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127874A -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874A
KR20060127874A KR1020067013925A KR20067013925A KR20060127874A KR 20060127874 A KR20060127874 A KR 20060127874A KR 1020067013925 A KR1020067013925 A KR 1020067013925A KR 20067013925 A KR20067013925 A KR 20067013925A KR 20060127874 A KR20060127874 A KR 20060127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actomannan
composition
protein
food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오 요카와
노리유키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이요 카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8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eds, e.g. locust bean gum or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Exudates, e.g. gum arabic, gum acacia, gum karaya or tragac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2Comminuted fibrous parts of plants, e.g. bagasse or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유동 식품, 및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ENTEROPATHY AMELIOR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유동 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 의약품 또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나 주거 환경의 변화가 가져오는 문명병으로서 염증성 장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등의 장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염증성 장질환이란, 궤양성 대장염 (UC), 클론병 (CD), 장형 베체트병 등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장의 점막에 염증이 생겨 미란 (짓무름) 이나 궤양이 생기는 병이다.
염증은 통상 항문에 가까운 직장에서 시작되어, 그 다음, 그 안쪽 결장 쪽으로 염증이 퍼져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장에 생기는 염증 때문에 설사나 점혈변 (혈액·점액·고름이 섞인 연변), 발열이나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병의 상태는 진정되거나 (완해기), 악화되거나 (활동기) 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아 장기간에 걸쳐 이 병을 앓는 경우도 있다. 특히 UC 와 CD 는 발증 빈도가 높 고, 난치성이며, 질병이 장기화되어 임상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어려운 질환이다. UC 및 CD 에 대해, 현재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아, 영양 요법 (완전 정맥 영양 요법, 경장 영양 요법, 식이 요법) 및 약물 요법 (술파사라진, 5-ASA (메살라진) 의 술파제, 프레드니졸론을 중심으로 한 스테로이드제, 아자티오프린 등의 면역 억제제 등을 병 기간에 따라 단계적으로 사용) 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후생 노동성 「난치성 염증성 장관 (腸管) 장해에 관한 조사 연구」 반, 2001년도 연구 보고서, p.54 참조).
UC 는 1975 년에, CD 는 1976 년에 특정 질환으로 인정되어 있고, 특정 질환 수급자 등록자수는 UC 가 약 70,000 명, CD 가 약 20,000 명으로 되어 있는데, 최근 환자수는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후생성 보건 의료국 에이즈 질병 대책과 난치병 의료계」).
장형 베체트병은 UC 및 CD 에 비하면 환자수는 적지만, 난치성이며, 치료법으로는 UC 및 CD 와 동일한 약물 요법, 영양 요법 및 외과 요법이 실시되고 있다.
그 밖에, 대부분의 염증성 장질환은 기본적으로는 내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증상에 따라 영양 요법 (절식, 식사 제한, 성분 영양, 고칼로리 수액) 이나 약물 요법 (항균약 투여) 등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마츠히토시카이 의학지, 제 39 호, p.1-14, 2000 참조).
염증성 장질환은 후생 노동성의 특정 질환 조사 연구반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왜 병이 일어나는지 아직 원인이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의 유력한 가설로서 자기 면역 기전 등 면역 이상이 그 원인이라고 여겨 진다. 인간의 신체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입했을 때, 그것을 배제하려고 하는 구조 (면역 기능) 가 갖춰져 있다. 장관에도 이 면역 기능이 작용하고 있는데, 이 면역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자기 자신의 점막도 이물질로 간주하고, 이것을 공격하여 손상시키려고 한다. 그 결과, 점막에 염증이 생긴다. 이물질을 배제하기 위해 비정상적으로 면역 기능이 활발해지면, 백혈구가 과잉으로 작용하여 본래같으면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물질을 계속 방출하기 때문에, 지속되는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면역설도 결정적이지는 않고, 염증이 생기는 구조로는 유력한 설이지만, 왜 면역 기능의 이상이 일어나는지 염증성 장질환의 발증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게는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근본 치료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서 현재 다양한 치료법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아직 근본적으로 고칠 수 있는 치료법은 발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치료하는 것이 큰 과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사 요법에 있어서는, 장기간 계속하면 영양 밸런스가 부족해 증상을 중증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 약물 요법에 있어서는, 그 약물에 의한 치료 효과 외에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이 중증인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과민성 장증후군 (IBS) 은 수많은 소화기 질환 중에서도 가장 흔한 질환의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변통 이상으로 진찰을 받는 환자 중 약 20 ∼ 30% 는 과민성 장증후군이라고 알려져 있다. 연령면에서, 여성은 20 대 및 50 대, 남성 은 30 ∼ 40 대에 많이 보인다.
IBS 의 주된 증상으로는 변통 이상, 복통 및 복부 불쾌감을 들 수 있다. 이 중, 복통은 반드시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고, 또 통증의 정도도 가벼운 통증에서 강한 통증까지 다양하다. 또, 배변에 의해 복통이 가벼워지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IBS 에 대해 스트레스가 그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되고 있다. 이것은 내장과 신경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장의 기능은 자율 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있고, 이 자율 신경은 뇌의 시상하부로부터의 시그널에 의해 작용하고 있다. 스트레스가 되는 정보가 외부에서 뇌에 들어가면, 시상하부가 그 정보에 반응하므로, 적절한 시그널을 자율 신경에 보내는 것이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내장의 기능이 혼란해진다.
이러한 IBS 를 갖는 환자에 대해서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여 정상적인 변통 습관을 되찾는 것 ; 스포츠, 취미 등에 의해 스트레스를 발산시키는 것 ; 전문가에 의한 카운슬링 ; 진통약, 소화기 운동 기능 개선제, 신경 안정제, 한방약 등에 의한 약제 치료와 같은 지도, 치료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사사키 다이스케, 스도 토모유키, G. I. Research, vol.7, p3-9, 1999).
