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168Y1 -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0168Y1 KR950010168Y1 KR2019930002888U KR930002888U KR950010168Y1 KR 950010168 Y1 KR950010168 Y1 KR 950010168Y1 KR 2019930002888 U KR2019930002888 U KR 2019930002888U KR 930002888 U KR930002888 U KR 930002888U KR 950010168 Y1 KR950010168 Y1 KR 9500101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reinforcement
- vehicle
- vehicle body
- pan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제8도의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차체의 내부를 보았을때, 각 구성요소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장착된 방식을 표시한 부분단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X2-X2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X3-X3선 단면도.
제4도는 플로어보강재와 플로어패널과의 관계를 표시한 제1도의 X4-X4선 부분단면사시도.
제5도는 플로어보강재와 플로어패널과의 관계를 표시한 제1도의 X5-X5선 부분단면사시도.
제6도는 차체위에서 보았을때의 각 폐단면의 관계를 표시한 개략 설명도.
제7도는 제6도의 좌측에서 보았을때의 각 폐단면의 관계를 표시한 개략설명도.
제8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의 차체구조부를 표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실 4 : 리어펜더
5 : 리어펜더외부패널 6 : 리어펜더 내부패널
8 : 센터필러 10 : 필러보강재
11 : 제1폐단면 12 : 플로어패널
13 : 상승부 14 : 리어폴로어부
16 : 단차부 18 : 사이드프레임
19 : 제2폐단면 20 : 제1플로어보강재
21 : 제2플로어보강재 22 : 전방제3폐단면
23 : 제3플로어 보강재 24 : 후방제3폐단면
31 : 프런트필러 32 : 리어필러
33 : 프런트펜더 35 : 프런트플로어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측부차체의 구조에 관한것이다.
자동차의 측부차체에서의 충돌에 대처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공개공보 제1-103, 483호에는 자동차의 측부차체의 구조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측부차체구조는 센터필러를 구비한 리어휘일을 접속하는 사이드빔과, 이 사이드빔은 리어팬더 외부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이드빔과 리어펜더 내부패널사이의 스페이서의 내측에 배치된 리어페이터럴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 차량의 측부차체로부터의 충돌에 대처할 수 있는 더 효과적이고 더 강력한 자동차의 측부차체의 구조가 요망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측부차체로부터의 충돌에 대처하는 물리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체의 좌우측부분의 각각에서 하부위치에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사이드실과, 그 좌우측단부에서 사이드실에 접속된 플러어패널과, 그 하단부에서 사이드실에 접속되고 리어펜더내부패널과 리어펜더외부패널로 구성된 리어펜더와, 그리고 필러부를 가진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는, 필러부를 보강하는 리어펜더내에 배치되어 있는 필로보강재와 리어펜더 내부패널에 의해 형성된 제1폐단면과 ; 상기 사이드실과, 플로어패널의 아래 및 사이드실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프레임과, 그리고 플로어패널에 의해 형성된 제2폐단면과 ; 그리고 플로어패널의 위 및 상기 제2폐단면의 위에 배치되어 있는 플로어보강재 및 플로어패널에 의해 형성된 제3폐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폐단면과 상기 제3폐단면의 각각은, 상기 제1폐단면에 면하고 차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영역, 즉, 상기 제1폐단면으로부터 차체의 내부를 향해서 차폭방향으로 뻗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차량의 측부차체구조의 이 구성은 제1폐단면에서 차량측면충돌에 기인해서 차량의 측부차체로부터 전달된 하중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그후 전달된 하중을 제1폐단면을 개재해서 그 사이드실의 폐단면, 즉, 제2및 제3폐단면으로 분산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측부차체구조는 측면차량충돌에 대처하는 물리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필러가 만곡되거나 차체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특장은,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중에 명백해질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1)은 사이드실, (4)는 리어펜더, (33)은 센터필러(8)를 가진 프런트펜더를 표시한다. (31)은 프런트필러, (32)는 리어필러를 표시한다. 또한, (34)는 운전자 또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사이드오프닝을 표시하고, 이 사이드오프닝(34)은 사이드도어(도시생략)에 의해 개폐된다. 사이드오프닝(34)의 하단은 사이드실(1)에 의해 한정되고 제한되며, 그리고 사이드오프닝(34)의 후단은 리어펜더(4)의 전단를 구성하는 센터필러(8)에 의해 한정되고 제한된다.
