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5068B1 - 고주파 신호 선로 - Google Patents

고주파 신호 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68B1
KR101405068B1 KR1020127016578A KR20127016578A KR101405068B1 KR 101405068 B1 KR101405068 B1 KR 101405068B1 KR 1020127016578 A KR1020127016578 A KR 1020127016578A KR 20127016578 A KR20127016578 A KR 20127016578A KR 101405068 B1 KR101405068 B1 KR 10140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ground conductor
bridge portion
dielectric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728A (ko
Inventor
노보루 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10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3Coplanar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27Electromagnetic interstage coupling
    • H01P1/20354Non-comb or non-interdigital filters
    • H01P1/20363Linear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5Triplate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2Structural details of individual signal conductors, e.g. related to the skin effe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5Impedance arrangements, e.g. impedance matching, reduction of parasitic impedance
    • H05K1/0253Impedance adaptations of transmission lines by special lay-out of power planes, e.g. provid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H05K1/0221Coaxially shielded signal lines comprising a continuous shielding layer partially or wholly surrounding the signa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24Patterned shielding plane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s
    • H05K1/0225Single or multiple openings in a shielding, ground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618Via fence, i.e. one-dimensional array of vi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9Apertur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27Varying width along a single conductor; Conductors or pads having different wid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해 이용할 수 있고,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고, 신호선내에서의 신호의 반사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고주파 신호 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전체 소체(12)는 가요성을 가지는 유전체층(18)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신호선(20)은 유전체 소체(12)에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22)는 유전체 소체(12)에 형성되고, 또, 유전체층(18)을 개재하여 신호선(20)과 대향해 있고, 복수의 개구(30)와 브릿지부(60)가 교대로 신호선(20)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브릿지부(60) 사이에서, 한쪽의 브릿지부(60)로부터 다른 쪽의 브릿지부(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Z2), 중간값(Z3), 최대값(Z1)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Z1), 중간값(Z3), 최소값(Z2)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신호 선로{HIGH-FREQUENCY SIGNAL LINE}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 선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만곡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박형의 고주파 신호 선로에 관한 것이다.
신호선이 그라운드 도체에 의해서 상하로부터 끼워져서 이루어지는 트리플레이트형의 스트립 라인 구조를 가지는 고주파 신호 선로에서는, 신호선의 고주파 저항값을 작게 하기 위해서, 신호선의 선폭을 넓게 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신호선의 표면적이 커지고, 또, 신호선과 대향하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의 면적이 커지므로 신호선의 고주파에서의 저항값이 작아진다.
그러나, 신호선의 선폭을 넓게 하면,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가 대향하는 면적이 커지고,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커진다. 또, 신호선의 선폭을 넓게 하면 신호선의 인덕턴스 성분도 작아지므로, 고주파 신호 선로를 소정의 임피던스(예를 들면 50Ω)로 하기 위해서는,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와의 거리를 크게 하여, 정전 용량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와의 거리를 크게 하면, 고주파 신호 선로의 두께가 커져서, 고주파 신호 선로를 만곡해 이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를 대향시키지 않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a)는 신호선(502)이 그라운드 도체(504)로부터 노출된 고주파 신호 선로(500)를 적층 방향에서 평면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고주파 신호 선로(500)의 단면 구조도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50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502) 및 그라운드 도체(504, 506)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선(502)은 선형상의 도체이다. 그라운드 도체(506)는 신호선(502)보다 적층 방향의 하측에 형성되고,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신호선(502)과 대향하고 있다. 그라운드 도체(504)는 신호선보다 적층 방향의 상측에 형성되고, 개구를 가지고 있다. 신호선(502)은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개구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고주파 신호 선로(500)에서는, 적층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신호선(502)과 그라운드 도체(504)가 포개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고주파 신호 선로(500)에서 신호선(502)과 그라운드 도체(504)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은,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가 포개져 있는 고주파 신호 선로에서 신호선과 그라운드 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보다 작아진다. 이에 의해, 고주파 신호 선로(500)에서는, 신호선(502)과 그라운드 도체(504)와의 거리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고주파 신호 선로(500)에서는, 고주파 신호 선로(500)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고주파 신호 선로(500)를 만곡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고주파 신호 선로(500)는 신호선(502)으로부터의 불요복사(不要輻射, spurious radiation)가 발생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신호선(502)은 그라운드 도체(504)와 포개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신호선(502)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기는 전자계는, 개구로부터 고주파 신호 선로(500) 밖으로 방사되어 불요복사가 발생한다. 또, 신호 전류의 일부가 불요복사로서 누출해 버리므로, 고주파 신호 선로(500)에서의 신호 전류의 삽입 손실이 증대한다는 문제도 가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주파 신호 선로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렉서블 기판이 알려져 있다. 도 17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렉서블 기판(600)을 적층 방향에서 평면시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기판(600)은 신호 선로(602) 및 그라운드층(604)을 구비하고 있다. 신호 선로(602)는 선형상의 도체이다. 그라운드층(604)은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신호 선로(602)의 적층 방향의 상측에 적층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신호 선로(602)의 적층 방향의 하측에는 그라운드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기판(600)에서는, 그라운드층(604)에는 복수의 개구(60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06)의 평면 형상은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신호 선로(602)상에서, 신호 선로(602)의 연설 방향으로 일렬에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신호 선로(602)는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일부에서 그라운드층(604)과 포개지게 된다. 그 결과, 플렉서블 기판(600)에서는, 그라운드 도체(604)의 개구되지 않는 부분과 신호 선로(602)가 포개짐으로써, 신호 선로(602)로부터의 불요복사가 저감된다.
특허 문헌 1 : 특허공개 2007-123740호 공보
그러나, 플렉서블 기판(600)은 플렉서블 특성을 유지하면서, 신호 선로(602) 전체의 특성 임피던스를 설계하면서, 불요복사를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 선로(602)에서는, 신호 선로(602)의 연설 방향을 따라서, 그라운드층(604)과 포개져 있는 부분(이하, 브릿지부(607)라고 한다)과, 개구(606)와 포개져 있는 부분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신호 선로(602)로부터의 불요복사를 저감하려면, 개구(606)가 신호 선로(602)와 포개지는 부분의 길이(X1) 및 개구(606)의 폭(Y)의 크기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길이(X1) 및 폭(Y)을 작게 하면, 이 부분의 특성 임피던스가 너무 작아져서, 선로 전체로서의 특성 임피던스도 작아져 버린다. 그래서 이번에는 개구(606)와 포개져 있는 부분의 길이(X1)를 크게 하고, 브릿지부(607)의 길이(X2)를 작게 하면, 특성 임피던스는 커지지만, 개구부로부터의 불요복사가 증가해 버린다. 또, 신호 선로(602)의 폭(Y)만을 크게 했다고 하더라도, 신호 선로(602)의 적층 방향의 하측에는 그라운드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특성 임피던스가 너무 작아져 버리기 때문에, 플렉서블 기판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고주파 신호 선로에서는, 길이(X1), 길이(X2) 및 폭(Y)을 동시에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에 따라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의 취득과 불요복사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공업적인 설계 방법으로는, 적층 방향의 축적의 차이에 의해 개구(606)가 신호 선로(602)와 포개지지 않는 폭(Y)(예를 들면 폭(Y)=신호 선로폭+200㎛)을 결정한 후에 길이(X1), 길이(X2)를 결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길이(X2)는 공업적인 세선 가공 기술의 한계(예를 들면 길이(X2)=200㎛)가 있으므로,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를 얻기 위한 길이(X1)의 최소값은 스스로 결정되어 버린다. 이 길이(X1)의 최소값이 신호 선로를 전송하는 고주파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파장에 대응하고 있어, 길이(X1)의 최소값이 크면 전송 특성이 악화된다. 반대로, 길이(X2)를 결정하고 나서 길이(X1) 및 폭(Y)을 설계하면, 개구(606)의 형상이 길이(X1)>길이(X2), 또 폭(Y)이 예를 들면 1mm정도의 개구(606)가 되어, 개구(606)의 대각선의 길이가 불요복사의 주파수 특성이나 신호 선로의 전송 손실의 주파수 특성을 결정하게 된다.