발명의 개시
상기와 같이 현재로서는 아직 염증성 장질환 등의 장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은 발견되어 있지 않고, 염증성 장질환 등의 장질환을 예방·치료하는 것이 큰 과제로 되어 있다. 또,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 있어서, 이 질환은 상기 이유에서 심신 모두 대단한 고통이 된다. 이 때문에, 이들 질환이 경미할 때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과민성 장증후군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은 약물 치료 등이 실시되고 있는데, 부작용 문제 때문에 계속하여 실시하는 것이 어렵고, 또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고, 안전성이 높은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고, 장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유동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고, 안전성이 높은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1]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장질환이 염증성 장질환인 상기 [1] 에 기재된 조성물,
[3] 갈락토만난으로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조성물,
[4]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또는 의약품,
[5]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유동 식품,
[6] 장질환이 염증성 장질환인 상기 [5] 에 기재된 유동 식품,
[7] 단백질이 대두 단백질, 유즙 단백질, 난황 단백질, 난백 단백질, 소맥 단백질, 및 이들 분해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단백질인 상기 [5] 또는 [6] 에 기재된 유동 식품,
[8] 갈락토만난으로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5]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동 식품,
[9] 갈락토만난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갈락토만난으로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9] 에 기재된 조성물, 및
[11] 상기 [9] 또는 [10] 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또는 식품
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각 사료군에 있어서의 Disease activity index 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 는 각 사료군에 있어서의 전체 대장 조직 중의 MPO 활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 은 각 사료군에 있어서의 TNF-α 활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먼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양태의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는 것을 하나의 큰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는 여러 가지의 공업 제품에 바람직한 물성을 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이 의외로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다는 본 발명자들의 식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염증성 장질환이란,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장형 베체트병 등의 어떠한 원인에 의해 대장의 점막에 염증이 생겨 미란 (짓무름) 이나 궤양이 생기는 병이다. 염증의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Disease activity index, 염증 마커인 미엘로퍼옥시다제 (MPO) 활성이나 염증 사이토카인인 TNF-α 활성 등의 평가가 알려져 있다. 이들 평가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Disease activity index 에 대해서는 Cooper 외의 방법 (Lab Invest, 69, 238-49, 1993), MPO 활성에 대해서는 Grisham 외의 방법 (Am. J. physiol., 252, G567-G74, 1986), TNF-α 활성에 대해서는 샌드위치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조성물은 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질환의 모델 마우스에 투여했을 때,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뿐만 아니라, 염증 마커인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 및 TNF-α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즉, 본 양태의 조성물은 인간에게 투여한 경우에도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고, 그 평가는 염증 마커인 미엘로퍼옥시다제 활성 및 TNF-α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평 가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갈락토만난으로는 갈락토만난을 주성분으로 하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타라검, 카시아검, 세스바니아검, 호로파 등의 천연 점질물을 들 수 있고, 섭취 용이성 및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및 세스바니아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아검 및 로커스트빈검이다. 갈락토만난의 시판품으로는 네오소프트 G (타이요 화학사 제조), 네오소프트 L (타이요 화학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 이러한 갈락토만난은 그대로 사용되어도 되지만, 조성물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갈락토만난을 가수 분해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양태에 있어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포함시켜 갈락토만난이라고 한다. 갈락토만난 분해물은 상기 갈락토만난을 원료로 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가수 분해하여 저분자화함으로써 얻어진다.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조제할 때에는 상기 갈락토만난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수 분해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효소 분해법, 산 분해법 등을 들 수 있다. 분해물의 분자량을 용이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한 관점에서 효소 분해법이 바람직하다.
효소 분해법에 사용되는 효소로는 만노오스 직쇄를 가수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이면, 시판되는 것이어도, 천연 유래의 것이어도, 공지된 유전자 재조합 수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해 효율을 높이는 관 점에서, 상기 효소는 아스페르길루스속균, 리조푸스속균 등에 유래하는 β-만나나아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갈락토만난의 효소 분해 조건은 사용하는 효소에 따라 다르므로, 획일적으로 기재할 수는 없지만, 조건으로는 예를 들면 사용하는 효소에 적합한 완충액 중, 원료인 갈락토만난 100 중량부에 대해 효소 0.1 ∼ 20 중량부의 존재 하에, 10 ∼ 80℃ 에서 1 ∼ 75 시간 정도 반응을 실시한다는 조건을 들 수 있다.
산 분해의 조건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pH 1 ∼ 4 의 임의의 용매 중, 90 ∼ 100℃ 에서 1 ∼ 40 시간 정도 반응을 실시한다는 조건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갈락토만난 분해물이 얻어진다. 얻어진 분해물은 그대로,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물 등으로 세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선파이버 (타이요 화학사 제조), 파이버론 (다이닛폰 제약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에 사용되는 갈락토만난 분해물은 원하는 효과의 발현 및 사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그 0.5 (w/v)% 수용액의 점도가 B 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 에서 측정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50m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Pa·s 이하인 것이다.
본 양태에 사용되는 갈락토만난은, 바람직하게는 2,000 ∼ 1,000,000 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이면 본 양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한편, 평균 분자량이 1,000,000 이하이면, 점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아 식품으로 가공하는 경우에 문제가 잘 생기지 않아 갈락토만난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 ∼ 1,000,0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 100,000 이다.
본 양태에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사용하는 경우, 갈락토만난 분해물의 분자량은 원하는 효과의 발현 및 사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0 ∼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 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 25,000 이다.
상기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갈락토만난 또는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 2,000, 20,000 및 200,000) 을 분자량 마커로 하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YMC 사 제조 칼럼 : YMC-Pack Diol-120) 에 제공하여 그 분자량 분포를 얻고, 그것을 분자량 마커에 의해 얻어진 검량선에 적용시켜 수치화하고, 얻어진 값을 평균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아라비노갈락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타이요 화학사 제조의 아라비노갈락탄 LF 등의, 낙엽송의 뿌리로부터 온수 추출하고, 정제, 스프레이 드라이에 의해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00 ∼ 500,000 의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이면 정미성에 문제가 잘 생기지 않고, 평균 분자량 500,000 이하이면 정미성, 식감 면에서 문제가 잘 생기지 않는다. 또한, 평균 분자량은 상기 갈락토만난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갈락토만난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갈락토만난의 함유량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관점에서,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 이다. 아라비노갈락탄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아라비노갈락탄의 함유량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관점에서,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 이다.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이 병용되는 경우의 합계 함유량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관점에서,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 이고, 그 조성비는 본 양태의 효과가 발휘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양태의 조성물에는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 외에, 다른 당류, 식물 섬유, 지질, 아미노산, 단백질,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에 유산균, 비타민, 미네랄과 같은 그 밖의 기능성을 갖는 물질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의 억제 및 치료의 관점에서, 성인 1 일당 바람직하게는 1 ∼ 70g,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g 을 계속하여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양태의 식품으로는, 예를 들면 음료, 쿠키, 스넥 과자, 유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양태의 식품은, 예를 들면 기성 식품에 대해서 본 양태의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또 그들 식품을 조제할 때, 본 양태의 조성물을 식품 원료에 미 리 첨가하거나, 또는 조제 공정 중에 함께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식품에 있어서의 상기 조성물의 함유량은 상기 식품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어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양태의 의약품에는 상기 조성물 외에, 의약품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성분,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 교취제, 증량제, 피복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양태의 의약품으로는, 예를 들면 그 형태로서 용액, 현탁물, 분말, 고체 성형물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 제형으로는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드링크제, 주사제, 첩부제, 연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의약품은 상기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통상의 의약품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된다.