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476B1 -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9476B1 KR101899476B1 KR1020150146831A KR20150146831A KR101899476B1 KR 101899476 B1 KR101899476 B1 KR 101899476B1 KR 1020150146831 A KR1020150146831 A KR 1020150146831A KR 20150146831 A KR20150146831 A KR 20150146831A KR 101899476 B1 KR101899476 B1 KR 101899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harging
- film
- charging module
- electrically connected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1004 magnetic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8423 Si—B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531 Co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565 Zn—Cu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은, 필름, 필름의 일면에 마련되는 무선 충전 코일, 필름의 타면에 마련되고, 무선 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제어부, 필름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형성되고, 연결부를 통해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접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이동성 및 휴대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모바일 단말기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들은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으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배터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기 위해 종래에는 무선 충전 모듈을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하였다. 종래의 무선 충전 모듈은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충전 코일과 무선 충전 코일이 수신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고 정류된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는 무선 충전 제어부가 별도의 기판에 마련되었으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무선 충전 코일과 무선 충전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 구조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의 전체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7302호(2012.08.30)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모듈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모바일 단말기도 무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은, 필름; 상기 필름의 일면에 마련되는 무선 충전 코일; 상기 필름의 타면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제어부; 상기 필름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필름의 일면에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따라 형성되는 그라운드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는,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비아홀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필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필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마련되며, 상기 필름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는,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이 수신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한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속 패드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접속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패드 및 상기 제2 접속 패드는,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비아홀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신호 라인; 및 상기 배터리 접속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핀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필름의 일면 상부에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전자파 차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연결되는 캐릭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름을 회전시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 접속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회동 부재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이 바라보는 방향이 무선 충전 송신 패드를 향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은, 필름; 상기 필름의 일면에 마련되는 무선 충전 코일; 상기 필름의 타면에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제1 비아홀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제어부;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이격되며,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제2 비아홀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름에 무선 충전 코일 및 무선 충전 제어부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을 일체화 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무선 충전 모듈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무선 충전 모듈을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충전 코일과 무선 충전 제어부를 필름에 일체화된 모듈로 형성하고, 필름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배터리 접속부를 마련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에서 무선 충전 모듈을 접속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모바일 단말기도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무선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에서 전자파 차폐재가 무선 충전 코일을 커버하며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에서 전자파 차폐재가 무선 충전 코일을 커버하며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0)은 필름(102), 무선 충전 코일(104), 무선 충전 제어부(106), 연결부(108), 및 배터리 접속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모듈(100)은 모바일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모바일 폰,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모듈(100)은 모바일 단말기(미도시) 내에 장착되고, 송신측 기기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미도시)는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모듈(100)은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그 이외의 다양한 전자 기기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필름(102)은 무선 충전 모듈(100)의 베이스 부재로서, 평면 시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필름(102)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필름(102)의 단부는 종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름(102)은 플렉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104)은 무선 충전을 위해 형성되는 패턴으로서, 필름(102)의 일면에 형성된다. 무선 충전 코일(104)은 송신측 기기에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104)은 무선 충전 방식 중 자기 유도 방식(예를 들어,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의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방식이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인 경우, 무선 충전 코일(104)은 100 ~ 205 kHz 대역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이 PMA(Power Matters Alliance)인 경우, 무선 충전 코일(104)은 277 ~ 357 kHz 대역 또는 118 ~ 153 kHz 대역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무선 충전 코일(104)은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예를 들어, 자기 공명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의 주파수 대역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104)은 필름(102)의 일면에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104)의 일단부에는 제1 접속 패드(111)가 형성되고, 무선 충전 코일(104)의 타단부에는 제2 접속 패드(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속 패드(111) 및 제2 접속 패드(113)는 필름(102)에 형성되는 비아홀(미도시)을 통해 필름(102)의 타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 제어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필름(102)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름(102)의 타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필름(102)의 일면에 형성되는 무선 충전 코일(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필름(102)의 타면에서 무선 충전 코일(104)과 대응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필름(102)의 타면에서 무선 충전 코일(104)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무선 충전 코일(104)이 송신측 기기에서 전송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무선 충전 코일(104)이 수신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을 배터리(미도시)에서 사용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칩(Chip), 전자 부품(능동 소자 및 수동 소자 등), 전자 회로,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름(102)의 일면에는 무선 충전 코일(104)과 이격되어 그라운드(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115)는 필름(102)의 일면에서 무선 충전 제어부(106)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115)는 필름(102)에 형성되는 다른 비아홀(미도시)을 통해 무선 충전 제어부(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라운드(115)는 무선 충전 코일(104)이 형성될 때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115)는 무선 충전 코일(10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08)는 필름(102)의 일측 단부에서 필름(10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연결부(108)는 필름(10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08)는 필름(102)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8)는 필름(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8)는 필름(102)과 마찬가지로 플렉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08)의 종단에는 배터리 접속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8)의 일면에는 그라운드(115)와 연결되는 그라운드 연장부(115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연장부(115a)는 연결부(108)의 일면에서 연결부(108)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모듈(100)의 전체 그라운드 면적을 넓힐 수 있고, 연결부(108)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08)의 타면에는 복수 개의 신호 라인(117)이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라인(117)은 무선 충전 제어부(106)와 배터리 접속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접속부(110)는 연결부(108)의 종단에 형성된다. 배터리 접속부(110)는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배터리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배터리 접속부(110)는 무선 충전 코일(104)의 수신 전력을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배터리로 전달하여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코일(104)이 수신한 교류 전력은 무선 충전 제어부(106)에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제어부(106)는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을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전압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제어부(106)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은 신호 라인(117)을 통해 배터리 접속부(110)로 전달되고, 배터리 접속부(110)에서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배터리로 전달되어 충전되게 된다.
