016. PMID 14670643.
- ^ a b c Wiegratz I, Kuhl H (2006). "Metabolic and clinical effects of progestogens".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11 (3): 153–61. doi:10.1080/13625180600772741. PMID 17056444. S2CID 27088428.
- ^ a b Kuhl H (May 1996). "Effects of progestogens on haemostasis". Maturitas. 24 (1–2): 1–19. doi:10.1016/0378-5122(96)00994-2. PMID 8794429.
- ^ Tepper NK, Whiteman MK, Marchbanks PA, James AH, Curtis KM (December 2016). "Progestin-only contraception and thromboembolism: A systematic review". Contraception. 94 (6): 678–700. doi:10.1016/j.contraception.2016.04.014. PMID 27153743.
- ^ Mantha S, Karp R, Raghavan V, Terrin N, Bauer KA, Zwicker JI (August 2012). "Assessing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c events in women taking progestin-only contraception: a meta-analysis". BMJ. 345: e4944. doi:10.1136/bmj.e4944. PMC 3413580. PMID 22872710.
- ^ a b c Blanco-Molina MA, Lozano M, Cano A, Cristobal I, Pallardo LP, Lete I (May 2012). "Progestin-only contraception and venous thromboembolism". Thromb. Res. 129 (5): e257–62. doi:10.1016/j.thromres.2012.02.042. PMID 22425318.
- ^ a b c Rott H (February 2019). "Birth Control Pills and Thrombotic Risks: Differences of Contraception Methods with and without Estrogen". Hamostaseologie. 39 (1): 42–48. doi:10.1055/s-0039-1677806. PMID 30669160.
- ^ a b c d e Beyer-Westendorf J, Bauersachs R, Hach-Wunderle V, Zotz RB, Rott H (October 2018). "Sex hormones and venous thromboembolism - from contraception to hormone replacement therapy". VASA. 47 (6): 441–450. doi:10.1024/0301-1526/a000726. PMID 30008249.
- ^ a b DeLoughery TG (June 2011). "Estrogen and thrombosis: controversies and common sense". Rev Endocr Metab Disord. 12 (2): 77–84. doi:10.1007/s11154-011-9178-0. PMID 21559819. S2CID 28053690.
- ^ Mantha, S.; Karp, R.; Raghavan, V.; Terrin, N.; Bauer, K. A.; Zwicker, J. I. (2012). "Assessing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c events in women taking progestin-only contraception: a meta-analysis". BMJ. 345 (aug07 2): e4944. doi:10.1136/bmj.e4944. ISSN 1756-1833. PMC 3413580. PMID 22872710.
- ^ a b c d e Scarabin PY (August 2018). "Progestogens and venous thromboembolism in menopausal women: an updated oral versus transdermal estrogen meta-analysis". Climacteric. 21 (4): 341–345. doi:10.1080/13697137.2018.1446931. PMID 29570359. S2CID 4229701.
- ^ Tepper NK, Jeng G, Curtis KM, Boutot ME, Boulet SL, Whiteman MK (March 2019). "Venous Thromboembolism Among Women Initiating Depot Medroxyprogesterone Acetate Immediately Postpartum". Obstet Gynecol. 133 (3): 533–540. doi:10.1097/AOG.0000000000003135. PMID 30741807.
- ^ a b c d e Gourdy P, Bachelot A, Catteau-Jonard S, Chabbert-Buffet N, Christin-Maître S, Conard J, Fredenrich A, Gompel A, Lamiche-Lorenzini F, Moreau C, Plu-Bureau G, Vambergue A, Vergès B, Kerlan V (November 2012). "Hormonal contraception in women at risk of vascular and metabolic disorders: guidelines of the French Society of Endocrinology". Ann. Endocrinol. (Paris). 73 (5): 469–87. doi:10.1016/j.ando.2012.09.001. PMID 23078975.
- ^ Conard J, Plu-Bureau G, Bahi N, Horellou MH, Pelissier C, Thalabard JC (December 2004). "Progestogen-only contraception in women at high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Contraception. 70 (6): 437–41. doi:10.1016/j.contraception.2004.07.009. PMID 15541404.
- ^ a b Beyer-Westendorf J, Werth S, Halbritter K, Weiss N (April 2010). "Cancer in males and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Thromb. Res. 125 Suppl 2: S155–9. doi:10.1016/S0049-3848(10)70035-9. PMID 20433997.
- ^ Guay DR (December 2008).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s in cognitively impaired older individuals". Am J Geriatr Pharmacother. 6 (5): 269–88. doi:10.1016/j.amjopharm.2008.12.004. PMID 19161930.
- ^ a b Seaman HE, Langley SE, Farmer RD, de Vries CS (June 2007). "Venous thromboembolism and cyproterone acetate in men with prostate cancer: a study using the General Practice Research Database". BJU Int. 99 (6): 1398–403. doi:10.1111/j.1464-410X.2007.06859.x. PMID 17537215. S2CID 21350686.
- ^ a b Van Hemelrijck M, Adolfsson J, Garmo H, Bill-Axelson A, Bratt O, Ingelsson E, Lambe M, Stattin P, Holmberg L (May 2010). "Risk of thromboembolic diseases in men with prostate cancer: results from the population-based PCBaSe Sweden". Lancet Oncol. 11 (5): 450–8. doi:10.1016/S1470-2045(10)70038-3. PMC 2861771. PMID 20395174.
- ^ Schröder, Fritz H.; Radlmaier, Albert (2009). "Steroidal Antiandrogens". In V. Craig Jordan; Barrington J. A. Furr (eds.). Hormone Therapy in Breast and Prostate Cancer. Humana Press. pp. 325–346. doi:10.1007/978-1-59259-152-7_15. ISBN 978-1-60761-471-5.
- ^ Namer M (October 1988). "Clinical applications of antiandrogens". J. Steroid Biochem. 31 (4B): 719–29. doi:10.1016/0022-4731(88)90023-4. PMID 2462132.
- ^ a b c d e Asscheman H, T'Sjoen G, Lemaire A, Mas M, Meriggiola MC, Mueller A, Kuhn A, Dhejne C, Morel-Journel N, Gooren LJ (September 2014). "Venous thrombo-embolism as a complication of cross-sex hormone treatment of male-to-female transsexual subjects: a review". Andrologia. 46 (7): 791–5. doi:10.1111/and.12150. PMID 23944849. S2CID 5363824.
- ^ a b c d Rovinski D, Ramos RB, Fighera TM, Casanova GK, Spritzer PM (August 2018).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events in postmenopausal women using oral versus non-oral hormone 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romb. Res. 168: 83–95. doi:10.1016/j.thromres.2018.06.014. PMID 29936403.
- ^ a b c d e Han L, Jensen JT (December 2015). "Does the Progestogen Used in Combined Hormonal Contraception Affect Venous Thrombosis Risk?". Obstet. Gynecol. Clin. North Am. 42 (4): 683–98. doi:10.1016/j.ogc.2015.07.007. PMID 26598309.
- ^ a b c d Bateson D, Butcher BE, Donovan C, Farrell L, Kovacs G, Mezzini T, Raynes-Greenow C, Pecoraro G, Read C, Baber R (2016).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women taking the combined oral contraceptiv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ust Fam Physician. 45 (1): 59–64. PMID 27051991.
- ^ a b c d e Vinogradova Y, Coupland C, Hippisley-Cox J (January 2019). "Use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nested case-control studies using the QResearch and CPRD databases". BMJ. 364: k4810. doi:10.1136/bmj.k4810. PMC 6326068. PMID 30626577.
- ^ a b c d Vinogradova Y, Coupland C, Hippisley-Cox J (May 2015). "Use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and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nested case-control studies using the QResearch and CPRD databases". BMJ. 350: h2135. doi:10.1136/bmj.h2135. PMC 4444976. PMID 26013557.
- ^ a b c Plu-Bureau G, Maitrot-Mantelet L, Hugon-Rodin J, Canonico M (February 2013). "Hormonal contraceptives and venous thromboembolism: an epidemiological update".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7 (1): 25–34. doi:10.1016/j.beem.2012.11.002. PMID 23384743.
- ^ a b Connors JM, Middeldorp S (November 2019). "Transgender patients and the role of the coagulation clinician". J. Thromb. Haemost. 17 (11): 1790–1797. doi:10.1111/jth.14626. PMID 31465627. S2CID 201673648.