본 고안은 사이드실(1), 리어펜더(4)(센터필러(8)), 및 제8도에 도시하지 않은 플로어패널의 교차점 근방의 일부, 즉, 제8도에서 화살표 A로 표시한 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포함된 부분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차량의 좌측몸체는 그 우측몸체와 거의 같기 때문에 차량의 좌측몸체만을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실(1)은 좌우측차체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다. 사이드실(1)의 구조는 종래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사이드실부(2) 및 내부사이드실(3)로 형성되어 있는 폐구조로 되어 있다.
사이드실(1)의 상부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펜더(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리어펜더(4)는 리어펜더외부패널(5)과 리어펜더내부패널(6)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리어펜더외부패널(5)과 리어펜더내부패널(6)이 결합해서 형성된 내부공간을 가진다. 또한, 리어펜더(4)는 센터필러(8)의 일부를 구성한다. 리어펜더외부패널(5)은 차폭방향외측으로부터 사이드실(1)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리어펜더외부패널(5)의 하단부는 사이드실(1)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리어펜더내부패널(6)은 사이드실(1)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리어펜더 내부패널(6)의 하단부는 사이드실내부패널(3)과 사이드실 외부패널(2)의 상단부에 의해 클램프되어 있다. 또한, 리어펜더내부패널(6)은 사이드실(1)위에 관통구멍(9)을 형성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러보강재(10)는, 센터필러(8)를 따라서 뻗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리어펜더(4)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러보강재(10)는 종래의 경우보다 더 큰 정도로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리어펜더내부패널(6) 및 사이드실(1)과 접속되어 있다. 본 구조의 구성은 필러보강재(10), 리어펜더내부패널, 및 사이드실(1)과 결합해서 폐단면구조(11) (제1폐단면)을 형성한다.
리어펜더내부패널(6)에 형성된 관통구멍(9)은 폐단면구조(11)의 내부에 면해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필러보강재(10)는 대체로 ㄴ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센터필러(8)를 따라 차체의 수직방향으로 뻗는 상부와, 사이드실(1)을 따라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하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필러보강재(10)는 길게 아래쪽으로 뻗어있어 차체의 외측으로부터 사이드실(1)을 덮도록 되어 있으며, 필러보강재(10)의 하단부는 사이드실(1)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필러보강재(10)는 용접, 고착, 볼트에 의한 고정등과 같은 종래의 공정에 의해 사이드실(1)과 접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러보강재(10)는 사이드실(1)에 용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는 용접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될 수도 있다.
사이드실(1)의 사이드실내부패널(3)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어패널(12)이 접속되어 있다. 플로어패널(12)은 센터필러(8)를 따라서 위로 뻗는 상승부(13)와, 상승부(13)의 상단으로부터 뒤쪽으로 뻗는 리어플로어부(14)와, 그리고 상승부(13)의 하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뻗는 프런트플로어부(35)로 이루어져 있다. 리어플로어부(14)는 평탄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좌우측단부의 각각에서 부분적으로 낮아져서 단차부(16)를 형성한다. 특히, 리어플로어부(14)는 메인플로어부(15)와 단차부(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메인플로어부(15)는 상당히 넓고, 평탄하며, 차폭방향 중앙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사이드실(1)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리고 단차부(16)은 평탄하며, 사이드실(1)의 상면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차부(16)의 외측단부는 사이드실의 상단에 접속 또는 용접되어 있다. 메인플로어부(15)와 단차부(16)사이에 위치한 경계부에는 경사부(17)가 배치되어 있으며, 메인플로어부(15)의 밑에 형성된 공간은 수직방향으로 커서 연료탱크(도시생략)가 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플로어부(35)는 사이드실(1)의 하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프런트플로어부(35)의 외측단부는 사이드실(1)의 하단부에 접속 또는 용접되어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사이드프레임(18)은 플로어패널(12)밑의 차폭방향좌우측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사이드프레임(18)은 U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어 센터필러(8)앞의 위치에서 사이드실(1)과 떨어져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바닥면과 좌우측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사이드프레임(18)은 플로어패널(12)의 프런트플로어단면(35)과 결합해서 폐단면을 형성한다. 또한, 사이드프레임(18)은 센터필러(8)의 뒤쪽 근방의 위치에서 차체의 내측에 바닥벽과 측벽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플로어패널(12)의 단차부(16)와 사이드실내부패널(3)과 결합해서 폐단면구조(19)(제2폐단면)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폐단면구조(19)는 필러보강재(10)가 차체의 내부방향으로 뻗게 되었을때에 형성되는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러보강재(10)가 리어펜더내부패널(6) 및 사이드실(1)과 결합해서 형성된 폐단면구조(11)가 차체의 내부방향으로 뻗게 되었을때, 필러보강재(10)의 폐단면구조(11)가 차체의 내측내에 뻗음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은 위에서 보았을때 사선친 영역로 표시할 수 있으며, 폐단면구조(19)는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는 제7도가 그려진 종이의 뒤쪽을 향하는 필터보강재(10)의 연성부의 궤적에 대응한다. 폐단면구조(19)가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차체의 외측으로부터 그 내측으로 폐단면구조(11)에 작용하는 외력은 폐단면구조(19)가 외력이 팽창하는 영역내에 존재하므로 흡수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플로어보강재(20) 및 제2플로어보강재(21)는 플로어패널(12)의 차폭방향 전체의 길이 및 단차부(16)에 뻗도록 플로어패널(12)상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1도, 4도,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플로어보강재(20)는 상승부(13) 및 메인플로어부(15)를 따라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16) 및 제1플로어보강재(20)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간의 수직길이는 단차부(16) 및 메인플로어부(15)사이의 수직차에 대응한다.
