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IUD
Hormonal IUDs프로게스겐을 사용한 IUD | |
---|---|
배경 | |
유형 | 자궁내 |
최초 사용 | 1990(Mirena—현재 사용 가능) 1976년(Progestasert—2001년 중단) |
동의어 | 자궁내 시스템(IUS), 레보노게스트렐 자궁내 시스템 |
상명 | 미레나, 스카일라, 리레타 등 |
AHFS/Drugs.com | 프로페셔널 약물 사실 |
고장률(첫해) | |
완벽한 사용 | 0.1-0.2%[1] |
일반적인 용법 | 0.1-0.2%[1] |
사용법 | |
지속 효과 | 3-7년 |
가역성 | 2~6개월 |
사용자 주의사항 | 매월 스레드 위치 확인 |
클리닉 리뷰 | 삽입 후 1개월 후, 매년 |
장단점 | |
STI 보호 | 아니요. |
기간 | 월경 불규칙, 보통 기간이 더 가볍거나 아예 없음 |
무게 | 잠재적 부작용 |
혜택들 | 매일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 |
위험 | 양성 난소 낭종, 일시적인 PID 위험, 자궁 천공(경련) |
프로게스테겐이 함유된 자궁내 계통(IUS)은 미레나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며 자궁 내 호르몬 레보노게스트렐을 자궁으로 방출하는 자궁내 장치다.[2] 그것은 산아제한, 심한 월경 기간,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에서 자궁 내막이 과도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2] 산아제한의 가장 효과적인 형태 중 하나로 1년 실패율이 0.2%[1] 정도에 이른다. 이 장치는 자궁에 위치하여 3년에서 7년 동안 지속된다.[3][4] 출산율은 종종 제거 후에 빨리 돌아온다.[2]
부작용으로는 불규칙한 시기, 양성 난소 낭종, 골반 통증, 우울증 등이 있다.[2] 자궁 천공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2] 임신 중에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지만 모유 수유 시 안전하다.[2] 프로게스겐이 포함된 IUD는 장기간 작용하는 가역적 산아 조절의 일종이다.[5] 자궁경부 개방시 점액을 두껍게 하고, 자궁 내막의 축적을 멈추게 하며, 때때로 배란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2]
레보노게스트렐을 사용한 IUD는 1990년 핀란드와 2000년 미국에서 의료용으로 처음 승인되었다.[6] 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올라 있는데, 건강 시스템에 필요한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이다.[7] 120여 개국이 이 장치를 승인했으며 1,000만 명 이상의 여성들이 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6][8]
의학적 용법
호르몬 IUD는 산아제한의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2021년 연구는 이것이 긴급 피임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9] 산아제한 외에 호르몬 IUD는 다음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 월경이 많은 시기[10]
- 자궁내막증 및 만성 골반 통증[10][11]
- 자궁선근증 및 이질[10][12]
- 빈혈[13]
- 자궁내막과다증(특히 자궁내막과다증 치료에서 다산을 유지하고자 하는 폐경 전 여성)[14][15]
- 어떤 경우에는 호르몬 IUD를 사용하면 자궁 절제술의 필요성을 막을 수 있다.[16]
이점
- 가역적 산아제한의[17] 가장 효과적인 형태 중 하나로 간주됨
- 모유[18] 수유 시 사용 가능(요양 엄마도 참조)
- 환자 및 의사가 장치 문자열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적절한 위치가 유지되도록[20] 해야 하지만 [19]성관계 전에 준비할 필요가 없음
- 임신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90%는 제거 후 24개월 이내에 임신을 한다.[21]
- 더 가벼운 기간을 경험할 수 있음(일부 여성은 생리를 완전히 중단함, 무병력 상태 참조)[22]
- 최대 3~7년간 유효(IUD에 따라 다름)[4]
단점들
- 삽입[22] 후 불규칙한 기간과 기간 사이의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보통 3개월에서 6개월 후에 개선된다.[4]
- 삽입 절차 중에 경련 또는 요통을 포함하여 경미한 불편함을 경험함
- 기타 잠재적 부작용 및 위험
효과
삽입 후 미레나는 7년 동안 효과가 유지된다는 연구결과가 여러 차례 나왔지만 공식적으로 최대 5년 동안 효험이 있는 것으로 판매된다.[23][24] 유럽에서는 최대 7년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되었다.[citation needed] 카일레나는 5년, 스카일라는 3년 동안 승인을 받는다.[25][26]
호르몬 IUD는 장기간 작용하는 가역성 피임약으로, 산아제한의 가장 효과적인 형태 중 하나로 꼽힌다. 호르몬 IUD의 1년차 고장률은 0.1-0.2%, 5년차 고장률은 0.7-0.9%[27][28][29]이다. 이 비율은 관 살균과 비슷하지만 호르몬 IUD의 효과는 되돌릴 수 있다.
호르몬 IUD는 삽입 후 사용자의 조치가 거의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피임약과 같은 다른 일반적인 형태의 가역성 피임법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여겨진다.[17] 다른 형태의 산아제한의 효과는 사용자 스스로 완화(감소)된다. 피임에 대한 약물요법을 정확하게 따르지 않으면 그 방법은 효과가 떨어진다. IUD는 일일, 주간 또는 월간 요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일반적인 사용 실패율은 따라서 완벽한 사용 실패율과 동일하다.[17]
자궁을 중절제하고 피임이 필요한 여성의 경우 IUD 1개만 가지고도 효능의 증거가 없어 일반적으로 IUD 2개(각 경음기 1개당 1개)가 적용되고 있다.[30] 자궁 중절제에서의 뇌막염에 대한 프로게스테겐 IUD 사용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지만, 이를 위한 단일 IUD로 좋은 효과를 보인 사례 보고서가 있다.[31]
모유수유
IUD와 같은 프로게스테겐 전용 피임약은 우유 공급이나 유아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여겨진다.[32] 그러나 FDA 승인을 위한 Mirena 신청서의 연구 결과, 구리 IUD 사용자(79%)[33]에 비해 호르몬 IUD 사용자(44%)의 75일 모유 수유 지속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레나를 사용할 때 레보노게스트렐의 모성 선량의 약 0.1%가 우유를 통해 젖을 통해 보육된 영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34] 산모가 레보노게스트렐 전용 산아제한법을 사용한 모유수유아를 6년 동안 연구한 결과 산모가 구리 IUD를 사용한 유아에 비해 신경학적 조건의 위험은 낮지만 호흡기 감염과 눈 감염의 위험이 더 높았다.[35] 모유에서 레보노게스트렐의 유아에 대한 장기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더 이상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수유 중 미레나 사용에 대한 권고안이 엇갈리고 있다. 미레나와 같은 프로게스틴 전용의 방법으로는 미레나와 같은 철저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도 있지만, 미국 CDC는 어떤 호르몬법도 간호 산모들을 위한 첫 번째 선택으로 추천하지 않는다.[36] 세계보건기구(WHO)는 제명율 증가를 이유로 즉각적인 산후조리 삽입을 금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또한 처음 6주간의 산후조리 과정에서 유아의 간과 뇌 발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우려를 보고한다. 그러나 미레나는 6주 산후조리 여성에게도 피임약으로 제공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37] 기획된 부모는 미레나에게 4주 산후조리부터 시작되는 여성 모유 수유를 위한 피임약으로 제공한다.[38]
콘트라인커뮤니케이션
호르몬 IUD는 다음과 같은 여성에 의해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 임신했거나[18] 임신했을 수도 있다.
