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997A - 등기구 - Google Patents
등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5997A KR20140055997A KR20130125142A KR20130125142A KR20140055997A KR 20140055997 A KR20140055997 A KR 20140055997A KR 20130125142 A KR20130125142 A KR 20130125142A KR 20130125142 A KR20130125142 A KR 20130125142A KR 20140055997 A KR20140055997 A KR 201400559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mitting unit
- light
- led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64D47/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for indicating aircraft prese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 각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공기용 위치등(10)은, LED(24)와, LED(24)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25)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20)을 구비한다. 리플렉터(25)의 반사면은, LED(24)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LED(24)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반사광을 전방에 집광하여 확산시키는 타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항공기용 위치등(10)은, LED(24)와, LED(24)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25)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20)을 구비한다. 리플렉터(25)의 반사면은, LED(24)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LED(24)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반사광을 전방에 집광하여 확산시키는 타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공기 등의 위치등에 이용되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에는, 진행 방향과 위치를 표시하여 상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등이 마련되어 있다. 항공기의 우측 날개 단부에는 녹색, 좌측 날개 단부에는 적색, 꼬리부에는 백색의 위치등을 마련하는 것이 정해져 있다. 종래, 위치등의 광원으로서는 백열등이 이용되고 있었지만, 최근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항공기용 위치등에서는, 조사(照射) 각도가 규정되어 있다. 예컨대, 양 날개 단부의 위치등은 진행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외측으로 110°의 조사 각도가 규정되어 있고, 꼬리부의 위치등은 후방으로 140°의 조사 각도가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LED를 이용한 위치등에서는, LED로부터의 출사광이 요구되는 조사 각도를 만족시키도록 적절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조사 각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느 양태의 등기구는, 반도체 발광 소자와,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등기구로서, 리플렉터의 반사면은,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반사광을 전방에 집광하여 확산시키는 집광 확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등기구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발광 유닛을 구비하여도 좋다. 2개의 발광 유닛은, 각각의 리플렉터의 반사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상기 등기구의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발광 유닛을 구비하여도 좋다. 2개의 발광 유닛은, 각각의 리플렉터의 반사면이 서로 등지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상기 등기구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을 구비하여도 좋다.
집광 확산 형상은, 타원 형상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사 각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이 설치되는 항공기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등기구 유닛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등기구 유닛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LED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LED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2개의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의 배광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등기구 유닛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등기구 유닛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LED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LED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2개의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의 배광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항공기용 위치등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이 설치되는 항공기(100)의 전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항공기(100)의 좌측 날개(101)의 단부에는 적색 위치등(110)이 마련되고, 우측 날개(102)의 단부에는 녹색 위치등(112)이 마련되며, 꼬리부에는 백색 위치등(114)이 마련된다. 적색 위치등(110) 및 녹색 위치등(112)의 조사 각도는, 항공기(100)의 진행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외측으로 110°이고, 백색 위치등(114)의 조사 각도는, 항공기(100)의 후방으로 140°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1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항공기의 좌측 날개에 마련되는 적색 위치등을 예로서, 항공기용 위치등(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항공기용 위치등(10)은, 등기구 전방으로 개구된 오목부를 갖는 램프 보디(14)와, 램프 보디(14)의 개구부를 덮는 투명한 전면 커버(12)를 구비한다. 램프 보디(14)와 전면 커버(12)는, 등실(16)을 형성하고 있다. 전면 커버(12) 및 램프 보디(14)는, 좌측 날개의 형상을 따르는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실(16)에는, 등기구 유닛(18)이 마련되어 있다. 등기구 유닛(18)은, 고정부(19)에 의해 램프 보디(14)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등기구 유닛(18)은, 10개의 발광 유닛(20)[제1 발광 유닛(20_1)∼제10 발광 유닛(20_10)]과, 제1 기판(21)과, 제2 기판(22)과, 히트 싱크(23)를 구비한다. 각 발광 유닛(20)은, 광원으로서의 LED(24)와, LED(24)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25)를 구비한다.