한편, 제2플로어보강재(21)는 제1플로어보강재(20)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그것은 상승부(13)및 리어플로어부(14)사이의 경계부에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1도 및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제2플로어보강재(21)는 단차부(16)로부터 차폭방향 내측상의 제1플로어보강재(20)를 따라서 제1플로어 보강재(20)와 접속 또는 용접되어 있으며, 제1도 및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 한편으로는, 제2플로어보강재(21)는 대락 ㄴ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단차부 (16)로부터 차폭방향외측상에서는 제1플로어보강재(20)를 위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2플로어보강재(21)는 마찬가지로 단차부(16)와 경사부(17)와 제1플로어보강재(20)와 접속 또는 용접되어 있다. 단차부(16)의 구조의 본 구성은 제1및 제2플로어보강재(20) 및 (21)과 결합해서 폐단면구조(22) (전방 제3폐단면)를 이루고, 폐단면구조(22)는 메인플로어부(15)와 거의 같은 높이에서 차폭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폐단면구조 (22)는 폐단면구조(11)로 부터 차폭방향내측상에 배치되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폐단면구조(22)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차량측면 충돌에 기인해서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그 내측으로 폐단면구조 (11)상에 작용하는 외력은 폐단면구조(22)가 외력이 뻗는 영역에 존재하기 때문에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제2플로어보강재(21)는 제1플로어보강재(20)로부터 차폭방향외부를 향해서 더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플로어보강재(21)의 차폭방향외단부는 관통구멍(9)을 개재해서 필러보강재(10)까지 뻗고, 필러보강재(10)의 내면과 접속 또는 용접되어 있다.
제1도, 3도,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플로어보강재(23)는 제1및 제2 플로어보강재(20) 및 (21) 뒤쪽의 차체의 측면에서 플로어패널(12)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3플로어보강재(23)는 아래를 향한 개구를 갖는 C형상의 캡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메인플로어부 (15) 및 단차부 (16)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3플로어 보강재(23)는 플로어패널(12)과 결합해서 뒤쪽 제3폐단면으로서 제3폐단면구조 (24)를 형성한다. 제1도 및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폐단면구조(23)는 폐단면구조(11)로 부터 차폭방향내부측에 배치되어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외력이 차체의 외측으로부터 그 내측으로 폐단면구조(11)에 작용하더라도, 폐단면구조 (23)는 외력이 폐단면구조(23)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 (16), 제1플로어보강재(20), 및 제2플로어보강재(21)는 메인플로어부(15)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한 폐단면구조(22)를 형성한다.