또, 그라운드층(604)에서는, 브릿지부의 폭(X2)이 예를 들면 100㎛로 작고, 게다가 이 부분의 폭(Y)이 상기와 같이 1mm이면, 브릿지부에는 인덕턴스 성분이 발생한다. 신호 선로(602)와 그라운드층(604)을 가능한 한 근접시켜서, 플렉서블성이 높은 고주파 신호 선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브릿지부의 길이(X2)는, 예를 들면, 100㎛→50㎛→30㎛와 같이, 그 길이를 좁게 하는 편이, 신호 선로(602)와 그라운드층(604) 사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길이를 좁게 함으로써 브릿지부(X2)에 발생하는 인덕턴스 성분은 커지기 때문에, 그라운드층(604)의 그라운드 전위가 떠 버린다. 즉, 브릿지부(X2)와 신호 선로(602)의 포개진 부분과, 그라운드층(604)의 베타부까지의 사이에 불요 인덕턴스 성분이 발생해 버려, 그라운드층(604)의 그라운드 효과가 저하해 버리고, 그 결과, 불요복사가 증가해 버리거나, 브릿지부(X2)에 그라운드 전류가 집중하는 것에 의한 손실이 커져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브릿지부(X2)가 홀쪽한 전극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브릿지부(X2)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서 신호 선로(602)와 브릿지부(X2)가 전자(電磁) 결합함으로써 발생한 브릿지부(X2)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생기는 불요 인덕턴스 성분이 발생하는 문제와, 이 불요 인덕턴스 성분과 신호 선로(60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인덕턴스 성분이 자계 결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상호 임피던스에 의해서 브릿지부(X2)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이 더욱 커져 버린다는 문제의, 두 가지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고, 또, 고주파에서의 전송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박형의 고주파 신호 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는,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신호 선로에 의하면, 박형임에도 불구하고,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에서의 고주파 신호의 전송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고주파 신호 선로를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주파 신호 선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고주파 신호 선로의 일부를 발췌했을 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6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신호선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제3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9는 제4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제5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제6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제7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고주파 신호 선로를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8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고주파 신호 선로를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도 16(a)는 신호선이 그라운드 도체로부터 노출된 고주파 신호 선로를 적층 방향에서 평면시한 도면이고, 도 16(b)는 고주파 신호 선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7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플렉서블 기판을 적층 방향에서 평면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고주파 신호 선로의 구성)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분해도이다. 도 3은 고주파 신호 선로(10)를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일부를 발췌했을 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적층 방향을 z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길이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x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고주파 신호 선로(1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전자 기기내에서, 2개의 고주파 회로를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고주파 신호 선로(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 보호재(14), 외부 단자(16(16a~16d)), 신호선(20), 그라운드 도체(22, 24), 접속 도체(26(26a, 26b)), 비어 홀 도체(b1~b6, B1, B2)를 구비하고 있다.
유전체 소체(12)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유전체 시트(유전체층)(18(18a~18c))가 z축 방향의 정방향측에서부터 부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시트(18)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폴리이미드나 액정 폴리머 등의 가요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 시트(18a)의 두께(T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b)의 두께(T2)보다 얇다. 예를 들면, 유전체 시트(18a~18c)의 적층 후에, 두께(T1)는 10~1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T1)는 50㎛이다. 또, 두께(T2)는 50~3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께(T2)는 150㎛이다. 이하에서는, 유전체 시트(18)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을 표면이라고 칭하고, 유전체 시트(18)의 z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주면을 이면이라고 칭한다.
외부 단자(16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에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즉, 외부 단자(16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6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에서,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즉, 외부 단자(16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6c)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에서,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즉, 외부 단자(16c)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6c)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단자(16b)보다 x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6d)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에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즉, 외부 단자(16d)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6d)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단자(16a)보다 x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단자(16a~16d)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또, 외부 단자(16; 16a~16d) 중 어느 하나는 유전체 소체(12)의 z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주면(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외부 접속을 얻고 싶은 주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접속 도체(26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b)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에서,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접속 도체(26a)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외부 단자(16c)와 포개져 있다. 접속 도체(26a)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접속 도체(26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b)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주면에서,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접속 도체(26b)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외부 단자(16d)와 포개져 있다. 접속 도체(26b)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신호선(2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도체이며, 유전체 시트(18b)의 표면을 x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단, 신호선(20)은 접속 도체(26a, 26b)와 접촉하지 않도록, 접속 도체(26a, 26b)를 우회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선(20)의 양단은 각각,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외부 단자(16a, 16b)와 포개져 있다. 신호선(20)의 선폭은 예를 들면 100~5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선(20)의 선폭은 240㎛이다. 신호선(20)은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그라운드 도체(22; 제1의 그라운드 도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내에서 신호선(20)보다 z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형성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22)는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유전체 시트(18a)를 개재하여 신호선(20)과 대향하고 있다. 또, 그라운드 도체(22)는 외부 단자(16c, 16d)와 접속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22)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또, 그라운드 도체(22)는, 도체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개구(30)와 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인 복수의 브릿지부(60)가 교대로 신호선(20)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개구(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신호선(20)과 포개져 있고, 신호선(20)에 관해서 선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신호선(20)은 개구(30)의 y축 방향의 중앙을 횡단하고 있다.
또한, 신호선(20)이 연재되어 있는 방향(x축 방향)에서의 개구(30)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A)으로서, 신호선(20)에 직교하는(즉,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A)에 관해서, 선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x축 방향에서의 개구(30)의 중앙을 포함하는 영역을 영역(A1)이라고 정의한다. 또, 브릿지부(60)에 대응하는 영역을 영역(A2)이라고 정의한다. 또, 영역(A1)과 영역(A2)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을 영역(A3)이라고 칭한다. 영역(A3)은, 영역(A1)의 x축 방향의 양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역(A1)과 영역(A2)의 각각에 인접하고 있다. 영역(A2)의 x축 방향의 길이(즉 브릿지부(60)의 길이)는 예를 들면, 25~2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A2)의 x축 방향의 길이는 100㎛이다.
직선(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 방향에서의 영역(A1)의 중앙을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영역(A1)에서의 개구(30)의 신호선(20)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의 폭(W1)은, 영역(A3)에서의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W2)보다 넓다. 즉, 개구(30)는 x축 방향에서의 개구(30)의 중앙 부근에서, 개구(30)의 그 이외의 부분보다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서, 직선(A)에 관해서 선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개구(30)에서, y축 방향의 폭이 폭(W1)이 되어 있는 영역이 영역(A1)이고,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이 되어 있는 영역이 영역(A3)이다. 따라서, 개구(30)의 영역(A1, A3)의 경계에는 단차가 존재하고 있다. 폭(W1)은 예를 들면, 500~15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W1)은 900㎛이다. 또, 폭(W2)은 예를 들면, 250~75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W2)은 480㎛이다.