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의약품의 투여량은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는 1000 ∼ 70000㎎/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20000㎎/일이다. 단, 개체차이 (증상의 종류, 정도, 연령 등) 가 있기 때문에, 본 양태에 있어서의 투여량은 이러한 범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개별적으로 구체적으로 투여량을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본 양태의 의약품의 투여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구 투여, 직장을 통한 투여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양태의 사료는, 예를 들면 기성 사료에 대해서 본 양태의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또 그들 사료로 조제할 때, 본 양태의 조성물을 사료 원료에 미리 첨가 하거나, 또는 조제 공정 중에 모두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사료에 있어서의 상기 조성물의 함유량은 상기 사료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어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조성물, 식품 또는 의약품을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조성물, 식품 또는 의약품을 사용하여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양태의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유동 식품은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는 것을 하나의 큰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는 여러 가지 공업 제품에 바람직한 물성을 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이 의외로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며, 동맥 경화, 고혈압의 예방이나 악성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등 여러 가지 생리 활성이 알려져 있는 대두 단백질, 유즙 단백질 등의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등의 염증에 의한 점막 장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는 본 발명자들의 식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본 양태의 유동 식품은 경구나 경장 (經腸) 섭취에 의해 영양 보급이 가능한 동시에 피험자의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 는 치료에 유효한 신규 유동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의 점도는 효과의 유지 및 환자의 컴플라이언스의 향상 관점에서, 10 ∼ 100mPa·s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50mPa·s 이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에 있어서 사용되는 단백질로는,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 유즙 단백질, 난황 단백질, 난백 단백질, 어개류 단백질, 해조류 단백질, 너트류 단백질, 소맥 단백질, 이들의 분해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풍미 면에서 대두 단백질, 유즙 단백질 및 이들의 분해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두 단백질의 분해물 및 유즙 단백질의 분해물이다. 또한, 단백질은 이들 단백질의 조성에 기초하는 아미노산 혼합물이어도 된다.
단백질의 분해물은 상기 단백질을 원료로 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가수 분해하여 저분자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단백질의 분해물을 조제할 때에는 상기 단백질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수 분해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효소 분해법, 산 분해법 등을 들 수 있다. 분해물의 분자량을 용이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한 관점에서 효소 분해법이 바람직하다.
효소 분해법에 사용되는 효소로는 펩티드 결합을 가수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이면, 시판되는 것이어도, 천연 유래의 것이어도, 공지된 유전자 재조합 수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해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효소는 아스페르길루스속균이나 바실러스속균 등에서 유래하는 프로테 이나아제나 펩티다아제가 바람직하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단백질의 분해물이 얻어진다. 또,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의 분해물인 닛카밀키 (닛카 유지사 제조), 유즙 단백질의 분해물인 카세인포스포펩티드 (CPP) (메이지 제과사 제조), 난황 단백질의 분해물인 요크레이트 (타이요 화학사 제조), 난백 단백질의 분해물인 산키라라 (타이요 화학사 제조), 고등어 유래 단백질의 분해물인 아미노마린 (사카모토 한방 제약사 제조), 김 유래 단백질의 분해물인 마이니치 미역 김 펩티드 (시라코사 제조), 난백, 젖, 대두, 어개류 및 너트류 유래의 단백질 및 콜라겐의 분해물인 바이오마린 (일본 물산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양태에서 단백질의 분해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평균 분자량은 풍미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다.
상기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단백질의 분해물을 플루란 (분자량 : 500, 1000 및 2000) 을 분자량 마커로 하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YMC 사 제조 칼럼 : YMC-Pack Diol-120) 에 제공하여 그 분자량 분포를 얻고, 그것을 분자량 마커에 의해 얻어진 검량선에 적용시켜 수치화하고, 얻어진 값을 평균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에 있어서의 단백질의 함유량은 본 양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또한 풍미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유동 식품 중 바람직하게는 0.1 ∼ 90 중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 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은 상기 제 1 양태과 동일 하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에 있어서 단백질과 갈락토만난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단백질과 아라비노갈락탄을 사용하는 경우의 양 물질의 함유량은 모두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관점에서, 유동 식품 중 바람직하게는 0.1 ∼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20 중량% 이다.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이 병용되는 경우의 합계 함유량은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관점에서, 유동 식품 중 바람직하게는 0.1 ∼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20 중량% 이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은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물에 균질하게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는데, 이 때, 필요에 따라 유화제를 배합할 수 있다. 유화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로일 젖산 칼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레시틴이나 사포닌, 스테롤, 콜산, 데속시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유동 식품 중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3 중량% 의 비율로 사용된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에는 추가로 다른 당류, 식물 섬유, 지질, 펩티드, 아미노산, 단백질, 또한 필요에 따라 이들에 유산균, 비타민, 미네랄과 같은 그 밖의 기능성을 갖는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본 양태의 유동 식품은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는 관점에서, 성인 1 일당 바람직하게는 1 ∼ 70g,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g 이 되도록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개체차이 (증상의 종류, 정도, 연령 등) 가 있기 때문에, 본 양태에 있어서의 섭취량은 이러한 범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개별적으로 구체적으로 섭취량을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유동 식품을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유동 식품을 사용하여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양태의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갈락토만난을 함유하는 것을 하나의 큰 특징으로 한다.
본 양태는 여러 가지 공업 제품에 바람직한 물성을 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갈락토만난이 의외로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다는 본 발명자들의 식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설사형, 변비형 및 교체형 3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설사형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은 복통을 수반하는 1 일 3 회 이상의 설사가 계속되는 증상이고,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은 복통을 수반하는 변비가 계속되는 증상이고, 교체형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은 복통을 수반하는 설사 증상이 수일간 계속되고, 그 다음에 복통을 수반하는 변비 증상이 나타나는 등의 설사와 변비가 번갈아 반복되는 증상이다. 또, 과민성 장증후군까지는 아니지만, 하복부통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환자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증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양태의 조성물은 과민성 장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일어나는 하복부통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의 조성물은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므로, 거의 독성은 없다.
본 양태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락토만난은 상기 제 1 양태의 갈락토만난과 동일하다.
또, 본 양태의 조성물에는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한, 그 밖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물 (예를 들면, 수돗물, 증류수, 이온 교환수 등), 단백질, 아미노산, 펩티드, 식물 섬유, 차 추출물 (예를 들면, 폴리페놀),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양태의 조성물은 갈락토만난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상기와 같은 그 밖의 성분이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갈락토만난의 함유량으로는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 이다. 그 밖의 성분은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함유시키면 된다.
