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050A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8050A KR20130108050A KR1020120123375A KR20120123375A KR20130108050A KR 20130108050 A KR20130108050 A KR 20130108050A KR 1020120123375 A KR1020120123375 A KR 1020120123375A KR 20120123375 A KR20120123375 A KR 20120123375A KR 20130108050 A KR20130108050 A KR 201301080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wireless power
- magnetic substrate
- power receiving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975 flex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702 sendus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931 harmfu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65 allo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89 perm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ARDFMMXBWIRTK-UHFFFAOYSA-N [F].[Ar] Chemical compound [F].[Ar] MARDFMMXBWI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FQHLZMKZVVGFQ-UHFFFAOYSA-N [F].[Kr] Chemical compound [F].[Kr] VFQHLZMKZVVG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81 coe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6 cristoba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72 electroless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82 stishov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5 tridy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5/00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1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applying magnetic films to substrat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자성 기판 및 상기 자성 기판 상에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 전송 또는 안테나에 적용되어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킨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 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전자기 유도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켰을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소형 기기를 중심으로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전력의 전송 거리가 짧은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전자기 유도 이외에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두께가 두껍고,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직접 배치시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직접 배치시켜 높은 전력전송 효율을 유지시키며 외부 장치와 통신도 가능케 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직접 배치시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킨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성 기판의 내부에 코일부를 배치시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성 기판의 내부에 코일부를 배치시키고,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자성 기판에 배치시켜 높은 전력전송 효율을 유지시키며 외부 장치와 통신도 가능케 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성 기판 내부에 코일부를 배치시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킨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자성 기판 및 상기 자성 기판 상에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자성 기판 및 상기 자성 기판에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일부가 상기 자성기판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방법은 도전체와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전체를 에칭하여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도전 패턴의 연결 단자에 외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접속시키는 단계와 일정 영역에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자성기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성 기판을 상기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도전 패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직접 배치시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직접 배치시켜 높은 전력전송 효율을 유지시키며 동시에 외부 장치와 통신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라미네이팅 및 에칭 과정만을 통해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직접 배치시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기판의 내부에 도전 패턴을 형성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기판의 내부에 도전 패턴을 형성하여 높은 전력전송 효율을 갖을 수 있으며, 동시에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가 자성기판의 수용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연결부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체두께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로 테잎 부재를 사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로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여 발열, 외부의 습기, 충격 등으로부터, 연결부에 포함된 배선층이 보호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도전 패턴으로 인해, 외부로 향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코일부 측으로 변경시켜,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외부로 누출되는 자기장의 양을 감소시켜, 인체 유해성을 갖는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턴 홈을 형성하는 과정 및 코일부를 삽입하는 과정 만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을 따라 B에서 B'로 자른 경우,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를 C에서 C'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사용 주파수에 따른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저항, Q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사용 주파수에 따른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저항, Q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자기장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H-Field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자기장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H-Field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을 따라 B에서 B'로 자른 경우,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를 C에서 C'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사용 주파수에 따른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저항, Q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사용 주파수에 따른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저항, Q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자기장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H-Field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자기장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H-Field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전 패턴은 도전층의 형태를 의미할 수 있고,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전층은 도전 패턴과 대체가능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패터닝, 에칭, 배치, 선별적 도금 공정을 포함하여 형성된 구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송신 측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공진을 이용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및 공진 모두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시켜 외부에 누출될 수 있는 자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측방으로 변경시켜 코일부(200)에 자기장이 더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 중 외부로 누출되는 자기장을 흡수하여 열로 방출시킬 수도 있다. 외부에 누출되는 자기장의 양이 감소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은 자성체(110) 및 지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10)는 입자 또는 세라믹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20)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시트(She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코일부(200)는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및 코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230)은 도전층 또는 도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단자(210)는 코일(230)의 일단에 제2 연결단자(220)는 코일(230)의 타단에 위치한다.
제1 연결단자(210) 및 제2 연결단자(220)는 연결부(300)와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단자이다.
코일(230)은 하나의 도선이 복수 번 권선된 코일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 패턴은 평면 나선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코일부(200)는 자성 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부(200)와 자성 기판(100)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200)는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체는 금속 또는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금속은 은 또는 구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코일부(200)는 송신 측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한 전력을 연결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코일부(200)는 송신 측으로부터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연결단자(310), 제2 연결단자(320), 인쇄회로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는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와 접속될 수 있고,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는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와 접속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은 배선층을 포함할 수 있고, 배선층은 후출할 수신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수신회로(미도시)와 코일부(200) 사이를 연결하여 코일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수신회로(미도시)를 통해 부하(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회로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및 변환된 직류전력에서 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부하에 전달하는 평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부(200)와 연결부(300) 간의 접속은 솔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와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는 제1 솔더(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와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는 제2 솔더(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는 제1 솔더(10)의 비아홀을 통해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와 연결될 수 있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는 제2 솔더(20)의 비아홀을 통해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든 상관없다.
도 2에서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단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한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 상면에는 코일부(200)의 구성요소인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및 코일(230)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의 상면에 코일부(200)가 직접 배치되어 있어, 기존의 FPCB 상에 코일 패턴을 형성한 경우와 달리 전체적인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성 기판(100)의 두께는 0.43mm이고, 코일부(200)의 두께는 0.1mm이고, 이를 합한 두께는 0.53mm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코일부(200)를 도전체, 도전 패턴, 박막과 같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요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슬림화를 요구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적용한다면 휴대용 단말기의 전제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송신 측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데 유용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코일부(200)의 상 측에는 연결부(300)가 직접 배치되어 있다. 코일부(200)의 상 측에 연결부(300)가 직접 배치됨에 따라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쉽게 접속될 수 있다.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는 솔더(10)에 의해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와 접속된다.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는 솔더(20)에 의해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와 접속된다.
코일(230)의 폭(W)과 두께(T)는 소정의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코일(230)과 코일(230) 사이의 간격 또한, 소정의 거리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도전체(201)를 적층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는 자성 기판(100)의 상면에 접착층이 적층된 후, 도전체(201)가 적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기판(100)의 상면에 도전체(201)를 적층시키는 방법은 도전체(201)를 소정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그 후,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이란,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박, 종이 등을 접착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면, 도전체(201)의 상 면에 마스크(500)가 적층된다. 마스크(500)는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코일(230)이 형성될 위치의 상 면에만 적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면, 도 6의 상태에서 에칭액에 담구면 마스크(500)가 위치하지 않은 홈 부분이 식각된다. 그러면, 도전체(201)는 일정한 도전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그 후, 마스크(500)를 제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코일부(20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접속되도록 솔더링 작업을 거친다.
즉,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와 연결부(300)의 제3 연결단자(310)를 솔더(10)에 의해 접속시키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00)와 연결부(300)의 제4 연결단자(320)를 솔더(20)에 의해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자성 기판(100) 상 면에 직접 코일부(200)를 배치시킴으로써,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라미네이팅과 에칭 과정만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를 제조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선을 따라 A에서 A'로 자른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 접착층(7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접착층(700)은 자성 기판(100)과 코일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자성 기판(100)과 코일부(200)를 접착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제1 연결단자(610), 제2 연결단자(620), 외곽 코일(630)을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제1 연결단자(610) 및 제2 연결단자(620)는 연결부(300)에 접속된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상기 리더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부(200)가 자성 기판(100)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를 감싸도록 자성 기판(10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하나의 도선이 복수 번 권선된 사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처럼 도전 패턴,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규격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의 대역을 가지며, 가까운 거리의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이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자성 기판(100)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가 자성 기판(100)에 배치되는 방법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코일부(200), 연결부(300)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만, 자성 기판(100)의 경우, 일부 구조가 다르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은 연결부(3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수용영역(130)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 1의 경우, 자성 기판(100) 상면에 코일부(200)가 배치되고, 코일부(200) 위에 연결부(300)가 연결되는 구조이나, 도 11의 경우, 자성 기판(100) 자체에 연결부(3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수용영역(130)이 형성되어, 코일부(200)의 하측에 연결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연결부(300)의 두께는 자성 기판(100)의 두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연결부(300)는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CB)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자성 기판(100)의 수용영역(130)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00)의 두께가 자성 기판(100)의 두께와 같거나 작다면, 도 3의 실시 예와 달리, 연결부(300)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자성 기판(100)이 수용영역(130)만큼 자성체(110) 및 지지체(120)가 덜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상 이점이 있다.