또, 개구(30)의 x축 방향의 길이(G1)는 예를 들면, 1~5mm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G1)는 3mm이다. 여기에서, 길이(G1)는 개구(30)에서의 최대폭인 폭(W1)보다 길다. 그리고, 길이(G1)는 폭(W1)보다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라운드 도체(22)에서, 인접하는 개구(30)의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개구(30)에 끼워져 있는 영역(A2)내에는, 한결같이 도체층이 펼쳐져 있어 개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라운드 도체(24; 제2의 그라운드 도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2)내에서 신호선(20)보다 z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형성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체 시트(18c)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24)는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에서 x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재하는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는, 이른바 베타 형상의 도체로서, 유전체 시트(18b)를 개재하여 신호선(20)과 대향하고 있다. 또, 그라운드 도체(22)는 그 형성 영역에서 신호선(20)을 완전히 가리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유전체 시트(18)의 열가소성 수지가 열압착될 때에 발생하는 가스를 누출하기 위해서 그라운드 도체(22)의 소정의 위치에 미소한 구멍 등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라운드 도체(24)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신호선(20)은 z축 방향의 양측에서 그라운드 도체(22, 24)에 의해 끼워져 있다. 즉, 신호선(20) 및 그라운드 도체(22, 24)는, 트리플레이트형의 스트립 라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간격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a)의 두께(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예를 들면 10~1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간격은 50㎛이다. 한편,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4)의 간격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b)의 두께(T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예를 들면 50~3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4)의 간격은 150㎛이다. 즉, 두께(T2)는 두께(T1)보다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신호선(20)은 그라운드 도체(24)보다 그라운드 도체(22) 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비어 홀 도체(b1)는, 유전체 시트(18a)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외부 단자(16a)와 신호선(2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비어 홀 도체(b2)는, 유전체 시트(18a)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외부 단자(16b)와 신호선(20)의 x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신호선(20)은 외부 단자(16a, 16b)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비어 홀 도체(b3)는, 유전체 시트(18a)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외부 단자(16c)와 접속 도체(26a)를 접속하고 있다. 비어 홀 도체(b4)는, 유전체 시트(18b)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접속 도체(26a)와 그라운드 도체(24)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24)는, 비어 홀 도체(b3, b4) 및 접속 도체(26a)를 개재하여 외부 단자(16c)에 접속되어 있다.
비어 홀 도체(b5)는, 유전체 시트(18a)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외부 단자(16d)와 접속 도체(26b)를 접속하고 있다. 비어 홀 도체(b6)는, 유전체 시트(18b)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접속 도체(26b)와 그라운드 도체(24)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24)는, 비어 홀 도체(b5, b6) 및 접속 도체(26b)를 개재하여 외부 단자(16d)에 접속되어 있다. 비어 홀 도체(b1~b5)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비어 홀 도체(B1, B2)는 각각, 유전체 시트(18a, 18b)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유전체 시트(18a, 18b)에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어 홀 도체(B1, B2)는, 서로 접속됨으로써 1개의 비어 홀 도체를 구성하고 있고, 그라운드 도체(22)와 그라운드 도체(24)를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22)는 비어 홀 도체(B1, B2), 그라운드 도체(24), 비어 홀 도체(b3, b4) 및 접속 도체(26)을 개재하여, 외부 단자(16c, 16d)에 접속되어 있다.
또, 비어 홀 도체(B1, B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전체 시트(18a, 18b)의 각 영역(A2)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비어 홀 도체(B1, B2)는, 영역(A2)에서 영역(A3)으로 약간 삐져나와 있지만, 비어 홀 도체(B1, B2)의 중심은 영역(A2)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 비어 홀 도체(B1, B2)는, x축 방향에 있어서 개구(30)에 끼워진 영역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비어 홀 도체(B1, B2)는, 개구(30)보다 y축 방향의 정방향측 및 부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비어 홀 도체(B1, B2)는, 은이나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보호재(14)는,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에 형성되고, 그라운드 도체(22)를 가리고 있다. 보호재(14)는, 예를 들면, 레지스터재 등의 가요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브릿지부(60) 사이에서, 한쪽의 브릿지부(60)로부터 다른 쪽의 브릿지부(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Z2), 중간값(Z3), 최대값(Z1)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Z1), 중간값(Z3), 최소값(Z2)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30)는 영역(A1)에서 폭(W1)을 가지고 있고, 영역(A3)에서 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영역(A1)에서의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거리는, 영역(A3)에서의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거리보다 크다. 이에 의해, 영역(A1)에서의 신호선(20)에 발생하는 자계의 강도가, 영역(A3)에서의 신호선(20)에 발생하는 자계의 강도보다 커지고, 영역(A1)에서의 인덕턴스 성분이 커진다. 즉, 영역(A1)에서는 L성이 지배적이 된다.
또한, 영역(A2)에는 브릿지부(60)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영역(A3)에서의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거리는, 영역(A2)에서의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거리보다 크다. 이에 의해, 영역(A2)에서의 신호선(20)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영역(A3)에서의 신호선(20)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보다 커지는 것 이외에, 신호선(20)의 영역(A2)에서의 자계 강도가 영역(A3)에서의 자계 강도보다 작아진다. 즉, 영역(A2)에서는 C성이 지배적이 된다.
이상으로부터,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영역(A1)에서 최대값(Z1)이 되어 있다. 즉, 개구(30)는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최대값(Z1)이 되는 위치에서, 폭(W1)을 가지고 있다. 또,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영역(A3)에서 중간값(Z3)이 되어 있다. 즉, 개구(30)는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중간값(Z3)이 되는 위치에서, 폭(W2)을 가지고 있다. 또,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영역(A2)에서 최소값(Z2)이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주파 신호 선로(10)는 도 5에 나타내는 회로 구성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역(A1)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사이에 대부분 정전 용량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신호선(20)의 임피던스(L1)에 의해서 특성 임피던스(Z1)가 발생한다. 또, 영역(A2)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사이에 큰 정전 용량(C3)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로, 정전 용량(C3)에 의해서 특성 임피던스(Z2)가 발생한다. 또, 영역(A3)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사이에 정전 용량(C3)보다 작은 정전 용량(C2)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신호선(20)의 임피던스(L2) 및 정전 용량(C2)에 의해서 특성 임피던스(Z3)가 발생하고 있다. 또, 특성 임피던스(Z3)는 예를 들면 55Ω이다. 특성 임피던스(Z1)는 특성 임피던스(Z3)보다 높고, 예를 들면 70Ω이다. 특성 임피던스(Z2)는 특성 임피던스(Z3)보다 낮고, 예를 들면 30Ω이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 전체의 특성 임피던스는 50Ω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신호 선로(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로 전자 기기내에 수용되고, 전자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제1의 고주파 회로와 제2의 고주파 회로를 접속한다. 예를 들면, 제1의 고주파 회로는 안테나 소자이며, 제2의 고주파 회로는 급전회로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는, 제1의 고주파 회로가 형성된 기판(제1의 회로 기판)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이 때, 외부 단자(16a)는 제1의 회로 기판의 커넥터내의 신호 단자에 접촉하고, 외부 단자(16d)는 제1의 회로 기판의 커넥터내의 그라운드 단자에 접촉한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x축 방향의 부방향측의 단부는, 제2의 고주파 회로가 형성된 기판(제2의 회로 기판)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이 때, 외부 단자(16b)는 제2의 회로 기판의 커넥터내의 신호 단자에 접촉하고, 외부 단자(16c)는 제2의 회로 기판의 커넥터내의 그라운드 단자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외부 단자(16c, 16d)에는 그라운드 전위가 인가되고, 외부 단자(16a, 16b)에는 고주파 신호(예를 들면, 2GHz)가 인가된다.
(고주파 신호 선로의 제조 방법)
이하에,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고주파 신호 선로(10)가 제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대형의 유전체 시트가 적층 및 컷팅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고주파 신호 선로(10)가 제작된다.
우선, 표면의 전면에 구리박이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시트(18; 18a~18c)를 준비한다. 유전체 시트(18)의 구리박의 표면은 예를 들면, 방청(防?)을 위한 아연 도금이 시행됨으로써, 평활화되어 있다. 유전체 시트(18)는 20㎛~80㎛의 두께를 가지는 액정 폴리머이다. 또, 구리박의 두께는 10㎛~20㎛이다.