따라서, 차량측면 충돌에 기인해서 차량의 측부자체로부터 전달된 하중은 메인플로어부(15)에 대해 아래쪽으로 치우쳐 있는 단차부(16)의 도움으로 분산됨으로써, 리어플로어부(14)가 만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플로어보강재(21)는 그 차폭방향외단부가 관통구멍(9)을 개재해서 필러보강재(10)와 접속 또는 용접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차량측면충돌에 기인해서 측부차체로부터 전달된 외부 하중을 승객이 앉아 있는 장소로부터 가능한한 먼 위치에서 받을 수 있으며, 차체는 차폭방향 외측에서만 충돌을 일으킬 수 있어 차폭방향 내부측에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측부차체의 측부차체의 구조의 구성은 필러보강재(1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센터필러(8)가 만곡되어 차량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측부차체의 구조는 폐단면구조 (19), (22), 및 (24)가, 폐단면구조 (11)가 차폭방향내부방향으로 뻗게 되어 있는 영역에 면하는 영역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차의 범퍼(25)가 차량의 몸체에 충돌하더라도,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측면 충돌에 기인해서 차량의 축부차체로부터 전달된 하중은 처음에 폐단면구조 (11)가 받고, 그후 폐단면구조(19),(22) 및 (24)로 분산되어서 그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측부차체의 구조의 구성은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한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측부차체의 구조는 특히 제2플로어보강재(21)의 배치와 결합해서 센터필러(8)가 차체의 내부로 떨어지거나 무너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어떤점에서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분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어떠한 변화에 또는 변형에도 본 고안의 정신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 차체의 좌우측부분의 각각에서 하부위치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뻗는 사이드실과, 그 좌우측단부에서 사이드실에 접속된 플로어패널과, 그 하단부에서 사이드실에 접속된 리어펜더와, 이 리어펜더는 리어펜더내부패널과 리어팬더외부패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필러부를 가진 자동차의 측부 차체의 구조에 있어서, 필로보강재와 리어펜더내부패널에 의해 형성된 제1폐단면과, 필러보강제는 필러부를 보강하는 리어펜더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 상기 사이드실, 사이드프레임, 및 플로어패널에 의해 형성된 제2폐단면과, 사이드프레임은 플로어패널의 아래 및 사이드실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 그리고 플로어보강재 및 플로어패널에 의해 형성된 제3폐단면과, 플로어보강재는 플로어패널의 위 및 상기 제2폐단면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 상기 제2폐단면과 상기 제3폐단면의 각각은, 상기 제1폐단면에 면하고 차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영역, 즉, 상기 제1폐단면으로부터 차체의 내부를 향해서 차폭방향으로 뻗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부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측부차체에 형성된 사이드오프닝의 후단을 한정하고 제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사이드실은 사이드오프닝의 하단을 한정하고 제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패널은 프런트플로어부와 리어플로어부 그리고 상승부로 이루어지고 ; 상기 프런트플로어부는 상기 필러부의 근방전에 존재하고 그 프런트사이드부가 하강된 채 배치되어 있으며 ; 상기 리어플로어부는 상기 필러부의 근방후에 존재하고 그 리어사이드부가 상승된 채 배치되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상승부는 상기 필러부의 근방에 존재하고 상기 프런트플로어부와 상기 리어플로어부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플로어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 그리고 상기 리어플로어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상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4항에 있어서, 단차부는 상기 리어플로어부의 좌우측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는 부분적으로 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상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상기 단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단차부에 상기 제3폐단면을 형성하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폐단면중의 2개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관계로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차체의 폭방향길이 전체의 걸쳐 뻗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리어플로어부와 상기 상승부 사이의 경계부를 보강하는 자동차의 측부 차체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차체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상기 상승부의 하단까지 뻗는 제1플로어보강재와, 상기 상승부와 상기 리어플로어부 사이의 경계부에만 존재하는 제2플로어보강재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로어보강재의 차폭방향 외단부는, 상기 리어펜더내부패널을 통해서 뻗고 상기 필러보강재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제2플로어보강재는 상기 필러보강재와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아래를 향한 개구부를 갖는 C형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상기 단차부에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3폐단면은 차체의 앞쪽에 위치한 전방 제3폐단면과, 차체의 뒤쪽에 위치한 후방 제3폐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 상기 전방 제3폐단면은, 상기 리어플로어부와 상기 상승부 사이의 경계부를 보강하도록 차폭방향으로 뻗는 제1플로어보강재와 결합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후방 제3폐단면은, 아래를 향한 개구부를 구비한 C형상의 형태를 가진, 상기 단차부와 접속된 제2플로어보강재와 결합해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제3폐단면은 차체의 폭 방향으로 뻗어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아래를 향한 개구브를 가진 C형상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 그리고 상기 제3폐단면은 상기 플로어보강재에 대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관계로 배치된 2종류의 플로어보강재로 이루어지고 ; 그리고 상기 제3폐단면은 상기 2종류의 플로어보강재. 