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디오토그래피
Cardiotocography카디오토그래피 | |
---|---|
ICD-9-CM | 75.32 |
메슈 | D015148 |
카디오토그래피(Cardiotography, CTG)는 임신과 노동 중에 태아의 심장박동과 자궁수축을 감시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를 카디오토그래프라고 한다.
태아의 심장 소리는 일찍이 350년 전에 설명되었고 약 200년 전에 피나르드 뿔과 같은 기계식 청진기가 임상 실습에 도입되었다.
현대의 CTG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에드워드 혼, 로베르토 칼데이로 바르샤, 콘라드 함마허에 의해 개발되어 소개되었다. 최초의 상용 태아 모니터(Hulett-Packard 8020A)는 1968년에 출시되었다.[1]
CTG 모니터링은 저산소증(산소 부족)의 위험이 있는 아기를 파악해 태아의 웰빙을 평가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2] CTG는 주로 노동 중에 사용된다. 산전수전(노동 전)에는 고위험 임신을 한 여성을 감시하는 것이 산모나 아기에게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3] 이 관행을 둘러싼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신 연구가 필요하다.[3]
CTG 모니터링은 때때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의료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3]
방법들
외부 카드오토그래피는 지속적인 또는 간헐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태아의 심장박동수와 자궁근육의 활성은 엄마의 복부에 배치된 두 개의 변환기에 의해 감지되며, 하나는 태아의 심장보다 심장박동수를 감시하기 위해, 다른 하나는 자궁의 펀더스에서 수축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검출된다. 도플러 초음파는 카디오토그래프(CTG)라고 알려진 종이 스트립에 기록되는 정보를 제공한다.[4] 외부 토코메트리는 수축의 시작과 끝은 물론 빈도수까지 보여주는데 유용하지만, 수축의 강도는 그렇지 않다. 외부 토코미터에서 압력 측정값의 절대값은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비만인 사람에서는 민감하지 않다.[5] 수축 강도나 정확한 타이밍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내부 토코미터가 더 적합하다.[5]
내부 카드오토그래피는 태아와 직접 연결된 전자 변환기를 사용한다. 나선형 또는 두피 전극이라고도 불리는 전선 전극은 자궁경부 개구부를 통해 태아 두피에 부착되어 모니터와 연결된다. 내부 모니터링은 태아 심박수의 보다 정확하고 일관된 전달을 제공하며, 외부 모니터링과 달리 움직임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내부 모니터링은 외부 모니터링이 부적절하거나 보다 면밀한 감시가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6] 내부 토코메트리는 양수낭이 파열되고(자발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자궁경부가 열려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수축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자궁 내 압력 카테터 또는 IUPC라 불리는 작은 카테터를 태아를 지나 자궁으로 전달한다. IUPC는 내부 태아 모니터와 결합하여 아기의 심박수와 수축 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일반적인 CTG 판독값은 종이에 인쇄되며 나중에 참조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산업화된 국가의 산부인과 병원에는 CTG를 중앙 집중식으로 시청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어,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복수의 트레이싱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다. 모성 활력징후, ST 신호 및 전자 파토그램의 표시는 이들 시스템의 대부분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카디오토그래픽 신호의 컴퓨터 분석이나 결합된 카디오토그래픽과 ST 데이터 분석을 통합했다.[7][8][9][4][10]
해석
미국에서는 유니스 케네디 슈라이버 국립아동보건인간개발연구소가 내 태아 심장박동수와 자궁수축 패턴을 해석하는 데 사용할 표준화된 명명법을 개발하기 위한 워크숍을 후원했다. 이 명칭은 여성 건강, 산부인과 및 신생아 간호사 협회(AWHONN), 미국 산부인과 의사 대학(ACOG), 산모-태아 의학 협회에 의해 채택되었다.[11]
또한 캐나다[13] 왕립 산부인과 의사대학과[12] 산부인과 의사협회와 산부인과 의사회는 태아 심장박동 패턴에 대한 표준화된 명명법에 대한 합의문을 발표했다.
CTG 추적을 해석하려면 몇 가지 요인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 설명이 필요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DR C BRAVADO라는 약어로 요약된다.[14]
- DR: 위험 정의
- C: 수축(자체 활동)
- BRA: 기준 태아 심박수(FHR)
- V: 기준 FHR 변동성
- A: 가속도 존재 여부
- D: 주기적 또는 일시적 감속
- O: 시간의 경과에 따른 FHR 패턴의 변화 또는 경향
자궁활동
자궁 활동을 평가하는 데는 몇 가지 요인이 사용된다.