- ^ Oedingen C, Scholz S, Razum O (May 2018).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on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The role of the progestogen type and estrogen dose". Thromb. Res. 165: 68–78. doi:10.1016/j.thromres.2018.03.005. PMID 29573722.
- ^ Dragoman MV, Tepper NK, Fu R, Curtis KM, Chou R, Gaffield ME (June 2018).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venous thrombosis risk among users of combined oral contraception". Int J Gynaecol Obstet. 141 (3): 287–294. doi:10.1002/ijgo.12455. PMC 5969307. PMID 29388678.
- ^ Batur P, Casey PM (February 2017). "Drospirenone Litigation: Does the Punishment Fit the Crime?". J Womens Health (Larchmt). 26 (2): 99–102. doi:10.1089/jwh.2016.6092. PMID 27854556.
- ^ a b c Sitruk-Ware R (November 2016). "Hormonal contraception and thrombosis". Fertil. Steril. 106 (6): 1289–1294. doi:10.1016/j.fertnstert.2016.08.039. PMID 27678035.
- ^ a b Nelson AL (2015). "An update on new orally administered contraceptives for women". Expert Opin Pharmacother. 16 (18): 2759–72. doi:10.1517/14656566.2015.1100173. PMID 26512437. S2CID 207481206.
- ^ Farris M, Bastianelli C, Rosato E, Brosens I, Benagiano G (October 2017). "Pharmacodynamics of combined estrogen-progestin oral contraceptives: 2. effects on hemostasis". Expert Rev Clin Pharmacol. 10 (10): 1129–1144. doi:10.1080/17512433.2017.1356718. PMID 28712325. S2CID 205931204.
- ^ a b Fruzzetti F, Cagnacci A (2018). "Venous thrombosis and hormonal contraception: what's new with estradiol-based hormonal contraceptives?". Open Access J Contracept. 9: 75–79. doi:10.2147/OAJC.S179673. PMC 6239102. PMID 30519125.
- ^ a b Grandi G, Facchinetti F, Bitzer J (August 2017). "Estradiol in hormonal contraception: real evolution or just same old wine in a new bottle?".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22 (4): 245–246. doi:10.1080/13625187.2017.1372571. PMID 2890253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Stanczyk FZ, Hapgood JP, Winer S, Mishell DR (April 2013). "Progestogens used in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differences in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tracellular actions, and clinical effects". Endocr. Rev. 34 (2): 171–208. doi:10.1210/er.2012-1008. PMC 3610676. PMID 23238854.
- ^ a b c Canonico M, Plu-Bureau G, Scarabin PY (December 2011). "Progestogens and venous thromboembolism among postmenopausal women using hormone therapy" (PDF). Maturitas. 70 (4): 354–60. doi:10.1016/j.maturitas.2011.10.002. PMID 22024394.
- ^ Stevenson JC, Panay N, Pexman-Fieth C (September 2013). "Oral estradiol and dydrogesterone combination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review of efficacy and safety". Maturitas. 76 (1): 10–21. doi:10.1016/j.maturitas.2013.05.018. PMID 23835005.
Dydrogesterone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VTE associated with oral estrogen (odds ratio (OR) 0.9, 95% CI 0.4–2.3). Other progestogens (OR 3.9, 95% CI 1.5–10.0) were found to further increase the risk of VTE associated with oral estrogen (OR 4.2, 95% CI 1.5–11.6).
- ^ Schneider C, Jick SS, Meier CR (October 2009). "Risk of cardiovascular outcomes in users of estradiol/dydrogesterone or other HRT preparations". Climacteric. 12 (5): 445–53. doi:10.1080/13697130902780853. PMID 19565370. S2CID 45890629.
- ^ a b c d e f g h i Davey DA (March 2018). "Menopausal hormone therapy: a better and safer future". Climacteric. 21 (5): 454–461. doi:10.1080/13697137.2018.1439915. PMID 29526116. S2CID 3850275.
- ^ a b c d e Goldstein Z, Khan M, Reisman T, Safer JD (2019). "Managing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transgender adults undergoing hormone therapy". J Blood Med. 10: 209–216. doi:10.2147/JBM.S166780. PMC 6628137. PMID 31372078.
- ^ Roach RE, Lijfering WM, Helmerhorst FM, Cannegieter SC, Rosendaal FR, van Hylckama Vlieg A (January 2013). "The risk of venous thrombosis in women over 50 years old using oral contraception or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J. Thromb. Haemost. 11 (1): 124–31. doi:10.1111/jth.12060. PMID 23136837. S2CID 22306721.
- ^ a b c Odlind V, Milsom I, Persson I, Victor A (June 2002). "Can changes in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predict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with combined oral contraceptive pills?". Acta Obstet Gynecol Scand. 81 (6): 482–90. doi:10.1034/j.1600-0412.2002.810603.x. PMID 12047300. S2CID 26054257.
- ^ Raps M, Helmerhorst F, Fleischer K, Thomassen S, Rosendaal F, Rosing J, Ballieux B, VAN Vliet H (June 2012).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s a marker for the thrombotic risk of hormonal contraceptives". J. Thromb. Haemost. 10 (6): 992–7. doi:10.1111/j.1538-7836.2012.04720.x. PMID 22469296. S2CID 20803995.
- ^ Christin-Maitre, Sophie (2016). "Risque cardiovasculaire de la contraception hormonale chez la femme" [Cardiovacular risk of hormonal contraception in women]. Bulletin de l'Académie Nationale de Médecine. 200 (7): 1485–1496. doi:10.1016/S0001-4079(19)30619-3. ISSN 0001-4079.
- ^ Stephen J. Winters; Ilpo T. Huhtaniemi (25 April 2017). Male Hypogonadism: Basic, Clinical and Therapeutic Principles. Humana Press. pp. 307–. ISBN 978-3-319-53298-1.
- ^ Notelovitz M (March 2006). "Clinical opinion: the biologic and pharmacologic principles of estrogen therapy for symptomatic menopause". MedGenMed. 8 (1): 85. PMC 1682006. PMID 16915215.
- ^ Goodman MP (February 2012). "Are all estrogens created equal? A review of oral vs. transdermal therapy". J Womens Health (Larchmt). 21 (2): 161–9. doi:10.1089/jwh.2011.2839. PMID 22011208.
- ^ a b Stege R, Carlström K, Collste L, Eriksson A, Henriksson P, Pousette A (1988). "Single drug polyestradiol phosphate therapy in prostatic cancer". Am. J. Clin. Oncol. 11 Suppl 2: S101–3. doi:10.1097/00000421-198801102-00024. PMID 3242384. S2CID 32650111.
- ^ a b von Schoultz B, Carlström K, Collste L, Eriksson A, Henriksson P, Pousette A, Stege R (1989). "Estrogen therapy and liver function--metabolic effects of oral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Prostate. 14 (4): 389–95. doi:10.1002/pros.2990140410. PMID 2664738. S2CID 21510744.
- ^ Ottosson UB, Carlström K, Johansson BG, von Schoultz B (1986). "Estrogen induction of liver proteins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mparison between estradiol valerate and ethinyl estradiol". Gynecol. Obstet. Invest. 22 (4): 198–205. doi:10.1159/000298914. PMID 3817605.
- ^ Fruzzetti F, Trémollieres F, Bitzer J (May 2012). "An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combined oral contraceptives containing estradiol: focus on estradiol valerate/dienogest". Gynecol. Endocrinol. 28 (5): 400–8. doi:10.3109/09513590.2012.662547. PMC 3399636. PMID 22468839.
- ^ Tangpricha V, den Heijer M (April 2017). "Oestrogen and anti-androgen therapy for transgender women". Lancet Diabetes Endocrinol. 5 (4): 291–300. doi:10.1016/S2213-8587(16)30319-9. PMC 5366074. PMID 27916515.
- ^ Weinand JD, Safer JD (June 2015). "Hormone therapy in transgender adults is safe with provider supervision; A review of hormone therapy sequelae for transgender individuals". J Clin Transl Endocrinol. 2 (2): 55–60. doi:10.1016/j.jcte.2015.02.003. PMC 5226129. PMID 28090436.