- 설명되지[18] 않은 비정상적인 질 출혈(논증)[39]
- 자궁경부암 또는 자궁암[18] 미치료
- 유방암을[18] 앓았거나 앓았을 수 있음
- 자궁경부 또는 자궁에[40] 이상이 있음(논란)[39]
- 지난 3개월[18] 동안 골반 염증성 질환을 앓았다.
- 지난 3개월[18] 동안 클라미디아나 임질 같은 STI를 앓았음
- 간질환이나 종양이[40] 있다.
- 레보네스트렐 또는 장치에 포함된 비활성[40]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음
IUD 삽입은 확장 및 대피(D&E) 낙태(2차 낙태) 후 허용되지만, 더 높은 추방율과 관련될 수 있다.[41]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의료 낙태를 했지만 아직 낙태가 완료됐는지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를 받지 않았거나 의료 낙태에 이어 첫 월경이 없었던 여성에게는 IUD 삽입을 권고하지 않는다.[38]
모든 금기사항의 목록은 세계보건기구 피임기구 사용의 의료적합성 기준과 CDC "미국 피임기구 사용의 의료적합성 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다.[18][42]
부작용
- 불규칙한 월경 패턴: 불규칙한 출혈과 얼룩이 나타나는 것은 처음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흔히 나타난다. 그 이후에는 기간이 짧아지고 가벼워지며, 여성의 20%가 1년 사용 후 기간을 중단한다.[43] 평균 사용자들은 사용 첫 달에 16일 동안 출혈이나 발견을 보고하지만, 12개월에는 약 4일로 줄어든다.[44][45]
- 경련과 통증: 많은 여성들이 삽입 도중과 직후에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낀다. 어떤 여성들은 삽입 후 처음 1~2주 동안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46]
- 제명: 때때로 IUD는 자궁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 이것은 추방이라고 불린다. IUD 사용자의 약 5%가 제명을 경험한다. 만약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여성은 임신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한다.[46][47] 제명은 젊은 여성, 아이를 낳지 않은 여성, 출산 또는 낙태 직후 IUD를 삽입할 때 더 흔하다.[48][49][50]
- 천공: IUD를 삽입하는 동안 자궁 벽을 통해 밀어넣을 수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천공 위험은 대부분 삽입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해 결정된다. 숙련된 의료인의 경우 천공 위험이 삽입 1,000명당 1명 이하가 된다.[51] 산후 삽입술의 경우 자궁의 천공은 자궁의 비자발성이 불완전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비자발성은 보통 4-6주 산후까지 완료된다.[49] 모유 수유를 계획하는 여성에게는 특별한 고려사항이 적용된다. 천공이 발생하면 내부 장기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IUD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다.
- 임신 합병증: 비록 IUD로 임신할 위험은 매우 작지만, 만약 임신할 경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한다. 자궁외 임신, 감염, 유산, 조기 노역과 분만 등이 이에 해당한다. 미레나 사용자들에게서 발생하는 임신의 절반은 외관상일 수 있다. ectopic 임신의 발생률은 연간 사용자 1000명당 약 1명꼴이다.[52] 임신의 경우 즉시 IUD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46][47] FDA 승인 당시 출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35명의 아기에게서 선천적 결함의 패턴은 발견되지 않았다.[53]
- 감염: IUD의 삽입은 골반 염증성 질환(PID)의 위험이 작다. 삽입 당시 임질 또는 클라미디아에 동시에 감염되면 골반 염증성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54] PID가 발생하면 삽입 후 21일 이내에 PID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기기 자체는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는다.[46]
- 난소낭종: 증모낭종(난소낭종)은 비록 증상이 없더라도 초음파를 사용하여 낭종을 찾는 연구에서 호르몬 IUD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약 12%에서 진단되었다. 증상성 낭종만 평가하는 연구에서는 5년 이상 난소 낭종을 호소하는 여성이 4.5%에 불과하고, 난소 낭종에 대한 IUD 제거가 필요한 여성은 0.3%에 불과했다.[55] 따라서 난소 낭종과 관련된 어떤 문제도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몇몇은 골반 통증이나 이상증세를 동반할 수 있지만, 이러한 모낭의 대부분은 무증상이다. 대부분의 경우 확대된 모낭은 2~3개월 후에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외과적 개입은 보통 필요하지 않다.[56]
- 신경과민, 우울한 기분, 기분 변화[40] 등 정신 건강 변화
- 체중증가[40]
- 두통, 편두통[40]
- 메스꺼움[40]
- 여드름[40]
- 과도한 헤어스타일[40]
- 하복부 또는[40] 요통
- 성욕[40] 감소
- 질에[40] 가려움, 홍조 또는 붓기
- 질 방전[57]
- 가슴 통증, 부드러움[57]
- 부종[57]
- 복부팽창[57]
- 세르비티시스[57]
- 세균성 질증[58]
- 포도당 허용오차에[57]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시력 또는 콘택트 렌즈 내구성[21]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음
- 에너지, 기분, 신경계 기능에[21] 영향을 줄 수 있는 비타민 B1이 고갈될 수 있음
- '잃어버린 코일'은 일상적인 검사에서 여성이 실을 느낄 수 없고 검경 검사에서 보이지 않을 때 발생한다.[59] 다양한 나사산 수집기 장치 또는 간단한 힘줄을 사용하여 자궁경부를 통해 장치를 잡을 수 있다.[60] 이것이 성공하지 못한 드문 경우, 초음파 스캔을 배열하여 코일의 위치를 확인하고 코일의 복강으로의 천공 또는 인식되지 않은 이전의 배출물을 제외할 수 있다.