도 13은 도 12의 연결부(300)에 도시된 점을 따라 B에서 B'로 자른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연결부(300)의 두께는 자성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연결부(300) 상면에는 코일부(200)의 구성요소인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코일(230)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부(200)의 하 측에는 연결부(300)가 배치되어 있다.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는 솔더(10)에 의해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와 접속된다.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는 솔더(20)에 의해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와 접속된다.
코일(230)의 폭(W)과 두께(T)는 소정의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코일(230)과 코일(230) 사이의 간격 또한, 소정의 거리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연결부(300)의 두께가 자성 기판(100)의 두께보다 작으므로, 도 3의 실시 예와 달리, 연결부(300)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자성 기판(100)이 도 10에서 도시한 수용영역(130)만큼 자성체(110) 및 지지체(120)가 덜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상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20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를 C에서 C'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송신 측으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부(200)의 코일(210)은 송신 측의 코일과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송신 측으로부터 공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부(200)의 코일(230)은 송신 측의 송신 공진 코일과 공진 주파수에서 동작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공진 코일 및 수신 공진 코일과 커플링되어 전달받은 전력을 수신회로로 전달하는 수신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시켜 외부에 누출될 수 있는 자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측방으로 변경시켜 코일부(200)에 자기장이 더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 중 외부로 누출되는 자기장을 흡수하여 열로 방출시킬 수도 있다. 외부에 누출되는 자기장의 양이 감소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은 자성체(110) 및 지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10)는 입자 또는 세라믹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체(110)는 스피넬 타입, 헥사 타입, 센다스트 타입, 퍼멀로이 타입의 자성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지지체(120)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성 기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성 기판(100)은 시트(She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설명하면, 코일부(200)는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코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230)은 도전층 또는 도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코일부(200)는 자성 기판(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부(200)는 자성 기판(100)의 내부에 함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자성 기판(100)은 패턴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턴 홈에는 상기 코일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 홈은 상기 코일부(200)가 형성하는 도전 패턴 또는 도전층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200)의 두께는 자성 기판(100)의 두께보다 더 작고, 코일부(200)의 상 측은 자성 기판(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자성 기판(100)에 코일부(200) 및 연결부(300)가 배치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가 제조되는 공정은 도 17 내지 도 21에서 후술한다.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는 코일(230)의 일단에 제2 연결단자(220)는 코일(230)의 타단에 위치한다.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 및 제2 연결단자(220)는 연결부(300)와의 접속을 위해 필요한 단자이다.
코일(230)은 하나의 도선이 복수 번 권선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은 평면 나선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코일부(200)는 송신 측으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한 전력을 연결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코일부(200)는 송신 측으로부터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하여 수신한 전력을 연결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연결단자(310), 제2 연결단자(320), 인쇄회로기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는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와 접속될 수 있고,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는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와 접속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30)은 배선층을 포함할 수 있고, 배선층은 후출할 수신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수신회로(미도시)와 코일부(200) 사이를 연결하여 코일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수신회로를 통해 부하(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회로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미도시) 및 변환된 직류전력에서 리플 성분을 제거하여 부하에 전달하는 평활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코일부(200)와 연결부(300) 간의 접속은 솔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와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는 제1 솔더(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와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는 제2 솔더(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는 제1 솔더(10)의 비아홀을 통해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와 연결될 수 있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는 제2 솔더(20)의 비아홀을 통해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아홀은 레이져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레이져는 UV 레이져, CO2 레이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성 기판(100) 및 코일부(200)가 연결부(3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자성 기판(100)의 패턴 홈(140)에는 코일부(200)의 구성요소인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코일(2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성 기판(100) 및 코일부(200)가 연결부(300)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코일(230)의 폭(W)과 두께(T), 자성 기판(100)의 두께(T1)은 소정의 값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230)의 두께는 0.1mm, 자성 기판(100)의 두께는 0.43m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230)의 두께(T)는 자성 기판(100)의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의 패턴 홈(140)에 코일부(200)가 직접 배치되어 있어, 코일부(200)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전체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를 장착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적용한다면, 슬림화가 요구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의 패턴 홈(140)에 코일부(200)가 배치되어 있어, 기존의 FPCB 상에 코일 패턴을 형성한 경우와 달리,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전체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의 내용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자성 기판(100)이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기판(100)은 폴리에틸렌계 고무 위에 센더스트(sendust) 합금계(Al, Fe, SiO2) 금속 분말을 도포하고,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자성 기판(100)에 코일부(200)를 수용할 수 있는 패턴 홈을 형성하기 위해 금형(1)을 이용하여,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한다. 금형(1)은 코일부(200)의 형상과 같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금형(1)의 재료로는 알루미늄 합금, 구리합금, 주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금형(1)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부(200)가 배치될 위치에 대응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금형(1)을 이용하여, 열을 가할 시, 자성 기판(100)의 구성요소인 센더스트 합금계 금속 분말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 온도를 갖는 열을 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기판(100)이 상기 폴리에틸렌계 고무 위에 센더스트(sendust) 합금계 금속 분말을 도포하여 제조된 경우, 금형(1)을 이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할 시, 100도 이상 180도 이하의 온도에서 고압으로 압력을 가한 후, 100도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자성 기판(100)으로부터 금형(1)을 분리한다. 금형(1)을 이용하여, 자성 기판(100)에 압력을 가한 후, 금형(1)을 바로 분리하게 되면, 패턴 홈(140)에 남아있는 열로 인해, 원하고자 하는 패턴 홈(14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100도 이하로 냉각 시킨 후, 자성 기판(100)으로부터 금형(1)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자성 기판(100)으로 센더스트 합금계 금속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분말의 배열, 밀도 등에 따라 가하는 온도와 압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분말의 배열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에는 더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가해야 하며, 분말의 배열이 균일한 경우에는 분말의 배열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에 비해 더 낮은 온도 및 압력을 가해도 된다. 또한, 분말의 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높은 경우에 비해 더 낮은 온도 및 압력을 가해도 된다. 또한, 분말의 성분 즉, 분말을 구성하는 합금에 따라 가해지는 온도 및 압력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말의 배열, 밀도, 성분에 따라 가해지는 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금형(1)을 이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는 대신, 자성 기판(100)에 코일부(200)를 수용할 수 있는 패턴 홈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져를 조사할 수 있다. 패턴 홈은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레이져 빔을 발사하는 엑시머 레이져(excimer laser)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엑시머 레이져는 KrF 엑시머 레이져(크립톤 불소, 중심파장 248nm) 또는 ArF 엑시머 레이져(아르곤 불소, 중심파장 193n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는 금형(1)을 자성 기판(100)으로부터 분리 시 패턴 홈(140)이 형성된 자성 기판(100)의 상태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도 19의 상태에서 자성 기판(100)에 형성된 패턴 홈(140)에 코일부(200)를 삽입한다. 코일부(200)가 삽입되면, 자성 기판(100)의 패턴 홈(140)는 일정한 도전 패턴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 기판(100)의 패턴 홈(140)에 코일부(200)가 삽입되는 과정은 도금 또는 코일부(200)가 형성하는 도전 패턴을 갖도록 에칭과정을 거친 금속을 삽입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금은 패턴 홈(140)을 금속 물질로 충진하는 공정을 통해 코일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물질은 Cu, Ag, Sn, Au, Ni 및 Pd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물질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 물질 충진은 무전해 도금, 전해 도금,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스퍼터링(Sputtering), 증발법(Ecaporation), 잉크젯팅 및 디스펜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면, 코일부(200)와 연결부(300)가 접속되도록 솔더링 작업을 거친다.