- ^ Price, Suzanne; McManus, Joanne; Barrett, James (2019). "The transgender population: improving awareness for gynaecologists and their role in the provision of care". The Obstetrician & Gynaecologist. 21 (1): 11–20. doi:10.1111/tog.12521. ISSN 1467-2561.
- ^ Asscheman, Henk; Gooren, Louis J.G. (1993). "Hormone Treatment in Transsexuals". Journal of Psychology & Human Sexuality. 5 (4): 39–54. doi:10.1300/J056v05n04_03. ISSN 0890-7064.
- ^ Hembree WC, Cohen-Kettenis PT, Gooren L, Hannema SE, Meyer WJ, Murad MH, Rosenthal SM, Safer JD, Tangpricha V, T'Sjoen GG (December 2017). "Endocrine Treatment of Gender-Dysphoric/Gender-Incongruent Persons: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Endocr Pract. 23 (12): 1437. doi:10.4158/1934-2403-23.12.1437. PMID 29320642.
- ^ Prentice RL, Anderson GL (2008).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lessons learned". Annu Rev Public Health. 29: 131–50. doi:10.1146/annurev.publhealth.29.020907.090947. PMID 18348708.
- ^ Prentice RL (November 2014).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the risks of coronary heart disease, breast cancer, and stroke". Semin. Reprod. Med. 32 (6): 419–25. doi:10.1055/s-0034-1384624. PMC 4212810. PMID 25321418.
- ^ Bassuk, Shari S.; Manson, JoAnn E. (2008). "Women's Health Initiative Hormone Therapy Trials". Wiley Encyclopedia of Clinical Trials. doi:10.1002/9780471462422.eoct391. ISBN 978-0471462422.
- ^ a b c d e Hermsmeyer RK, Thompson TL, Pohost GM, Kaski JC (July 2008). "Cardiovascular effects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and progesterone: a case of mistaken identity?". Nat Clin Pract Cardiovasc Med. 5 (7): 387–95. doi:10.1038/ncpcardio1234. PMID 18521110. S2CID 39945411.
- ^ Sitruk-Ware R, El-Etr M (August 2013). "Progesterone and related progestins: potential new health benefits". Climacteric. 16 Suppl 1: 69–78. doi:10.3109/13697137.2013.802556. PMID 23647429. S2CID 25447915.
- ^ Nath A, Sitruk-Ware R (2009). "Different cardiovascular effects of progestins according to structure and activity". Climacteric. 12 Suppl 1: 96–101. doi:10.1080/13697130902905757. PMID 19811251. S2CID 2987558.
- ^ Sitruk-Ware R (October 2005). "Pharmacology of different progestogens: the special case of drospirenone". Climacteric. 8 Suppl 3: 4–12. doi:10.1080/13697130500330382. PMID 16203650. S2CID 24205704.
- ^ Sitruk-Ware RL (October 2003). "Hormone therapy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the critical role of progestins". Climacteric. 6 Suppl 3: 21–8. PMID 15018245.
- ^ Boardman, Henry M. P.; Hartley, Louise; Eisinga, Anne; Main, Caroline; Roqué i Figuls, Marta; Bonfill Cosp, Xavier; Gabriel Sanchez, Rafael; Knight, Beatrice (2015-03-10). "Hormone therapy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CD002229. doi:10.1002/14651858.CD002229.pub4. ISSN 1469-493X. PMID 25754617.
- ^ a b Jiang Y, Tian W (November 2017). "The effects of progesterones on blood lipids i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Lipids Health Dis. 16 (1): 219. doi:10.1186/s12944-017-0612-5. PMC 5697110. PMID 29157280.
- ^ Nath A, Sitruk-Ware R (April 2009). "Parenteral administration of progestins for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14 (2): 88–96. doi:10.1080/13625180902747425. PMID 19340703. S2CID 43025098.
- ^ a b c d e f g h i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September 2019). "Type and timing of 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breast cancer risk: individual participant meta-analysis of the worldwide epidemiological evidence". Lancet. 394 (10204): 1159–1168. doi:10.1016/S0140-6736(19)31709-X. PMC 6891893. PMID 31474332.
- ^ a b c d e f Yang Z, Hu Y, Zhang J, Xu L, Zeng R, Kang D (2017). "Estradiol therapy and breast cancer risk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ynecol. Endocrinol. 33 (2): 87–92. doi:10.1080/09513590.2016.1248932. PMID 27898258. S2CID 205631264.
- ^ a b Lambrinoudaki I (2014). "Progestogens in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Maturitas. 77 (4): 311–7. doi:10.1016/j.maturitas.2014.01.001. PMID 24485796.
- ^ Beral V, Peto R, Pirie K, Reeves G (September 2019). "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20-year breast cancer mortality". Lancet. 394 (10204): 1139. doi:10.1016/S0140-6736(19)32033-1. PMID 31474331.
- ^ Stanczyk FZ, Bhavnani BR (July 2014). "Use of medroxyprogesterone acetate for hormone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is it safe?". J. Steroid Biochem. Mol. Biol. 142: 30–8. doi:10.1016/j.jsbmb.2013.11.011. PMID 24291402. S2CID 22731802.
- ^ a b c Sturdee DW (August 2013). "Are progestins really necessary as part of a combined HRT regimen?". Climacteric. 16 Suppl 1: 79–84. doi:10.3109/13697137.2013.803311. PMID 23651281. S2CID 21894200.
- ^ Mirkin S (August 2018). "Evidence on the use of progesterone in menopausal hormone therapy". Climacteric. 21 (4): 346–354. doi:10.1080/13697137.2018.1455657. PMID 29630427.
- ^ a b c d Kuhl H, Schneider HP (August 2013). "Progesterone – promoter or inhibitor of breast cancer". Climacteric. 16 Suppl 1: 54–68. doi:10.3109/13697137.2013.768806. PMID 23336704. S2CID 20808536.
- ^ a b c de Blok CJ, Wiepjes CM, Nota NM, van Engelen K, Adank MA, Dreijerink KM, Barbé E, Konings IR, den Heijer M (May 2019). "Breast cancer risk in transgender people receiving hormone treatment: nationwide cohort study in the Netherlands". BMJ. 365: l1652. doi:10.1136/bmj.l1652. PMC 6515308. PMID 31088823.
- ^ a b c de Blok CJ, Dreijerink KM, den Heijer M (June 2019). "Cancer Risk in Transgender People".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48 (2): 441–452. doi:10.1016/j.ecl.2019.02.005. PMID 31027551.
- ^ a b c Feingold KR, Anawalt B, Boyce A, Chrousos G, Dungan K, Grossman A, Hershman JM, Kaltsas G, Koch C, Kopp P, Korbonits M, McLachlan R, Morley JE, New M, Perreault L, Purnell J, Rebar R, Singer F, Trence DL, Vinik A, Wilson DP, Nota NM, den Heijer M, Gooren LJ (2000). "Evaluation and Treatment of Gender-Dysphoric/Gender Incongruent Adults". MDText.com. PMID 31343858.
{{cite journal}}
: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a b c Iwamoto SJ, Defreyne J, Rothman MS, Van Schuylenbergh J, Van de Bruaene L, Motmans J, T'Sjoen G (2019). "Health considerations for transgender women and remaining unknowns: a narrative review". Ther Adv Endocrinol Metab. 10: 2042018819871166. doi:10.1177/2042018819871166. PMC 6719479. PMID 31516689.
- ^ Jacobsen BM, Horwitz KB (2012). "Progesterone receptors, their isoforms and progesterone regulated transcription". Mol. Cell. Endocrinol. 357 (1–2): 18–29. doi:10.1016/j.mce.2011.09.016. PMC 3272316. PMID 21952082.
- ^ Scarpin KM, Graham JD, Mote PA, Clarke CL (2009). "Progesterone action in human tissues: regulation by progesterone receptor (PR) isoform expression, nuclear positioning and coregulator expression". Nucl Recept Signal. 7: e009. doi:10.1621/nrs.07009. PMC 2807635. PMID 20087430.
- ^ Thomas P, Pang Y (2012). "Membrane progesterone receptors: evidence for neuroprotective, neurosteroid signaling and neuroendocrine functions in neuronal cells". Neuroendocrinology. 96 (2): 162–71. doi:10.1159/000339822. PMC 3489003. PMID 22687885.