제1 기판(21)과 제2 기판(22)은, 히트 싱크(23)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등실(16) 내에 있어서, 제1 기판(21) 및 제2 기판(22)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기판(21)의 히트 싱크(23) 반대측의 면 상에는, 제1 발광 유닛(20_1)∼제5 발광 유닛(20_5)의 5개의 발광 유닛(20)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기판(22)의 히트 싱크(23) 반대측의 면 상에는, 제6 발광 유닛(20_6)∼제10 발광 유닛(20_10)의 5개의 발광 유닛(20)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 발광 유닛(20_1)∼제5 발광 유닛(20_5)과, 제6 발광 유닛(20_6)∼제10 발광 유닛(20_10)은, 제1 기판(21)과 제2 기판(22)의 중간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등기구 유닛(18)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제1 기판(21) 상에 마련된 제1 발광 유닛(20_1)∼제5 발광 유닛(20_5)의 단면을 나타내지만, 제2 기판(22) 상에 마련된 제6 발광 유닛(20_6)∼제10 발광 유닛(20_10)도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판(21) 상에 있어서 5개의 발광 유닛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3 발광 유닛(20_3)은, 수평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발광 유닛(20_3)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발광 유닛(20_2)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2 발광 유닛(20_2)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1 발광 유닛(20_1)은, 더욱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발광 유닛(20_3)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4 발광 유닛(20_4)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4 발광 유닛(20_4)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5 발광 유닛(20_5)은, 더욱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기판(22) 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5개의 발광 유닛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기판(22) 상에 있어서 5개의 발광 유닛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8 발광 유닛(20_8)은, 수평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8 발광 유닛(20_8)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7 발광 유닛(20_7)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7 발광 유닛(20_7)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6 발광 유닛(20_6)은, 더욱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8 발광 유닛(20_8)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9 발광 유닛(20_9)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9 발광 유닛(20_9)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10 발광 유닛(20_10)은, 더욱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등기구 유닛(18)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등기구 유닛(18)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이며, 제3 발광 유닛(20_3) 및 제8 발광 유닛(20_8)의 수평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발광 유닛(20)에 있어서, LED(24)는 제1 기판(21) 또는 제2 기판(22)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1 기판(21) 및 제2 기판(22)에는, 각 LED(24)에 급전하기 위한 배선이나, LED(24)를 탑재하기 위한 탑재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발광 유닛(20)에 있어서, 리플렉터(25)는 LED(24)의 후방, 측방, 및 상방을 둘러싸도록 제1 기판(21) 또는 제2 기판(22) 상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은, 타원 포물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은,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타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LED(24)의 광축(Ax)이란, LED(24)의 출사면에 수직인 축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은,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포물선의 초점에 LED(24)의 광축(Ax)이 위치하고 있다. 「반사면(25a)의 광축(Ax)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이 포물선 형상을 갖는다」란, 그와 같은 어떠한 단면에 있어서도, 반사면(25a)이 포물선 형상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은,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광축(Ax)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이란, 광축(Ax)과, 광축(Ax)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의 반사면(25a)의 포물선의 대칭축을 포함하는 면(이하, 「중심 단면」이라고 부름)에 대하여 평행인 면을 의미한다. 「반사면(25a)의 광축(Ax)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이 타원 형상을 갖는다」란, 중심 단면에 평행 등의 단면에 있어서도, 반사면(25a)이 타원 형상으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중심 단면에 있어서, LED(24)는, 타원 형상의 반사면(25a)의 제1 초점(F1)에 위치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발광 유닛(20_3)과 제8 발광 유닛(20_8)은, 제1 기판(21), 히트 싱크(23) 및 제2 기판(22)을 사이에 두고,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발광 유닛(20_1)과 제6 발광 유닛(20_6), 제2 발광 유닛(20_2)과 제7 발광 유닛(20_7), 제4 발광 유닛(20_4)과 제9 발광 유닛(20_9), 및 제5 발광 유닛(20_5)과 제10 발광 유닛(20_10)은, 각각, 제1 기판(21), 히트 싱크(23) 및 제2 기판(22)을 사이에 두고,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은, 광축(Ax)에 대한 수직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물선의 초점에 LED(24)의 광축(Ax)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LED(24)로부터의 광은, 반사면(25a)에서 평행광으로서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도 6은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2개의 