- 빈도: 한 수축 시작부터 다음 수축 시작까지의 시간.
- 지속시간: 수축 시작부터 같은 수축 종료까지의 시간.
- 휴식음: 수축 사이에 자궁이 얼마나 이완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외부 모니터링의 경우, 상대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팔팽이를 사용해야 한다. IUPC의 경우 이는 종이에 그래프로 표시된 실제 압력을 평가하여 결정한다.
- 간격: 한 수축의 끝에서 다음 수축의 시작까지의 시간.
NICHD 명명법은[11] 평균 30분 이상의 10분 창문에 나타나는 수축 횟수를 정량화하여 자궁 활동을 정의한다. 자궁 활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정상: 10분 동안 5개 이하의 수축, 30분 동안 평균
- 자궁 타키스톨: 10분 동안 5개 이상의 수축, 30분 동안 평균적으로
기준 태아 심박수
NICHD 명명법은[11] 기준 태아 심박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기준 FHR은 가속 및 감속과 표시된 FHR 변동 기간(25bpm 이상)을 제외하고 10분 윈도우 동안 분당 5비트 증분으로 반올림한 평균 FHR을 근사치로 측정하여 결정된다. 어떤 10분 창에도 최소한 2분 이상의 식별할 수 있는 기준선 세그먼트(필수적으로 연속되는 것은 아님)가 있어야 하며, 또는 그 기간의 기준선이 불분명해야 한다. 이 경우 기준선 결정을 위해 앞의 10분 창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비정상적인 기준선은 기준 FHR이 110bpm 미만일 때 bradycardia라고 불리고, 기준 FHR이 160bpm 이상일 때 tachycardia라고 불린다.
[필요하다]
기준 FHR 변동성
적당한 기준 태아 심박수 변동성은 태아 중추신경계에 산소가 전달되는 것을 반영한다. 그것의 존재는 그것이 관찰되는 시점에 태아의 대사산혈증과 저산소성 손상의 부재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안심할 수 있다.[11] 이와는 대조적으로, 최소한의 기준 FHR 변동성 또는 FHR 변동성의 존재는 태아 산혈증이나 저산소증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지 못한다; 적당한 기준 FHR 변동성의 결여는 태아 수면 주기, 약물, 극도의 미성숙, 선천성 이상 또는 기존의 신경학적 손상의 결과일 수 있다.[11] 또한 기준 FHR 변동성이 증가(또는 표시됨)되어 있는 경우(아래 "지그재그 패턴" 및 "소금 패턴" 섹션 참조)는 태아 및 신생아 부작용 결과와 관련이 있다.[15][16][17][18] 변화 지속시간을 기준으로 증가된(즉, 표시된) 기준선 변동성은 FHR의 지그재그 패턴과 염분 패턴의 두 용어로 구분된다.[15][19] NICD 명명법은 기준 FHR 가변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1]
기본 FHR 변동성은 가속 및 감속을 제외한 10분 창에서 결정된다. 기준 FHR 변동성은 진폭과 주파수가 불규칙한 기준 FHR의 변동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변동은 분당 박동 단위로 피크 대 트레이의 진폭으로 시각적으로 수량화된다. 또한 기준 FHR 변동성은 계량화된 진폭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없음 – 감지할 수 없음
- 최소값 – 감지할 수 없는 것보다 크지만 분당 5회 이하의 박동
- 보통 – 분당 6–25비트
- 표시 – 분당 25회 이상 박동
[필요하다]
지그재그 패턴의 태아 심박수
지그재그 패턴의 태아 심박수(FHR)는 최소 지속시간이 2분 최대 30분으로 분당 25비트 이상의 FHR 기준 진폭 변화로 정의된다.[15] 그러나, 다른 연구에 따르면, 지그재그 패턴의 지속시간이 1분 미만이어도 신생아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위험이 증가한다고 한다.[17] FHR 패턴의 모양에서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지그재그 패턴은 염분 패턴과 지속시간에 의해 구별된다. 국제자내과학산부인과연맹(FIGO)에 따르면 염분 패턴은 30분 이상의 지속시간을 가진 25bpm 이상의 FHR 기준 진폭 변화로 정의된다.[20] 헬싱키 대학교 중앙 병원에서 거의 5,000명의 용어 배달되는 지그 재그 패턴의 최근에 발표된 큰 산과 코호트 연구에서, Tarvonen(알.(2020년)[15]:"FHR의 ZigZag 패턴과 늦은회 감속 제대혈 산혈증, 낮은 Apgar 점수 삽관과 심폐 소생술에 필요한, NICU 입학과 n.와 관련된 것이 보도했다eon출생 후 처음 24시간 동안 저혈당 상태였습니다." 나아가 "지그재그 패턴은 후기 감속에 앞서며, 정상적인 FHR 패턴이 지그재그 패턴보다 선행한다는 것은 지그재그 패턴이 임상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태아 저산소증의 초기 징후임을 시사한다"[15]고 설명했다.