또한, 본 양태의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저해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분말, 정제, 유제, 액제 등이어도 된다.
본 양태의 조성물은 이상의 각 성분을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식품 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 에 따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적당히 임의 의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양태의 조성물은 과민성 장증후군의 억제 및 치료 관점에서, 성인 1 일당 바람직하게는 1 ∼ 70g,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g 을 계속하여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는 또한 본 양태의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또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양태의 의약품 또는 식품의 형태는 상기 제 1 양태과 동일하고, 그 조제 방법도 상기 제 1 양태과 동일하다.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한 의약품의 투여량은 과민성 장증후군 개선용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는 1000 ∼ 70000㎎/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20000㎎/일이다. 단, 개체차이 (증상의 종류, 정도, 연령 등) 가 있기 때문에, 본 양태에 있어서의 투여량은 이러한 범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양태의 원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개별적으로 구체적으로 투여량을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본 양태의 식품에 있어서의 상기 조성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섭취의 용이성 및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 이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조성물, 의약품 또는 식품을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양태는 또한 상기 조성물, 의약품 또는 식품을 사용하여 과민성 장증후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1
BALB/c 계 마우스 (4 주령, 수컷) 를 사용하고, 1 주간, 통상의 옥수수 녹말 (이하, 단지 CS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을 탄수화물원으로 하는 표준 사료로 예비 사육하고, 이상이 없는 개체를 선별하고, 1 군 10 마리로 하여 실험에 제공하였다. 또한, 시험 소재로서 갈락토만난 (이하, 단지 SF 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은 선파이버 (타이요 화학사 제조), 아라비노갈락탄 (이하, 단지 AG 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은 아라비노갈락탄 LF (타이요 화학사 제조) 를 사용했다. 상기 래트에 8%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 (DSS) 용액을 부여하여 대장염을 유발했다. 또, 무처리군에는 DSS 대신에 생리 식염수만을 투여했다.
DSS 투여 다음날부터 시험 사료에 5 중량% 또는 10 중량% 의 각 소재를 첨가한 시험 사료를 물과 함께 2 주간 자유 섭취시켰다. 또, 무처리군에는 표준 사료를 주었다. 표준 사료와 시험 사료의 조성에 대해서는 표 1 에 나타냈다. 표 1 에 있어서의 「%」 는 모두 「중량%」 를 나타낸다.
표준사료(CS) 5%시험사료 (5%SF) 10%시험사료 (10%SF) 5%시험사료 (5%AG) 10%시험사료 (10%AG) 10%시험사료 (5%SF+5%AG)
옥수수녹말(CS)(g) 65.5 60.5 55.5 60.5 55.5 55.5
갈락토만난(SF)(g) - 5 10 - - 5
아라비노갈락탄(AG)(g) - - - 5 10 5
카세인(g) 25 25 25 25 25 25
옥수수 기름(g) 5 5 5 5 5 5
비타민 혼합물(g) 1 1 1 1 1 1
미네랄혼합물(g) 3.5 3.5 3.5 3.5 3.5 3.5
각 검체를 DSS 투여 1 주일 후에 도살하고, 각각의 검체에 대해 Disease activity index (체중의 감소 : 0-4, 변의 딱딱함 : 0, 2, 4, 직장의 궤양 : 0, 2, 4), 염증의 지표가 되는 대장 조직 중의 전체 미엘로퍼옥시다제 (MPO) 활성량, 및 TNF-α 활성을 조사했다.
(1) 도 1 (Disease activity index)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 사료군에 있어서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p < 0.05).
(2) 염증 마커인 전체 대장 조직 중의 MPO 활성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SS 무처리군을 제외하고, 모든 10 중량% 시험 사료군과 SF + AG 시험 사료군에서 낮은 값 (DSS 군에 대해 약 50% 의 감소, p < 0.05) 을 나타냈다. 또, 모든 5 중량% 시험 사료군에서 약 40% (p < 0.05) 의 활성 저하가 인정되었다.
(3) 염증 사이토카인인 TNF-α 활성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SS 무처리군을 제외하고, 모든 10 중량% 시험 사료군과 SF + AG 시험 사료군에서 낮은 값 (DSS 군에 대해 약 50% 의 감소, p < 0.05) 을 나타냈다. 또, 모든 5 중량% 시험 사료군에서 약 35% (p < 0.05) 의 활성 저하가 인정되었다.
이들 실험 결과로부터, 갈락토만난, 아라비노갈락탄은 염증성 장질환에 대해 조직학적 개선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염증의 억제 작용, 또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마커가 될 수 있는 MPO 활성, TNF-α 활성의 저감 작용도 갖는 것이 명확해졌다.
시험예 1-2
염증성 장질환의 환자 30 명에 대해서 SF 또는 AG 30g/일을 1 회 10g 으로 하여 연속 28 일간 경구 투여했다. 임상 증상 (설사, 점혈변 (혈액·점액·고름이 섞인 연변), 발열이나 체중 감소 등의 증상) 과 내시경 소견을 실시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SF AG
임상증상과 내시경 소견의 개선이 인정된 명수 26 25
임상증상과 내시경 소견의 개선이 인정되지 않은 명수 4 5
표 2 로부터, 갈락토만난 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의 섭취에 의해 염증성 장질환의 임상 증상과 내시경 소견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1-3
표 3 에 나타나는 조성을 가지며, 총 식물(食物) 섬유 정량법에 따라 얻어지는 난소화성 성분을 거의 동일하게 하여 2 종류의 비스킷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했다. 얻어진 비스킷을 10 명의 패널리스트를 대상으로 하여 관능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 항목은 색, 맛, 냄새, 식감의 4 항목으로 하고, 각 항목에 관해서 바람직한 쪽을 선택시켰다. 그 후, 2 점 기호 시험법의 검정표에 기초하여 검정을 실시했다. 또, 식물 섬유 (이하, 단지 DF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함유량은 일본 식물 섬유 성분표 (과학 기술청 자원 조사회 편) 로부터 산출했다.
대조구 DF함유량(g) 시험구(g) DF함유량(g)
소액 밀기울(g) 26 13(50%) - -
박력분(g) 124 3.35(2.7%) 119 3.1(2.6%)
SF(g) - - 15 13.3(88.7%)
버터(g) 40 - 40 -
설탕(g) 75 - 75 -
전란(g) 50 - 50 -
우유(g) 10 - 10 -
합계(g) 335 16.35(4.88%) 309 16.3(5.28%)
얻어진 시험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냄새, 맛, 식감 모두 갈락토만난을 함유한 비스킷과 대조구에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시험항목 대조구 시험구
5 5
냄새 5 5
5 5
식감 5 5
실시예 1-1
갈락토만난 5g 에 슈가파우더 93.5g, 아라비아검 1.0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g, 향료를 적당량의 비율로 혼련하여 건조시킨 후 타정하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정과 (錠菓) 제품 100g 을 얻었다.