다음으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외부 단자(16) 및 그라운드 도체(22)를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에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체 시트(18a)의 구리박 위에, 도 2에 나타내는 외부 단자(16) 및 그라운드 도체(22)와 동일한 형상의 레지스터를 인쇄한다. 그리고, 구리박에 대해서 에칭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레지스터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의 구리박을 제거한다. 그 후, 레지스터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외부 단자(16) 및 그라운드 도체(22)가 유전체 시트(18a)의 표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신호선(20) 및 접속 도체(26)를 유전체 시트(18b)의 표면에 형성한다. 또,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그라운드 도체(24)를 유전체 시트(18c)의 표면에 형성한다. 또, 이들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은 외부 단자(16) 및 그라운드 도체(22)를 형성할 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유전체 시트(18a, 18b)의 비어 홀 도체(b1~b6, B1, B2)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해서, 이면측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비어 홀을 형성한다. 그 후, 유전체 시트(18a, 18b)에 형성한 비어 홀에 대해서,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전한다.
다음으로, 그라운드 도체(22), 신호선(20) 및 그라운드 도체(24)가 스트립 라인 구조를 이루도록, 유전체 시트(18a~18c)를 z축 방향의 정방향측에서 부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겹쳐 쌓는다. 그리고, 유전체 시트(18a~18c)에 대해서 z축 방향의 정방향측 및 부방향측으로부터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유전체 시트(18a~18c)를 연화시켜 압착·일체화함과 동시에, 비어 홀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고체화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비어 홀 도체(b1~b6, B1, B2)를 형성한다. 또, 각 유전체 시트(18)는 열 및 압력에 의한 압착을 대신하여 에폭시계 수지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 비어 홀(b1~b6, B1, B2)은, 유전체 시트(18)를 일체화한 후에, 관통 구멍(through hole)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전하거나 도금막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마지막으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함으로써, 유전체 시트(18a) 상에 보호재(14)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고주파 신호 선로(10)가 얻어진다.
(효과)
고주파 신호 선로(10)에 의하면,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브릿지부(60) 사이에서 한쪽의 브릿지부(60)로부터 다른 쪽의 브릿지부(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Z2), 중간값(Z3), 최대값(Z1)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Z1), 중간값(Z3), 최소값(Z2)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박형임에도 불구하고, 신호선(20)의 전극폭이 넓어지므로, 신호선(20) 및 그라운드 도체(22, 24)에서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전극 부분의 표면적을 확대할 수 있고, 고주파 신호의 전송 손실이 작아진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주기(영역(A1)과 2개의 영역(A2)과 영역(A3))의 길이(C)가 1~5mm 정도로 짧기 때문에, 보다 고주파역까지 불요복사의 억제와 전송 손실의 개선을 할 수 있다. 또, 영역(A1)의 양단에 영역(A3)을 둠으로써 신호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기는 강한 자계를 영역(A2)에 직접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영역(A2)의 그라운드 전위가 안정되어, 그라운드 도체(22)의 쉴드 효과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불요복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 24)의 거리를 작게 하더라도 신호선(20)의 전극폭을 넓게 할 수 있고,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한 채로 전송 손실이 작고, 불요복사가 작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 선로(10)를 용이하게 절곡하는 것이 가능해져, 고주파 신호 선로(10)를 만곡시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에 의하면, 그라운드 도체(22)에서의 그라운드 전위의 안정화에 수반되는 전송 로스의 저감, 또 쉴드 특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스트립 라인 구조의 신호 선로에서는, 신호선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와 그라운드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가, 어느 순간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즉, 신호 선로 전체의 전송 로스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신호선에서의 고주파 저항 및 그라운드에서의 고주파 저항의 양자를 작게 해야만 한다. 그런데, 도 17과 같이, 그라운드층(604)에서의 브릿지부(607)의 폭(X2)을 단순히 좁게 한 것 만으로는, 브릿지부(60)2에서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이 커지고, 그라운드층(604)으로서의 고주파 저항이 커져 버릴 뿐만 아니라, 브릿지부(607)와 신호 선로(602)의 자계 결합에 의한 상호 인덕턴스(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브릿지부에서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과 신호 선로의 인덕턴스 성분의 자기 결합)에 의해, 브릿지부(607)에서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이 더욱 크게 보여 버린다.
또, 도 17의 플렉서블 기판(600)에서는, 신호 선로(602)에서, 그라운드층(604)과 포개져 있는 부분과 개구(606)와 포개져 있는 부분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신호 선로(602)에서 그라운드층(604)과 포개져 있지 않은 부분의 자계 에너지는, 신호 선로(602)에서 개구(606)와 포개져 있는 부분의 그라운드 도체에 와전류를 일으킨다. 그 때문에, 신호 선로(602)와 개구(606)가 포개져 있는 부분과 대향하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의 그라운드 전위는 자계에 의해 변동한다. 그 때문에, 신호 선로(602)에서 개구(606)와 포개져 있지 않은 부분의 쉴드성이 열화하고, 불요복사가 발생해 버린다. 그 결과, 신호 선로(602)의 전송 손실이 발생한다.
바꾸어 말하면, 단지 브릿지부(607)의 폭을 작게 한 것 만으로는, 브릿지부(607)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이 커져 버리고, 게다가, 그라운드층(604)의 그라운드 전위가 떠 버리고, 그 쉴드 효과가 없어져서, 결과적으로, 불요복사가 생겨 버린다. 특히, 브릿지부(607)의 폭(X2)이 좁아지면 그 경향이 현저해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영역(A1)에서의 개구(30)의 폭(W1)은, 영역(A3)에서의 개구(30)의 폭(W2)보다 넓다. 이에 의해,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영역(A1)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선(20)의 자계 에너지는, 영역(A3)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선(20)의 자계 에너지보다 높아진다. 또, 영역(A2)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선(20)의 자계 에너지는, 영역(A3)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선(20)의 자계 에너지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Z2, Z3, Z1, Z3, Z2…순서로 반복해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선(20)에서, x축 방향에 인접하는 부분에서의 자계 에너지의 변동이 완만해진다. 그 결과, 단위 구조(영역(A1~A3))의 경계에서 자계 에너지가 작아지고, 그라운드 도체의 그라운드 전위의 변동이 억제되어, 불요복사의 발생 및 고주파 신호의 전송 손실이 억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영역(A3)에 의해, 브릿지부에서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브릿지부와 신호선의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성분을 작게 할 수 있고, 그라운드 전위도 안정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박형이며, 그라운드 도체에 비교적 큰 개구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고주파 신호의 전송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브릿지부의 연신 방향으로 비어 홀 도체(B1)를 배치함으로써, 한층 더 브릿지부에서의 불요 인덕턴스 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개구(30)의 X축 방향의 길이(G1)(즉, 브릿지부 사이의 길이)는 영역(A1)에서의 개구부의 폭(W1)보다 길게 함으로써, 개구부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해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를 달성하면서도, 불요복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개구(30)는 신호선(20)이 연재되어 있는 방향(x축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의 단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개구(30)내에서의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을 개구(30)의 x축 방향의 길이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즉,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은 개구(30)의 길이(G1)가 짧아질수록, 보다 고주파역까지 확대할 수 있다. 개구(30)의 길이(G1)가 길어질수록 영역(A1)의 W1를 좁게 해 개구부를 가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불요복사를 작게 하고, 전송 손실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신호 선로의 임피던스 특성의 광대역화,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도, 고주파 신호 선로(10)를 만곡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영역(A1)은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가장 커져 있기 때문에 가장 휘기 쉽다. 한편, 영역(A2)은 개구(30)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장 휘기 어렵다. 그 때문에, 고주파 신호 선로(10)가 절곡되어 이용되는 경우에는, 영역(A1)이 절곡되고, 영역(A2)이 대부분 절곡되지 않는다. 그래서,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유전체 시트(18)보다 변형하기 어려운 비어 홀 도체(B1, B2)는 영역(A2)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역(A1)을 용이하게 굽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거리(T1)의 크기, 및,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4)의 거리(T2)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소망한 특성 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유에 의해, 신호선(20)이 연재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개구(30)의 길이(G1)는, 폭(W1)보다 길다. 즉, 고주파 신호 선로(10)에서의 고주파 신호의 전송 모드는, TEM 모드이다. TEM 모드에서는, 고주파 신호의 전송 방향(x축 방향)에 대해서, 전계 및 자계가 직교해 형성된다. 즉, 자계는 신호선(20)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듯이 발생하고, 전계는 신호선(20)으로부터 그라운드 도체(22, 24)를 향해 방사 형상으로 발생한다. 여기에서, 그라운드 도체(22)에 개구(30)가 형성되면, 자계는, 원형을 그리므로, 개구(30)에서 조금 반경이 커지도록 팽창하는 것만으로, 고주파 신호 선로(10) 밖으로 크게 누출되지 않는다. 한편, 전계의 일부는 고주파 신호 선로(10) 밖으로 방사한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불요복사에서는, 전계 방사가 큰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전계는, 고주파 신호의 전송 방향(x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해 있기 때문에,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W1)이 커지면, 개구(30)로부터 방사되는 전계의 양이 많아져(불요복사가 증가해져) 버린다. 한편, 폭(W1)은 크게 할 수록 고주파 전송 선로(10)의 특성 임피던스를 높게 할 수 있지만, 고주파 전송 선로(10)는 고주파 신호의 전송 방향(x축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호선(20)으로부터 그 선폭의 대략 3배 떨어진 거리에서 전계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그 이상 폭(W1)을 확장해도 특성 임피던스를 더 높게 할 수 없다. 따라서, 폭(W1)이 커질수록 불요복사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필요이상으로 폭(W1)을 확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폭(W1)이 고주파 신호의 파장의 1/2근처에 이르면 슬롯 안테나로서 전자파가 복사되어 버려, 불요복사가 더욱 증가해 버린다.