나아가 최근 5150건의 분만 연구에서 저산소 관련 ZigZag 패턴은 제대혈산혈증, 출생 시 5분 압가르 낮은 점수, 출생 후 신생아 소생 필요성과 연관되어 GDM 임신에서 태아 저산소증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태아 심박수의 염분 패턴
태아 심박수의 염분 패턴은 FIGO의 카디오토그래피(CTG) 가이드라인에서 30분 미만의 지속시간에서 분당 25비트(bpm) 이상의 태아 심박수(forea heart rate, FHR) 기준 진폭 변화로 정의된다.[20][22]
1992년 연구에서, 염분 패턴 FHR은 O'Brien-Abel과 Benedetti에 의해 "최소 지속 시간 1분 동안 분당 6 이상의 진동 주파수를 가진 25bpm 이상의 심장 기준 진폭 변화"로 정의되었다.[23] 염분 패턴의 병리학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20][22] 예를 들어 탯줄 압박으로 인해 [24]저산소증이 급속히 진행되는 것과 연계되어 있으며, 태아 중추신경계의 불안정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20]
누네스 외 연구진(2014년)의 연구에서는 생후 30분 전에 CTG에서 20분을 초과하는 4가지 염분 패턴이 태아 대사산증과 관련이 있었다.[25] 이 연구에 따르면 염분 패턴은 비교적 희귀한 질환으로, 3개의 대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발견된 경우는 4건에 불과하다.
Tarvonen에 의한 연구 조사에서(알.(2019년)[16]이 약동하는 패턴(2분의 최소 기간 이와)의 연합 표적 연구 위원회 추적에서 진통 중에 발생 태아 저산소증 높은 탯줄 정맥(자외선)혈액 에리스로포이에틴(EPO)수준과 인간 fetu에 따르면 선천적으로 배꼽 동맥(UA)혈액 산증으로 표시한 사용과 관련이 있다고 입증되었다.이. 대부분의 경우 염분 패턴이 태아 심박수(FHR)의 늦은 감속에 앞서 있기 때문에 염분 패턴은 태아 저산소증의 초기 징후로 보인다.[26] 저자들에 따르면, 이것에 대한 인식은 산부인과 의사들과 산부인과 의사들이 전자 태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태아 질식증이 발생하기 전에 가능한 개입을 계획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16]
가속
NICHD 명명법은[11] 가속을 태아 심박수의 시각적으로 명백한 급격한 증가라고 정의한다. 급상승은 가속의 시작에서 최고점까지 30초 이하로 증가된 것으로 정의된다. 가속이라고 부르려면 피크가 15 bpm 이상이어야 하며 가속은 시작부터 15초 이상 지속되어야 기준선으로 되돌아간다.[27] 가속이 길면 2분 이상 10분 미만인 반면 10분 이상 지속되는 가속은 기본 변화로 정의된다. 임신 32주 전에 가속은 최소 10 bpm의 피크와 10초 이상의 지속시간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citation needed]
주기적 또는 일시적 감속
주기적인 것은 수축과 관련된 감속을 말하며, 삽화는 수축과 관련이 없는 것을 말한다. NICD 명명법에 의해 정의된 감속에는 4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들 유형은 모두 시각적으로 평가된다.[11]
- 조기 감속: 수축 중 태아 머리가 눌려 질음이 높아진 결과. 모니터링은 대개 대칭적이고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자궁수축과 관련된 FHR의 기준선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보여준다. '점진적' 감속은 시작부터 나중까지 30초 이상이다. 조기 감속은 수축과 거의 동시에 시작되고 끝나며, 태아 심박수의 저점은 수축의 절정에서 발생한다.[5]