실시예 1-2
갈락토만난 분말 5g 에 저지방 우유 95.0g 을 첨가하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유음료 제품 100g 을 얻었다.
실시예 1-3
갈락토만난 분말 3.0g 에 복숭아 퓨레 40.0g, 과당 포도당 액당 10.0g, 시트르산 0.1g, 비타민C 0.03g, 프레이버 적당량, 물 46.8g 을 첨가하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청량 음료수의 제품 100g 을 얻었다.
실시예 1-4
갈락토만난 분말 5.0g 에 강력분 51.0g, 설탕 15.0g, 식염 7.0g, 이스트 8.0g, 이스트 1.0g, 버터 10.0g, 물 30.0g 의 배합으로 제빵기를 이용하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식빵 제품 110g 을 얻었다.
실시예 1-5
갈락토만난 분말 4.0g 에 그래뉼당 30.0g, 물엿 35.0g, 펙틴 1.0g, 1/5 애플 과즙 2.0g, 물 28.0g 으로 혼합하여 85℃ 까지 가열한 후, 50℃ 까지 냉각시켜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젤리 제품 100g 을 얻었다.
실시예 1-6
아라비노갈락탄 분말 4.0g 에 그래뉼당 30.0g, 물엿 35.0g, 펙틴 1.0g, 1/5 애플 과즙 2.0g, 물 28.0g 으로 혼합하여 85℃ 까지 가열한 후, 50℃ 까지 냉각시켜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젤리 제품 100g 을 얻었다.
실시예 1-7
갈락토만난 분말 2.0g 과 아라비노갈락탄 분말 2.0g 에 그래뉼당 30.0g, 물엿 35.0g, 펙틴 1.0g, 1/5 애플 과즙 2.0g, 물 28.0g 으로 혼합하여 85℃ 까지 가열한 후, 50℃ 까지 냉각시켜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치료에 유용한 젤리 제품 100g 을 얻었다.
실시예 2-1
배합 1 의 각 성분을 믹서에 넣어 혼합 교반하고, 호모게나이저 (조건 : 300㎏/㎠) 로 균질화하고,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캔에 충전하고, 살균 (조건 : 120℃, 10 ∼ 30 분) 함으로써 유동 식품을 얻었다. 그 0.5 (w/v)% 수용액의 점도를 B 형 점도계 (도키 산업사 제조) 를 이용하여 25℃ 에서 측정한 결과, 점도는 12mPa·s 이었다.
<배합1> 중량(g)
대두 단백질(상품명:닛카밀키 닛카유지사 제조) 20
덱스트린 10
갈락토만난(상품명: 선파이버 타이요화학사 제조) 5
젖산 칼슘 0.3
염화 마그네슘 0.1
비타민 믹스 0.02
난황 레시틴 1
잔량
합계 100.0
비교예 2-1
실시예 2-1 에 있어서, 갈락토만난을 제외한 대두 단백질의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비교예 2-2
실시예 2-1 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과 갈락토만난을 제외한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시험예 2-1
궤양성 대장염 환자 10 명, 클론병 환자 10 명 및 베체트병 환자 10 명에게, 상기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 ∼ 2-2 에서 얻어진 유동 식품을 식후 1 일 3 회 (300mL/회), 3 개월간 먹였다. 3 개월 후의 증상을 염증성 장질환 연구의 국제 기관에 의한 활동도 평가 항목인 IOIB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의 어세스먼트 스코어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비교예 2-1 비교예 2-2
명수 평가 명수 평가 명수 평가
궤양성 대장염 현저한 효과 4 1 0 ×
유효 3 4 0
약간 유효 2 3 0
불변 1 2 10
클론병 현저한 효과 3 1 0 ×
유효 4 3 0
약간 유효 2 4 0
불변 1 2 10
장형 베체트병 현저한 효과 3 1 0 ×
유효 4 5 0
약간 유효 3 2 0
불변 0 1 10
평가 기준
◎ : 유효성이 현저하게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약간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2-2
배합 2 의 각 성분을 믹서에 넣어 혼합 교반하고, 호모게나이저 (조건 : 300㎏/㎠) 로 균질화하고,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캔에 충전하고, 살균 (조건 : 120℃, 10 ∼ 30 분) 함으로써 유동 식품을 얻었다. 그 0.5 (w/v)% 수용액의 점도를 B 형 점도계 (도키 산업사 제조) 를 이용하여 25℃ 에서 측정한 결과, 점도는 20mPa·s 이었다.
<배합2> 중량(g)
유즙 단백질(상품명:SMP 닛카유지사제조) 20
덱스트린 15
갈락토만난(상품명: 파이버론 다이닛폰제약사제조) 5
젖산 칼슘 0.3
염화 마그네슘 0.1
비타민 믹스 0.02
난황 레시틴 1
잔량
합계 100.0
비교예 2-4
실시예 2-2 에 있어서, 갈락토만난을 제외한 유즙 단백질의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비교예 2-5
실시예 2-2 에 있어서, 유즙 단백질과 갈락토만난을 제외한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시험예 2-2
궤양성 대장염 환자 10 명, 클론병 환자 10 명 및 베체트병 환자 10 명에게, 상기 실시예 2-2 및 비교예 2-4, 2-5 에서 얻어진 유동 식품을 시험예 2-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비교예 2-4 비교예 2-5
명수 평가 명수 평가 명수 평가
궤양성 대장염 현저한 효과 4 1 0 ×
유효 3 3 0
약간 유효 3 4 0
불변 0 2 10
클론병 현저한 효과 3 0 0 ×
유효 5 4 0
약간 유효 1 4 0
불변 1 2 10
장형 베체트병 현저한 효과 2 1 0 ×
유효 5 5 0
약간 유효 2 2 0
불변 1 1 10
평가 기준
◎ : 유효성이 현저하게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약간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2-3
배합 3 의 각 성분을 믹서에 넣어 혼합 교반하고, 호모게나이저 (조건 : 300㎏/㎠) 로 균질화하고,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캔에 충전하고, 살균 (조건 : 120℃, 10 ∼ 30 분) 함으로써 유동 식품을 얻었다. 그 0.5 (w/v)% 수용액의 점도를 B 형 점도계 (도키 산업사 제조) 를 이용하여 25℃ 에서 측정한 결과, 점도는 18mPa·s 이었다.