- ^ Petersen SL, Intlekofer KA, Moura-Conlon PJ, Brewer DN, Del Pino Sans J, Lopez JA (2013). "Novel progesterone receptors: neural localization and possible functions". Frontiers in Neuroscience. 7: 164. doi:10.3389/fnins.2013.00164. PMC 3776953. PMID 24065878.
- ^ Gompel A, Plu-Bureau G (August 2018). "Progesterone, progestins and the breast in menopause treatment". Climacteric. 21 (4): 326–332. doi:10.1080/13697137.2018.1476483. PMID 29852797. S2CID 46922084.
- ^ Schindler AE, Campagnoli C, Druckmann R, Huber J, Pasqualini JR, Schweppe KW, Thijssen JH (December 2003). "Classification and pharmacology of progestins". Maturitas. 46 Suppl 1: S7–S16. doi:10.1016/j.maturitas.2003.09.014. PMID 14670641.
- ^ Kuhl H (2011). "Pharmacology of Progestogens" (PDF). J Reproduktionsmed Endokrinol. 8 (1): 157–177.
- ^ Kuhl H (2005).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PDF). Climacteric. 8 Suppl 1: 3–63. doi:10.1080/13697130500148875. PMID 16112947.
- ^ Lauritzen C (September 1990). "Clinical use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Maturitas. 12 (3): 199–214. doi:10.1016/0378-5122(90)90004-P. PMID 2215269.
- ^ Kuhl H (September 1990). "Pharmacokinetics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Maturitas. 12 (3): 171–97. doi:10.1016/0378-5122(90)90003-o. PMID 2170822.
- ^ Knörr K, Knörr-Gärtner H, Beller FK, Lauritzen C (8 March 2013). Geburtshilfe und Gynäkologie: Physiologie und Pathologie der Reproduktion. Springer-Verlag. pp. 583–. ISBN 978-3-642-95583-9.
- ^ Knörr K, Beller FK, Lauritzen C (17 April 2013). Lehrbuch der Gynäkologie. Springer-Verlag. pp. 214–. ISBN 978-3-662-00942-0.
- ^ Horský, Jan; Presl, Jiří (1981). "Hormonal Treatment of Disorders of the Menstrual Cycle". In J. Horsky; J. Presl (eds.). Ovarian Function and its Disorders: Diagnosis and Thera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09–332. doi:10.1007/978-94-009-8195-9_11. ISBN 978-94-009-8195-9.
- ^ Ferin J (September 1972). "Orally Active Progestational Compounds. Human Studies: Effects on the Utero-Vaginal Tract". In M. Tausk (ed.). Pharmacology of the Endocrine System and Related Drugs: Progesterone, Progestational Drugs and Antifertility Agents. Vol. II. Pergamon Press. pp. 245–273. ISBN 978-0080168128. OCLC 278011135.
- ^ Freimut A. Leidenberger; Thomas Strowitzki; Olaf Ortmann (29 August 2009). Klinische Endokrinologie für Frauenärzte. Springer-Verlag. pp. 225, 227. ISBN 978-3-540-89760-6.
- ^ Neumann F, Düsterberg B (1998). "Entwicklung auf dem Gebiet der Gestagen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progestogens]. Reproduktionsmedizin. 14 (4): 257–264. doi:10.1007/s004440050042. ISSN 1434-6931.
- ^ Hammerstein, J. (1990). "Antiandrogens: Clinical Aspects". Hair and Hair Diseases. pp. 827–886. doi:10.1007/978-3-642-74612-3_35.
- ^ Willibald Pschyrembel (1968). Praktische Gynäkologie: für Studierende und Ärzte. Walter de Gruyter. p. 599. ISBN 978-3-11-150424-7.
- ^ Ufer, Joachim (1968). "Die therapeutische Anwendung der Gestagene beim Menschen" [Therapeutic Use of Progestagens in Humans]. Die Gestagene [Progestogens]. Springer-Verlag. pp. 1026–1124. doi:10.1007/978-3-642-99941-3_7. ISBN 978-3-642-99941-3.
Zur Transformation des Endometriums benotigten sie 200-400 mg [ethisterone] pro Cyclus und postulierten eine etwa sechsfach schwachere Wirkung gegenuber dem Progesteron i.m. appliziert.
- ^ a b Endrikat J, Gerlinger C, Richard S, Rosenbaum P, Düsterberg B (December 2011). "Ovulation inhibition doses of progesti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available literature and of marketed preparations worldwide". Contraception. 84 (6): 549–57. doi:10.1016/j.contraception.2011.04.009. PMID 22078182.
Table 1 Publications on ovulation inhibition doses of progestins: Progestin: Progesterone. Reference: Pincus (1956). Method: Urinary Pdiol. Daily dose (mg): 300.000. Total number of cycles in all subjects: 61. Total number of ovulation in all subjects: 30. % of ovulation in all subjects: 49.
- ^ Milan Rastislav Henzl; John A. Edwards (10 November 1999). "Pharmacology of Progestins: 17α-Hydroxyprogesterone Derivatives and Progestins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In Régine Sitruk-Ware; Daniel R. Mishell (eds.). Progestins and Antiprogestins in Clinical Practice. Taylor & Francis. pp. 101–132. ISBN 978-0-8247-8291-7.
- ^ Kopera, Hans (1991). "Hormone der Gonaden". Hormonelle Therapie für die Frau. pp. 59–124. doi:10.1007/978-3-642-95670-6_6. ISBN 978-3-642-95670-6. ISSN 0172-777X.
- ^ IARC Work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07). "Annex 2: Composition of Oral and Injectable Estrogen–Progestogen Contraceptives".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Contraceptives and Combined Estrogen-progestogen Menopausal Therapy. World Health Organization. pp. 431–464. ISBN 978-92-832-1291-1.
- ^ Lobo, Rogerio A.; Stanczyk, Frank Z. (1994). "New knowledge in the physiology of hormonal contraceptiv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70 (5): 1499–1507. doi:10.1016/S0002-9378(12)91807-4. ISSN 0002-9378.
- ^ Henzl, Milan R. (1986). "Contraceptive Hormones and their Clinical Use". In Samuel S. C. Yen; Robert B. Jaffe (eds.).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Saunders. pp. 643–682. ISBN 978-0-7216-9630-0.
- ^ Ostergaard E (February 1965). "The oral progestational and anti-ovulatory properties of megestrol acetate and its therapeutic use in gynaecological disorders". J Obstet Gynaecol Br Emp. 72 (1): 45–48. doi:10.1111/j.1471-0528.1965.tb01372.x. PMID 12332461.
The anti-ovulatory properties of megestrol acetate 5 mg. plus Mestranol 0.1 mg. were demonstrated in thirty-five women by direct inspection of the ovaries. When given alone, megestrol acetate 5 mg. or Mestranol 0.1 mg. did not prevent ovulation in all cases.
- ^ Schacter L, Rozencweig M, Canetta R, Kelley S, Nicaise C, Smaldone L (March 1989). "Megestrol acetate: clinical experience". Cancer Treat. Rev. 16 (1): 49–63. doi:10.1016/0305-7372(89)90004-2. PMID 2471590.
At 0.25 mg/day MA has no apparent effect on the histology of the endometrium and is not effective as a contraceptive (53). However, at doses of 0.35 and 0.5 mg/day the drug is an effective contraceptive (10). At the 0.5 mg/day dose MA does not inhibit ovulation but does reduce sperm motility in post-coital tests (68).
- ^ Vessey, M.P.; Mears, Eleanor; Andolšek, Lidija; Ogrinc-Oven, Majda (1972). "Randomised double-blind trial of four oral progestagen-only contraceptives". The Lancet. 299 (7757): 915–922. doi:10.1016/S0140-6736(72)91492-4. ISSN 0140-6736.
- ^ Aufrère MB, Benson H (June 1976). "Progesterone: an overview and recent advances". J Pharm Sci. 65 (6): 783–800. doi:10.1002/jps.2600650602. PMID 945344.
Early studies on its use as an oral contraceptive showed that, at 300 mg/day (5th to 25th day of the menstrual cycle), progesterone was effective in preventing ovulation through four cycles (263). The related effect of larger doses of progesterone on gonadotropin excretion also has been investigated. Rothchild (264) found that continuous or intermittent intravenously administered progesterone (100-400 mg/day) for 10 days depressed the total amount of gonadotropin excreted into the urine. However, Paulsen et al. (265) found that oral progesterone at 1000 mg/day for 87 day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rinary gonadotropin excretion. The efficacy of progesterone as an oral contraceptive was never fully tested, because synthetic progestational agents, which were orally effective, were available.