즉,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와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를 솔더(10)에 의해 접속시키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00)와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를 솔더(20)에 의해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은 자성 기판(100)에 패턴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패턴 홈에 코일부(200)를 배치시킴으로써,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패턴 홈을 형성하는 과정 및 코일부를 삽입하는 과정 만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사용 주파수에 따른 코일부의 인덕턴스, 저항, Q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사용 주파수에 따른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저항, Q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저항 및 Q 값의 관계식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Q=w*L/R
[수학식 1]에서 w는 전력 전송 시 사용되는 주파수이고, L은 코일부(200)의 인덕턴스, R은 코일부(200)의 저항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일부(200)의 인덕턴스는 그 값이 증가할수록 Q값이 높아진다. Q값이 증가하면, 전력 전송 효율이 좋아질 수 있다. 코일부(200)의 저항은 코일부(200) 자체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량을 수치화한 것이며, 그 값이 작을수록 Q 값이 증가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 주파수가 150kHz 일때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100) 상면에 코일부(200)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100) 내부의 패턴 홈(140)에 코일부(200)를 배치한 경우, 코일부(200)의 인덕턴스는 약 9986.92um에서 약 10339.34um로 352.42um만큼 증가하였고, 코일부(200)의 저항은 약 0.910옴에서 약 0.853옴으로 0.057옴만큼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인덕턴스의 증가 및 저항의 감소양만큼 Q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 기판(100)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200)를 배치하여, Q값을 높일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자기장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H-Field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성 기판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 자기장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H-Field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자성 기판(100)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200)를 배치한 경우가 자성 기판(100) 상면에 코일부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코일부(200)의 외측에서 자기장이 더 많이 방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자성 기판(100) 내부에 코일부(200)가 함몰된 구조에 의해 외부로 향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코일부(200)의 측방으로 변경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자성 기판(100) 내부의 패턴 홈에 코일부(200)를 배치한 경우가 자성 기판(100) 상면에 코일부(200)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코일부(200)의 내측에서 자기장이 더 많이 방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또한, 자성 기판(100) 내부에 코일부(200)가 함몰된 구조에 의해 외부로 향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코일부(200)의 측방으로 변경시키기 때문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상기 리더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코일부(200)가 자성 기판(100)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를 감싸도록 자성 기판(10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하나의 도선이 복수 번 권선된 사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처럼 도전 패턴, 도전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규격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6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구성요소를 결합해 놓은 사시도이고,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결합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6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는 자성기판(100), 코일부(200), 연결부(300),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 접착층(700), 제1 양면 접착층(710), 제2 양면 접착층(720), 보호 필름(800) 및 박리지층(7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6을 참조하면,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코일부(200)가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시켜 외부에 누출될 수 있는 자기장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전달받는 자기장의 방향을 측방으로 변경시켜 코일부(200)에 자기장이 더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자성 기판(100)은 송신 측으로부터 코일부(200)가 전달받는 자기장 중 외부로 누출되는 자기장을 흡수하여 열로 방출시킬 수도 있다. 외부에 누출되는 자기장의 양이 감소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자성 기판(100)은 자성체(110) 및 지지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110)는 입자 또는 세라믹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체(110)는 스피넬 타입, 헥사 타입, 센다스트 타입, 퍼멀로이 타입의 자성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지지체(120)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성 기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 26을 설명하면, 자성 기판(100)은 시트(She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자성 기판(100)은 일정영역에 수용공간(130)을 가질 수 있다. 수용공간(130)은 연결부(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연결부(300)는 상기 수용공간(130)에 배치되어 코일부(200)와 접속될 수 있다.
코일부(200)는 송신 측으로부터 전자기 유도 또는 공진을 이용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코일부(20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단자(210), 제2 연결단자(220) 및 코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230)은 도전층 또는 도전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코일부(200)와 수신회로(미도시) 사이를 연결하여 코일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수신회로를 통해 부하(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배선층을 포함할 수 있고, 배선층은 상기 수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회로는 코일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회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평활회로 및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IC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회로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리 통신 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자성 기판(100)의 수용공간(130)에 배치되어 코일부(200)와 접속 가능하다. 도 27을 함께 참조하면, 자성 기판(100)의 수용공간(130)에 연결부(300)가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연결단자(310), 제2 연결단자(320), 제3 연결단자(340) 및 제4 연결단자(350)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는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310)와 접속될 수 있고,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는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와 접속될 수 있고, 연결부(300)의 제3 연결단자(34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제1 연결단자(610)와 접속될 수 있고, 연결부(300)의 제4 연결단자(350)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제2 연결단자(620)와 접속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수용공간(13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수용공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00)가 자성기판(100)의 수용공간(130)에 배치됨에 따라 연결부(300)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두께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두께도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300)는 플렉서블한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테잎 부재(TS: Tape Substrate) 또는 리드 프레임(LF: Lead Frame)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300)로 테잎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부(300)의 두께가 감소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연결부(300)로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발열, 외부의 습기, 충격 등으로부터, 연결부(300)에 포함된 배선층이 보호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시 도 26을 설명하면,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상기 리더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연결부(300)를 통해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에서 수신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규격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코일부(200)가 자성 기판(100) 상에 배치된 경우,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코일부(200)를 감싸도록 자성 기판(10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는 하나의 도선이 복수 번 권선된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시 도 26을 설명하면, 접착층(미도시)은 보호 필름(8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보호 필름(800)을 코일부(200)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양면 접착층(710)은 코일부(200),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와 자성 기판(100)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부(200)와 자성 기판(10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양면 접착층(710)에는 자성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연결부(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2 양면 접착층(720)은 보호 필름(800)과 박리지층(730)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코일부(200)는 자성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스파이럴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29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공정이 시작되면, 도 29와 같이, 도전체(201), 접착층(700), 보호 필름(800)을 준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체(201)는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는 압연박, 전해박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도전체(201)는 요구되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체(201)의 두께는 100u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접착층(700)은 도전체(201)와 보호 필름(800)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 접착층(700)의 두께는 17u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보호 필름(800)은 도전체(201)가 일정한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도전체(20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800)은 후술할 에칭 공정에서 도전체(201)를 지지하여 일정한 도전 패턴을 형성하도록 도전체(201)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 필름(800)은 폴리이미드 필름(PI Flim: Polyimide Film)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30과 같이, 도전체(201)와 보호 필름(800)은 접착층(700)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은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서로 다른 재료의 물질을 접착시키는 공정이다.
다음으로, 도 31과 같이, 도전체(201)의 상면에 감광성 필름(900)을 부착한다. 감광성 필름은 도전체(201)를 에칭하여 일정한 도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UV 노광 타입 또는 LDI 노광 타입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도전체(201)의 상면에는 감광성 필름(900) 대신 감광성 도포액이 도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2와 같이, 감광성 필름(900)을 노광하고, 현상하여 마스크 패턴(910)을 형성한다.