한편, 개구(30)의 x축 방향의 길이(G1)는, 그 길이가 길어질수록 신호선(20)의 그라운드 도체(22)와의 대향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신호선(20)의 선폭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신호선(20)에서의 고주파 저항값을 작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 길이(G1)가 폭(W1)보다 큰 경우, 그라운드 도체(22)에서의 반전류(와전류)의 고주파 저항값이 작아진다.
이상으로부터, 길이(G1)는 폭(W1)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길이(G1)가 고주파 신호의 파장의 1/2에 가까워지면, 슬롯 안테나로서 개구(30)로부터 전자파가 복사된다는 점에서, 길이(G1)는, 파장에 대해서 충분히 짧을 필요가 있다는 것은 고려해야 한다.
(제2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a)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a)의 신호선(20)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a)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차이점은 개구(30)의 형상과 개구(30a)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은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은, x축 방향에서 개구(30a)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이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20)의 자계 에너지 및 특성 임피던스는, 주기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a)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A1)은, 직선(A)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1)이 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영역(A1)내에서 최대값(Z1)이 되어 있다. 또, 영역(A2)은, 개구(30a)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브릿지부(6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영역(A2)내에서 최소값(Z2)이 되어 있다. 또, 영역(A3)은, 영역(A1)과 영역(A2)에 끼워져 있고,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이 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따라서,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영역(A3)내에서 중간값(Z3)이 되어 있다.
여기에서, 영역(A1)은,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1)이 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영역(A3)은,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이 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A1)과 영역(A3)의 경계는, 특별히 명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영역(A1)과 영역(A3)의 경계로서는, 예를 들면, 개구(30a)의 y축 방향의 폭이, (W1+W2)/2가 되어 있는 위치를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주파 신호 선로(10a)에서도, 고주파 신호 선로(10)와 동일하게, 만곡해 이용할 수 있고,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고, 신호선(20)내에서의 전송 손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제3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3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3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b)의 분해도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b)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차이점은 그라운드 도체(40, 42)의 유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신호 선로(10b)에서는, 유전체 시트(18b)의 표면상에, 즉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는 층과 동일한 층에 그라운드 도체(40, 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도체(40)는 신호선(20)보다 y축 방향의 정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그라운드 도체(40)는 비어 홀 도체(B1, B2)을 개재하여 그라운드 도체(22, 24)에 접속되어 있다. 또, 그라운드 도체(42)는, 신호선(20)보다 y축 방향의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에 연재되어 있는 장방형상의 도체이다. 그라운드 도체(42)는, 비어 홀 도체(B1, B2)를 개재하여 그라운드 도체(22, 24)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고주파 신호 선로(10b)에서는, 신호선(20)의 y축 방향의 양측에도 그라운드 도체(40, 4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선(20)으로부터 y축 방향의 양측으로 불요복사가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4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4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4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c)의 분해도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c)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차이점은 개구(30)와 동일한 형상의 개구(31)가 그라운드 도체(24)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개구(31)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개구(30)와 일치한 상태로 포개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개구(30)와 개구(31)는 다른 주기, 어긋난 배치, 혹은 어긋난 형상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주파 신호 선로(10c)에서도, 고주파 신호 선로(10)와 동일하게, 만곡해 이용할 수 있고,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고, 신호선(20)내에서의 신호의 반사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제5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5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5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d)의 분해도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d)와 고주파 신호 선로(10b)의 차이점은 x축 방향에서 그라운드 도체(22, 2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A4)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신호 선로(10d)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A4)에서 그라운드 도체(22, 24)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도체(22, 24)는 각각 2개로 분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역(A4)이 굽히기 쉬워지므로, 고주파 신호 선로(10d)를 용이하게 절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라운드 도체(22, 2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A4)의 특성 임피던스는 높아지기 때문에, 그라운드 도체(22)에서 영역(A4)의 근방의 브릿지부의 폭을 그 이외의 부분의 브릿지부의 폭보다 넓게 하여 임피던스를 내림으로써 영역(A4)의 근방의 특성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6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6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e)의 분해도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e)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차이점은 개구(30)의 형상과 개구(44a, 44b)의 형상이 다르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44a, 44b)는, 개구(30)가 y축 방향의 정방향측과 부방향측으로 2개로 분단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고주파 신호 선로(10e)에서는, 개구(44a, 44b)의 사이를 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선형상 도체(46)가 형성되어 있다. 선형상 도체(46)는 그라운드 도체(2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신호선(20)과 포개져 있다.
이상과 같은 고주파 신호 선로(10e)에서는, 복수의 개구(44a)가, 신호선(20)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개구(44b)가, 신호선(20)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영역(A1)에서의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최대값(Z1)이 되어 있다. 또, 영역(A3)에서의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중간값(Z3)이 되어 있다. 또, 영역(A2)에서의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최소값(Z2)이 되어 있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e)에서, 선형상 도체(46)의 선폭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20)의 선폭보다 가는 것으로 했다. 그 때문에, 신호선(20)은 z축 방향의 평면에서 볼 때 선형상 도체(46)에서 삐져나와 있다. 그러나, 선형상 도체(46)의 선폭은 신호선(20)보다 넓어도 된다. 그리고, 신호선(20)은 선형상 도체(46)에서 삐져나와 있지 않아도 된다. 즉, 개구(44a, 44b)는, 반드시 신호선(20)과 포개져 있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개구(30, 30a, 31)는 신호선(20)과 포개져 있지 않아도 된다. 고주파 신호 선로(10e)에서는, 선형상 도체(46) 및 그라운드 도체(22, 24)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의 방향과 신호선(20)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되기 때문에, 신호선(20)이 선형상 도체(46)로부터 삐져나와 있어도, 불요복사의 억제 효과는 고주파 신호 선로(10)보다 커진다.