- ^ Pincus G (December 1958). "The hormonal control of ovulation and early development". Postgrad Med. 24 (6): 654–60. doi:10.1080/00325481.1958.11692305. PMID 13614060.
Table 1: Effects of oral progesterone on three indexes of ovulation: Medication: Progesterone. Number: 69. Mean cycle length: 25.5 ± 0.59. Per cent positive for ovulation by: Basal temperature: 27. Endometrial biopsy: 18. Vaginal smear: 6. [...] we settled on 300 mg. per day [oral progersterone] as a significantly effective [ovulation inhibition] dosage, and this was administered from the fifth day through the twenty-fourth day of the menstrual cycle. [...] We observed each of 33 volunteer subjects during a control, nontreatment cycle and for one to three successive cycles of medica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control cycle. As indexes of the occurrence of ovulation, daily basal temperatures and vaginal smears were taken, and at the nineteenth to twenty-second day of the cycle an endometrial biopsy. [...] Although we thus demonstrated the ovulation-inhibiting activity of progesterone in normally ovulating women, oral progesterone medication had two disadvantages: ( l) the large daily dosage ( 300 mg.) which presumably would have to be even larger if one sought 100 per cent inhibition1 [...]
- ^ Pincus G (1956). "Some effects of progesterone and related compounds upon reproduction and early development in mammals". Acta Endocrinol Suppl (Copenh). 23 (Suppl 28): 18–36. doi:10.1530/acta.0.023S018. PMID 13394044.
- ^ Stone, Abraham; Kupperman, Herbert S. (1955). "The Effects of Progesterone on Ovulation: A Preliminary Report".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lanned Parenthood: Theme, Over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Report of the Proceedings, 24-29 October, 1955, Tokyo, Japan. International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p. 185.
- ^ S. Beier; B. Düsterberg; M. F. El Etreby; W. Elger; F. Neumann; Y. Nishino (1983). "Toxicology of Hormonal Fertility Regulating Agents". In Giuseppe Benagiano; Egon Diczfalusy (eds.). Endocrine Mechanisms in Fertility Regulation. Raven Press. pp. 261–346. ISBN 978-0-89004-464-3.
- ^ Knörr K, Beller FK, Lauritzen C (17 April 2013). Lehrbuch der Gynäkologie. Springer-Verlag. pp. 214–. ISBN 978-3-662-00942-0.
- ^ Knörr K, Knörr-Gärtner H, Beller FK, Lauritzen C (8 March 2013). Geburtshilfe und Gynäkologie: Physiologie und Pathologie der Reproduktion. Springer-Verlag. pp. 583–. ISBN 978-3-642-95583-9.
- ^ A. Labhart (6 December 2012). Clinical Endocrinology: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554–. ISBN 978-3-642-96158-8.
- ^ Horský J, Presl J (1981). "Hormonal Treatment of Disorders of the Menstrual Cycle". In Horsky J, Presl K (eds.). Ovarian Function and its Disorders: Diagnosis and Thera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09–332. doi:10.1007/978-94-009-8195-9_11. ISBN 978-94-009-8195-9.
- ^ Joachim Ufer (1969).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Hormone Therapy in Gynaecology and Obstetrics. de Gruyter. p. 49.
17α-Hydroxyprogesterone caproate is a depot progestogen which is entirely free of side actions. The dose required to induce secretory changes in primed endometrium is about 250 mg. per menstrual cycle.
- ^ Willibald Pschyrembel (1968). Praktische Gynäkologie: für Studierende und Ärzte. Walter de Gruyter. pp. 598, 601. ISBN 978-3-11-150424-7.
- ^ Ferin J (September 1972). "Effects, Duration of Action and Metabolism in Man". In Tausk M (ed.). Pharmacology of the Endocrine System and Related Drugs: Progesterone, Progestational Drugs and Antifertility Agents. Vol. II. Pergamon Press. pp. 13–24. ISBN 978-0080168128. OCLC 278011135.
- ^ Henzl MR, Edwards JA (10 November 1999). "Pharmacology of Progestins: 17α-Hydroxyprogesterone Derivatives and Progestins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In Sitruk-Ware R, Mishell DR (eds.). Progestins and Antiprogestins in Clinical Practice. Taylor & Francis. pp. 101–132. ISBN 978-0-8247-8291-7.
- ^ Janet Brotherton (1976). Sex Hormone Pharmacology. Academic Press. p. 114. ISBN 978-0-12-137250-7.
- ^ Sang GW (April 1994). "Pharmacodynamic effects of once-a-month combined injectable contraceptives". Contraception. 49 (4): 361–85. doi:10.1016/0010-7824(94)90033-7. PMID 8013220.
- ^ Toppozada MK (April 1994). "Existing once-a-month combined injectable contraceptives". Contraception. 49 (4): 293–301. doi:10.1016/0010-7824(94)90029-9. PMID 8013216.
- ^ Bagade O, Pawar V, Patel R, Patel B, Awasarkar V, Diwate S (2014). "Increasing use of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on: safe, reliable, and cost-effective birth control" (PDF). World J Pharm Pharm Sci. 3 (10): 364–392. ISSN 2278-43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7-08-10. Retrieved 2016-08-24.
- ^ Goebelsmann U (1986). "Pharmacokinetics of Contraceptive Steroids in Humans". In Gregoire AT, Blye RP (eds.). Contraceptive Steroids: Pharmacology and Safe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67–111. doi:10.1007/978-1-4613-2241-2_4. ISBN 978-1-4613-2241-2.
- ^ Becker H, Düsterberg B, Klosterhalfen H (1980). "[Bioavailability of cyproterone acetate after oral and intramuscular application in men (author's transl)]" [Bioavailability of Cyproterone Acetate after Oral and Intramuscular Application in Men]. Urologia Internationalis. 35 (6): 381–5. doi:10.1159/000280353. PMID 6452729.
- ^ Moltz L, Haase F, Schwartz U, Hammerstein J (May 1983). "[Treatment of virilized women with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cyproterone acetate]" [Efficacy of Intra muscularly Applied Cyproterone Acetate in Hyperandrogenism]. Geburtshilfe Und Frauenheilkunde. 43 (5): 281–7. doi:10.1055/s-2008-1036893. PMID 6223851.
- ^ Wright JC, Burgess DJ (29 January 2012). Long Acting Injections and Impla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114–. ISBN 978-1-4614-0554-2.
- ^ Chu YH, Li Q, Zhao ZF (April 1986). "Pharmacokinetics of megestrol acetate in women receiving IM injection of estradiol-megestrol long-acting injectable contraceptive". The Chinese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injectio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MA increased rapidly. The meantime of peak plasma MA level was 3rd day,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log of plasma MA concentration and time (day) after administration in all subjects, elimination phase half-life t1/2β = 14.35 ± 9.1 days.
- ^ Runnebaum BC, Rabe T, Kiesel L (6 December 2012). Female Contraception: Update and Trend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429–. ISBN 978-3-642-73790-9.
- ^ Artini PG, Genazzani AR, Petraglia F (11 December 2001). Advances in Gynecological Endocrinology. CRC Press. pp. 105–. ISBN 978-1-84214-071-0.
- ^ King TL, Brucker MC, Kriebs JM, Fahey JO (21 October 2013). Varney's Midwifery. Jones & Bartlett Publishers. pp. 495–. ISBN 978-1-284-02542-2.
- ^ de Lignières B, Silberstein S (April 2000). "Pharmacodynamics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Cephalalgia: A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dache. 20 (3): 200–7. doi:10.1046/j.1468-2982.2000.00042.x. PMID 10997774. S2CID 40392817.
- ^ Chassard D, Schatz B (2005). "[The antigonadrotropic activity of chlormadinone acetate in reproductive women]". Gynécologie, Obstétrique & Fertilité (in French). 33 (1–2): 29–34. doi:10.1016/j.gyobfe.2004.12.002. PMID 15752663.
- ^ a b Brady BM, Anderson RA, Kinniburgh D, Baird DT (April 2003). "Demonstration of progesterone receptor-mediated gonadotrophin suppression in the human male". Clinical Endocrinology. 58 (4): 506–12. doi:10.1046/j.1365-2265.2003.01751.x. PMID 12641635. S2CID 12567639.
