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D-1940
AZD-1940임상자료 | |
---|---|
경로: 행정 | 구강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20H29F2N3O2S |
어금질량 | 413.53 g·migration−1 |
3D 모델(JSmol) | |
| |
|
AZD-1940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약물로, 주변 선택성 카나비노이드 작용제로 CB1 수용체와 CB2 수용체 모두에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된다. 신경성 통증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동물 연구에서는 말초 선택성이 좋은 반면,[1] 인간 임상 실험에서는 충분한 진통 효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중앙 칸나비노이드 활동과 관련된 예기치 않게 강한 부작용을 낳아 추가 발육이 중단되었다.[2][3]
참고 항목
참조
- ^ Schou M, Varnäs K, Jucaite A, Gulyás B, Halldin C, Farde L (April 2013). "Radiolabeling of the cannabinoid receptor agonist AZD1940 with carbon-11 and PET microdosing in non-human primate". Nuclear Medicine and Biology. 40 (3): 410–4. doi:10.1016/j.nucmedbio.2012.10.011. PMID 23352602.
- ^ Kalliomäki J, Segerdahl M, Webster L, Reimfelt A, Huizar K, Annas P, et al. (January 2013). "Evaluation of the analgesic efficacy of AZD1940, a novel cannabinoid agonist, on post-operative pain after lower third molar surgical removal". Scandinavian Journal of Pain. 4 (1): 17–22. doi:10.1016/j.sjpain.2012.08.004. PMID 29913883. S2CID 49302159.
- ^ Kalliomäki J, Annas P, Huizar K, Clarke C, Zettergren A, Karlsten R, Segerdahl M (March 2013). "Evaluation of the analgesic efficacy and psychoactive effects of AZD1940, a novel peripherally acting cannabinoid agonist, in human capsaicin-induced pain and hyperalgesia".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 Physiology. 40 (3): 212–8. doi:10.1111/1440-1681.12051. PMID 23324098. S2CID 1630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