암
국제암연구기구가 1999년 실시한 프로게스틴 전용 산아제한 연구의 평가에 따르면 프로게스틴 전용 산아제한이 자궁내막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증거가 있다. 1999년 IARC는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가 너무 작아서 확실하게 단정할 수 없었지만 프로게스틴만 산아제한이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는 없다고 결론지었다.[61]
프로게스테론은 에스트로겐이 주도하는 성장을 억제하는 자궁내막 호르몬이다.[62] 프로게스테론의 수치가 매우 낮으면 에스트로겐이 더 많이 작용하게 되어 자궁내막과다증, 자궁선암으로 이어질 것이다.[62] 이러한 효과는 프로게스틴으로 치료하면 최소화될 수 있지만, 매우 많은 경우에서 그렇지 않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적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 라이닝의 성장을 촉진하는 반면 프로게스테론은 이를 제한한다.[62] 자궁내막암의 경우 프로게스테론은 에스트로겐이 주도하는 성장을 부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형성된 종양은 불충분한 프로게스테론과 과도한 에스트로겐과 상관관계가 있다.[62] 프로게스틴 방출 IUD를 사용하는 자궁내막암 환자들은 혼합된 결과를 결론지었다.
리비아 콘즈(Livia Conz) 등의 2020년 메타 분석 결과 레보네스트렐 방출 시스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유방암 위험이 증가(확률 1.16), 50세 이상(이상 비율 1.52)에 대한 위험은 더 높았다고 추정했으며, 이 위험과 장기 사용의 알려진 유익성 간의 균형을 맞출 것을 제안했다.[63] 연구자들은 교란 효과, 방법론적 우려, 2015년 무작위 제어 시험의 메타 분석 등을 들어 이 연구의 인과적 해석을 경계했다.[64][65][66]
골밀도
미레나가 골밀도(BMD)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67] 두개의 작은 연구 조사는 전완에서 공수 상륙 보병 전투 차량을 연구하는데 제한되어, 척골의 midshaft과 비사용자 게다가 나이와 BMI.[68]에 필적하는으로 말초부의 반경에서 골 밀도 측정은 같은 연령대 여성들을 위한 예상 값과 비슷했다 BMD.[68][69]의 한 연구는 사용의 7년에 보여져감소, 비슷한 골 밀도를 보여 준다.participants. 이 연구의 저자들은 여성의 뼈 손실의 주요 원인이 저자극이라는 것이 잘 확립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결과는 예측 가능하다고 말했으며, 이전의 보고서와 일치하여, 미레나 사용자들의 에스트라디올 수치는 정상이라고 밝혔다.[68]
구성 및 호르몬 방출
호르몬 IUD는 작은 'T'자 모양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프로게스틴의 일종인 레보노르제스트렐을 함유하고 있다.[28] 이 장치의 실린더는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막으로 코팅되어 있다.[70] 바이엘은 스카일라를 영국에서 제이데스로 판매한다.[71] Jaydess는 하루에 6마이크로그램을 방출하고 3년간 지속된다.[72] 이에 비해 경구 피임약은 150마이크로그램의 레보노르제스트렐을 함유할 수 있다.[46] 호르몬 IUD는 레보노르제스트렐을 자궁으로 직접 방출하는데, 그 효과는 대부분 전신이라기보다는 파라시린이기 때문이다. 약의 대부분은 자궁 안에 머물며, 소량만이 몸의 나머지 부분에 흡수된다.[46]
삽입 및 제거
호르몬 IUD는 비호르몬 구리 IUD와 유사한 절차에 삽입되며, 자격을 갖춘 의사만이 삽입할 수 있다.[46] 삽입 전 골반 검사를 실시해 자궁의 모양과 위치를 검사한다. 삽입 당시 현재 STI는 골반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73] 그러나 삽입 전 임질 및 클라미디아에 대한 정기 검진은 권장하지 않는다.[74] 검진이 필요하며 검사에 감염의 증거가 없거나 이전에 검진된 경우 IUD 삽입을 지연할 필요가 없다.[75]
삽입
삽입하는 동안, 질은 자궁에 얼룩이 생길 때 사용한 것과 같은 장치인 검경으로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46] 잡는 기구는 자궁경부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자궁의 길이는 자궁 음으로 적절하게 삽입하기 위해 측정하여 IUD로 자궁 천공확률을 낮추고, IUD는 자궁경부의 자궁내 개구부를 통해 좁은 관을 이용하여 자궁경부로 배치한다.[46] 짧은 길이의 모노필라멘트 플라스틱/나일론 끈이 자궁경부에서 질까지 늘어져 있다. 이 문자열은 의사와 환자가 IUD가 여전히 제자리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46] 경련에서 중간 정도의 경련은 시술 중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5분 또는 그 이하가 소요된다.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즉시 산후조리, 낙태 후 산후조리 등을 할 수 있다.[18]
미소프로스톨은 IUD 삽입 시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76]
제거
기기의 제거는 자격을 갖춘 의료인이 수행해야 한다. 제거 후 출산율은 비교적 빠르게 이전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다.[77] 한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 대다수가 3개월 이내에 출산으로 돌아갔다고 한다.[78]
작용기전
Levonorgestrel은 프로게스테론-수용체 작용제인 프로게스겐이다. 호르몬 IUD의 1차 작용 메커니즘은 수정 방지다.[46][79][80][81][82] 자궁경부 점액의 두꺼워지는 것이 일차적인 효과로 보이지만 레보노르제스트렐 체계는 여러 가지 피임 효과가 있다.[23] 다른 효과로는 자궁 내부가 정자에[81][83] 치명적이 되게 하고 자궁내막 라이닝이 얇아지는 것 등이 있지만, 이것은 일반적인 기능이 아니다.[84][85]
배란이 모든 경우에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81][86]
IUD는 임플란트가 아닌 수정을 주로 예방한다는 것을 수많은 연구들이 입증했다.[46] 관수세척과 관련된 한 실험에서 피임을 사용하지 않는 여성의 절반에서 수정란이 발견되었지만 IUD를 사용하는 여성에게서 수정란이 발견되지 않았다.[87] IUD는 또한 자궁외임신의 위험을 감소시키므로 IUD가 수정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는 것을 암시한다.[46]
역사
호르몬 IUD는 1960년대와 1970년대 구리 IUD의 발달에 따라 1970년대에 개발되었다.[88] 시카고의 마이클 리즈 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안토니오 스코멩가 박사는 자궁 안에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하면 피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88] 스코메그나의 작품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핀란드 의사인 Juni Valter Tapani Luuukkainen은 프로게스테론을 출시한 'T'자 모양의 IUD를 만들어 1976년에 프로게스타서트 시스템으로 판매되었다. 이 IUD는 짧은 1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었고 널리 인기를 얻은 적이 없었다. 이 상대적인 성공 부족에 이어 루우카이넨 박사는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인 레보노게스트렐을 5년에 걸쳐 분비하도록 대체해 지금의 미레나(Mirena)를 만들었다.[89]