- ^ Neumann F (1978). "The physiological action of progesterone and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ogestogens--a short review".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54 Suppl 2: 11–24. PMID 368741.
- ^ Wein AJ, Kavoussi LR, Novick AC, Partin AW, Peters CA (25 August 2011). Campbell-Walsh Urology: Expert Consult Premium Edition: Enhanced Online Features and Print, 4-Volume Set. Elsevier Health Sciences. pp. 2938–. ISBN 978-1-4160-6911-9.
- ^ Kjeld JM, Puah CM, Kaufman B, Loizou S, Vlotides J, Gwee HM, Kahn F, Sood R, Joplin GF (1979). "Effects of norgestrel and ethinyloestradiol ingestion on serum levels of sex hormones and gonadotrophins in men". Clinical Endocrinology. 11 (5): 497–504. doi:10.1111/j.1365-2265.1979.tb03102.x. PMID 519881. S2CID 5836155.
- ^ Urotext (1 January 2001). Urotext-Luts: Urology. Urotext. pp. 71–. ISBN 978-1-903737-03-3.
- ^ Jacobi GH, Altwein JE, Kurth KH, Basting R, Hohenfellner R (1980). "Treatment of advanced prostatic cancer with parenteral cyproterone acetate: a phase III randomised trial". Br J Urol. 52 (3): 208–15. doi:10.1111/j.1464-410x.1980.tb02961.x. PMID 7000222.
- ^ a b c J. Horsky; J. Presl (6 December 2012). Ovarian Function and its Disorders: Diagnosis and Thera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29–. ISBN 978-94-009-8195-9.
- ^ Bullock, Leslie P.; Bardin, C. W. (1977). "Androgenic, Synandrogenic, and Antiandrogenic Actions of Progestin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86 (1 Biochemical A): 321–330. Bibcode:1977NYASA.286..321B. doi:10.1111/j.1749-6632.1977.tb29427.x. ISSN 0077-8923. PMID 281183. S2CID 33611807.
- ^ a b c Darney, Philip D. (1995). "The androgenicity of progestin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98 (1): S104–S110. doi:10.1016/S0002-9343(99)80067-9. ISSN 0002-9343. PMID 7825629.
- ^ Campagnoli, Carlo; Clavel-Chapelon, Françoise; Kaaks, Rudolf; Peris, Clementina; Berrino, Franco (2005). "Progestins and progesterone i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The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96 (2): 95–108. doi:10.1016/j.jsbmb.2005.02.014. ISSN 0960-0760. PMC 1974841. PMID 15908197.
- ^ Kenneth Hugdahl; René Westerhausen (2010). The Two Halves of the Brain: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Cerebral Hemispheres. MIT Press. pp. 272–. ISBN 978-0-262-01413-7.
- ^ a b Schindler AE, Campagnoli C, Druckmann R, Huber J, Pasqualini JR, Schweppe KW, Thijssen JH (December 2003). "Classification and pharmacology of progestins". Maturitas. 46 Suppl 1: S7–S16. doi:10.1016/j.maturitas.2003.09.014. PMID 14670641.
- ^ a b c David A. Williams; William O. Foye; Thomas L. Lemke (January 2002).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700–. ISBN 978-0-683-30737-5.
- ^ a b c Ricardo Azziz (8 November 2007). Androgen Excess Disorders in Wome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124–. ISBN 978-1-59745-179-6.
- ^ a b P. J. Bentley (1980). Endocrine Pharmacology: Physiological Basi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CUP Archive. pp. 4–. ISBN 978-0-521-22673-8.
- ^ Sengupta (1 January 2007). Gynaecology For Postgraduate And Practitioners. Elsevier India. pp. 137–. ISBN 978-81-312-0436-8.
- ^ Ferin, J. (1962). "Artificial Induction of Hypoestrogenic Amenorrhea with Methylestrenolone, or with Lynestrenol".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39 (1): 47–67. doi:10.1530/acta.0.0390047. ISSN 0804-4643. PMID 13892354.
- ^ Saunders, Francis J.; Drill, Victor A. (1956). "The Myotrophic and Androgenic Effects of 17-Ethyl-19-nortestosterone and Related Compounds". Endocrinology. 58 (5): 567–572. doi:10.1210/endo-58-5-567. ISSN 0013-7227. PMID 13317831.
- ^ a b c Armen H. Tashjian; Ehrin J. Armstrong (21 July 2011). Principles of Pharmacology: The Pathophysiologic Basis of Drug Therap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523–. ISBN 978-1-4511-1805-6.
- ^ de Gooyer, Marcel E; Deckers, Godefrides H; Schoonen, Willem G.E.J; Verheul, Herman A.M; Kloosterboer, Helenius J (2003). "Receptor profiling and endocrine interactions of tibolone". Steroids. 68 (1): 21–30. doi:10.1016/S0039-128X(02)00112-5. ISSN 0039-128X. PMID 12475720. S2CID 40426061.
[Norethisterone] has similar and [norethynodrel] weaker androgenic effects compared to tibolone.
- ^ Raynaud JP, Ojasoo T (1986). "The design and use of sex-steroid antagonists". J. Steroid Biochem. 25 (5B): 811–33. doi:10.1016/0022-4731(86)90313-4. PMID 3543501.
Similar androgenic potential is inherent to norethisterone and its prodrugs (norethisterone acetate, ethynodiol diacetate, lynestrenol, norethynodrel, quingestanol).
- ^ a b Chaudhuri (1 January 2007). Practice Of Fertility Control: A Comprehensive Manual (7Th ed.). Elsevier India. pp. 122–. ISBN 978-81-312-1150-2.
- ^ Kuhl H (1996). "Comparative pharmacology of newer progestogens". Drugs. 51 (2): 188–215. doi:10.2165/00003495-199651020-00002. PMID 8808163. S2CID 1019532.
- ^ Stefan Offermanns; Walter Rosenthal (14 August 2008). Encyclopedia of Molecular Pharmac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91–. ISBN 978-3-540-38916-3.
- ^ Lara Marks (2001). Sexual Chemistry: A History of the Contraceptive Pill. Yale University Press. pp. 73–75, 77–78. ISBN 978-0-300-08943-1.
- ^ Korn GW (1961). "The use of norethynodrel (enovid) in clinical practice". Can Med Assoc J. 84: 584–7. PMC 1939348. PMID 13753182.
Pseudohermaphroditism should not be a problem in these patients as it appears that norethynodrel does not possess androgenic properties, but it is believed that Wilkins has now found one such case in a patient who has been on norethynodrel therapy.
- ^ de Gooyer ME, Deckers GH, Schoonen WG, Verheul HA, Kloosterboer HJ (2003). "Receptor profiling and endocrine interactions of tibolone". Steroids. 68 (1): 21–30. doi:10.1016/s0039-128x(02)00112-5. PMID 12475720. S2CID 40426061.
- ^ Ruggieri, Pietro de; Matscher, Rodolfo; Lupo, Corrado; Spazzoli, Giacomo (1965). "Biological properties of 17α-vinyl-5(10)-estrene-17β-ol-3-one (norvinodrel) as a progestational and claudogenic compound". Steroids. 5 (1): 73–91. doi:10.1016/0039-128X(65)90133-9. ISSN 0039-128X.
- ^ J. A. Simpson; E. S. C. Weiner (1997). Oxford English Dictionary Additions Series. Clarendon Press. pp. 36–. ISBN 978-0-19-860027-5.
- ^ JUCKER (8 March 2013). Fortschritte der Arzneimittelforschung / Progress in Drug Research / Progrès des recherches pharmaceutiques. Birkhäuser. pp. 166–. ISBN 978-3-0348-7053-5.
- ^ a b Annual Reports in Medicinal Chemistry. Academic Press. 8 September 1989. pp. 199–. ISBN 978-0-08-058368-6.
- ^ a b c Raudrant D, Rabe T (2003). "Progestogens with antiandrogenic properties". Drugs. 63 (5): 463–92. doi:10.2165/00003495-200363050-00003. PMID 12600226. S2CID 28436828.
- ^ Schneider HP (2003). "Androgens and antiandrogen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97 (1): 292–306. Bibcode:2003NYASA.997..292S. doi:10.1196/annals.1290.033. PMID 14644837. S2CID 8400556.