마스크 패턴(910)은 상기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일정한 도전 패턴이 형성될 위치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광은 도전 패턴이 형성될 부분과 형성되지 않을 부분을 구분하여 감광성 필름(900)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노광은 도전 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부분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이다. 현상은 노광에 의해 빛이 조사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노광 및 현상 공정에 의해 코일부(200)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가 형성될 부분에 마스크 패턴(910)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패턴(910)에 의해 노출되는 도전체(201) 부분이 식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3과 같이, 에칭(Etching) 공정을 통해 마스크 패턴(910)이 형성되지 않은 홈 부분이 식각될 수 있다. 에칭은 마스크 패턴(910)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 도전체(201)와 화학 반응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마스크 패턴(910)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 도전체(201)를 부식시켜 없애는 공정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체(201)는 습식 또는 건식 식각에 의해 패터닝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4와 같이, 마스크 패턴(910)을 제거하면,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 및 제2 연결단자(220),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제1 연결단자(610) 및 제2 연결단자(620), 일정한 도전 패턴을 갖는 코일(230) 및 일정한 도전 패턴을 갖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5과 같이, 코일부(200)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가 연결부(300)에 접속되도록 솔더링(soldering) 공정을 거친다. 일 실시 예에서 솔더링 공정은 reflow 공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reflow 공정은 고원의 열원을 가하여 솔더 크림을 용융하여 코일(230)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와 연결부(300)간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되게 접합하는 공정이다.
코일부(200)의 제1 연결단자(210)는 연결부(300)의 제1 연결단자(310)와 솔더(30)에 의해 접속될 수 있고, 코일부(200)의 제2 연결단자(220)는 연결부(300)의 제2 연결단자(320)와 솔더(30)에 의해 접속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제1 연결단자(610)는 연결부(300)의 제3 연결단자(340)와 솔더(30)에 의해 접속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제2 연결단자(620)는 연결부(300)의 제4 연결단자(350)와 솔더(30)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6과 같이, 자성기판(100)은 연결부(300)가 차지하는 면적 이외의 부분에 위치한 도전 패턴 즉, 코일(230)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이 전에, 연결부(300)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자성기판(100)을 획득할 수 있다. 자성기판(100)의 수용공간은 연결부(300)의 형태에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도 2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연결부(300)가 자성기판(100)의 수용공간(130)에 배치됨에 따라 연결부(300)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의 전체두께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1000)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두께도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코일(230) 및 근거리 통신 안테나(600)와 자성기판(100)은 제1 양면 접착층(710)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기판(100)의 두께는 100um 내지 800u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양면 접착층(710)의 두께는 10um 내지 50u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도 37과 같이, 박리지층(730)은 제2 양면 접착층(720)을 통해 보호 필름(800)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 박리지층(730)은 제2 양면 접착층(720)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 종이층으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부착시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 자성 기판; 및
상기 자성 기판 상에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자성 기판 상에 도전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기판은 일정영역에 무선전력 수신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코일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리드 프레임, 테잎 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기판에 상기 코일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기판은 일정영역에 무선전력 수신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의 형태와 일치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코일 및 근거리 통신 신호 처리부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 자성 기판; 및
상기 자성 기판에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의 일부가 상기 자성기판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자성 기판에 도전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기판은 상기 코일의 일부를 수용하는 패턴 홈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가 상기 패턴 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두께는 상기 자성 기판의 두께보다 더 작고, 상기 코일의 상 측이 상기 자성 기판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도전체와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도전체를 에칭하여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 패턴의 연결 단자에 외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접속시키는 단계;
일정 영역에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자성기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성 기판을 상기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도전 패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전체를 에칭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일 및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 해당하는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연결단자와 상기 근거리 통신 안테나의 연결단자를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는,
양면 접착층을 통해 상기 자성 기판과 상기 도전 패턴을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양면 접착층을 통해 상기 보호 필름에 박리지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조 방법. - 상기 제1항의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내장된 단말기.
- 상기 제10항의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내장된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610391052.5A CN106099312B (zh) | 2012-03-23 | 2013-03-22 | 天线组件 |
JP2015501586A JP6313744B2 (ja) | 2012-03-23 | 2013-03-22 | 無線電力受信機 |
CN201710325326.5A CN107275763B (zh) | 2012-03-23 | 2013-03-22 | 天线组件 |
CN201380026460.5A CN104321928B (zh) | 2012-03-23 | 2013-03-22 | 天线组件及其制造方法 |
PCT/KR2013/002406 WO2013141653A1 (en) | 2012-03-23 | 2013-03-22 | Wireless power apparatus |
PCT/KR2013/002412 WO2013141658A1 (ko) | 2012-03-23 | 2013-03-22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EP13763524.9A EP2830152A4 (en) | 2012-03-23 | 2013-03-22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4/387,521 US9553476B2 (en) | 2012-03-23 | 2013-03-22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US15/362,367 US10256540B2 (en) | 2012-03-23 | 2016-11-28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JP2018012053A JP6571809B2 (ja) | 2012-03-23 | 2018-01-26 | アンテナ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
US16/264,165 US10673141B2 (en) | 2012-03-23 | 2019-01-31 | Antenna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JP2019145879A JP2019205198A (ja) | 2012-03-23 | 2019-08-08 | アンテナ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29987 | 2012-03-23 | ||
KR1020120029987 | 2012-03-23 | ||
KR1020120079004 | 2012-07-19 | ||
KR20120079004 | 2012-07-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8050A true KR20130108050A (ko) | 2013-10-02 |
KR101417388B1 KR101417388B1 (ko) | 2014-08-06 |
Family
ID=4759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3375A KR101417388B1 (ko) | 2012-03-23 | 2012-11-02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4) | US9806565B2 (ko) |
EP (3) | EP2642632B1 (ko) |
JP (4) | JP5805609B2 (ko) |
KR (1) | KR101417388B1 (ko) |
CN (2) | CN103326473B (ko) |
TW (3) | TWI459418B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3591A (ko) * | 2016-02-05 | 2017-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충전 장치 |
WO2018074803A1 (ko) * | 2016-10-18 | 2018-04-2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송신 장치 |
KR20200027764A (ko) * | 2018-09-05 | 2020-03-13 | 주식회사 지유니슨 | 플렉서블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
WO2022060077A1 (ko) * | 2020-09-16 | 2022-03-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29511B2 (en) | 2006-06-01 | 2022-05-10 | Mojo Mobility Inc. |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