<배합3> 중량(g)
대두 단백질분해물(상품명:Amino1000 GNC제조) 20
덱스트린 15
아라비노갈락탄(상품명: 아라비노갈락탄LF 타이요화학사 제조) 5
젖산 칼슘 0.3
염화 마그네슘 0.1
비타민 믹스 0.02
난황 레시틴 1
잔량
합계 100.0
비교예 2-6
실시예 2-3 에 있어서, 아라비노갈락탄을 제외한 대두 단백질 분해물의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비교예 2-7
실시예 2-3 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 분해물과 아라비노갈락탄을 제외한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시험예 2-3
궤양성 대장염 환자 10 명, 클론병 환자 10 명 및 베체트병 환자 10 명에게, 상기 실시예 2-3 및 비교예 2-6, 2-7 에서 얻어진 유동 식품을 시험예 2-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비교예 2-6 비교예 2-7
명수 평가 명수 평가 명수 평가
궤양성 대장염 현저한 효과 4 1 0 ×
유효 3 4 0
약간 유효 1 3 0
불변 2 2 10
클론병 현저한 효과 3 1 0 ×
유효 4 3 0
약간 유효 1 4 0
불변 2 2 10
장형 베체트병 현저한 효과 2 1 0 ×
유효 5 5 0
약간 유효 1 2 0
불변 2 1 10
평가 기준
◎ : 유효성이 현저하게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약간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2-4
배합 4 의 각 성분을 믹서에 넣어 혼합 교반하고, 호모게나이저 (조건 : 300㎏/㎠) 로 균질화하고, 레토르트파우치 또는 캔에 충전하고, 살균 (조건 : 120℃, 10 ∼ 30 분) 함으로써 유동 식품을 얻었다. 그 0.5 (w/v)% 수용액의 점도를 B 형 점도계 (도키 산업사 제조) 를 이용하여 25℃ 에서 측정한 결과, 점도는 30mPa·s 이었다.
<배합4> 중량(g)
대두 단백질분해물(상품명:Amino1000 GNC제조) 20
덱스트린 10
아라비노갈락탄(상품명: 아라비노갈락탄LF 타이요화학사 제조) 5
갈락토만난(상품명: 선파이버 타이요화학사 제조) 5
젖산 칼슘 0.3
염화 마그네슘 0.1
비타민 믹스 0.02
난황 레시틴 1
잔량
합계 100.0
비교예 2-8
실시예 2-4 에 있어서, 갈락토만난과 아라비노갈락탄을 제외한 대두 단백질 분해물의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비교예 2-9
실시예 2-4 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 분해물과 갈락토만난과 아라비노갈락탄을 제외한 유동 식품을 조제했다.
시험예 2-4
궤양성 대장염 환자 10 명, 클론병 환자 10 명 및 베체트병 환자 10 명에게, 상기 실시예 2-4 및 비교예 2-8, 2-9 에서 얻어진 유동 식품을 시험예 2-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비교예 2-8 비교예 2-9
명수 평가 명수 평가 명수 평가
궤양성 대장염 현저한 효과 4 2 0 ×
유효 3 2 0
약간 유효 3 4 0
불변 0 2 10
클론병 현저한 효과 4 1 0 ×
유효 4 3 0
약간 유효 1 4 0
불변 1 2 10
장형 베체트병 현저한 효과 2 0 0 ×
유효 5 5 0
약간 유효 2 4 0
불변 1 1 10
평가 기준
◎ : 유효성이 현저하게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약간 인정된다.
× :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표 6, 표 8, 표 10 과 표 12 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2-1 ∼ 2-4 의 유동 식품은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및 장형 베체트병 환자에 대해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비교예 2-1, 2-3, 2-4, 2-6 및 2-8 의 유동 식품은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및 베체트병의 환자에 대해서는 유효성이 약간 인정될 뿐, 비교예 2-2, 2-5, 2-7 및 2-9 의 유동 식품은 어느 환자에 대해서도 유효성이 인정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본 시험에 있어서 부작용은 전혀 없었다.
실시예 3-1
물 900g 에 0.1N 염산을 첨가하여 pH 4.5 로 조정하고, 이것에 아스페르길루스속 세균 유래의 β-만나나아제 (노보놀디스크바이오인더스트리사 제조) 0.2g 과 구아검 분말 (타이요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G-1, 고그레이드품) 100g 을 첨가, 혼합하고, 40 ∼ 45℃ 에서 24 시간에 걸쳐 구아검의 효소 분해를 실시했다. 반응 후, 90℃ 에서 15 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여과 분리 (흡인 여과) 하고, 불용물을 제거하여 얻어진 투명한 용액을 감압 농축 (Yamato 사 제조 증발기) 한 후 (고형분량 : 20 중량%), 분무 건조 장치 (오카와라 화공기사 제조) 에 의해 건조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 (갈락토만난 분해물 함유량 : 100 중량%) 을 분말로서 65g 얻었다.
상기 조성물을 물에 용해시켜 얻은 0.5 (w/v)% 농도의 수용액의 점도를 B 형 점도계 (도키 산업사 제조) 로 25℃ 에서 측정한 결과, 2mPa·s 이었다. 또, 당해 수용액을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 2,000, 20,000 및 200,000) 을 분자량 마커로 하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YMC 사 제조 칼럼 : YMC-Pack Diol-120) 에 제공하여 평균 분자량을 구한 결과, 약 20,000 이었다.
실시예 3-2
물 900g 에 0.1N 염산을 첨가하여 pH 3 으로 조정하고, 이것에 아스페르길루스속 세균 유래의 β-만나나아제 (노보놀디스크바이오인더스트리사 제조) 0.15g 과 구아검 분말 (타이요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G-2, 중그레이드품) 100g 을 첨가, 혼합하고, 40 ∼ 45℃ 에서 24 시간에 걸쳐 구아검의 효소 분해를 실시했다. 반응 후, 90℃ 에서 15 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여과 분리 (흡인 여과) 하고, 불용물을 제거하여 얻어진 투명한 용액을 감압 농축 (Yamato 사 제조 증발기) 한 후 (고형분량 : 20 중량%), 분무 건조 장치 (오카와라 화공기사 제조) 에 의해 건조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 (갈락토만난 분해물 함유량 : 100 중량%) 을 분말로서 68g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점도를 측정한 결과, 3mPa·s 이었다. 또, 평균 분자량을 구한 결과, 약 25,000 이었다.