발광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제3 발광 유닛(20_3)과 제8 발광 유닛(20_8)의 페어를 예로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발광 유닛(20)에 있어서,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은, 광축(Ax)에 대한 평행 단면에 있어서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심 단면에 있어서의 타원 형상의 반사면(25a)의 제1 초점(F1)에, LED(24)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LED(24)로부터의 광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면(25a)에서 제2 초점(F2)에 일단 집광된 후, 확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발광 유닛(20)을 각각의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발광 유닛(20)으로부터의 조사 각도(θ)가 55°가 되도록 반사면(25a)의 타원 형상을 설계함으로써, 2개의 발광 유닛(20)을 조합하여, 합계 110°의 수평 방향의 조사 각도를 얻을 수 있다. 각 발광 유닛(20)의 조사 각도는, 타원 형상을 바꾸어 제1 초점(F1) 및 제2 초점(F2)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예컨대, 제1 초점(F1)과 제2 초점(F2)의 간격이 짧아지도록 타원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발광 유닛(20)의 조사 각도(θ)를 크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각 발광 유닛(20)의 조사 각도가 70°가 되도록 반사면(25a)의 타원 형상을 설계하면, 항공기의 꼬리부에 마련되는 백색 위치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10)에 의하면, 타원 포물면으로 형성된 반사면(25a)을 갖는 리플렉터(25)를 구비하는 발광 유닛(20)을 이용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조사 각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발광 유닛(20)은,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는, 방출광이 평행광으로 되기 때문에 조사 각도가 작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10)과 같이, 복수의 발광 유닛(20)을 방사 방향을 바꾸면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조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10)의 배광 특성을 도시한다. 도 7의 (a)는 항공기용 위치등(10)의 등광도 곡선을 도시한다. 도 7의 (b)의 실선은 항공기용 위치등(10)의 광도 곡선을 도시하고, 도 7의 (b)의 파선은 규격으로서 요구되는 광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8은 제3 발광 유닛(20_3) 및 제8 발광 유닛(20_8)의 수평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발광 유닛(20_3) 및 제8 발광 유닛(20_8)은, 각각의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등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발광 유닛(20_1)과 제6 발광 유닛(20_6), 제2 발광 유닛(20_2)과 제7 발광 유닛(20_7), 제4 발광 유닛(20_4)과 제9 발광 유닛(20_9), 및 제5 발광 유닛(20_5)과 제10 발광 유닛(20_10)도 또한, 각각의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등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유닛(20)의 기본적인 구성, 즉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의 형상 등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LED(24)의 광축(Ax)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제1 초점(F1)에 위치하는 LED(24)로부터의 광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면(25a)에서 제2 초점(F2)에 일단 집광된 후, 확산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서로의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마주하도록 2개의 발광 유닛(20)을 배치함으로써, 2개의 발광 유닛(20)으로부터의 방출광이 교차하고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이 서로 등지도록 2개의 발광 유닛(20)을 배치함으로써, 2개의 발광 유닛(20)으로부터의 방출광은 교차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하나의 발광 유닛(20)으로부터의 조사 각도(θ)가 55°가 되도록 반사면(25a)의 타원 형상을 설계함으로써, 2개의 발광 유닛(20)을 조합하여, 합계 110°의 수평 방향의 조사 각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사면(25a)의 타원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각 발광 유닛(20)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항공기용 위치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발광 유닛(20)의 수평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발광 유닛(20)의 조립이 아니라, 하나의 발광 유닛(20)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고 있다. 발광 유닛(20)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사 각도의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2개의 실시형태의 경우보다 제1 초점(F1)과 제2 초점(F2)의 간격을 짧게 하여, 조사 각도(θ)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 유닛(20)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용 위치등(10)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3개의 실시형태에서는, 리플렉터(25)의 반사면(25a)의 광축(Ax)에 대한 평행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을 타원 형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반사면(25a)의 광축(Ax)에 대한 평행 단면에 있어서의 형상은, 반사광을 전방에 집광하여 확산시키는 집광 확산 형상이라면, 타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반사면의 부위에 따라 반사면 전방의 광축 상에 상이한 초점을 갖는(즉, 초점군을 갖는) 곡면이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3개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항공기용 위치등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등기구가 적용되는 것은 항공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선박에 적용되어도 좋다.
이상, 실시형태를 기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가지의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LED를 예시하였지만, 광원은 반도체 발광 소자이면 LED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도 좋다.