JP6313744B2 (ja) | 2012-03-23 | 2018-04-18 |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無線電力受信機 |
TWI459418B (zh) * | 2012-03-23 | 2014-11-01 |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 無線功率接收器以及包含有其之可攜式終端裝置 |
JP2013214909A (ja) * | 2012-04-03 | 2013-10-17 | Denso Corp | 車両用携帯機 |
CN109067014B (zh) * | 2012-09-05 | 2022-04-15 | 瑞萨电子株式会社 | 非接触充电装置 |
KR102019080B1 (ko) * | 2012-12-13 | 2019-11-0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1452093B1 (ko) * | 2013-03-13 | 2014-10-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코일, 이를 포함하는 차폐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무접점 전력 전송 장치 |
JP6395304B2 (ja) * | 2013-11-13 | 2018-09-26 | ローム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モジュール |
KR20160096085A (ko) * | 2013-12-10 | 2016-08-12 |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 송전 장치, 급전 시스템 |
KR20150089754A (ko) * | 2014-01-28 | 2015-08-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단말기 |
JP2015144160A (ja) * | 2014-01-31 | 2015-08-06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アンテナ装置、非接触電力伝送用アンテナユニット、電子機器 |
JP2015149405A (ja) * | 2014-02-06 | 2015-08-20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アンテナ装置、非接触電力伝送用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
CN104078759A (zh) * | 2014-06-27 | 2014-10-01 | 南通富士通微电子股份有限公司 | 射频识别天线的形成方法 |
US9520648B2 (en) * | 2014-07-23 | 2016-12-13 | Mediatek Inc. | Polyg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
KR102152653B1 (ko) * | 2014-08-18 | 2020-09-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WO2016111554A1 (en) | 2015-01-07 | 2016-07-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er |
KR102118352B1 (ko) * | 2015-01-07 | 2020-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
CN105633565A (zh) * | 2015-01-14 | 2016-06-01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Nfc天线的制造方法、用于移动终端的电池盖及移动终端 |
KR20160089168A (ko) * | 2015-01-19 | 2016-07-27 | 주식회사 아모센스 | 안테나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
KR20170005670A (ko) * | 2015-07-06 | 2017-01-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
CN106488654A (zh) * | 2015-08-27 | 2017-03-08 | 全亿大科技(佛山)有限公司 | 线圈载板的制造方法 |
KR101899476B1 (ko) * | 2015-10-21 | 2018-09-18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KR20170050656A (ko) * | 2015-10-30 | 2017-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
KR102030704B1 (ko) * | 2015-11-05 | 2019-10-10 | 주식회사 아모텍 | 콤보형 안테나 모듈 |
CN105304312B (zh) * | 2015-11-25 | 2017-11-21 |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 一种无线充电线圈的制作方法及无线充电线圈 |
KR101804410B1 (ko) | 2015-12-17 | 2017-12-0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
KR102484849B1 (ko) * | 2015-12-18 | 2023-01-05 | 주식회사 위츠 | 코일 조립체 |
KR102527794B1 (ko) * | 2016-02-04 | 2023-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N105813183B (zh) * | 2016-04-20 | 2019-03-26 | 深圳市速腾聚创科技有限公司 | 一种带能量传输的无线通信系统 |
KR102560030B1 (ko) | 2016-05-27 | 2023-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방법 |
US10903660B2 (en) * | 2016-08-26 | 2021-01-26 | Nucurrent, Inc. | Wireless connector system circuit |
KR101862690B1 (ko) * | 2016-10-20 | 2018-07-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무선전력전송용 인쇄회로기판 타입 코일 |
KR101897879B1 (ko) * | 2016-12-29 | 2018-09-13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무선충전기용 tx 코일 구조체 |
CN106887325B (zh) * | 2017-02-20 | 2018-08-21 | 北京博瑞莱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 调容变压器低压箔绕线圈加工工艺 |
US11324120B2 (en) | 2017-03-08 | 2022-05-03 |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s, Inc.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US10862337B2 (en) | 2017-03-17 | 2020-12-08 | Efficient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 Large area scalable highly resonant wireless power coil |
US11177680B2 (en) * | 2017-04-04 | 2021-11-16 | Intel Corporation | Field shaper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
CN107492440A (zh) * | 2017-09-20 | 2017-12-19 | 成都瑞德星无线技术有限公司 | 一种具有电磁屏蔽效能的无线电能传输装置 |
US11270834B2 (en) * | 2018-01-12 | 2022-03-08 | Cyntec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to make the same |
US11011461B2 (en) * | 2018-02-12 | 2021-05-18 | Qualcomm Incorporated | Perpendicular inductors integrated in a substrate |
JP7063668B2 (ja) * | 2018-03-22 | 2022-05-09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イル、無接点給電ユニット、及びコイルの製造方法 |
JP7197608B2 (ja) * | 2018-05-25 | 2022-12-27 |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 無線充電受信装置及び移動端末 |
WO2019237848A1 (zh) * | 2018-06-11 | 2019-12-1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无线充电线圈、无线充电组件及电子设备 |
CN108806967B (zh) * | 2018-06-12 | 2020-08-25 |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 一种无线充电线圈的制作方法及结构 |
JP2019220908A (ja) * | 2018-06-22 | 2019-12-26 | アズビル株式会社 | 電子機器およびnfcアンテナ |
CN109088162B (zh) * | 2018-08-17 | 2024-02-20 | 深圳市嘉姆特科技有限公司 | 散热及辐射兼用无线通信天线结构 |
WO2020044450A1 (ja) * | 2018-08-29 | 2020-03-05 | 新電元工業株式会社 | レゾネータ装置 |
US10855111B2 (en) * | 2018-12-07 | 2020-12-01 | Ming Chung TSANG | Wireless charging coil apparatus |
US11387678B2 (en) * | 2019-09-27 | 2022-07-12 | Apple Inc. | Stacked resonant structures for wireless power systems |
CN110838617A (zh) * | 2019-11-13 | 2020-02-25 | 铜川煜力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应力天线、制备方法及应用 |
KR20210115262A (ko) * | 2020-03-12 | 2021-09-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손떨림 보정을 위한 코일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N112039560B (zh) * | 2020-08-28 | 2022-07-26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穿戴显示模组和穿戴显示装置 |
KR20220055762A (ko) * | 2020-10-27 | 2022-05-04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
US20240005123A1 (en) * | 2020-10-30 | 2024-01-04 | Phoenix Solution Co.,Ltd. | Rfid tag for rubber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fid tag for rubber product |
CN112735769B (zh) * | 2020-12-23 | 2022-07-15 |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 一种铝fpc型线圈结构及其制造方法 |
JP2022117331A (ja) * | 2021-01-29 | 2022-08-1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
CN214672190U (zh) * | 2021-02-03 | 2021-11-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线圈模组、线圈封装结构及无线充电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8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78415U (ko) | 1979-11-14 | 1981-06-25 | ||
JPS6169811A (ja) | 1984-09-12 | 1986-04-10 | Mitsubishi Chem Ind Ltd | 安定剤を含有する高分子量3メチルブテン−1重合体 |
JPS6169811U (ko) * | 1984-10-12 | 1986-05-13 | ||
US4947180A (en) * | 1989-06-14 | 1990-08-07 | Terk Technologies Corporation | FM antenna |
JPH0451115U (ko) | 1990-08-31 | 1992-04-30 | ||
JPH0479408U (ko) * | 1990-11-22 | 1992-07-10 | ||
JPH06267746A (ja) | 1993-03-09 | 1994-09-22 | Murata Mfg Co Ltd | ノイズ除去部品 |
JPH0774038A (ja) | 1993-09-02 | 1995-03-17 | Tdk Corp | ロータリートランスの製造方法 |
JPH0879976A (ja) | 1994-09-07 | 1996-03-22 | Tdk Corp | 非接触型充電器 |
US5574470A (en) | 1994-09-30 | 1996-11-12 | Palomar Technologies Corporation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 apparatus and method |
JPH10282232A (ja) | 1997-03-31 | 1998-10-23 | Toshiba Corp | 無線通信システム |
JPH11103531A (ja) * | 1997-09-29 | 1999-04-13 | Nec Mori Energy Kk | 非接触充電装置 |
JPH11175676A (ja) | 1997-12-12 | 1999-07-02 | Hitachi Maxell Ltd | 非接触式icカード |
JP2001027687A (ja) | 1999-07-14 | 2001-01-3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ベント管ベローズ点検装置 |
FR2800518B1 (fr) * | 1999-10-28 | 2007-02-23 | A S K | Antenne de couplage a inductance elevee |
FR2814574B1 (fr) | 2000-09-22 | 2003-11-28 | Gemplus Card Int | Etiquette electronique sans contact pour produit a surface conductrice |