- ^ Botella, J.; Paris, J.; Lahlou, B. (1987). "The cellular mechanism of the antiandrogenic action of nomegestrol acetate, a new 19-nor progestagen, on the rat prostate". European Journal of Endocrinology. 115 (4): 544–550. doi:10.1530/acta.0.1150544. ISSN 0804-4643. PMID 3630545.
- ^ Hammerstein J (1990). "Prodrugs: advantage or disadvantage?". Am. J. Obstet. Gynecol. 163 (6 Pt 2): 2198–203. doi:10.1016/0002-9378(90)90561-K. PMID 2256526.
- ^ a b Paulsen CA, Leach RB, Lanman J, Goldston N, Maddock WO, Heller CG (1962). "Inherent estrogenicity of norethindrone and norethynodrel: comparison with other synthetic progestins and progesterone". J. Clin. Endocrinol. Metab. 22 (10): 1033–9. doi:10.1210/jcem-22-10-1033. PMID 13942007.
- ^ a b Neumann, F.; Duesterberg, B.; Laurent, H. (1988). Development of Progestogens. Female Contraception. pp. 129–140. doi:10.1007/978-3-642-73790-9_11. ISBN 978-3-642-73792-3.
- ^ a b Philip W. Harvey (28 March 1996). Adrenal in Toxicology: Target Organ and Modulator of Toxicity. CRC Press. pp. 284–. ISBN 978-0-7484-0330-1.
- ^ Alfred Cuschieri; George Hanna (20 January 2015). Essential Surgical Practice: Higher Surgical Training in General Surgery, Fifth Edition. CRC Press. pp. 899–. ISBN 978-1-4441-3763-7.
- ^ John A. Thomas (12 March 1997). Endocrine Toxicology, Second Edition. CRC Press. pp. 152–. ISBN 978-1-4398-1048-4.
- ^ Nick Panay; Paula Briggs; Gab Kovacs (20 August 2015). Managing the Menopa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26–. ISBN 978-1-107-45182-7.
- ^ Meis, Paul J. (2005). "17 Hydroxyprogesterone for the Prevention of Preterm Delivery". Obstetrics & Gynecology. 105 (5, Part 1): 1128–1135. doi:10.1097/01.AOG.0000160432.95395.8f. ISSN 0029-7844. PMID 15863556.
- ^ Kuhl H (2005).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PDF). Climacteric. 8 Suppl 1: 3–63. doi:10.1080/13697130500148875. PMID 16112947. S2CID 24616324.
- ^ Louw-du Toit R, Hapgood JP, Africander D (May 2020). "A direct comparison of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progestins used in contraception and menopausal hormone therapy via the mineralocorticoid receptor". Biochem. Biophys. Res. Commun. 526 (2): 466–471. doi:10.1016/j.bbrc.2020.03.100. PMC 7287572. PMID 32234237.
- ^ Oelkers W (2002). "Antimineralocorticoid activity of a novel oral contraceptive containing drospirenone, a unique progestogen resembling natural progesterone".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7 Suppl 3: 19–26, discussion 42–3. PMID 12659403.
- ^ Foidart JM, Faustmann T (2007). "Advances i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eight benefits of drospirenone, a 17alpha-spirolactone-derived progestogen". Gynecol. Endocrinol. 23 (12): 692–9. doi:10.1080/09513590701582323. PMID 18075844. S2CID 12572825.
- ^ Genazzani AR, Mannella P, Simoncini T (2007). "Drospirenone and its antialdosterone properties". Climacteric. 10 Suppl 1: 11–8. doi:10.1080/13697130601114891. PMID 17364593. S2CID 24872884.
- ^ Palacios S, Foidart JM, Genazzani AR (2006). "Advances i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ith drospirenone, a unique progestogen with aldosterone receptor antagonism". Maturitas. 55 (4): 297–307. doi:10.1016/j.maturitas.2006.07.009. PMID 16949774.
- ^ Blanton MP, Xie Y, Dangott LJ, Cohen JB (February 1999). "The steroid promegestone is a noncompetitive antagonist of the Torpedo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that interacts with the lipid-protein interface". Mol. Pharmacol. 55 (2): 269–78. doi:10.1124/mol.55.2.269. PMID 9927618. S2CID 491327.
- ^ a b Neubauer H, Ma Q, Zhou J, Yu Q, Ruan X, Seeger H, Fehm T, Mueck AO (October 2013). "Possible role of PGRMC1 in breast cancer development". Climacteric. 16 (5): 509–13. doi:10.3109/13697137.2013.800038. PMID 23758160. S2CID 29808177.
- ^ Ruan X, Neubauer H, Yang Y, Schneck H, Schultz S, Fehm T, Cahill MA, Seeger H, Mueck AO (October 2012). "Progestogens and membrane-initiated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Climacteric. 15 (5): 467–72. doi:10.3109/13697137.2011.648232. PMID 22335423. S2CID 11302554.
- ^ Trabert B, Sherman ME, Kannan N, Stanczyk FZ (September 2019). "Progesterone and breast cancer". Endocr. Rev. 41 (2): 320–344. doi:10.1210/endrev/bnz001. PMC 7156851. PMID 31512725.
- ^ a b c Fotherby K (August 1996). "Bioavailability of orally administered sex steroids used in oral contraceptio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ontraception. 54 (2): 59–69. doi:10.1016/0010-7824(96)00136-9. PMID 8842581.
- ^ Hargrove JT, Maxson WS, Wentz AC (October 1989). "Absorption of oral progesterone is influenced by vehicle and particle size". Am. J. Obstet. Gynecol. 161 (4): 948–51. doi:10.1016/0002-9378(89)90759-X. PMID 2801843.
- ^ Levine H, Watson N (March 2000). "Comparison of the pharmacokinetics of Crinone 8% administered vaginally versus Prometrium administered orally in postmenopausal women(3)". Fertil. Steril. 73 (3): 516–21. doi:10.1016/S0015-0282(99)00553-1. PMID 10689005.
- ^ Aufrère MB, Benson H (June 1976). "Progesterone: an overview and recent advances". J Pharm Sci. 65 (6): 783–800. doi:10.1002/jps.2600650602. PMID 945344.
- ^ a b Benno Clemens Runnebaum; Thomas Rabe; Ludwig Kiesel (6 December 2012). Female Contraception: Update and Trend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429–. ISBN 978-3-642-73790-9.
- ^ a b Knörr K, Beller FK, Lauritzen C (17 April 2013). Lehrbuch der Gynäkologie. Springer-Verlag. pp. 214–. ISBN 978-3-662-00942-0.
- ^ a b Knörr K, Knörr-Gärtner H, Beller FK, Lauritzen C (8 March 2013). Geburtshilfe und Gynäkologie: Physiologie und Pathologie der Reproduktion. Springer-Verlag. pp. 583–. ISBN 978-3-642-95583-9.
- ^ a b A. Labhart (6 December 2012). Clinical Endocrinology: Theory and Practic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554–. ISBN 978-3-642-96158-8.
- ^ a b Horský, Jan; Presl, Jiří (1981). "Hormonal Treatment of Disorders of the Menstrual Cycle". In J. Horsky; J. Presl (eds.). Ovarian Function and its Disorders: Diagnosis and Therap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09–332. doi:10.1007/978-94-009-8195-9_11. ISBN 978-94-009-8195-9.
- ^ Stanczyk FZ (2014). "Treatment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topical progesterone creams and gels: are they effective?". Climacteric. 17 Suppl 2: 8–11. doi:10.3109/13697137.2014.944496. PMID 25196424. S2CID 20019151.
- ^ Stanczyk FZ, Paulson RJ, Roy S (2005). "Percutaneous administration of progesterone: blood levels and endometrial protection". Menopause. 12 (2): 232–7. doi:10.1097/00042192-200512020-00019. PMID 15772572. S2CID 10982395.
- ^ Schindler AE, Campagnoli C, Druckmann R, Huber J, Pasqualini JR, Schweppe KW, Thijssen JH (2008). "Classification and pharmacology of progestins" (PDF). Maturitas. 61 (1–2): 171–80. doi:10.1016/j.maturitas.2008.11.013. PMID 19434889.[영구적 데드링크]
- ^ Edgren RA, Stanczyk FZ (December 1999). "Nomenclature of the gonane progestins". Contraception. 60 (6): 313. doi:10.1016/s0010-7824(99)00101-8. PMID 10715364.