미레나 IUD는 핀란드와 스웨덴에서 두 번의 임상시험에서 모두 18세에서 35세 사이의 여성 1169명이 참여한 가운데 안전성과 효능을 연구했다. 이번 재판에는 전년도 내 자궁외 임신이나 골반 염증성 질환 이력이 없는 백인 여성이 주로 포함됐다. 참가자의 70% 이상이 이전에 IUD를 사용한 적이 있다.[90]
2013년 Skyla는 최대 3년간 효과가 있는 저선량 Levonorgestrel IUD를 FDA의 승인을 받았다.[91] 스카일라는 미레나와는 다른 출혈 패턴을 가지고 있어 임상시험에 참가한 여성의 6%만이 아메노르헤이트(미레나와의 약 20%에 비해)가 된다.
핀란드 도시 투르쿠는 현재 미레나 피임약 가족의 유일한 생산지다.[92]
논란
2009년, 미레나의 제조사인 바이엘은 효능을 과대평가하고, 사용의 위험을 최소화하며, 기기에 대해 "거짓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프리젠테이션"을 한 혐의로 미국 식품의약국으로부터 FDA 경고장을 발부받았다.[93][94]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연방기관은 기기 및 관련 부작용에 대해 70,072건 이상의 불만을 접수했다.[95][96] 2014년 4월 현재, 미국에서 1,200건 이상의 소송이 제기되었다.[94][97][98][99]
참조
- ^ a b c Trussell, 제임스(2011년)."효능Contraceptive".해처, 로버트 A.,Trussell, 제임스, 넬슨, 아니타 L.;케이츠, 윌러드 주니어, Kowal, 데보라, Policar, 마이클 S.(eds.).피임 약 기술(20일 교육 개정.).뉴욕:Ardent 매체이다.를 대신하여 서명함. 779–863.아이 에스비엔 978-1-59708-004-0.ISSN 0091-9721.온라인 컴퓨터 도서관 센터 781956734.표 26–1 = 표 3–2 비율의 여성들을 경험하고 의도하지 않은 임신 중의 첫 해의 전형적인 사용과 첫 해의 완벽한 사용의 피임, 그리고 비율은 계속적인 사용을 금년이 처음이다. 미국. 웨이백 머신에 2017년 2월 15일 보관
- ^ a b c d e f g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69 (69th ed.). British Medical Association. 2015. p. 556. ISBN 9780857111562.
- ^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medical facts from Drugs.com". drug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anuary 2017. Retrieved 1 January 2017.
- ^ a b c "Hormonal IUDs". www.plannedparenthood.org. Retrieved 20 April 2019.
- ^ Wipf, Joyce (2015). Women's Health, An Issue of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Elsevier Health Sciences. p. 507. ISBN 9780323376082.
- ^ a b Bradley, Linda D.; Falcone, Tommaso (2008). Hysteroscopy: Offic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Uterine Cavity. Elsevier Health Sciences. p. 171. ISBN 978-0323041010.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 ^ Schäfer-Korting, Monika (2010). Drug Deliver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290. ISBN 9783642004773.
- ^ "Science Update: Hormonal IUD as effective as a copper IUD at emergency contraception and with less discomfort, NICHD-funded study suggests". 4 February 2021. Retrieved 26 July 2021.
{{cite web}}
: CS1 maint : url-status (링크) - ^ a b c Luis Bahamondes; M Valeria Bahamondes; Ilza Monteiro. (2008).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uses and controversies". Expert Review of Medical Devices. 5 (4): 437–45. doi:10.1586/17434440.5.4.437. PMID 18573044. S2CID 659602.
- ^ Petta C, Ferriani R, Abrao M, Hassan D, Rosa E, Silva J, Podgaec S, Bahamondes L (2005).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a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and a depot GnRH analogu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pelvic pain in women with endometriosis". Hum Reprod. 20 (7): 1993–8. doi:10.1093/humrep/deh869. PMID 15790607.
- ^ Sheng, J; Zhang, WY; Zhang, JP; Lu, D. (2009). "The LNG-IUS study on adenomyosis: a 3-year follow-up on the efficacy and side effects of the use of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for the treatment of dysmenorrheal associated with adenomyosis". Contraception. 79 (3): 189–193. doi:10.1016/j.contraception.2008.11.004. PMID 19185671.
- ^ Faundes A, Alvarez F, Brache V, Tejada A (1988). "The role of the levonorgestrel intrauterine devic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ron deficiency anemia during fertility regulation". Int J Gynaecol Obstet. 26 (3): 429–33. doi:10.1016/0020-7292(88)90341-4. PMID 2900174. S2CID 34592937.
- ^ "Committee Opinion No. 631: Endometrial Intraepithelial Neoplasia". Obstetrics & Gynecology. 125 (5): 1272–1278. May 2015. doi:10.1097/01.AOG.0000465189.50026.20. PMID 25932867. S2CID 46508283.
- ^ Mittermeier, T; Farrant, C; Wise, MR (6 September 2020).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for endometrial hyperplasia".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0 (9): CD012658. doi:10.1002/14651858.CD012658.pub2. PMC 8200645. PMID 32909630.