10 : 항공기용 위치등 12 : 전면 커버
14 : 램프 보디 16 : 등실
18 : 등기구 유닛 20 : 발광 유닛
21 : 제1 기판 22 : 제2 기판
23 : 히트 싱크 24 : LED
25 : 리플렉터 100 : 항공기
101 : 좌측 날개 110 : 적색 위치등
112 : 녹색 위치등 114 : 백색 위치등
14 : 램프 보디 16 : 등실
18 : 등기구 유닛 20 : 발광 유닛
21 : 제1 기판 22 : 제2 기판
23 : 히트 싱크 24 : LED
25 : 리플렉터 100 : 항공기
101 : 좌측 날개 110 : 적색 위치등
112 : 녹색 위치등 114 : 백색 위치등
Claims (5)
- 반도체 발광 소자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등기구로서,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면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포물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인 단면에 있어서 반사광을 전방에 집광하여 확산시키는 집광 확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상기 발광 유닛을 구비하고,
2개의 상기 발광 유닛은, 각각의 리플렉터의 반사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상기 발광 유닛을 구비하고,
2개의 상기 발광 유닛은, 각각의 리플렉터의 반사면이 서로 등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확산 형상은,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38829 | 2012-10-30 | ||
JP2012238829A JP2014089868A (ja) | 2012-10-30 | 2012-10-30 | 灯具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997A true KR20140055997A (ko) | 2014-05-09 |
Family
ID=5054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5142A KR20140055997A (ko) | 2012-10-30 | 2013-10-21 | 등기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279563B2 (ko) |
JP (1) | JP2014089868A (ko) |
KR (1) | KR2014005599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84683B1 (en) * | 2016-08-19 | 2019-07-31 | Goodrich Lighting Systems GmbH | Exterior aircraft light unit, helicopter, and airplane |
CN106287494A (zh) * | 2016-10-28 | 2017-01-04 | 东莞市霍晶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led车灯 |
DE102017120740A1 (de) * | 2017-09-08 | 2019-03-14 | HELLA GmbH & Co. KGaA |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
US11102858B2 (en) * | 2018-10-30 | 2021-08-24 | Rockwell Collins, Inc. | Controllable micro light emitting diode system and method |
US11794921B2 (en) | 2019-01-22 | 2023-10-24 | Koito Manufacturing Co., Ltd. | Aircraft lamp |
KR102250083B1 (ko) * | 2020-09-14 | 2021-05-10 | 한국광기술원 | 광축 회전 및 일립소이드 반사판을 활용한 진입각 지시등 조명장치 |
FR3117575A1 (fr) | 2020-12-16 | 2022-06-17 | Safran Electronics & Defense Cockpit Solutions | Aéronef muni d’un système de signalisation lumineuse à large ouvertur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40201A (ja) * | 1986-08-04 | 1988-02-20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輌用前照灯 |
US6244728B1 (en) * | 1999-12-13 | 2001-06-12 | The Boeing Company |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for use as an aircraft position light |
JP4411892B2 (ja) | 2003-07-09 | 2010-02-10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前照灯 |
US7314296B2 (en) | 2003-12-08 | 2008-01-01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Multi-platform aircraft forward position light utilizing LED-based light source |
KR100813959B1 (ko) * | 2004-10-19 | 2008-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명장치 |
US7857483B2 (en) * | 2008-05-13 | 2010-12-2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 high-intensity light emitting diode floodlight |
US8123377B2 (en) * | 2008-08-19 | 2012-02-2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ircraft LED anti collision light |
-
2012
- 2012-10-30 JP JP2012238829A patent/JP2014089868A/ja active Pending
-
2013
- 2013-10-21 KR KR20130125142A patent/KR2014005599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0-23 US US14/060,940 patent/US927956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119010A1 (en) | 2014-05-01 |
US9279563B2 (en) | 2016-03-08 |
JP2014089868A (ja) | 2014-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55997A (ko) | 등기구 | |
US10480721B2 (en) | Light flux controlling member, light 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 |
JP7180212B2 (ja) | 車両用灯具 | |
US10113703B2 (en) | Vehicle headlamp for forming spot and diffusion light distribution patterns | |
WO2020045674A1 (ja) | 車両用灯具 | |
JP2017228490A (ja) | 車両用灯具 | |
JP6340696B2 (ja) | 照明装置及び自動車 | |
KR101938034B1 (ko) | 방향 램프를 위한 광학 시스템 | |
JP6154257B2 (ja) | 車両用灯具 | |
US10563825B2 (en) | Light flux control member, light-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 |
JP5110387B2 (ja) | 車両用灯具、及び、多光源制御レンズ | |
US9759399B2 (en) | Vehicular lighting | |
JP6260349B2 (ja) | 照明器具および光源カバー | |
JP2024009084A (ja) | 照明装置 | |
JP2016212371A (ja) |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 |
TWI582335B (zh) | Lights | |
JP6631327B2 (ja) | 光源ユニット、及び道路照明器具 | |
JP7218038B2 (ja) | 車両用灯具 | |
WO2016181789A1 (ja) |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 |
EP3812652B1 (en) | Vehicular lamp | |
CN210511473U (zh) | 用于车辆的灯具和具有该灯具的车辆 | |
KR101629464B1 (ko) | 램프캡을 포함하는 led램프 | |
JP2013246905A (ja) | 車両用灯具 | |
JP2015005389A (ja) | 車両用灯具 | |
JP2020145042A (ja) | 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