- 늦은 감속: 태아의 고통을 초래할 수 있는 태반 부족의 결과. 모니터링은 대개 자궁수축과 관련하여 태아의 심장박동수 기준치로의 대칭적인 점진적 감소와 복귀를 보여준다. '점진적' 감속은 30초 이상의 나중으로 시작된다. 초기 감속과는 대조적으로 태아의 심장박동수 저점은 수축의 정점 이후 발생하며, 수축이 완료된 후 기준점으로 복귀한다.[5]
- 가변 감속: 일반적으로 탯줄 압착의 결과로서, 수축은 태아의 목이나 어깨 아래를 감싸고 있을 때 코드를 더욱 압박할 수 있다. 그것들은 태아의 심장 박동수가 갑자기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감소 초기부터 심박수의 나중까지 30초 미만이다. FHR의 감소는 분당 최소 15박자, 지속시간은 최소 15초에서 2분 미만으로 지속된다.[5] 가변 감속이 자궁수축과 연관되어 있을 때, 그 시작, 깊이, 지속시간은 흔히 연속적인 자궁수축에 따라 달라진다.[citation needed]
- 장기 감속: 최소 15bpm의 기준선에서 FHR이 감소하여 최소 2분에서 10분 미만으로 지속된다. 최소 10분의 감속은 기준 변화다.[citation needed]
또한 감속은 20분 윈도우 내에서 주파수(시간 중 50% 이상 또는 50% 미만)에 따라 반복되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11]
FHR 패턴 분류
2008년 이전에는 태아의 심장박동수가 "보정" 또는 "보정"으로 분류되었다. NICD 작업 그룹은 정의되지 않은 오래된 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3계층 시스템에 대한 용어를 제안했다.[11]
- 범주 I(정규 분포: 이러한 모든 발견이 존재하는 추적은 관찰 당시의 태아 산 기저 상태에 대해 강하게 예측되며 태아는 표준적인 방법으로 관찰될 수 있다.
- 기본 속도 110–160 bpm,
- 적당한 변동성,
- 지연 또는 가변 감속이 없는 경우,
- 조기 감속 및 가속은 존재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 범주 II(미확정): 추적은 비정상적인 태아산 염기 상태를 예측하지 못한다. 평가와 지속적인 감시 및 재평가를 나타낸다.
- 기준 변동성이 정상인 브래디카드
- 빈맥
- FHR의 최소 또는 표시된 기준 변동성
- 가속도: 태아 자극 후 유도 가속도의 부재
- 정기 또는 성공회 감속: 2분 이상 10분 미만, 기준 변동성이 중간인 반복 후 감속
- 베이스라인으로의 느린 복귀와 같은 다른 특성의 가변 감속, 보이는 "어깨"의 오버슈트(감속 양쪽에 있는 흄)
- 범주 III(비정상): 추적은 관찰 당시 태아산기반의 비정상 상태를 예측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신속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 반복적인 지연/변동 감속 또는 서맥이 있는 기준 변동성의 부재 또는
- 사인파 태아 심박수
2015 FIGO 내부 태아 모니터링 지침 업데이트
FIGO는 최근 태아내 모니터링에 관한 지침을 수정하여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안하고 있다.[28]
- 정상: 저산소증이나 산도증 없음; 태아 산소화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개입할 필요가 없음.
- 기준선 110–160 bpm
- 변동성 5–25 bpm
- 반복 감속 없음(고장은 50% 수축과 관련된 경우 반복으로 정의됨)
- 의심스러운 경우: 저산소증/산소증의 낮은 확률, 식별된 경우 가역적 원인을 수정하기 위한 조치, 면밀한 모니터링 또는 부가적 방법.
- 정규성의 특성이 하나 이상 부족하지만 병적인 특징이 없다.