실시예 3-3
물 900g 에 0.1N 염산을 첨가하여 pH 4 로 조정하고, 이것에 아스페르길루스속 세균 유래의 β-만나나아제 (노보놀디스크바이오인더스트리사 제조) 0.25g 과 구아검 분말 (타이요 화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G-3, 저그레이드품) 100g 을 첨가, 혼합하고, 50 ∼ 55℃ 에서 12 시간에 걸쳐 구아검의 효소 분해를 실시했다. 반응 후, 90℃ 에서 15 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여과 분리 (흡인 여과) 하고, 불용물을 제거하여 얻어진 투명한 용액을 감압 농축 (Yamato 사 제조 증발기) 한 후 (고형분량 : 20 중량%), 덱스트린을 고형분의 1/4 에 해당하는 중량으로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분무 건조 장치 (오카와라 화공기사 제조) 에 의해 건조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 (갈락토만난 분해물 함유량 : 75 중량%) 을 분말로서 80g 얻었다.
덱스트린을 첨가하기 전의 갈락토만난 분해물에 대하여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점도를 측정한 결과, 1mPa·s 이었다. 또, 평균 분자량을 구한 결과, 약 15,000 이었다.
시험예 3-1
과민성 장증후군 (설사형) 환자 90 명을 30 명씩 3 군으로 나눴다. 제 1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5g/일로, 제 2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10g/일로, 제 3 군에는 소맥 밀기울 5g/일로 각각 12 주간 경구 투여했다. 투여 종료 후에 증상의 개선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3 에 나타낸다.
개선율
제 1 군 80%
제 2 군 83%
제 3 군 2%
※개선율=증상이 인정된 명수/30×100
표 13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과민성 장증후군 (설사형) 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3-2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형) 환자 90 명을 30 명씩 3 군으로 나눴다. 제 1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5g/일로, 제 2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10g/일로, 제 3 군에는 소맥 밀기울 5g/일로 각각 12 주간 경구 투여했다. 투여 종료 후에 증상의 개선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낸다.
개선율
제 1 군 83%
제 2 군 90%
제 3 군 3%
※개선율=증상이 인정된 명수/30×100
표 14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형) 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3-3
과민성 장증후군 (교체형) 환자 90 명을 30 명씩 3 군으로 나눴다. 제 1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5g/일로, 제 2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10g/일로, 제 3 군에는 소맥 밀기울 5g/일로 각각 12 주간 경구 투여했다. 투여 종료 후에 증상의 개선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5 에 나타낸다.
개선율
제 1 군 80%
제 2 군 83%
제 3 군 3%
※개선율=증상이 인정된 명수/30×100
표 15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과민성 장증후군 (교체형) 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시험예 3-4
과민성 장증후군을 발증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 (하복부통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환자) 90 명을 30 명씩 3 군으로 나눴다. 제 1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5g/일로, 제 2 군에는 실시예 3-1 에서 조제한 조성물을 10g/일로, 제 3 군에는 소맥 밀기울 5g/일로 각각 12 주간 경구 투여했다. 투여 종료 후에 증상의 개선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6 에 나타낸다.
개선율
제 1 군 90%
제 2 군 97%
제 3 군 2%
※개선율=증상이 인정된 명수/30×100
표 16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하복부통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처방예 3-1 정과
슈가파우더 93.5 중량%
아라비아검 1.0 중량%
스테아르산 0.5 중량%
향료 적당량
갈락토만난 (선파이버, 타이요 화학사 제조) 5.0 중량%
처방예 3-2 커스터드 푸딩
전란(全卵) 20.0 중량%
우유 70.0 중량%
설탕 8.0 중량%
바닐라 프레이버 적당량
브랜디 적당량
갈락토만난 (선파이버, 타이요 화학사 제조) 2.0 중량%
처방예 3-3 우동
강력분 40g
박력분 152g
갈락토만난 (선파이버, 타이요 화학사 제조) 8g
식염 4g
물 68g
처방예 3-4 프렌치 드레싱
식물유 35.0 중량%
설탕 9 중량%
갈락토만난 (선파이버, 타이요 화학사 제조) 5 중량%
식용 식초 16.0 중량%
식염 4 중량%
머스터드 1.2 중량%
조미료 적당량
잔탄검 0.3 중량%
물 5 중량%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명백하게 장질환, 특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고 있고, 이것을 다른 식품 재료에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여러 가지 형태의 식품으로 먹음으로써, 염증성 장질환, 특히 만성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 갈락토만난 및 아라비노갈락탄은 색, 냄새, 맛, 식감이 좋기 때문에, 이것을 배합한 식품은 통상의 식품과 동일하게 섭취할 수 있고, 다량 또는 장기간에 걸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의 병용에 의해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유동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갈락토만난을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질환이 염증성 장질환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갈락토만난으로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또는 의약품.
  5. 단백질과 갈락토만난 및/또는 아라비노갈락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유동 식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장질환이 염증성 장질환인 유동 식품.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대두 단백질, 유즙 단백질, 난황 단백질, 난백 단백질, 소맥 단백질, 및 이들 분해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단백질인 유동 식품.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갈락토만난으로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유동 식품.
  9. 갈락토만난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갈락토만난으로서 갈락토만난 분해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의약품 또는 식품.
KR1020067013925A 2003-12-12 2004-08-26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0601278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5496 2003-12-12
JPJP-P-2003-00415496 2003-12-12
JP2003415502 2003-12-12
JPJP-P-2003-00415502 2003-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874A true KR20060127874A (ko) 2006-12-13

Family

ID=3468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925A KR20060127874A (ko) 2003-12-12 2004-08-26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48351B2 (ko)
EP (1) EP1695713A4 (ko)
JP (1) JP4956002B2 (ko)
KR (1) KR20060127874A (ko)
CN (1) CN1889964B (ko)
AU (1) AU2004296647B2 (ko)
CA (1) CA2548379C (ko)
TW (1) TW200518761A (ko)
WO (1) WO2005056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9970B2 (ja) * 2005-07-20 2012-03-07 太陽化学株式会社 高リン血症用製剤
DK2230940T3 (da) 2007-12-05 2014-11-10 Nutricia Nv Flydende enteral højenergiernæringssammensætning
WO2009113845A1 (en) * 2008-03-12 2009-09-17 N.V. Nutricia High protein liquid enteral nutritional composition
JP5707016B2 (ja) * 2008-03-07 2015-04-22 太陽化学株式会社 総合栄養流動食
US20110027412A1 (en) * 2009-07-31 2011-02-03 Kris Eugene Spen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Gastrointestinal and/or Cardiovascular Health
BE1018740A3 (nl) * 2010-08-10 2011-07-05 Oystershell Nv Samenstelling voor de behandeling van vochtige epitheliale oppervlakken.