- ^ Inhoffen HH, Logemann W, Hohlweg W, Serini A (May 4, 1938). "Untersuchungen in der Sexualhormon-Reihe (Investigations in the sex hormone series)". Ber Dtsch Chem Ges. 71 (5): 1024–32. doi:10.1002/cber.193807105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7, 2012.
- ^ a b c Maisel, Albert Q. (1965). The Hormone Quest. New York: Random House. OCLC 543168.
- ^ a b c Petrow V (1970). "The contraceptive progestagens". Chem Rev. 70 (6): 713–26. doi:10.1021/cr60268a004. PMID 4098492.
- ^ a b c Sneader, Walter (2005). "Hormone analogues". Drug discovery : a histor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pp. 188–225. ISBN 978-0-471-89980-8.
- ^ a b c Djerassi C (2006). "Chemical birth of the pill". Am J Obstet Gynecol. 194 (1): 290–8. doi:10.1016/j.ajog.2005.06.010. PMID 16389046.
- ^ Djerassi C, Miramontes L, Rosenkranz G, Sondheimer F (1954). "Steroids. LIV. Synthesis of 19-Nor-17α-ethynyltestosterone and 19-Nor-17α-methyltestosterone" (PDF). J Am Chem Soc. 76 (16): 4089–91. doi:10.1021/ja01645a009.
- ^ Colton FB (1992). "Steroids and "the pill": early steroid research at Searle". Steroids. 57 (12): 624–30. doi:10.1016/0039-128X(92)90015-2. PMID 1481226. S2CID 28718601.
- ^ a b c Nieschlag E (2010). "Clinical trials in male hormonal contraception" (PDF). Contraception. 82 (5): 457–70. doi:10.1016/j.contraception.2010.03.020. PMID 20933120.
- ^ C. Coutifaris; L. Mastroianni (15 August 1997). New Horizons in Reproductive Medicine. CRC Press. pp. 101–. ISBN 978-1-85070-793-6.
- ^ Shio Kumar Singh (4 September 2015). Mammalian Endocrinology and Male Reproductive Biology. CRC Press. pp. 270–. ISBN 978-1-4987-2736-5.
- ^ Frick, J. (1973). "Control of spermatogenesis in men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progestin and androgen". Contraception. 8 (3): 191–206. doi:10.1016/0010-7824(73)90030-9. ISSN 0010-7824.
- ^ Nieschlag E, Kumar N, Sitruk-Ware R (2013). "7α-methyl-19-nortestosterone (MENTR): the population council's contribution to research on male contraception and treatment of hypogonadism". Contraception. 87 (3): 288–95. doi:10.1016/j.contraception.2012.08.036. PMID 23063338.
- ^ Attardi BJ, Hild SA, Reel JR (2006). "Dimethandrolone undecanoate: a new potent orally active androgen with progestational activity". Endocrinology. 147 (6): 3016–26. doi:10.1210/en.2005-1524. PMID 16497801.
추가 읽기
- Kuhl H (September 1990). "Pharmacokinetics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Maturitas. 12 (3): 171–97. doi:10.1016/0378-5122(90)90003-o. PMID 2170822.
- Lauritzen C (September 1990). "Clinical use of oestrogens and progestogens". Maturitas. 12 (3): 199–214. doi:10.1016/0378-5122(90)90004-P. PMID 2215269.
- Stanczyk FZ (September 2002). "Pharmacokinetics and potency of progestins used for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contraception". Rev Endocr Metab Disord. 3 (3): 211–24. doi:10.1023/A:1020072325818. PMID 12215716. S2CID 27018468.
- Raudrant D, Rabe T (2003). "Progestogens with antiandrogenic properties". Drugs. 63 (5): 463–92. doi:10.2165/00003495-200363050-00003. PMID 12600226. S2CID 28436828.
- Stanczyk FZ (November 2003). "All progestins are not created equal". Steroids. 68 (10–13): 879–90. doi:10.1016/j.steroids.2003.08.003. PMID 14667980. S2CID 44601264.
- Nieschlag E, Zitzmann M, Kamischke A (November 2003). "Use of progestins in male contraception". Steroids. 68 (10–13): 965–72. doi:10.1016/S0039-128X(03)00135-1. PMID 14667989. S2CID 22458746.
- Wiegratz I, Kuhl H (August 2004). "Progestogen therapies: differences in clinical effects?". Trends Endocrinol. Metab. 15 (6): 277–85. doi:10.1016/j.tem.2004.06.006. PMID 15358281. S2CID 35891204.
- Kuhl H (2005). "Pharmacology of estrogens and progestogens: influence of different routes of administration" (PDF). Climacteric. 8 Suppl 1: 3–63. doi:10.1080/13697130500148875. PMID 16112947. S2CID 24616324.
- Sitruk-Ware R (October 2005). "Pharmacology of different progestogens: the special case of drospirenone". Climacteric. 8 Suppl 3: 4–12. doi:10.1080/13697130500330382. PMID 16203650. S2CID 24205704.
- Wiegratz I, Kuhl H (September 2006). "Metabolic and clinical effects of progestogens". Eur J Contracept Reprod Health Care. 11 (3): 153–61. doi:10.1080/13625180600772741. PMID 17056444. S2CID 27088428.
- Stanczyk, Frank Z. (2007). "Structure –Function Relationships, Pharmacokinetics, and Potency of Orally and Parenterally Administered Progestogens". Treatment of the Postmenopausal Woman. pp. 779–798. doi:10.1016/B978-012369443-0/50067-3. ISBN 9780123694430.
- Sitruk-Ware R, Nath A (November 2010). "The use of newer progestins for contraception". Contraception. 82 (5): 410–7. doi:10.1016/j.contraception.2010.04.004. PMID 20933114.
- Kuhl H (2011). "Pharmacology of progestogens" (PDF). Journal für Reproduktionsmedizin und Endokrinologie-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Endocrinology. 8 (Special Issue 1): 157–176.
- Lawrie TA, Helmerhorst FM, Maitra NK, Kulier R, Bloemenkamp K, Gülmezoglu AM (May 2011). "Types of progestogens in combined oral contraception: effectiveness and side-effec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5): CD004861. doi:10.1002/14651858.CD004861.pub2. PMID 21563141.
- Endrikat J, Gerlinger C, Richard S, Rosenbaum P, Düsterberg B (December 2011). "Ovulation inhibition doses of progesti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available literature and of marketed preparations worldwide". Contraception. 84 (6): 549–57. doi:10.1016/j.contraception.2011.04.009. PMID 22078182.
- Moore NL, Hickey TE, Butler LM, Tilley WD (June 2012). "Multiple nuclear receptor signaling pathways mediate the actions of synthetic progestins in target cells". Mol. Cell. Endocrinol. 357 (1–2): 60–70. doi:10.1016/j.mce.2011.09.019. PMID 21945474. S2CID 20006148.
- Stanczyk FZ, Hapgood JP, Winer S, Mishell DR (April 2013). "Progestogens used in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differences in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tracellular actions, and clinical effects". Endocr. Rev. 34 (2): 171–208. doi:10.1210/er.2012-1008. PMC 3610676. PMID 23238854.
- Grimes DA, Lopez LM, O'Brien PA, Raymond EG (November 2013). "Progestin-only pills for contracep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11): CD007541. doi:10.1002/14651858.CD007541.pub3. PMID 24226383.
- Hapgood JP, Africander D, Louw R, Ray RM, Rohwer JM (July 2014). "Potency of progestogens used in hormonal therapy: toward understanding differential actions". J. Steroid Biochem. Mol. Biol. 142: 39–47. doi:10.1016/j.jsbmb.2013.08.001. PMID 23954501. S2CID 12142015.
- Sitruk-Ware R, El-Etr M (August 2013). "Progesterone and related progestins: potential new health benefits". Climacteric. 16 Suppl 1: 69–78. doi:10.3109/13697137.2013.802556. PMID 23647429. S2CID 25447915.
- Bińkowska M, Woroń J (June 2015). "Progestogens in menopausal hormone therapy". Prz Menopauzalny. 14 (2): 134–43. doi:10.5114/pm.2015.52154. PMC 4498031. PMID 26327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