- 병리학: 저산소증/산소증의 가능성이 높으며, 가역적 원인, 부가적 방법 또는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급박한 상황에서는 즉시 배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 기준선 <100 bpm>
- 변동성 또는 사인파 패턴 감소 또는 증가
- 변동성이 감소할 경우 30분 이상 또는 20분 동안 반복적인 지연 또는 장기 감속(고장은 50% 수축과 관련될 경우 반복으로 정의됨)
- 감속 > 5분
혜택들
2017년 2월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CTG는 신생아 발작 감소와 관련이 있었지만 장기적인 신경 발달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분명하다. 뇌성마비 발생률, 유아 사망률, 신생아 웰빙의 다른 표준 측정치 또는 장기적 결과에서 어떤 의미 있는 차이도 보여줄 수 없었다. 연속 CTG는 제왕절개 및 기악 질 출산의 높은 비율과 연관되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여성과 논의하여 그들이 노동의 정규성을 훼손하지 않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난제를 본다. 미래의 연구는 임신과 노동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그것은 아기에게 장기적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4]
참고 항목
참조
- ^ Ayres-de-Campos, Diogo (June 2018). "Electronic fetal monitoring or cardiotocography, 50 years later: what's in a nam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18 (6): 545–546. doi:10.1016/j.ajog.2018.03.011. ISSN 0002-9378.
- ^ Alfirevic, Zarko; Gyte, Gillian ML; Cuthbert, Anna; Devane, Declan (2017-02-03). Cochrane Pregnancy and Childbirth Group (ed.). "Continuous cardiotocography (CTG) as a form of electronic fetal monitoring (EFM) for fetal assessment during labou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9 (5). doi:10.1002/14651858.CD006066.pub3. PMC 6464257. PMID 28157275.
- ^ a b c Grivell, Rosalie M.; Alfirevic, Zarko; Gyte, Gillian M. L.; Devane, Declan (12 September 2015). "Antenatal cardiotocography for fetal assessment".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9): CD007863. doi:10.1002/14651858.CD007863.pub4. PMC 6510058. PMID 26363287.
- ^ a b c Alfirevic, Zarko; Devane, Declan; Gyte, Gillian M. L.; Cuthbert, Anna (3 February 2017). "Continuous cardiotocography (CTG) as a form of electronic fetal monitoring (EFM) for fetal assessment during labou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 (2): CD006066. doi:10.1002/14651858.CD006066.pub3. ISSN 1469-493X. PMC 6464257. PMID 28157275.
- ^ a b c d e Callahan, Tamara; Caughey, Aaron B. (January 2013). Blueprints Obstetrics & Gynecology.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43–47. ISBN 978-1-4511-1702-8.
- ^ "Types of Fetal Heart Monitoring". www.hopkinsmedicine.org. Retrieved 21 March 2018.
- ^ Nunes, Inês; Ayres-de-Campos, Diogo; Figueiredo, Catarina; Bernardes, João (25 July 2012). "An overview of central fetal monitoring systems in labour".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41 (1): 93–99. doi:10.1515/jpm-2012-0067. PMID 23093259.
- ^ "Procedures That May Take Place During Labor and Delivery". Penn Medicin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7-27.
- ^ Neilson, James P. (6 February 1993). "Cardiotocography during labour". British Medical Journal. 306 (6874): 347–348. doi:10.1136/bmj.306.6874.347. PMC 1676479. PMID 8461676.
- ^ Al Wattar, Bassel H.; Honess, Emma; Bunnewell, Sarah; Welton, Nicky J.; Quenby, Siobhan; Khan, Khalid S.; Zamora, Javier; Thangaratinam, Shakila (6 April 2021). "Effectiveness of intrapartum fetal surveillance to improve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93 (14): E468–E477. doi:10.1503/cmaj.202538. PMC 8049638. PMID 33824144.
- ^ a b c d e f g h i j Macones, George A.; Hankins, Gary D. V.; Spong, Catherine Y.; Hauth, John; Moore, Thomas (2008). "The 2008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Workshop Report on Electronic Fetal Monitoring". Obstetrics & Gynecology. 112 (3): 661–666. doi:10.1097/AOG.0b013e3181841395. PMID 18757666. S2CID 1884812.
- ^ "NICE Guideline Intrapartum care: management and delivery of care to women in labou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7.
- ^ "Fetal Health Surveillance: Antepartum and Intrapartum Consensus Guideline" (PDF).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Canada. 29 (9). Septem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0-11-29.
- ^ "How to Read a CTG CTG Interpretation" (in British English). May 11, 2021. Retrieved 2021-06-05.