- ^ Marjoribanks, Jane; Lethaby, Anne; Farquhar, Cindy (29 January 2016). "Surgery versus medical therapy for heavy menstrual bleeding".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3855. doi:10.1002/14651858.CD003855.pub3. ISSN 1469-493X. PMC 7104515. PMID 26820670.
- ^ a b c Winner, B; Peipert, JF; Zhao, Q; Buckel, C; Madden, T; Allsworth, JE; Secura, GM. (2012). "Effectiveness of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6 (21): 1998–2007. doi:10.1056/NEJMoa1110855. PMID 22621627.
- ^ a b c d e f g h i Curtis KM, Tepper NK, Jatlaoui TC, et al. (July 2016).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16" (PDF). MMWR Recomm Rep. 65 (3): 1–103. doi:10.15585/mmwr.rr6503a1. PMID 27467196.
- ^ "IUD". Planned Parenthoo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Convenience". Bay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a b c "Mirena". MediResource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July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a b Hidalgo M, Bahamondes L, Perrotti M, Diaz J, Dantas-Monteiro C, Petta C (February 2002). "Bleeding patterns and clinical performance of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Mirena) up to two years". Contraception. 65 (2): 129–132. doi:10.1016/s0010-7824(01)00302-x. PMID 11927115.
- ^ a b Sivin I, Stern J, Coutinho E, et al. (November 1991). "Prolonged intrauterine contraception: a seven-year randomized study of the levonorgestrel 20 mcg/day (LNg 20) and the Copper T380 Ag IUDS". Contraception. 44 (5): 473–80. doi:10.1016/0010-7824(91)90149-a. PMID 1797462.
- ^ Rowe, Patrick; Farley, Tim; Peregoudov, Alexandre; Piaggio, Gilda; Boccard, Simone; Landoulsi, Sihem; Meirik, Olav (2016). "Safety and efficacy in parous women of a 52-mg levonorgestrel-medicated intrauterine device: a 7-year randomized comparative study with the TCu380A". Contraception. 93 (6): 498–506. doi:10.1016/j.contraception.2016.02.024. PMC 5357727. PMID 26916172.
- ^ Highlights of Prescribing Information (Report). 9 Jan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y 2016.
- ^ "What are hormonal IUDs?". Planned Parenthood. Retrieved 19 April 2019.
- ^ Westhoff, Carolyn L.; Keder, Lisa M.; Gangestad, Angelina; Teal, Stephanie B.; Olariu, Andrea I.; Creinin, Mitchell D. (28 November 2019). "Six-year contraceptive efficacy and continued safety of a levonorgestrel 52 mg intrauterine system". Contraception. 101 (3): 159–161. doi:10.1016/j.contraception.2019.10.010. ISSN 1879-0518. PMID 31786203. S2CID 208535090.
- ^ a b "Mirena IUD Homepage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uly 2012. Retrieved 19 July 2012., 바이엘 제약회사.
- ^ Speroff & Darney's clinical guide for contraception. Jensen, Jeffrey T.,, Creinin, Mitchell D.,, Preceded by (work): Speroff, Leon, 1935- (Sixth ed.). Philadelphia, PA. 2019. p. 15. ISBN 978-1-975107-28-4. OCLC 1121081247.
{{cite book}}
: CS1 maint : 기타(링크) - ^ Amies Oelschlager, Anne-Marie; Debiec, Kate; Micks, Elizabeth; Prager, Sarah (2013). "Use of the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in Adolescents With Known Uterine Didelphys or Unicornuate Uterus". Journal of Pediatric and Adolescent Gynecology. 26 (2): e58. doi:10.1016/j.jpag.2013.01.029. ISSN 1083-3188.
- ^ Acharya GP, Mills AM (July 1998). "Successful management of intractable menorrhagia with a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device, in a woman with a bicornuate uterus". J Obstet Gynaecol. 18 (4): 392–3. doi:10.1080/01443619867263. PMID 15512123.
- ^ Truitt S, Fraser A, Grimes D, Gallo M, Schulz K (2003). Lopez LM (ed.). "Combined hormonal versus nonhormonal versus progestin-only contraception in lact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 CD003988. doi:10.1002/14651858.CD003988. PMID 12804497.
- ^ FDA 의학 리뷰 페이지 37.
- ^ MIRENA 데이터 시트, Bayer NZ, 2009년 12월 11일 www.bayerresources.com.au/resources/uploads/DataSheet/file9503.pdf 검색 2011-02-10
- ^ Schiappacasse V, Díaz S, Zepeda A, Alvarado R, Herreros C (2002). "Health and growth of infants breastfed by Norplant contraceptive implants users: a six-year follow-up study". Contraception. 66 (1): 57–65. doi:10.1016/S0010-7824(02)00319-0. PMID 12169382.
- ^ "Classifications for Intrauterine Devices CDC". www.cdc.gov (in American English). 9 April 2020. Retrieved 7 July 2020.
-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5th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181468. ISBN 9789241549158. Lay summary.
{{cite book}}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a b "Understanding IUDs". Planned Parenthood. July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06. Retrieved 8 October 2006.
- ^ a b NICE (2018). "Heavy menstrual bleeding (update)". National Guideline Alliance (UK). PMID 29634173.
{{cite journal}}
: CS1 maint: 작성자 매개변수 사용(링크) - ^ a b c d e f g h i j k l "Mirena: Consumer Medicine Information" (PDF). Bayer. March 201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4. Retrieved 27 April 2014.
- ^ Roe, Andrea Hsu; Bartz, Deborah (January 2019). "Society of Family Planning clinical recommendations: contraception after surgical abortion". Contraception. 99 (1): 2–9. doi:10.1016/j.contraception.2018.08.016. ISSN 0010-7824. PMID 30195718.
- ^ WHO (2010). "Intrauterine devices (IUD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4th ed.). Geneva: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 WHO. ISBN 978-92-4-15638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uly 2012.
- ^ Hidalgo, M; Bahomondes, L; Perrottie, M; Diaz, J; Dantas-Monterio, C; Petta, CA. (2002). "Bleeding Patterns and clinical performance of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device (Mirena) up to two years". Contraception. 65 (2): 129–132. doi:10.1016/S0010-7824(01)00302-X. PMID 11927115.