(제7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7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7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f)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고주파 신호 선로(10f)를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f)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제1의 차이점은 브릿지부(60)에서의 신호선(20)의 선폭이,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최대값(Z1)이 되는 위치에서의 신호선(20)의 선폭보다 가늘다는 점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f)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제2의 차이점은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중간값(Z3)이 되는 위치(즉,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인 위치)와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최대값(Z1)이 되는 위치(즉,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1)인 위치)의 사이에서 개구(30)가 테이퍼(taper) 형상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f)와 고주파 신호 선로(10)의 제3의 차이점은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중간값(Z3)이 되는 위치(즉,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인 위치)와 브릿지부(60)의 사이에서 개구(30)가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 고주파 신호 선로(10f)에서의 영역(A1~A3)의 정의에 대해 설명한다. 영역(A1)은, 개구(30)에서, y축 방향의 폭이 폭(W1)이 되어 있는 영역이다. 영역(A2)은, 브릿지부(60)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영역(A3)은, 영역(A1)과 영역(A2)에 끼워져 있고, 개구(30)에서,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이 되어 있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제1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선(20)의 영역(A1)에서의 선폭은 선폭(Wb)이다. 한편, 신호선(20)의 영역(A1)에서의 신호선(20)의 선폭은, 선폭(Wb)보다 굵은 선폭(Wa)이다. 선폭(Wa)은 예를 들면, 100~5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폭(Wa)은 350㎛이다. 선폭(Wb)은 예를 들면, 25~25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폭(Wb)은 100㎛이다. 이와 같이, 영역(A2)에서의 신호선(20)의 선폭이, 영역(A1)에서의 신호선(20)의 선폭보다 가늘어짐으로써, 신호선(20)과 브릿지부(60)가 포개지는 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신호선(20)과 브릿지부(60)의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개구부(30)와 포개져 있는 부분의 신호선(20)의 선폭은 선폭(Wa)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의 신호선(20)의 임피던스 값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신호선(20)의 전체의 선폭이 가늘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신호선(20)의 선폭이 부분적으로 가늘어져 있기 때문에, 신호선(20)의 저항값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 신호선(20)은 선폭이 변화하는 부분에서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신호선(20)의 선폭이 변화하는 부분에서의 저항값의 변동이 완만해지고, 신호선(20)의 선폭이 변화하는 부분에서 고주파 신호의 반사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2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개구(30)는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인 위치와,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1)인 위치의 사이에서,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영역(A3)의 x축 방향의 양단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그라운드 도체(22)에 흐르는 전류의 손실이 저감된다.
제3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개구(30)는 개구(30)의 y축 방향의 폭이 폭(W2)인 위치와, 브릿지부(60)의 사이에서, 개구(30)가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브릿지부(60)의 y축 방향의 양단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브릿지부(60)의 x축 방향의 선폭은 신호선(20)과 포개져 있는 부분에서 그 이외의 부분보다 가늘어진다. 그 결과, 브릿지부(60)와 신호선(20)의 사이에 발생하는 부유 용량이 저감된다. 또, 브릿지부(60)의 전체의 선폭이 가늘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브릿지부(60)의 선폭이 부분적으로 가늘어져 있기 때문에, 브릿지부(60)의 저항값 및 임피던스 값의 증가가 억제된다.
(제8의 실시형태)
이하에, 제8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제8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g)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고주파 신호 선로(10g)를 적층 방향의 상측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고주파 신호 선로(10g)와 고주파 신호 선로(10c)의 차이점은 부유 도체(50, 5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신호 선로(10g)는, 유전체 시트(18d, 18e) 및 부유 도체(50, 5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유전체 시트(18d)는, 유전체 시트(18a)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에 적층된다. 유전체 시트(18e)는, 유전체 시트(18c)의 z축 방향의 부방향측에 적층된다.
부유 도체(5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상을 이루는 도체층으로서, 유전체 시트(18d)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유 도체(50)는 그라운드 도체(22)에 관해서 신호선(2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부유 도체(50)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신호선(20) 및 그라운드 도체(22)에 대향하고 있다. 부유 도체(50)의 y축 방향의 폭(W3)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역(A1)에서의 개구(30)의 폭(W1)보다 가늘고, 영역(A3)에서의 개구(30)의 폭(W2)보다 굵다. 이에 의해, 브릿지부(60)는 부유 도체(50)에 의해 덮여 있다.
또, 부유 도체(50)는 신호선(20)이나 그라운드 도체(22) 등의 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부유 전위가 되어 있다. 부유 전위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2)의 사이의 전위이다.
또, 부유 도체(50)의 z축 방향의 정방향측의 면은 보호재(14)에 의해 덮여 있다.
부유 도체(52)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상을 이루는 도체층으로서, 유전체 시트(18e)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유 도체(52)는, 그라운드 도체(24)에 관해서 신호선(2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부유 도체(52)는, z축 방향에서 평면시했을 때에, 신호선(20) 및 그라운드 도체(24)에 대향하고 있다. 부유 도체(52)의 y축 방향의 폭(W3)은, 영역(A1)에서의 개구(31)의 폭(W1)보다 가늘고, 영역(A3)에서의 개구(31)의 폭(W2)보다 굵다. 이에 의해, 브릿지부(60)는 부유 도체(52)에 의해 덮여 있다.
또, 부유 도체(52)는, 신호선(20)이나 그라운드 도체(24) 등의 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부유 전위가 되어 있다. 부유 전위는, 신호선(20)과 그라운드 도체(24)의 사이의 전위이다.
부유 도체(50, 52)가 형성됨으로써,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신호 선로(10g)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의 내부에 이용된다. 이 경우, 고주파 신호 선로(10g)의 근방에는, 유전체나 금속 등이 배치된다. 그 때문에,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변동해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개구(30, 31)를 개재하여 유전체나 금속 등과 신호선(20)이 대향하면,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크게 변동해 버린다.
그래서, 고주파 신호 선로(10g)에서는, 부유 도체(50, 5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신호선(20)이 유전체나 금속 등과 직접 대향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된다.
그런데, 고주파 신호 선로(10g)에서는, 부유 도체(50, 52)가 신호선(20)과 대향함으로써, 신호선(20)과 부유 도체(50, 52)의 사이에 부유 용량이 발생해도,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가 변동하기 어렵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 도체(50, 52)는, 신호선(20)이나 그라운드 도체(22, 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부유 전위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신호선(20)과 부유 도체(50)의 사이의 부유 용량과, 부유 도체(50, 52)와 그라운드 도체(22, 24)의 사이의 부유 용량은, 직렬 접속되어 있게 된다.
여기에서, 부유 도체(50, 52)의 폭(W3)은, 영역(A1)에서의 개구(30, 31)의 폭(W1)보다 가늘고, 영역(A3)에서의 개구(30, 31)의 폭(W2)보다 굵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도체(22, 24)와 부유 도체(50, 52)가 대향하는 면적은 작고, 그라운드 도체(22, 24)와 부유 도체(50, 52)의 사이의 부유 용량도 작다. 따라서, 직렬 접속되어 있는 신호선(20)과 부유 도체(50)의 사이의 부유 용량과, 부유 도체(50, 52)와 그라운드 도체(22, 24)의 사이의 부유 용량의 합성 용량은 작아진다. 따라서, 부유 도체(50, 52)가 형성됨으로써,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에 발생하는 변동도 작다.
(그 이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신호 선로(10, 10a~10g)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 10a~10g)에서는, 복수의 개구(30, 31, 44a, 44b)는,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개구(30, 31, 44a, 44b)의 일부의 형상이, 그 이외의 복수의 개구(30, 31, 44a, 44b)의 형상과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개구(30, 31, 44a, 44b) 중의 소정의 개구(30, 31, 44a, 44b) 이외의 개구(30, 31, 44a, 44b)의 x축 방향에서의 길이는, 그 소정의 개구(30, 31, 44a, 44b)의 x축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개구(30, 31, 44a, 44b)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고주파 신호 선로(10, 10a~10g)를 용이하게 굽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 10a~10g)에 나타낸 구성을 조합해도 된다.
또, 각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립 라인 구조의 고주파 전송 선로를 이용해 설명했지만, 제2의 그라운드 도체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제2의 그라운드 도체를 구비하지 않은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구조의 고주파 전송 선로이어도 된다. 또, 유전체 소체는, 단층의 기판의 한쪽 주면에 신호선을 가지고, 다른쪽 주면에 제1의 그라운드 도체를 가진 구조이어도 된다.