JP2002299138A (ja) * | 2001-04-02 | 2002-10-11 | Kawasaki Steel Corp | 非接触充電器用平面磁気素子 |
ATE480843T1 (de) * | 2001-04-30 | 2010-09-15 | Neology Inc | Identifikationsgegenstand mit einem transponder und einem unstetig metallisiertem, retroreflektivem oder holographischem bildfel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genstands |
EP1315234A1 (fr) | 2001-11-26 | 2003-05-28 | Eta SA Fabriques d'Ebauches | Antenne de réception d'ondes VHF logée dans un bracelet de dispositif électronique portable |
JP3815337B2 (ja) | 2002-01-28 | 2006-08-30 |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 非接触式icカード |
JP3919100B2 (ja) | 2002-10-29 | 2007-05-23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通信端末 |
KR20040063286A (ko) | 2003-01-06 | 2004-07-14 | 미창테크 주식회사 | 에나멜 코일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
JP3870921B2 (ja) * | 2003-04-01 | 2007-01-2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非接触識別タグ |
US8026819B2 (en) | 2005-10-02 | 2011-09-27 | Visible Assets, Inc. | Radio tag and system |
JP2004364199A (ja) | 2003-06-06 | 2004-12-24 | Sony Corp |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
JP4170165B2 (ja) | 2003-06-30 | 2008-10-22 | Tdk株式会社 | 反応性イオンエッチング用のマスク材料、マスク及び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
JP2005080023A (ja) | 2003-09-01 | 2005-03-24 | Sony Corp | 磁芯部材、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
KR100998039B1 (ko) | 2003-10-01 | 2010-12-0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기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마트 라벨 |
JP2005117354A (ja) | 2003-10-08 | 2005-04-28 | Nec Saitama Ltd |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電池パック並びに接続コネクタ |
US7006051B2 (en) | 2003-12-02 | 2006-02-28 | Frc Components Products Inc. | Horizontally polarized omni-directional antenna |
JP3834033B2 (ja) | 2003-12-24 | 2006-10-18 | 株式会社東芝 | 無線カード |
US7791440B2 (en) | 2004-06-09 | 2010-09-07 |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 Microfabricated system for magnetic field generation and focusing |
KR20050120481A (ko) | 2004-06-19 | 2005-12-2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전자 무선 인식 장치 및 전자 무선 인식 장치의 제조방법 |
JP4852829B2 (ja) * | 2004-07-28 | 2012-01-1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非接触電力伝送装置 |
WO2006011656A1 (en) | 2004-07-28 | 2006-02-0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ntenna apparatus |
KR20040072581A (ko) | 2004-07-29 | 2004-08-18 | (주)제이씨 프로텍 | 전자기파 증폭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전력변환장치 |
JP2006050265A (ja) * | 2004-08-04 | 2006-02-16 | Sony Corp | アンテナモジュール用磁芯部材、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
CA2611620A1 (en) | 2005-06-09 | 2006-12-21 | Lester E. Burgess | Hybrid conductive coating method for electrical bridging connection of rfid die chip to composite antenna |
US7685706B2 (en) | 2005-07-08 | 2010-03-30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
CN2888666Y (zh) | 2005-11-14 | 2007-04-11 |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 供插入式智能卡非接触界面使用的天线组件 |
WO2007122788A1 (ja) * | 2006-03-24 | 2007-11-01 | Kabushiki Kaisha Toshiba | 受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非接触充電装置 |
US7923719B2 (en) | 2006-04-28 | 2011-04-12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erein wiring contact is made through an opening in an organic compound layer |
JP2007311407A (ja) | 2006-05-16 | 2007-11-2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Icチップ、回路形成済ウエハ、および非接触通信部材 |
US7948208B2 (en) | 2006-06-01 | 2011-05-24 | Mojo Mobility, Inc. |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
JP2008027015A (ja) | 2006-07-19 | 2008-02-07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非接触icカード |
JP4466689B2 (ja) | 2006-08-31 | 2010-05-26 |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 アンテナ及び携帯電子機器 |
JP5052079B2 (ja) | 2006-09-08 | 2012-10-17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センサ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容器類 |
US7971339B2 (en) | 2006-09-26 | 2011-07-05 | Hid Global Gmbh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radio frequency inlay |
FR2908541B1 (fr) | 2006-11-06 | 2009-01-16 | Id3S Identification Solutions | Dispositif d'identification par radiofrequenc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dispositif |
JP4422712B2 (ja) | 2006-11-21 | 2010-02-24 | 株式会社スマート | 共振器付フィールド改善システム |
JP2008135589A (ja) | 2006-11-29 | 2008-06-12 | Asuka Electron Kk | 電力伝送用コイル |
JP4404088B2 (ja) | 2006-11-30 | 2010-01-27 | Tdk株式会社 | コイル部品 |
CA2671069A1 (en) | 2006-12-01 | 2008-06-12 | Tti Ellebeau,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ing and/or controlling devices, for instance transdermal delivery devices |
JP4947637B2 (ja) | 2007-01-09 | 2012-06-06 |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無接点電力伝送コイル、携帯端末及び端末充電装置 |
KR100867405B1 (ko) | 2007-02-09 | 2008-11-06 | (주)애니쿼터스 |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
KR100900476B1 (ko) | 2007-02-16 | 2009-06-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것의 배터리 충전 방법 |
JP4412402B2 (ja) * | 2007-02-20 | 2010-02-1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コイ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
KR101122983B1 (ko) * | 2007-02-20 | 2012-03-15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코일 유닛 및 전자 기기 |
JP2008205215A (ja) | 2007-02-20 | 2008-09-04 | Seiko Epson Corp | 積層コイルユニッ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充電器 |
JP2008210861A (ja) | 2007-02-23 | 2008-09-11 | Yonezawa Densen Kk | 防磁シート付きコイル |
US8009101B2 (en) | 2007-04-06 | 2011-08-30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Wireless IC device |
JP5121307B2 (ja) | 2007-05-28 | 2013-01-16 |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無接点電力伝送コイルユニット、携帯端末、送電装置、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
TW200905703A (en) | 2007-07-27 | 2009-02-01 | Delta Electronics Inc | Magnet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8078226B2 (en) | 2007-08-29 | 2011-12-13 | Mxtran, Inc. | Multiple interface card in a mobile phone |
JP2009065388A (ja) * | 2007-09-05 | 2009-03-26 | Toshiba Corp | 無線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
KR100928119B1 (ko) | 2007-10-30 | 2009-11-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인쇄회로 기판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US7926728B2 (en) | 2007-10-31 | 2011-04-19 | Infineon Technologies Ag |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luding a contactless integrated circuit inlay |
TWI349394B (en) * | 2007-11-01 | 2011-09-21 | Asustek Comp Inc | Antenna device |
JP2009158598A (ja) * | 2007-12-25 | 2009-07-16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平面コ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非接触電力伝送機器 |
US20110050164A1 (en) | 2008-05-07 | 2011-03-03 | Afshin Partovi |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
US20120248981A1 (en) * | 2008-09-27 | 2012-10-04 | Aristeidis Karalis | Multi-resonator wireless energy transfer for lighting |
US8487480B1 (en) * | 2008-09-27 | 2013-07-16 | Witricity Corporation | Wireless energy transfer resonator kit |
US8624546B2 (en) * | 2008-12-12 | 2014-01-07 | Hanrim Postech Co., Ltd. |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jig for fabricating core for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
US8188933B2 (en) | 2008-12-17 | 2012-05-29 | Panasonic Corporation | Antenna unit and mobile terminal therewith |
WO2010070393A1 (en) | 2008-12-17 | 2010-06-24 | Fci | Method of manufacture of ic contact-less communication devices |