- ^ McCarthy L (2006).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Mirena) for Contraception". Am Fam Physician. 73 (10): 17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07. Retrieved 4 May 2007.
- ^ Rönnerdag M, Odlind V (1999). "Health effects of long-term use of the intrauterine levonorgestrel-releasing system. A follow-up study over 12 years of continuous use". Acta Obstet Gynecol Scand. 78 (8): 716–21. doi:10.1034/j.1600-0412.1999.780810.x. PMID 1046806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딘, 질리언. Schwarz, 엘리너 Bimla(2011년)."Intrauterine 피임 약(IUCs)".해처, 로버트 A.,Trussell, 제임스, 넬슨, 아니타 L.;케이츠, 윌러드 주니어, Kowal, 데보라, Policar, 마이클 S.(eds.).피임 약 기술(20일 교육 개정.).뉴욕:Ardent 매체이다.를 대신하여 서명함. 147–191.아이 에스비엔 978-1-59708-004-0.ISSN 0091-9721.온라인 컴퓨터 도서관 센터 781956734. p.150:
작용기전
비록 정확한 행동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현재 이용 가능한 IUC는 주로 정자가 난자를 수정하는 것을 막는 것에 의해 작용한다.26 IUCs는 유산환자가 아니다: 그들은 이식된 임신을 방해하지 않는다.27 임신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프레임의 "이물질 효과"와 방출되는 약물의 특정 작용(코퍼 또는 레보노르제스트렐)의 조합에 의해 예방된다. 이물질에 노출되면 정자와 난자에 독성이 있는 자궁 내 환경에서 무균 염증 반응을 일으켜 임플란트를 손상시킨다.28,29 세포독성 펩타이드의 생산과 효소의 활성화는 정자 운동성의 억제, 정자 캐패시이트 저널과 생존의 감소, 정자의 패거시토시스 증대로 이어진다…30,31 LNg IUC의 프로게스틴은 자궁경부 점액을 두껍게 하고 자궁내막을 억제하며 정자 기능을 손상시켜 장치의 피임 작용을 강화한다. 또한 레보노게스트렐의 전신 흡수로 배란이 손상된 경우가 많다.23
페이지 162:
표 7-1. IUC에 대한 신화 및 오해
신화: IUCs는 낙태 환자들이다. 사실: IUC는 수정을 방지하고 진정한 피임약이다. - ^ a b Population Information Program, Johns Hopkins School of Public Health (1995). "IUDs—An Update". Population Reports. XXII (5).
- ^ IUDs—An Update. "Chapter 2.7:Expul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September 2006.
- ^ a b IUDs—An Update. "Chapter 3.3 Postpartum Inser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April 2006.
- ^ IUDs—An Update. "Chapter 3.4 Postabortion Inser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August 2006.
- ^ WHO Scientific Group on the Mechanism of Action Safety and Efficacy of Intrauterine Device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7). Mechanism of action, safety and efficacy of intrauterine devic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8182. ISBN 9241207531.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no. 753.
- ^ FDA 의학 리뷰 3-4페이지
- ^ FDA 의학 리뷰 페이지 5,41
- ^ Grimes, DA (2000). "Intrauterine Device and upper-genital-tract infection". The Lancet. 356 (9234): 1013–1019. doi:10.1016/S0140-6736(00)02699-4. PMID 11041414. S2CID 7760222.
- ^ Teal, Stephanie B.; Turok, David K.; Chen, Beatrice A.; Kimble, Thomas; Olariu, Andrea I.; Creinin, Mitchell D. (January 2019). "Five-Year Contraceptive Efficacy and Safety of a Levonorgestrel 52-mg Intrauterine System". Obstetrics and Gynecology. 133 (1): 63–70. doi:10.1097/AOG.0000000000003034. ISSN 1873-233X. PMC 6319579. PMID 30531565.
- ^ Bahamondes L; Hidalgo M; Petta CA; Diaz J; Espejo-Arce X; Monteiro-Dantas C. (2003). "Enlarged ovarian follicles in users of a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and contraceptive implant". J. Reproduc. Med. 48 (8): 637–640. PMID 12971147.
- ^ a b c d e f "Mirena". BayerUK. 11 June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Donders, Gilbert Gerard Ghislain; Bellen, G; Ruban, Kateryna; Van Bulck, Ben (March 2018). "Short- and long-term influence of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Mirena®) on vaginal microbiota and Candida". J Med Microbiol. 67 (3): 308–313. doi:10.1099/jmm.0.000657. PMID 29458551.
- ^ Nijhuis J, Schijf C, Eskes T (1985). "The lost IUD: don't look too far for it". Ned Tijdschr Geneeskd. 129 (30): 1409–10. PMID 3900746.
- ^ Kaplan N (1976). "Letter: Lost IUD". Obstet Gynecol. 47 (4): 508–9. PMID 1256735.
- ^ "Hormonal Contraceptives, Progestogens Only".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6. Retrieved 8 October 2006.
{{cite journal}}
: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a b c d Kim, Julie; Chapman-Davis, Eloise (26 January 2010). "Role of Progesterone in Endometrial Cancer". Semin Reprod Med. 28 (1): 81–90. doi:10.1055/s-0029-1242998. PMC 4767501. PMID 20104432.
- ^ Conz, Livia; Mota, Bruna Salani; Bahamondes, Luis; Dória, Maíra; Derchain, Sophie; Rieira, Rachel; Sarian, Luis Otavio (12 February 2020).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and breast cancer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Wiley. 99 (8): 970–982. doi:10.1111/aogs.13817. ISSN 0001-6349. PMID 31990981. S2CID 210946832.
- ^ Al Kiyumi, Maisa Hamed; Al Battashi, Kauthar; Al‐Riyami, Hana Ali (14 June 2021).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and breast cancer; Is there an association?".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Wiley. 100 (9): 1749. doi:10.1111/aogs.14188. ISSN 0001-6349. PMID 34021506. S2CID 235094824.
- ^ Silva, Fábio R.; Grande, Antonio Jose; Da Rosa, Maria I. (9 August 2020). "Is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a risk factor for breast cancer?".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Wiley. 100 (2): 363–364. doi:10.1111/aogs.13966. ISSN 0001-6349. PMID 32740910. S2CID 220942002.