배터리 접속부(110)는 복수 개의 신호 라인(1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핀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핀부(110a)는 연결부(108)의 일면 종단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핀부(110a)는 모바일 단말기(미도시) 내에서 배터리측 단자(또는 커넥터 등)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름(102)에 무선 충전 코일(104) 및 무선 충전 제어부(106)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을 일체화 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무선 충전 모듈(100)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무선 충전 모듈(100)을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 내에서 무선 충전 모듈(100)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코일(104)의 상부에는 전자파 차폐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자파 차폐재(120)는 필름(102)의 일면 상부에서 무선 충전 코일(104)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재(120)는 무선 충전 코일(104)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재(120)는 무선 충전 코일(104)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자파 차폐재(120)는 메탈 자성 박판 시트일 수 있다. 메탈 자성 박판 시트는 Fe계 자성 합금 또는 Co계 자성 합금의 리본 또는 스트립이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또는 다수의 크랙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Fe계 자성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Fe-Si-B 합금 또는 Fe-Si-B-Co 합금을 사용할 수 있고, Co계 자성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Co-Fe-Ni-Si-B 합금 또는 Co-Fe-Cr-Si-B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파 차폐재(120)는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다. 페라이트 시트는 페라이트 분말과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페라이트 분말로는 예를 들어, Mn-Zn 페라이트, Ni-Zn-Cu 페라이트, Mn-Mg 페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재(120)는 고투자율(예를 들어, 투자율 800 이상)의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00)은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배면을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모듈(100)은 모바일 단말기(50)의 외부에서 모바일 단말기(50)에 접속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50)의 외부에서 배터리 접속부(110)의 커넥터 핀부(110a)가 모바일 단말기(5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데이터 전송 및 충전용 커넥터)에 삽입됨으로써, 무선 충전 모듈(100)이 모바일 단말기(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모듈(100)의 하부에 무선 충전 송신 패드(200)를 위치시키면,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기(50)도 무선 충전 모듈(100)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무선 충전 송신 패드(200)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충전 송신 패드(200)는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코일(또는 안테나)를 구비한다.
한편, 무선 충전 모듈(100)는 회동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부재(130)는 연결부(108)에 형성될 수 있다. 회동 부재(130)는 연결부(108)를 따라 마련되는 축을 중심으로 무선 충전 모듈(1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무선 충전 코일(104)이 바라보는 방향을 회동 부재(130)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무선 충전 모듈(100)을 모바일 단말기(50)에 장착한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무선 전력을 무선 충전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회동 부재(130)를 통해 무선 충전 코일(104)이 무선 충전 송신 패드(200)와 대향하도록 필름(102)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무선 충전 송신 패드(200)가 어느 방향 어느 장소에 위치하든지 관계 없이 무선 충전 코일(104)을 무선 충전 송신 패드(200)과 대향하도록 하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재(120) 측에는 캐릭터 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캐릭터 부재(미도시)를 부착하여 무선 충전 모듈(100)을 일종의 액세사리처럼 소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릭터 부재(미도시)는 별도의 연결 수단을 통해 무선 충전 모듈(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그 이외에 다양한 방식을 통해 캐릭터 부재(미도시)가 무선 충전 모듈(100)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무선 충전 모듈
102 : 필름
104 : 무선 충전 코일
106 : 무선 충전 제어부
108 : 연결부
110 : 배터리 접속부
110a : 커넥터 핀 부
111 : 제1 접속 패드
113 : 제2 접속 패드
115 : 그라운드
115a : 그라운드 연장부
117 : 신호 라인
120 : 전자파 차폐재
130 : 회동 부재
102 : 필름
104 : 무선 충전 코일
106 : 무선 충전 제어부
108 : 연결부
110 : 배터리 접속부
110a : 커넥터 핀 부
111 : 제1 접속 패드
113 : 제2 접속 패드
115 : 그라운드
115a : 그라운드 연장부
117 : 신호 라인
120 : 전자파 차폐재
130 : 회동 부재
Claims (15)
- 필름;
상기 필름의 일면에 마련되는 무선 충전 코일;
상기 필름의 타면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제어부;
상기 필름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접속부; 및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필름을 회전시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이 바라보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필름의 일면에 상기 무선 충전 코일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따라 형성되는 그라운드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는,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비아홀을 통해 상기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필름과 일체로 형성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필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 마련되며, 상기 필름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는,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이 수신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한 직류 전력의 전압 레벨을 기 설정된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접속 패드 및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접속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패드 및 상기 제2 접속 패드는,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비아홀을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연결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신호 라인; 및
상기 배터리 접속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핀 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필름의 일면 상부에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전자파 차폐재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상기 무선 충전 모듈에 연결되는 캐릭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모듈.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의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 접속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회동 부재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이 바라보는 방향이 무선 충전 송신 패드를 향하도록 변경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모듈.