US9312924B2 (en) | 2009-02-10 | 2016-04-12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multi-dimensional wireless charging |
WO2010104179A1 (ja) | 2009-03-13 | 2010-09-1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信号処理回路及びアンテナ装置 |
US20100265041A1 (en) * | 2009-04-16 | 2010-10-21 | Powerid Ltd. | Rfid transponder |
CN102428622B (zh) | 2009-05-20 | 2015-09-09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含有具有超薄屏蔽层的电感接收线圈的电子设备和方法 |
KR101079679B1 (ko) | 2009-06-03 | 2011-11-04 | 동양미래대학 산학협력단 | 비접촉 전원 충전장치 |
US20100308187A1 (en) | 2009-06-04 | 2010-12-09 | Pi-Fen Lin | Integrated magnetic device and a magnetic board thereof |
CN101924398A (zh) | 2009-06-11 | 2010-12-22 | 陈重佑 | 电子锁的非接触式充电装置 |
WO2011001709A1 (ja) | 2009-07-03 | 2011-01-06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 |
CN101996979B (zh) * | 2009-08-07 | 2013-03-06 | 索尼公司 | 中介层、包括该中介层的模块及电子装置 |
JP2011066627A (ja) | 2009-09-16 | 2011-03-31 | Smart:Kk | Nfcセンサアンテナ |
JP2011097534A (ja) | 2009-11-02 | 2011-05-12 | Tokai Rika Co Ltd | クレードルの態様自動変更装置 |
KR101086828B1 (ko) | 2009-11-30 | 2011-11-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매립형 인쇄회로기판, 다층 인쇄회로기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
JP5716678B2 (ja) | 2010-01-25 | 2015-05-13 | 旭硝子株式会社 |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
US8648757B2 (en) | 2010-04-30 | 2014-02-11 | Raytheon Company | End-loaded topology for D-plane polarization improvement |
US20110285494A1 (en) | 2010-05-24 | 2011-11-24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Multilayer type inductor |
EP2577692B1 (en) | 2010-05-28 | 2017-04-12 | Koninklijke Philips N.V. | Transmitter module for use in a modular power transmitting system |
US8195236B2 (en) | 2010-06-16 | 2012-06-05 | On Track Innovations Ltd. | Retrofit contactless smart SIM functionality in mobile communicators |
JP5501114B2 (ja) | 2010-06-25 | 2014-05-21 |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Icカード・タグ用アンテナ回路構成体とその製造方法 |
JP2012010533A (ja) * | 2010-06-28 | 2012-01-12 | Murata Mfg Co Ltd | 電力伝送システム、該電力伝送システムの給電装置及び携帯機器 |
JP5511071B2 (ja) | 2010-07-07 | 2014-06-04 | Necトーキン株式会社 |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
KR101134625B1 (ko) | 2010-07-16 | 2012-04-09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와 그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통신용 전력 공급 장치, 그리고 무선 전력 통신용 코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
KR101395256B1 (ko) | 2010-07-23 | 2014-05-1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
US9633304B2 (en) | 2010-08-12 | 2017-04-25 | Féinics Amatech Teoranta | Booster antenna configurations and methods |
KR101675002B1 (ko) | 2010-08-17 | 2016-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성능 향상 방법 |
KR101441453B1 (ko) | 2010-08-25 | 2014-09-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자기 공진체에서 전기장 및 복사전력 감소 장치 및 그 방법 |
JP5162648B2 (ja) | 2010-12-01 | 2013-03-13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装置 |
US8947189B2 (en) * | 2010-12-08 | 2015-02-03 | Taiyo Yuden Co., Ltd. | Multilayer chip inductor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
US9077209B2 (en) * | 2011-01-20 | 2015-07-07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generating module, module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power generation system |
JP4850975B1 (ja) | 2011-02-15 | 2012-01-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送受信装置 |
JP2012178959A (ja) | 2011-02-28 | 2012-09-13 | Equos Research Co Ltd | アンテナ |
US20120218068A1 (en) | 2011-02-28 | 2012-08-30 | Equos Research Co., Ltd. | Antenna |
US9225392B2 (en) | 2011-03-09 | 2015-12-29 | Qualcomm Incorporated | Flat power coil for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s |
JP5874181B2 (ja) | 2011-03-14 | 2016-03-02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コイルモジュール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
ITTO20110295A1 (it) | 2011-04-01 | 2012-10-02 | St Microelectronics Srl | Dispositivo ad induttore integrato ad elevato valore di induttanza, in particolare per l'uso come antenna in un sistema di identificazione a radiofrequenza |
US20120274148A1 (en) | 2011-04-27 | 2012-11-01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WO2012150293A1 (de) | 2011-05-03 | 2012-11-08 | Scholz Peter-Dominik | Anordnung und verfahren zur kontaklosen energieübertragung mit einer kopplungsminimierten matrix aus planaren sendespulen |
EP3425651A3 (en) * | 2011-06-14 | 2019-01-16 | Panasonic Corporation | Communication apparatus |
WO2013015222A1 (ja) | 2011-07-22 | 2013-01-31 | 日立金属株式会社 | アンテナ |
CN202120299U (zh) | 2011-07-25 | 2012-01-18 | 速码波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天线的用户识别模块 |
KR101276650B1 (ko) | 2011-08-04 | 2013-06-19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무선 충전 겸용 안테나 장치 |
KR101874641B1 (ko) | 2011-08-08 | 2018-07-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일 평면에 무선충전 코일과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CN102427158A (zh) | 2011-08-11 | 2012-04-25 |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 射频识别天线的制作方法 |
KR20130024757A (ko) | 2011-08-29 | 2013-03-08 |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 이종 충전 방식을 가진 무선 충전 시스템 |
WO2013035821A1 (ja) | 2011-09-09 | 2013-03-14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デバイス |
KR101355698B1 (ko) | 2011-09-09 | 2014-01-28 |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 유체 정화 장치 |
KR20130028302A (ko) | 2011-09-09 | 2013-03-19 | 김보경 | 활선 전력케이블 절연상태 감시장치 및 방법 |
TWM424550U (en) | 2011-10-13 | 2012-03-11 | Tdk Taiwan Corp | Induction module commonly-used for near-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
EP2775632A4 (en) | 2011-11-02 | 2015-07-01 | Panasonic Corp | COIL FOR CONTACTLESS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COIL, MOBILE WIRELESS TERMINAL |
KR101327081B1 (ko) | 2011-11-04 | 2013-11-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0235543B2 (en) | 2011-12-13 | 2019-03-19 | Infineon Technologies Ag | Booster antenna structure for a chip card |
US9252611B2 (en) | 2011-12-21 | 2016-02-02 | Amosense Co., Ltd. |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charg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receiving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er using the sheet |
KR20130081620A (ko) | 2012-01-09 | 2013-07-17 |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기 |
KR101986169B1 (ko) | 2012-01-10 | 2019-09-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JP2013169122A (ja) | 2012-02-17 | 2013-08-29 | Panasonic Corp |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
WO2013125610A1 (ja) | 2012-02-24 | 2013-08-2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
KR101163574B1 (ko) | 2012-03-13 | 2012-07-06 | 주식회사 나노맥 |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전자파흡수체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무선안테나, 그것의 제조방법 |
KR101196552B1 (ko) | 2012-03-23 | 2012-11-01 | (주) 씨아이디티 | 무접점충전시스템용 수신부의 2차 코일 |
JP6313744B2 (ja) | 2012-03-23 | 2018-04-18 |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無線電力受信機 |
KR101449254B1 (ko) | 2013-03-15 | 2014-10-0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TWI459418B (zh) | 2012-03-23 | 2014-11-01 |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 無線功率接收器以及包含有其之可攜式終端裝置 |
KR101339486B1 (ko) | 2012-03-29 | 2013-12-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박막 코일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KR101580518B1 (ko) | 2012-04-05 | 2015-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US20130271328A1 (en) * | 2012-04-16 | 2013-10-17 | Joshua G. Nickel | Impedance Reference Structures for Radio-Frequency Test Systems |