즉, 차체의 앞쪽에 위치한 전방 제3폐단면과 차체의 뒤쪽에 위치한 후방 제3폐단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그 앞부분이 상기 필러부의 근방에는 상기 사이드실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그 뒷부분이 상기 사이드실과 상기 플로어패널과 결합해서 상기 제2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앞부분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실로부터 분리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앞부분은 위를 향한 개구부를 가진 C자형 단면, 즉, 바닥부와 2개의 측벽부를 가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사이드실 및 상기 플로어패널과 결합해서 상기 제2폐단면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뒷부분은 차체의 내측에 바닥부와 2개의 측벽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의해 상기 사이드실 및 상기 플로어패널과 결합해서 상기 제2폐단면을 형성하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의 차폭방향외단부는 상기 리어펜더 내부패널을 개재해서 상기 필러보강재까지 뻗으며 ; 그리고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상기 필러보강재와 접속되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보강재는, 상기 리어플로어부의 상기 단차부를 제외하고는 상기 리어플로어부의 중간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펜더내부패널은 상기 사이드실의 상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 그리고 상기 리어펜더외부패널은 상기 사이드실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보강재는 차체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사이드실을 덮기 위하여 하부위치까지 뻗으며 ; 그리고 상기 필러보강재의 하단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펜더외부패널은 차체의 외측부로부터 상기 사이드실 및 상기 필러보강제를 덮기 위하여 하부위치까지 뻗으며 ; 그리고 상기 리어펜더외부패널의 하단부는 상기 사이드실의 하단부와 접속되어 있는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보강재는 ㄴ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것은 차체의 수직방향으로 뻗는 상기 필러부와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상기 사이드실을 따라서 전체길이에 걸쳐 뻗도록 배치되어 있는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92292U JPH0568786U (ja) | 1992-02-28 | 1992-02-28 |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
JP1992018921U JP2573215Y2 (ja) | 1992-02-28 | 1992-02-28 |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
JP92-18921 | 1992-02-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9678U KR930019678U (ko) | 1993-09-23 |
KR950010168Y1 true KR950010168Y1 (ko) | 1995-11-29 |
Family
ID=2635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2888U KR950010168Y1 (ko) | 1992-02-28 | 1993-02-27 |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5354115A (ko) |
KR (1) | KR95001016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00174C2 (sv) * | 1992-09-11 | 1994-05-02 | Saab Automobile | Tröskelförstärkning för reduktion av golvinträngning vid offsetkollisioner med personbilar |
JP3194261B2 (ja) * | 1993-12-14 | 2001-07-30 | スズキ株式会社 | 自動車のフロア側部構造 |
GB2306922B (en) * | 1994-08-31 | 1997-11-12 | Fuji Heavy Ind Ltd | Vehicle body structure |
JP3422574B2 (ja) * | 1994-08-31 | 2003-06-30 | 富士重工業株式会社 | 自動車車体の側面衝突対策構造 |
US5549349A (en) * | 1995-05-01 | 1996-08-27 | Chrysler Corporation | Side impact protection system |
JP3508317B2 (ja) * | 1995-08-29 | 2004-03-22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ボディストッパー構造 |
JP3528408B2 (ja) * | 1996-03-19 | 2004-05-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車体構造 |
US5954390A (en) * | 1997-12-18 | 1999-09-21 | Chrysler Corporation | Vehicle dynamic side impact system |
JP3254629B2 (ja) * | 1999-05-13 | 2002-02-12 | 現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のシルサイド部補強構造 |
DE19954292C2 (de) * | 1999-11-11 | 2003-04-24 | Porsche Ag | Fahrzeug |
JP3604085B2 (ja) * | 2001-06-05 | 2004-12-2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構造 |
DE10128989B4 (de) * | 2001-06-15 | 2006-05-11 | Bayerische Motoren Werke Ag | Äußere Seitenwand für eine Kraftfahrzeugkarosserie |
JP4094357B2 (ja) * | 2002-07-02 | 2008-06-0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燃料電池車両の車体構造 |
DE10305238A1 (de) * | 2003-02-08 | 2004-08-19 | Volkswagen Ag | Bodenversteifungsstruktur an Kraftfahrzeugen |
JP4272626B2 (ja) * | 2005-01-20 | 2009-06-03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下側部構造 |
JP4293180B2 (ja) | 2005-11-24 | 2009-07-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体後部構造 |
FR2897333B1 (fr) * | 2006-02-15 | 2009-03-06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Structure de coffr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