- ^ Romero, Sally Ad; Young, Katie; Hickey, Martha; Su, H. Irene (21 December 2020).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for endometrial protec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on adjuvant tamoxif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12). doi:10.1002/14651858.CD007245.pub4. ISSN 1469-493X. PMID 33348436. Retrieved 7 January 2022.
- ^ Faculty of Family Planning and Reproductive Health Care Clinical Effectiveness Unit (2004). "FFPRHC Guidance (April 2004).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LNG-IUS) in contraception and reproductive health". J Fam Plann Reprod Health Care. 30 (2): 99–109. doi:10.1783/147118904322995474. PMID 15086994. S2CID 31281104.
- ^ a b c Wong AY, Tang LC, Chin RK (2010).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Mirena) and Depot medroxyprogesterone acetate (Depoprovera) as long-term mainten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endometriosi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 N Z J Obstet Gynaecol. 50 (3): 273–9. doi:10.1111/j.1479-828X.2010.01152.x. PMID 20618247. S2CID 22050651.
- ^ Bahamondes MV, Monteiro I, Castro S, Espejo-Arce X, Bahamondes L (2010). "Prospective study of the forearm bone mineral density of long-term users of the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system". Hum Reprod. 25 (5): 1158–64. doi:10.1093/humrep/deq043. PMID 20185512.
- ^ Luukkainen, T. (1991). "Levonorgestrel-Releasing Intrauterine Devic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626 (1): 43–49. Bibcode:1991NYASA.626...43L. doi:10.1111/j.1749-6632.1991.tb37898.x. PMID 1905510. S2CID 39610456.
- ^ Bayer Group. "What is Jaydess?". Jaydess. Bayer PL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6.
- ^ Römer, T.; Bühling, K. J. (2013). "Intrauterine hormonelle Kontrazeption". Gynäkologische Endokrinologie. 11 (3): 188–196. doi:10.1007/s10304-012-0532-4. S2CID 20088018.
- ^ Mohllajee, AP; Curtis, KM; Herbert, PB. (2006). "Does insertion and use of an intrauterine device increase the risk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mong women with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Contraception. 73 (2): 145–153. doi:10.1016/j.contraception.2005.08.007. PMID 16413845.
- ^ Curtis, Kathryn M.; Tepper, Naomi K.; Jatlaoui, Tara C.; Berry-Bibee, Erin; Horton, Leah G.; Zapata, Lauren B.; Simmons, Katharine B.; Pagano, H. Pamela; Jamieson, Denise J.; Whiteman, Maura K. (29 July 2016).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16". 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 65 (3): 1–103. doi:10.15585/mmwr.rr6503a1. ISSN 1545-8601. PMID 27467196.
- ^ "CDC - Summary - US SPR - Reproductive Health". www.cdc.gov (in American English). 21 June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September 2017. Retrieved 13 September 2017.
- ^ Lopez, LM; Bernholc, A; Zeng, Y; Allen, RH; Bartz, D; O'Brien, PA; Hubacher, D (29 July 2015). "Interventions for pain with intrauterine device insert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7 (7): CD007373. doi:10.1002/14651858.CD007373.pub3. PMID 26222246.
- ^ Mansour, D; Gemzell-Danielsson, K; Inki, Pirjo; Jensen, JT. (2011). "Fertility after discontinuation of contracepti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Contraception. 84 (5): 465–477. doi:10.1016/j.contraception.2011.04.002. PMID 22018120.
- ^ Randic, L; Vlasic, S; Matrljan, I; Waszak, C (1985). "Return to fertility after IUD removal for planned pregnancy". Contraception. 32 (3): 253–259. doi:10.1016/0010-7824(85)90048-4. PMID 4085244.
- ^ Ortiz, María Elena; Croxatto, Horacio B. (June 2007). "Copper-T intrauterine device and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biological bases of their mechanism of action". Contraception. 75 (6 Suppl): S16‒S30. doi:10.1016/j.contraception.2007.01.020. PMID 17531610. 페이지 S28:
결론들
IUD나 IUS에서 방출되는 활성물질은 생식기의 내강액에 존재하는 염증반응에서 파생된 제품과 함께 정자조아 및 난모세포에 독성이 있어 건강한 생식체의 접촉과 생존 가능한 배아의 형성을 막는다. 현재 데이터는 IUD 사용자에서 비사용자의 것과 비슷한 비율로 배아가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여성에서 IUD의 통상적인 작용 메커니즘이 자궁 내 배아의 파괴라는 일반적인 믿음은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자료의 대부분은 수정 후 생식 과정에 대한 간섭이 T-Cu나 LNG-IUD가 존재하는 경우 예외적이며 여성의 임신을 막는 일반적인 메커니즘은 수정 방지라는 것을 나타낸다. - ^ ESHRE Capri Workshop Group (May–June 2008). "Intrauterine devices and intrauterine systems". Human Reproduction Update. 14 (3): 197‒208. doi:10.1093/humupd/dmn003. PMID 18400840. 199 페이지:
작용기전
따라서 임상 및 실험 증거 모두 IUD가 임플란트를 예방하고 방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것이 주요 IUD 행동 방식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 … 가장 좋은 증거는 IUD 사용자에서 배아가 자궁에 도달하는 것이 흔치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IUD는 다른 레벨에서 피임 작용을 할 수 있다. 잠재적으로, 그들은 자궁과 관 안에서 정자 기능과 이송을 방해한다. 이러한 손상된 정자에 의해 난모세포의 수정이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IUD가 임플란트를 예방하고 방해할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 이 간섭이 피임 작용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는 알 수 없다. 자료가 빈약하고 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초래되는 정치적 결과는 포괄적인 연구를 방해한다.
205 페이지:
요약
구리나 레보노게스트렐을 방출하는 IUD는 매우 효과적인 피임약이다... 구리 IUD와 레보노게스트렐 방출 IUS 모두 삽입을 방해할 수 있지만, 이것이 주요 작용 메커니즘은 아닐 수 있다. 이 장치는 또한 정자 운반과 수정에 대한 장벽을 만들고 민감한 검사들은 1% 미만의 주기로 hCG를 감지하여 이식 단계 이전에 상당한 예방이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낸다. - ^ a b c Speroff, Leon; Darney, Philip D. (2011). "Intrauterine contraception". A clinical guide for contraception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239–280. ISBN 978-1-60831-610-6. 246–247 페이지:
작용기전
모든 IUD의 피임 작용은 주로 자궁내 공동에 있다. 배란은 영향을 받지 않으며, IUD는 낙태자가 아니다.58–60 현재 IUD의 작용 메커니즘은 정조세포인 자궁내 환경의 생산이라고 여겨진다.