또, 고주파 신호 선로(10, 10a~10g)에서는,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브릿지부(60) 사이에서, 한쪽의 브릿지부(60)로부터 다른 쪽의 브릿지부(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Z2), 중간값(Z3), 최대값(Z1)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Z1), 중간값(Z3), 최소값(Z2)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호선(20)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브릿지부(60) 사이에서, 한쪽의 브릿지부(60)로부터 다른 쪽의 브릿지부(6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Z2), 중간값(Z3), 최대값(Z1)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Z1), 중간값(Z4), 최소값(Z2)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해도 된다. 즉, 중간값(Z3)과 중간값(Z4)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개구(30, 31, 44a, 44b)는 직선(A)을 개재하여 선대칭이 아닌 형상이어도 된다. 다만, 중간값(Z4)은 최소값(Z2)보다 크고, 최대값(Z1)보다 작을 필요가 있다.
또, 인접하는 2개의 브릿지부(60) 사이에서, 최소값(Z2)의 값은 달라도 된다. 즉, 고주파 신호 선로(10, 10a~10g)가 전체적으로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에 맞춰져 있으면 모든 최소값(Z2)의 값이 동일할 필요는 없다. 다만, 한쪽의 브릿지부(60)측의 최소값(Z2)은 중간값(Z3)보다 낮을 필요가 있고, 다른 쪽의 브릿지부(60)측의 최소값(Z2)은 중간값(Z4)보다 낮을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주파 신호 선로에 유용하고, 특히, 만곡해 이용할 수 있고, 불요복사를 저감할 수 있고, 신호선내에서의 신호의 반사의 발생 및 전송 손실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A1~A4: 영역
B1, B2: 비어 홀 도체
10, 10a~10g: 고주파 신호 선로
12: 유전체 소체
14: 보호재
16a~16d: 외부 단자
18a~18e: 유전체 시트
20: 신호선
22, 24, 40, 42: 그라운드 도체
26: 접속 도체
30, 30a, 31, 44a, 44b: 개구
46: 선형상 도체
50, 52: 부유 도체
60: 브릿지부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신호선이 연재되어 있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개구의 폭은, 그 신호선이 연재되어 있는 방향에서 그 개구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8. 삭제
  9.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유전체 소체에서,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에서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두도록, 또,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의 그라운드 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전체층을 관통하고, 또,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와 상기 제 2의 그라운드 도체를 접속하고 있는 비어 홀 도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0.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유전체 소체에서,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에서 상기 신호선을 사이에 두도록, 또,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 2의 그라운드 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선은, 상기 유전체층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 2의 그라운드 도체보다,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1.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는, 상기 신호선을 따라서 연재하는 선형상 도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2.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브릿지부에서의 상기 신호선의 선폭은, 그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의 그 신호선의 선폭보다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선폭이 변화하는 부분에서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4.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상기 제 1의 중간값이 되는 위치와, 그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상기 최대값이 되는 위치의 사이에서,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5.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상기 제 1의 중간값이 되는 위치와, 상기 브릿지부의 사이에서,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6. 유전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유전체 소체(素體);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의 신호선;
    상기 유전체 소체에 형성되고, 또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신호선과 대향하고 있는 그라운드 도체로서, 복수의 개구와 상기 복수의 개구 사이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도체 형성부인 브릿지부가 교대로 그 신호선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사다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선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브릿지부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브릿지부로부터 다른 쪽의 상기 브릿지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최소값, 제1의 중간값, 최대값의 순서로 증가한 후에 최대값, 제2의 중간값, 최소값의 순서로 감소하도록 변동하고 있으며,
    상기 제 1의 그라운드 도체에 관해서 상기 신호선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또, 그 제 1의 그라운드 도체 및 그 신호선에 대향하고 있는 부유 도체로서, 부유 전위가 되어 있는 부유 도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 선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7016578A 2010-12-03 2011-09-30 고주파 신호 선로 KR101405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0123 2010-12-03
JP2010270123 2010-12-03
JP2011103644 2011-05-06
JPJP-P-2011-103644 2011-05-06
PCT/JP2011/072648 WO2012073591A1 (ja) 2010-12-03 2011-09-30 高周波信号線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728A KR20120102728A (ko) 2012-09-18
KR101405068B1 true KR101405068B1 (ko) 2014-06-20

Family

ID=4617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578A KR101405068B1 (ko) 2010-12-03 2011-09-30 고주파 신호 선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8461943B2 (ko)
EP (2) EP2943047A1 (ko)
JP (4) JP5041108B2 (ko)
KR (1) KR101405068B1 (ko)
CN (2) CN102687600B (ko)
TW (1) TWI417003B (ko)
WO (1) WO2012073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7600B (zh) * 2010-12-03 2014-04-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线路
CN204104208U (zh) * 2011-12-02 2015-01-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线路及电子设备
JP5472553B2 (ja) 2011-12-29 2014-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電子機器
JP5472556B2 (ja) 2012-01-06 2014-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電子機器
US9490768B2 (en) * 2012-06-25 2016-11-08 Knowles Cazenovia Inc. High frequency band pass filter with coupled surface mount transition
CN104081471B (zh) 2012-06-29 2016-03-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扁平电缆
JP6137789B2 (ja) * 2012-06-29 2017-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ットケーブル
CN204333194U (zh) 2012-06-29 2015-05-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线路
JP5527493B1 (ja) * 2012-06-29 2014-06-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CN105551675B (zh) * 2012-07-30 2017-06-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扁平电缆
JP5637340B2 (ja) * 2012-08-03 2014-1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ットケーブル
DE112013002138T5 (de) 2012-08-09 2015-03-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ochfrequenzsignalübertragungsleitung und elektronisches Gerät
JP5935620B2 (ja) * 2012-09-18 2016-06-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ットケーブル
JP6218481B2 (ja) 2012-09-27 2017-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基板接続構造及び光モジュール
JP5704144B2 (ja) * 2012-10-10 2015-04-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5862790B2 (ja) 2012-10-12 2016-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
JP5605528B2 (ja) 2012-10-12 2014-10-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伝送線路及び電子機器
WO2014057761A1 (ja) 2012-10-12 2014-04-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
WO2014069258A1 (ja) 2012-10-31 2014-05-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69061A1 (ja) 2012-10-31 2014-05-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3898B2 (ja) * 2012-11-29 2015-0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610110B1 (ja) 2012-12-12 2014-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電子機器
JP6020409B2 (ja) * 2012-12-20 2016-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582276B1 (ja) 2013-01-08 2014-09-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電子機器
WO2014115607A1 (ja) * 2013-01-23 2014-07-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伝送線路、および電子機器
CN104508902B (zh) 2013-02-13 2016-08-1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传输线路、电子设备及高频信号传输线路的制造方法
WO2014125987A1 (ja) 2013-02-13 2014-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伝送線路及び電子機器
JP5743034B2 (ja) 2013-02-19 2015-07-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ブリッジおよび電子機器
WO2014156422A1 (ja) 2013-03-26 2014-10-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樹脂多層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5690366B2 (ja) 2013-03-26 2015-03-2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光変調器
CN205863358U (zh) 2013-07-09 2017-01-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传输线路
WO2015017353A1 (en) 2013-07-29 2015-02-05 Multi-Fineline Electronix, Inc. Thin, flexible transmission line for band-pass signals
JP6341495B2 (ja) * 2013-09-12 2018-06-13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高速伝送基板及び電子部品
JP5811306B1 (ja) 2013-12-12 2015-1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信号伝送部品および電子機器