- 삭제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및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무선 충전 모듈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무선 충전 모듈을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모바일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831A KR101899476B1 (ko) | 2015-10-21 | 2015-10-21 |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831A KR101899476B1 (ko) | 2015-10-21 | 2015-10-21 |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6453A KR20170046453A (ko) | 2017-05-02 |
KR101899476B1 true KR101899476B1 (ko) | 2018-09-18 |
Family
ID=5874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6831A KR101899476B1 (ko) | 2015-10-21 | 2015-10-21 |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94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9131A (ko) * | 2017-09-12 | 2019-03-2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충전코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무선충전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388B1 (ko) * | 2012-03-23 | 2014-08-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0266B1 (ko) * | 2011-05-31 | 2013-04-03 | 주식회사 아울테크놀로지 | 용량이 다른 이동기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패드 및 그 충전 방법 |
KR20140105251A (ko) * | 2013-02-22 | 2014-09-01 | (주)엠에이피테크 |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원수신모듈 |
KR102017621B1 (ko) * | 2013-03-12 | 2019-10-21 | 주식회사 위츠 | 무선 충전용 코일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KR101521977B1 (ko) * | 2013-03-25 | 2015-05-21 | 주식회사 타이드 |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충전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무선충전 운영방법 |
KR101587620B1 (ko) * | 2015-05-29 | 2016-01-28 | 주식회사 아모센스 | 휴대 단말기기용 안테나 장치 |
-
2015
- 2015-10-21 KR KR1020150146831A patent/KR101899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388B1 (ko) * | 2012-03-23 | 2014-08-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6453A (ko) | 2017-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3612B2 (en) | Methods for forming shield materials onto inductive coils | |
JP2018530178A (ja) | 無線充電及びnfc通信のための無線アンテナ、並びにそれを適用した無線端末機 | |
JP6967303B2 (ja) | 車両用無線電力送信装置 | |
US20160322156A1 (en) | Thin-film coil assembly, flexibl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 |
US9973023B2 (en) | Inductive energy transfer coil structure | |
CN103748765A (zh) | 通信装置 | |
KR20160026283A (ko) |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와치 | |
CN107209380A (zh) | 具有谐振器的电子设备 | |
JP2020195275A (ja) | 車両用無線電力送信装置 | |
KR101843897B1 (ko) |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 |
CN204948543U (zh) | 通信设备及用于通信设备的机械底部外壳 | |
CN106561072A (zh) | 盖及包括该盖的便携式终端 | |
KR101899476B1 (ko) |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 |
KR20180042194A (ko) |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 |
KR20140053799A (ko) | 무선 전력 전송장치 | |
CN112736412A (zh) | 无线充电天线和nfc天线的混合结构以及电子设备 | |
CN107197605A (zh) | 盖及包括该盖的电子装置 | |
KR102196543B1 (ko) |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2527072B1 (ko) | 백커버 일체형 무선전력 전송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
KR20160001366U (ko) | 무선충전장치 | |
KR20130127386A (ko) | 무선 전력 전송장치 | |
CN219499373U (zh) | 无线充电和l型近场通信双线圈装置 | |
US20190131822A1 (en) | One Touch Charger | |
KR101709477B1 (ko) |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2680637B1 (ko) | 비접촉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