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코노티드
Leconotide임상자료 | |
---|---|
경로: 행정 | IV |
ATC 코드 |
|
식별자 | |
CAS 번호 |
|
펍켐 CID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107H179N35O36S7 |
어금질량 | 2756.24 g·190−1 |
레코노티드(INN; 개발코드 CNSB004 및 AM336, Ω-코노톡신 CVID라고도 함)는 코누스 카투스의 독에서 격리된 Ω-코노톡신 펩타이드로, 통증 조건 치료를 위한 진통제로 조사 중이다.[1][2]
N형 전압 게이트 칼슘 채널(Ca2v.2) 차단기의 역할을 하며, 관련 P/Q형 전압 게이트 칼슘 채널(Ca2v.1)을 통해 이 채널의 선택성이 높다.[1][2]
지코노타이드에 비해 레코노타이드의 독성이 현저히 낮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그 때문에 경막내 주사와는 반대로 정맥주사로 투여할 수 있다.[3][4][5]
참고 항목
- 콘 달팽이종 코누스마구스의 독소에서 유래한 진통제 펩타이드인 지코노티드
- 라코사미드(Lacosamide, Lacosamide), 승인된 소분자 진통제 및 항피질제
- 연구용 소분자 진통제인 랄피나미드
참조
- ^ a b Allerton C, Fox D (2013). Pain Therapeutics: Current and Future Treatment Paradigms. Royal Society of Chemistry. pp. 225–. ISBN 978-1-84973-645-9.
- ^ a b Stephens G, Mochida S (23 April 2013). Modulation of Presynaptic Calcium Channel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326–. ISBN 978-94-007-6334-0.
- ^ Nervous System Diseases: Advances in Research and Treatment: 2011 Edition. ScholarlyEditions. 9 January 2012. pp. 217–. ISBN 978-1-4649-2221-3.
- ^ Kolosov A, Goodchild CS, Cooke I (February 2010). "CNSB004 (Leconotide) causes antihyperalgesia without side effects when given intravenously: a comparison with ziconotide in a rat model of diabetic neuropathic pain". Pain Medicine. 11 (2): 262–73. doi:10.1111/j.1526-4637.2009.00741.x. PMID 20002322.
- ^ Kolosov A, Aurini L, Williams ED, Cooke I, Goodchild CS (June 2011). "Intravenous injection of leconotide, an omega conotoxin: synergistic antihyperalgesic effects with morphine in a rat model of bone cancer pain". Pain Medicine. 12 (6): 923–41. doi:10.1111/j.1526-4637.2011.01118.x. PMID 21539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