CN102028138B (zh) * 2010-11-02 2013-01-23 北京同仁堂健康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通便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5120647A (ja) * 2013-12-20 2015-07-02 太陽化学株式会社 創傷治癒促進剤
BR112018073155A2 (pt) * 2016-05-11 2019-03-1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étodo para tratar doença autoimune e/ou inflamatória, e pacote de dieta
CN108743732A (zh) * 2018-08-09 2018-11-06 简能茶业开发有限公司 用于防治炎症性肠病的含植物成分混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304821L (sv) 1983-09-08 1985-03-09 Bio Carb Ab Arabinogalaktaner, deras framstellning och kompositioner innehallande desamma
ATE120930T1 (de) * 1990-10-24 1995-04-15 Sandoz Nutrition Ltd Vollwertnahrung aus hydrolysierten löslichen faserstoffen.
JP3441756B2 (ja) 1993-02-05 2003-09-02 太陽化学株式会社 機能性粉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801658B2 (ja) 1993-03-02 2006-07-26 太陽化学株式会社 β−グルクロニダーゼ活性抑制組成物
IL108583A (en) * 1994-02-07 1997-06-10 Yissum Res Dev Co Galactomannan emulsions and comestible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US5614501A (en) * 1994-07-21 1997-03-25 The University Of Montan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imal husbandry and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6048563A (en) * 1994-12-21 2000-04-11 Rhodia Inc. Reduced viscosity, low ash modified gua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063402A (en) 1995-06-07 2000-05-16 Venture Lending, A Division Of Cupertino National Bank Purified galactomannan as an improved pharmaceutical excipient
ES2254303T5 (es) 1996-08-09 2009-12-09 Mannatech, Inc. Composiciones de carbohidratos de vegetales como complementos dieteticos.
US6929807B1 (en) * 1996-08-09 2005-08-16 Mannatech, Inc. Compositions of plant carbohydrates as dietary supplements
WO1998039980A1 (en) 1997-03-13 1998-09-17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formula containing hydrolyzed protein and a fiber blend
KR20000011247A (ko) 1998-07-23 2000-02-25 김윤 다당류를이용한대장선택성약물전달조성물및약학제제
NL1010770C2 (nl) 1998-12-09 2000-06-13 Nutricia Nv Preparaat dat oligosacchariden en probiotica bevat.
JP3413134B2 (ja) * 1998-12-18 2003-06-03 花王株式会社 食物繊維摂取用組成物
NL1011680C2 (nl) 1999-03-26 2000-09-27 Nutricia Nv Voedingssamenstellen die licht negatief geladen, niet-verteerbare polysacchariden bevatten en gebruik ervan voor het verminderen van transport door tight junctions.
NL1013175C2 (nl) * 1999-09-29 2001-03-30 Nutricia Nv Voedingssamenstellingen die niet-verteerbare polysacchariden bevatten en gebruik ervan voor het verminderen van transport door tight junctions.
DE19961182B4 (de) 1999-12-18 2006-01-12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Galactomannan-Oligosaccharid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US6248390B1 (en) 2000-02-22 2001-06-19 Suzanne Jaffe Stillman Fiber-water—water containing soluble fiber
JP2001292722A (ja) 2000-04-10 2001-10-23 Taiyo Kagaku Co Ltd 甘味料の呈味改善組成物
EP1175905A1 (en) * 2000-07-24 2002-01-3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Nutritional Composition
JP2002154977A (ja) * 2000-09-05 2002-05-28 Kao Corp 飲食用組成物
US6991812B2 (en) 2000-09-05 2006-01-31 Kao Corporation Agen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hypertension
US6706295B2 (en) * 2000-09-29 2004-03-16 The Procter & Gamble Co. Compositions comprising arabinogalactan and a defined protein component
US20020110632A1 (en) * 2000-09-29 2002-08-15 The Procter & Gamble Co. Beverage compositions comprising arabinogalactan and defined vitamins
JP4276794B2 (ja) 2001-01-29 2009-06-10 太陽化学株式会社 ハーブの呈味改善組成物
WO2002076474A1 (en) 2001-03-27 2002-10-03 Pro-Pharmaceuticals, Inc. Co-administration of a polysaccharide with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JP2003289830A (ja) 2002-04-02 2003-10-14 Asahi Kasei Corp 濃厚流動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34045A (ja) 2002-05-17 2003-11-25 Taiyo Kagaku Co Ltd 野菜ジュースの後味改良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6022A1 (ja) 2005-06-23
US8148351B2 (en) 2012-04-03
JPWO2005056022A1 (ja) 2007-07-05
AU2004296647A1 (en) 2005-06-23
EP1695713A4 (en) 2009-06-24
TWI362266B (ko) 2012-04-21
TW200518761A (en) 2005-06-16
CA2548379C (en) 2012-03-13
EP1695713A1 (en) 2006-08-30
AU2004296647B2 (en) 2011-06-02
CN1889964B (zh) 2011-06-08
JP4956002B2 (ja) 2012-06-20
CA2548379A1 (en) 2005-06-23
US20070104760A1 (en) 2007-05-10
CN1889964A (zh)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6990C (en) Nutritional composition
CN104812254B (zh) 用于治疗营养物或药剂的胃肠副作用的膳食纤维
ES2356536B1 (es) Una composición de uso como prebiótico que contiene un extracto de granada y un alimento que incluye dicha composición.
CA2559755C (en)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for treating digestive system-related disorders
JP2006508057A (ja) 非グルコース性炭水化物またはペクチンおよび可溶性線維を含む栄養組成物
KR20060127874A (ko) 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JP4286254B2 (ja) グリセミック指数低減用組成物及び食品
JP4383165B2 (ja) 細菌過剰増殖を防止する栄養組成物
CN101410101A (zh) 抗脂肪沉积用组合物
JPH07194316A (ja) 水溶性キトサンを含有するカルシウム吸収促進性組成物およびカルシウム吸収促進用添加剤
JP2022111399A (ja) ユビキチンリガーゼ阻害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しガンによって誘導されたカヘキシアを改善するため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20060024766A (ko) 혈중 저분자량질소함유화합물의 농도를 저감시키는질병개선용식품
WO2023176950A1 (ja) 腸管内での細菌の増殖制御用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3634721B2 (ja) 高脂血症の予防又は治療剤
JP4889970B2 (ja) 高リン血症用製剤
JP2008120771A (ja) 便秘改善剤
JP7428991B2 (ja) 糖の吸収抑制用剤
JP2007230998A (ja) 経口性抗炎症剤
EP3431093A1 (en) Wheat-derived polysaccharides for reduc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JP2003339352A (ja) 抗炎症性及び化学予防的組成物
WO2023175167A1 (en) Nutritional composition for cancer
WO2005072750A1 (ja) 食事性脂質吸収阻害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01

Effective date: 201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