WO2015122203A1 (ja) 2014-02-12 2015-08-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プリント基板
CN205828619U (zh) 2014-05-29 2016-12-2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线路以及包括该高频信号线路的电子设备
CN205985285U (zh) 2014-06-04 2017-02-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柔性基板及电子设备
WO2016009802A1 (ja) 2014-07-18 2016-01-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伝送線路
KR102364151B1 (ko) 2015-03-18 2022-02-18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KR102337398B1 (ko) 2015-03-18 2021-12-09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KR102234067B1 (ko) 2015-05-18 2021-03-31 주식회사 기가레인 안테나 일체형 연성회로기판
JP2017028500A (ja) 2015-07-22 2017-02-02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KR102442838B1 (ko) 2015-09-24 2022-09-15 주식회사 기가레인 3층 유전체 및 4층 그라운드 레이어 구조를 갖는 연성회로기판
KR102432541B1 (ko) 2015-09-24 2022-08-17 주식회사 기가레인 벤딩 내구성이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97358B1 (ko) 2015-09-24 2023-02-10 주식회사 기가레인 벤딩 내구성이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JP6570976B2 (ja) * 2015-11-12 2019-09-04 日本ルメンタム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WO2017090181A1 (ja) * 2015-11-27 2017-06-01 富士通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電子装置
KR102455653B1 (ko) 2015-12-08 2022-10-18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 전송선로
JP2016034049A (ja) * 2015-12-11 2016-03-10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子部品
KR102622767B1 (ko) 2016-02-11 2024-01-09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KR102552614B1 (ko) 2016-02-26 2023-07-06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
KR102444553B1 (ko) 2016-02-26 2022-09-20 주식회사 기가레인 노트북 컴퓨터
WO2017170074A1 (ja) * 2016-04-01 2017-10-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US10349513B2 (en) * 2016-07-28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Circuits and methods providing electronic band gap (EBG) structures at memory module electrical coupling
CN107819177B (zh) * 2016-09-10 2020-04-03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多层共面波导薄型结构的柔性高频扁平线及其装置
JP2018082110A (ja) * 2016-11-18 2018-05-24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回路基板および電子機器
US20180288889A1 (en) * 2017-03-30 2018-10-04 Google Inc. Circuit board and battery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device
CN107181056B (zh) * 2017-05-16 2022-08-30 叶云裳 一种微波衰减型gnss测量型天线及设备
JP6732723B2 (ja) * 2017-12-14 2020-07-29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高周波伝送用プリント配線板
KR101938106B1 (ko) * 2018-01-25 2019-01-14 주식회사 기가레인 선폭 축소형 연성회로기판
WO2020027248A1 (ja) * 2018-08-02 2020-02-0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スイッチ基板の製造方法
KR102588760B1 (ko) * 2018-09-20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105181A1 (ja) 2018-11-22 2020-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
KR20200088048A (ko)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릿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000075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传输线
JP7143954B2 (ja) 2019-07-31 2022-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伝送線路基板および電子機器
CN113540730A (zh) * 2020-04-17 2021-10-22 江苏嘉华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轻薄多通道传输线
US20210392742A1 (en) * 2020-06-11 2021-12-16 Innogrit Technologies Co., Ltd. Embedded microstrip with open slot for high speed signal traces
CN111970823A (zh) * 2020-07-17 2020-11-20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电路板以及服务器
WO2022172575A1 (ja) * 2021-02-12 2022-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基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105A1 (en) 2000-07-20 2003-11-13 Du Toit Cornelis Frederik Tunable microwave devices with auto-adjusting matching circuit
KR20040102429A (ko) * 2003-05-27 2004-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임피던스 조절이 용이한 스트립라인
JP2007123740A (ja) * 2005-10-31 2007-05-17 Sony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光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光送受信装置
KR20080054670A (ko) * 2006-12-13 2008-06-19 이해영 공통모드 여파가 가능한 고주파 전송 선로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2501A (en) * 1954-03-04 1957-11-05 Sanders Associates Inc Transmission line
GB8828281D0 (en) * 1988-12-03 1989-01-05 Quantel Ltd Strip lines
JPH05343820A (ja) * 1992-06-04 1993-12-24 Toshiba Corp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用回路基板
KR100301363B1 (ko) * 1993-02-02 2001-11-22 윤종용 차폐그리드를포함한회로기판장치와그구성방법
JPH07235741A (ja) * 1993-12-27 1995-09-05 Ngk Spark Plug Co Ltd 多層配線基板
JPH11330808A (ja) *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整合回路
US6624729B2 (en) * 2000-12-29 2003-09-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lotted ground plane for controlling the impedance of high speed signals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2002353707A (ja) * 2001-05-30 2002-12-06 Kobe Steel Ltd 高周波ストリップ線路およびアンテナ装置
JP2004088020A (ja) 2002-08-29 2004-03-18 Toshiba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該基板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50083147A1 (en) * 2003-10-20 2005-04-21 Barr Andrew H. Circuit board and method in which the impedance of a transmission-path is selected by varying at least one opening in a proximate conductive plane
TWI273871B (en) * 2004-10-04 2007-02-11 Via Tech Inc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US7528797B2 (en) 2005-08-29 2009-05-05 Kyocera Wireless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frequency-tuned groundplane
JP2006157646A (ja) * 2004-11-30 2006-06-15 Sony Corp 配線基板
JP2007281145A (ja) * 2006-04-05 2007-10-25 Kenwood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体
JP2009054876A (ja) * 2007-08-28 2009-03-12 Sumitomo Bakelite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JP4981618B2 (ja) * 2007-10-23 2012-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
JP2009212329A (ja) * 2008-03-05 2009-09-17 Epson Imaging Devices Corp 回路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138857B2 (en) * 2008-06-24 2012-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struc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on-chip variable delay transmission line with fixed characteristic impedance
CN102687600B (zh) * 2010-12-03 2014-04-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信号线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105A1 (en) 2000-07-20 2003-11-13 Du Toit Cornelis Frederik Tunable microwave devices with auto-adjusting matching circuit
KR20040102429A (ko) * 2003-05-27 2004-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임피던스 조절이 용이한 스트립라인
JP2007123740A (ja) * 2005-10-31 2007-05-17 Sony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光送受信モジュール及び光送受信装置
KR20080054670A (ko) * 2006-12-13 2008-06-19 이해영 공통모드 여파가 가능한 고주파 전송 선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3342A (ja) 2012-12-20
CN102687600A (zh) 2012-09-19
JP2012253362A (ja) 2012-12-20
EP2943047A1 (en) 2015-11-11
JP5822012B2 (ja) 2015-11-24
EP2574155B1 (en) 2015-07-29
US20130249654A1 (en) 2013-09-26
KR20120102728A (ko) 2012-09-18
US20120274423A1 (en) 2012-11-01
JP2014212355A (ja) 2014-11-13
US9660317B2 (en) 2017-05-23
US9312588B2 (en) 2016-04-12
EP2574155A4 (en) 2014-01-15
US8624693B2 (en) 2014-01-07
TW201236517A (en) 2012-09-01
US8461943B2 (en) 2013-06-11
JP5609928B2 (ja) 2014-10-22
US20140077902A1 (en) 2014-03-20
JP5582168B2 (ja) 2014-09-03
EP2574155A1 (en) 2013-03-27
CN102687600B (zh) 2014-04-02
TWI417003B (zh) 2013-11-21
US20150280303A1 (en) 2015-10-01
JP5041108B2 (ja) 2012-10-03
JPWO2012073591A1 (ja) 2014-05-19
WO2012073591A1 (ja) 2012-06-07
CN103781275B (zh) 2017-01-18
CN103781275A (zh)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68B1 (ko) 고주파 신호 선로
US9185795B2 (en)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line
JP3173143U (ja) 高周波信号線路
US9918383B2 (en) High-frequency signal lin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9401531B2 (en)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electronic device
US8975986B2 (en)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electronic device
US9312590B2 (en)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line and electronic device
US9627735B2 (en) High-frequency signal lin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9293799B2 (en) High frequency signal lin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