MY166333A (en) | 2012-04-30 | 2018-06-25 | Telekom Malaysia Berhad | A tunable coil antenna |
CN102709686A (zh) | 2012-05-14 | 2012-10-0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天线模块和移动终端设备 |
KR101177302B1 (ko) | 2012-05-30 | 2012-08-30 | 주식회사 나노맥 | 전자파흡수시트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및 무선충전 겸용 무선안테나, 그것의 제조방법 |
KR20130134759A (ko) | 2012-05-31 | 2013-12-10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 이중 모드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
WO2013183552A1 (ja) | 2012-06-04 | 2013-12-12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端末機器 |
WO2013183575A1 (ja) | 2012-06-04 | 2013-12-12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
CN104871366B (zh) | 2012-07-18 | 2018-03-16 | 阿莫技术有限公司 | 用于便携式终端的天线模块及含该天线模块的便携式终端 |
KR20140089192A (ko) | 2013-01-04 | 2014-07-1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안테나용 연자성 시트, 연자성 플레이트 및 연자성 소결체 |
JP2014154777A (ja) * | 2013-02-12 | 2014-08-25 | Toshiba Corp | 接続装置 |
US9812774B2 (en) | 2013-03-05 | 2017-11-07 | Amosense Co., Ltd. | Composite sheet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 and antenna module comprising same |
KR102017621B1 (ko) | 2013-03-12 | 2019-10-21 | 주식회사 위츠 | 무선 충전용 코일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US9515513B2 (en) | 2013-05-13 | 2016-12-06 | Sony Corporation | Mobile device and combo coil module |
KR102017669B1 (ko) | 2013-08-29 | 2019-10-21 | 주식회사 위츠 |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 무선 전력 전송장치, 전자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용 코일형 유닛의 제조방법 |
JP6085281B2 (ja) | 2013-11-01 | 2017-02-22 | モダ−イノチップス シーオー エルティディー | 複合素子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
US9450303B2 (en) | 2013-11-18 | 2016-09-20 | Inpaq Technology Co., Ltd. | Antenna structure |
US9490656B2 (en) | 2013-11-25 | 2016-11-08 | A.K. Stamping Company, Inc. | Method of making a wireless charging coil |
JP2015144160A (ja) | 2014-01-31 | 2015-08-06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アンテナ装置、非接触電力伝送用アンテナユニット、電子機器 |
KR101762778B1 (ko) | 2014-03-04 | 2017-07-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 |
US9313610B2 (en) | 2014-03-28 | 2016-04-12 | Intel Corporation | On demand customiz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s |
CN206727227U (zh) | 2014-03-28 | 2017-12-08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天线装置以及电子设备 |
US9276642B2 (en) | 2014-06-26 | 2016-03-01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Computing device having multiple co-located antennas |
KR102148847B1 (ko) | 2014-09-29 | 2020-08-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수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TWI618325B (zh) | 2014-10-29 | 2018-03-11 |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 無線充電及近場通訊雙線圈印刷電路板結構 |
DE102015115574A1 (de) | 2014-11-13 | 2016-05-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Nahfeldkommunikations-Chip, der in eine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eingebettet ist, und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
KR102276841B1 (ko) | 2015-01-14 | 2021-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1609733B1 (ko) | 2015-02-02 | 2016-04-06 |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 안테나 모듈 패키지, 안테나 모듈 패키지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
KR101594380B1 (ko) | 2015-03-04 | 2016-0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코일 안테나 모듈 |
KR20160136806A (ko) | 2015-05-21 | 2016-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수행 방법 |
US9991744B2 (en) | 2015-07-03 | 2018-06-05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US9948129B2 (en) | 2015-08-07 | 2018-04-17 | Nucurrent, Inc. |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having an internal switch circuit |
US10063100B2 (en) | 2015-08-07 | 2018-08-28 | Nucurrent, Inc. | Electrical system incorpor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
US9941729B2 (en) | 2015-08-07 | 2018-04-10 | Nucurrent, Inc. | Single layer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
US9941743B2 (en) | 2015-08-07 | 2018-04-10 | Nucurrent, Inc. |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
US9960629B2 (en) | 2015-08-07 | 2018-05-01 | Nucurrent, Inc. | Method of oper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
US10985465B2 (en) | 2015-08-19 | 2021-04-20 | Nucurrent, Inc. | Multi-mode wireless antenna configurations |
KR101926594B1 (ko) | 2015-08-20 | 2018-12-10 | 주식회사 아모텍 | 무선충전형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
US9825484B2 (en) | 2015-08-25 | 2017-11-21 | Motorola Mobility Llc | Multiple coil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ple types of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s |
KR102406686B1 (ko) | 2015-11-10 | 2022-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EP3247049A1 (en) | 2016-05-17 | 2017-11-22 | Nxp B.V. | Wireless antenna structure |
US10593452B2 (en) | 2016-05-31 | 2020-03-17 | Skc Co., Ltd. | Magnetic sheet and antenna device comprising same |
US10003120B2 (en) | 2016-09-02 | 2018-06-19 | AQ Corporation |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
KR102605856B1 (ko) | 2017-01-03 | 2023-11-24 | 주식회사 위츠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2012
- 2012-10-29 TW TW101139912A patent/TWI45941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0-29 TW TW106104427A patent/TWI61368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0-29 US US13/663,012 patent/US9806565B2/en active Active
- 2012-10-29 TW TW103130766A patent/TWI604480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0-30 JP JP2012238615A patent/JP5805609B2/ja active Active
- 2012-10-30 EP EP12190583.0A patent/EP2642632B1/en active Active
- 2012-10-30 EP EP17157643.2A patent/EP3193423B1/en active Active
- 2012-10-30 EP EP16206292.1A patent/EP3174173B1/en active Active
- 2012-11-02 KR KR1020120123375A patent/KR101417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1-02 CN CN201210432342.1A patent/CN10332647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1-02 CN CN201510084340.1A patent/CN10463877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9-01 JP JP2015172306A patent/JP6348468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1-23 US US15/360,425 patent/US10270291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2-10 US US15/430,173 patent/US10277071B2/en active Active
- 2017-06-27 JP JP2017125112A patent/JP6462780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12-27 JP JP2018243847A patent/JP2019091901A/ja active Pending
-
2019
- 2019-01-31 US US16/264,360 patent/US10804740B2/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93591A (ko) * | 2016-02-05 | 2017-08-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충전 장치 |
WO2018074803A1 (ko) * | 2016-10-18 | 2018-04-2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송신 장치 |
KR20200027764A (ko) * | 2018-09-05 | 2020-03-13 | 주식회사 지유니슨 | 플렉서블 코일 및 그 제조 방법 |
WO2022060077A1 (ko) * | 2020-09-16 | 2022-03-2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7388B1 (ko)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JP6571809B2 (ja) | アンテナ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14229B1 (ko) | 무선전력 수신기. | |
JP2015513276A5 (ko) | ||
KR101449254B1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70131B1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940113B1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886355B1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063640B1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39012B1 (ko) |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