US7857377B2 (en) * | 2006-10-09 | 2010-12-2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ubular B-pillar to stamped rocker join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JP4407713B2 (ja) * | 2007-03-30 | 2010-02-03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体構造 |
WO2009078288A1 (ja) * | 2007-12-19 | 2009-06-25 | Honda Motor Co., Ltd. | 車体側部構造 |
FR2934230B1 (fr) * | 2008-07-22 | 2011-03-18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Insert de rigidification pour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
JP4719785B2 (ja) * | 2008-10-31 | 2011-07-0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側部構造 |
US8662575B2 (en) * | 2009-12-22 | 2014-03-04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chassis side structure |
WO2012144001A1 (ja) * | 2011-04-18 | 2012-10-2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体構造 |
US9828714B2 (en) | 2013-08-20 | 2017-11-28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tatic tub |
JP6171911B2 (ja) * | 2013-12-13 | 2017-08-02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の側部車体構造 |
KR101526399B1 (ko) * | 2013-12-20 | 2015-06-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충돌 성능 및 방청 성능 개선을 위한 차체 측면 하부 구조 |
JP6019084B2 (ja) * | 2014-10-21 | 2016-11-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側部構造 |
US11097782B2 (en) | 2014-11-24 | 2021-08-24 | Tesseract Structural Innovations, Inc. | Sill beam uniform deceleration unit |
JP2017077763A (ja) * | 2015-10-19 | 2017-04-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床部構造 |
JP2021522097A (ja) * | 2018-04-16 | 2021-08-30 | テッサラクト ストラクチュラル イノベ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均一減速ユニット |
JP7295075B2 (ja) * | 2020-09-04 | 2023-06-2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トレーリングアーム取付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241919A (ko) * | 1958-08-09 | |||
SU783098A1 (ru) * | 1978-11-30 | 1980-11-30 |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695 | Пол несущего кузова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 |
JPS6219488Y2 (ko) * | 1980-07-02 | 1987-05-19 | ||
JPS60259577A (ja) * | 1984-06-05 | 1985-12-21 | Nissan Motor Co Ltd | 自動車の車体構造 |
JPS6164587A (ja) * | 1984-09-05 | 1986-04-02 | Mazda Motor Corp |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
US5018780A (en) * | 1985-10-01 | 1991-05-28 | Mazda Motor Corporation | Vehicle lower body structure |
JPH01103483A (ja) * | 1987-10-16 | 1989-04-20 | Brother Ind Ltd | 転写材製造用シート |
US4875733A (en) * | 1987-03-10 | 1989-10-24 | Mazda Motor Corporation | Vehicle rear body structure |
SU1684151A1 (ru) * | 1989-04-18 | 1991-10-15 | Волжск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 Узел соединени элементов основани кузова в зоне ниши заднего колеса автомобил |
-
1993
- 1993-02-27 KR KR2019930002888U patent/KR95001016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3-01 US US08/024,452 patent/US535411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354115A (en) | 1994-10-11 |
KR930019678U (ko) | 1993-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10168Y1 (ko) |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 |
US5820204A (en) |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 |
JPH0750301Y2 (ja)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
US4950031A (en) | Automobile rear underbody structure | |
US4469368A (en) | Passenger car body structure | |
JP3779454B2 (ja) | 建設機械の運転室 | |
KR20070075335A (ko) | 차체 후방부 구조 | |
US4264101A (en) | Structure of a forward body of an automotive vehicle | |
JP4822191B2 (ja) | 車体前部構造 | |
EP1177968B1 (en) | Impact absorbing structure for car body front of automobile | |
JPH07290953A (ja) | 自動車の車体構造 | |
KR960005857B1 (ko) | 차량의 앞부분 차체구조 | |
JP7290125B2 (ja) | キャブのフロアパネル補強構造 | |
JPS63247176A (ja) | 車両の下部車体構造 | |
JPS6116671B2 (ko) | ||
JP4461816B2 (ja) |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車体前部構造 | |
KR100283318B1 (ko) | 자동차의 차체구조 | |
JPH061129U (ja) | 車両のフレーム構造 | |
JP2938945B2 (ja) |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 |
JP2996038B2 (ja) |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 |
KR960005406Y1 (ko) | 자동차의 카울부구조 | |
JPH0134938Y2 (ko) | ||
KR200205043Y1 (ko) | 차량용 센터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 |
KR0135446B1 (ko) | 차량용 사이드 실 맴버의 구조 | |
KR200210036Y1 (ko) |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12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