비메디케이티드 IUD는 자궁이 이물질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에 따라 피임에 의존한다. 무균 염증 반응인 이 반응으로 조직 손상은 미미하나 정자충돌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나팔관의 난자에 도달하는 정자는 거의 없다.
프로게스틴 방출 IUD는 프로게스틴의 자궁내막 작용을 이물질 반응에 더한다. 자궁내막은 분비샘의 위축과 함께 소멸된다.65 프로게스틴 IUD는 아마도 두 가지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식 억제와 정자 캐패시이트 저널의 억제, 침투, 생존. - ^ Jensen, Jeffrey T.; Mishell, Daniel R. Jr. (2012). "Family planning: contraception, sterilization, and pregnancy termination". In Lentz, Gretchen M.; Lobo, Rogerio A.; Gershenson, David M.; Katz, Vern L. (eds.). Comprehensive gynecology. Philadelphia: Mosby Elsevier. pp. 215–272. ISBN 978-0-323-06986-1. 페이지 259:
자궁내 장치
작용기전
여성에서 IUD의 통상적인 작용 메커니즘이 자궁 내 배아의 파괴라는 일반적인 믿음은 경험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행동 메커니즘에 대한 우려는 일부 여성과 일부 임상의에게 이 중요하고 고도로 효과적인 방법을 수용하는 데 장애물을 의미하기 때문에, IUD의 행동 메커니즘이 불능하다는 것을 제시할 증거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LNG-IUS는 구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자궁외 임신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수정은 일어나지 않으며 그 주요 작용 메커니즘도 선입견이다. LNG-IUS 사용자의 자궁 내에서 염증이 덜 발생하지만, 강력한 프로게스틴 효과는 자궁경부 점액을 두꺼워 정자 침투와 상부 생식기 선로 접근을 방해한다. - ^ Guttinger, A; Critchley, HO (2007). "Endometrial effects of intrauterine levonorgestrel". Contraception. 75 (6 Suppl): S93–S98. doi:10.1016/j.contraception.2007.01.015. PMID 17531624.
- ^ ESHRE Capri Workshop, Group (2008). "Intrauterine devices and intrauterine systems". Human Reproduction Update. 14 (3): 197–208. doi:10.1093/humupd/dmn003. PMID 18400840.
Both copper IUDs and levonorgestrel releasing IUSs may interfere with implantation
- ^ Hatcher, Robert A. (2011). Contraceptive technology (20th rev. ed.). [New York, N.Y.]: Ardent Media. p. 162. ISBN 978-1-59708-004-0.
Although the precise mechanism of action is not known, currently available IUCs work primarily by preventing sperm from fertilizing ova.26 IUCs are not abortifacients: they do not interrupt an implanted pregnancy.27 Pregnancy is prevented by a combination of the "foreign body effect" of the plastic or metal frame and the specific action of the medication (copper or levonorgestrel) that is released. Exposure to a foreign body causes a sterile inflammatory reaction in the intrauterine environment that is toxic to sperm and ova and impairs implantation.28,29 The production of cytotoxic peptides and activation of enzymes lead to inhibition of sperm motility, reduced sperm capacite journal and survival, and increased phagocytosis of sperm.30,31… The progestin in the LNg IUC enhances the contraceptive action of the device by thickening cervical mucus, suppressing the endometrium, and impairing sperm function. In addition, ovulation is often impaired as a result of systemic absorption of levonorgestrel
- ^ Malik, S (January 2013). "Levonorgestrel-IUS system and endometrial manipulation". Journal of Mid-Life Health. 4 (1): 6–7. doi:10.4103/0976-7800.109625. PMC 3702070. PMID 23833526.
- ^ Alvarez, F; Brache, V.; Fernandez, E; Guerrero, B; Guiloff, E; Hess, R; et al. (1988). "New insights on the mode of action of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s in women". Fertil Steril. 49 (5): 768–773. doi:10.1016/S0015-0282(16)59881-1. PMID 3360166.
- ^ a b Thiery, M (1997). "Pioneers of the intrauterine device".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 Reproductive Health Care. 2 (1): 15–23. doi:10.1080/13625189709049930. PMID 9678105.
- ^ Thiery, M (2000). "Intrauterine contraception: from silver ring to intrauterine implant".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90 (2): 145–152. doi:10.1016/s0301-2115(00)00262-1. PMID 10825633.
- ^ "MIRENA - levonorgestrel intrauterine device". Bayer Health Pharmaceuticals. May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2014년 9월 5일 WebCite에서 Skyla Archived에 대한 FDA 의약품 승인
- ^ Laitinen, Kaija. "Bayer". businessfinland.fi (in American English). Retrieved 21 September 2021.
- ^ "2009 Warning Letters and Untitled Letters to Pharmaceutical Companie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a b Bekiempis, Victoria (24 April 2014). "The Courtroom Controversy Behind Popular Contraceptive Mirena". Newswe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Budusun, Sarah. "Thousands of women complain about dangerous complications from Mirena IUD birth control". ABC Clevela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Colla, Connie (21 May 2013). "Mirena birth control may be causing complications in women". ABC 15 Arizo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une 2015. Retrieved 18 June 2015.
- ^ Bekiempis, Victoria (24 April 2014). "The Courtroom Controversy Behind Popular Contraceptive Mirena". Newswee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Novem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6.
- ^ "Popular contraceptive device Mirena target of lawsuits in Canada, U.S". CTV. 21 Ma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Octo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6.
- ^ Blackstone, Helena (31 May 2016). "When IUDs Go Terribly Wrong". 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November 2016. Retrieved 16 November 2016.
외부 링크
- FDA (2000). "Medical review" (PDF scanned imag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 Berlex Laboratories의 Mirena 신청서
- 의사 팩트 시트(2008년 미국 버전)
- 의사 현황표(2013년 영국 버전)
- 미레나 약물 설명/부작용
- Mirena IUD의 삽입 절차를 보여주는 비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