- ^ a b c d e Tarvonen, Mikko; Hovi, Petteri; Sainio, Susanna; Vuorela, Piia; Andersson, Sture; Teramo, Kari (2020-09-27). "Intrapartum zigzag pattern of fetal heart rate is an early sign of fetal hypoxia: A large obstetric retrospective cohort study".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100 (2): 252–262. doi:10.1111/aogs.14007. ISSN 0001-6349. PMC 7894352. PMID 32981037.
- ^ a b c Tarvonen, Mikko; Sainio, Susanna; Hämäläinen, Esa; Hiilesmaa, Vilho; Andersson, Sture; Teramo, Kari (2019-12-17). "Saltatory Pattern of Fetal Heart Rate during Labor Is a Sign of Fetal Hypoxia". Neonatology. 117 (1): 111–117. doi:10.1159/000504941. ISSN 1661-7819. PMID 31846958. S2CID 209408174.
- ^ a b Gracia-Perez-Bonfils, Anna; Cuadras, Daniel; Whelehan, Virginia; Archer, Abigail; Del Río, Maria; Chandraharan, Edwin (March 2019). "Saltatory pattern vs Zigzag pattern on the CTG, and perinatal outcome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34: e55. doi:10.1016/j.ejogrb.2018.08.276. ISSN 0301-2115.
- ^ Polnaszek, Brock; López, Julia D.; Clark, Reece; Raghuraman, Nandini; Macones, George A.; Cahill, Alison G. (2019-10-02). "Marked variability in intrapartum electronic fetal heart rate patterns: association with neonatal morbidity and abnormal arterial cord gas". Journal of Perinatology. 40 (1): 56–62. doi:10.1038/s41372-019-0520-9. ISSN 0743-8346. PMC 7202403. PMID 31578422.
- ^ Tarvonen, Mikko (2021). "Factors Associated with Intrapartum ZigZag Pattern of Fetal Heart Rate: A Retrospective One-Year Cohort Study of 5150 Singleton Childbirth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58: 118–125. doi:10.1016/j.ejogrb.2020.12.056. PMID 33421808.
- ^ a b c d Ayres-de-Campos, Diogo; Spong, Catherine Y; Chandraharan, Edwin (October 2015). "FIGO consensus guidelines on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Cardiotocography".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131 (1): 13–24. doi:10.1016/j.ijgo.2015.06.020. ISSN 1879-3479. PMID 26433401.
- ^ Tarvonen, Mikko; Hovi, Petteri; Sainio, Susanna; Vuorela, Piia; Andersson, Sture; Teramo, Kari (2021-06-21). "Intrapartal cardiotocographic patterns and hypoxia-related perinatal outcome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cta Diabetologica. doi:10.1007/s00592-021-01756-0. ISSN 1432-5233. PMC 8505288. PMID 34151398.
- ^ a b "NICE/RCOG CTG Guidelines 2017" (PDF).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7-27.
- ^ O'Brien-Abel, Nancy E.; Benedetti, Thomas J. (March 1992). "Saltatory Fetal Heart Rate Pattern". Journal of Perinatology. 12 (1): 13–17. ISSN 0743-8346. PMID 1560284.
- ^ Yanamandra, Niraj; Chandraharan, Edwin (2013-07-31). "Saltatory and Sinusoidal Fetal Heart Rate (FHR)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FHR 'Overshoots'". Current Women's Health Reviews. 9 (3): 175–182. doi:10.2174/157340480903140131111914.
- ^ Nunes, I.; Ayres-de-Campos, D.; Kwee, A.; Rosén, K. G. (2014). "Prolonged saltatory fetal heart rate pattern leading to newborn metabolic acidosis". Clinical and Experimental Obstetrics & Gynecology. 41 (5): 507–511. ISSN 0390-6663. PMID 25864248.
- ^ Tarvonen, Mikko; Sainio, Susanna; Hämäläinen, Esa; Hiilesmaa, Vilho; Andersson, Sture; Teramo, Kari (February 19, 2020). "Saltatory Pattern of Fetal Heart Rate during Labor Is a Sign of Fetal Hypoxia". Neonatology. 117 (1): 111–117. doi:10.1159/000504941. PMID 31846958. S2CID 209408174 – via www.karger.com.
- ^ Bailey, R. Eugene (15 December 2009).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American Family Physician. 80 (12): 1388–1396. PMID 20000301.
- ^ "Available to view: FIGO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Guideline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Retrieved 2017-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