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2464B1 -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464B1
KR100692464B1 KR1020050022706A KR20050022706A KR100692464B1 KR 100692464 B1 KR100692464 B1 KR 100692464B1 KR 1020050022706 A KR1020050022706 A KR 1020050022706A KR 20050022706 A KR20050022706 A KR 20050022706A KR 100692464 B1 KR100692464 B1 KR 10069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eration mode
image forming
ton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409A (ko
Inventor
기요시 나가미네
야스시 사카타
츠네오 도다
하루히코 오카베
아키노리 오노
히로 소가
다케시 요코에
기요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6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67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461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326726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순정품 이외의 토너를 수용한 순정품 이외의 임의의 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 유저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한 토너 농도의 설정값 변화량(기울기)을 증감시키는 것(m1, m2), 한계값을 증감시키는 것(m1, m2), 초기값(사용량=0)을 변경시키는 것(m3),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의 변경을 하지 않는 것(m4), 및 예를 들면, 초기값을 변경함으로써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의 변경을 하지 않는 것(m5) 등의 변경하는 조건을 조합한 현상제의 상용량에 대하여 보정을 행하는 것 등을,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로서, 유저가 UI 장치(18)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순정품 토너, 순정품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 UI 장치

Description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교체 가능한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용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통신부의 회로 구성 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의 메모리 칩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메모리 칩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화상 담지체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부와 그 제어부에 접속된 각 소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프로그램 ROM, 본체 NVM 및 유닛 NVM에 기억된 데이터를 예시하는 메모리 맵.
도 14는 본체 NVM 에 기억된 사용량(라이프 카운트값)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15는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설정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설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의 (a) 및 16의 (b)는 도 15에 도시된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도 16의 (a)는 보정된 토너 농도를, 도 16의 (b)는 보정된 화상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7은 토너 카트리지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가 동작 모드에 맞추어진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S1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 여부를 검지하는 유닛 교환 검지 처리(S2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19는 유저가 순정품 이외의 어느 하나에 대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순정품 이외의 어느 하나에 대해 동작 모드 선택 처리(S3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20은 유저가 순정품에 대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순정품에 대해 동작 모드 선택 처리(S4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21의 (a) 및 21의 (b)는 UI 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며, 도 21의 (a)는 유저가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된 화면이고, 도 21의 (b)는 유저가 순정품 이외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입력된 화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ROM, 본체 NVM 및 유닛 NVM에 기억된 데이터를 전형적으로 도시한 메모리 맵.
도 27의 (a) 및 27의 (b)는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보정하는 설정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27의 (a)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하여 토너 농도의 설정을 도시하며, 도 27의 (b)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관하여 화상 농도의 설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28은 본체 NVM 및 유닛 NVM에 기억된 데이터를 갱신하는 순서를 전형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9는 토너 카트리지가 시간에 거의 비례하여 사용될 때, 본체 NVM 및 유닛 NVM에 기억되어 갱신된 사용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 30은 토너 카트리지의 수명 임계값을 기초로 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하여 토너 카트리지가 순정품인지 여부를 CPU 가 판별하는 처리(S101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31은 유저가 비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비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S102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32는 유저가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S103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 33은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순정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방법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플로차트(S1040).
도 34는 화상 담지체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에 관한 순정품인지 여부를 CPU가 판별하는 처리(S1050)를 도시한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화상 형성 시스템
2 : 호스트 장치
3 : 네트워크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 : 회동 지점
16 : 개폐 커버
18 : UI 장치
본 발명은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모품 등을 포함하는 유닛을 유저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는 주지된 것이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교환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이 아닌 경우에, 화질 저하 등 화상 형성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장치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고, 또한 장치가 고장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의 특성, 화상 담지체(image carrier)의 특성, 대전 전압, 클리닝 특성 및 정착 특성 등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의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질을 유지하고, 상기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JP-A-10-133528에는 소모품의 소모량 데이터를 유지하는 데이터 담지체를 순정 교환 부품에 설치하는 단계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있는 소모량 검지부에 의해서 검지된 소모량과, 데이터 담지체에 의해서 유지되는 소모량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순정 교환 부품이 소모품으로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A-6-149051에는, 토너 카트리지에 소정의 코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소정의 코드 데이터가 복사기 본체측으로부터 아직 판독되지 않은 경우 복사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A-2001-100598에서는 토너가 소진된 것이 검지된 때에 카트리지에 기입된 엠프티 정보(empty information)가 토너로 재 충전된 카트리지로부터 판독한 경우, 경고 표시와 인쇄 금지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번호 제2602341호에는 형성된 이미지를 카운트하여 이것을 카트리지의 메모리에 기억시는 단계 및 카트리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화상의 수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최종 카운트가, 실제 형성된 화상의 카운트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를 이후에는 사용 불능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번호 제3476704호에는, 토너 재충전 용기측의 통신 수단과 장치 본체의 본체측의 통신 수단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의해, 토너 재충전 용기 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용기가 부적절한 것을 무시한체 유저가 토너를 계속해서 재충전 하도록 선택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적절한 화상 형성 조건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화상 형성 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의해서 장착된 토너 재충전 용기가 부적절한 사실을 유저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의해서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화상 형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의해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즉, 유저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유저의 의도에 따라 순정품이 아닌 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한 동작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의 예들을 의미하고,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그램 및 제어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입출력 조건을 포함하고, 또한 화상 형성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표시 장치에 대한 표시의 예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가 디폴트로서 설정된다. 따라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유저에 의해서 선택되는 동작 모드 없이 순정품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는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를 수행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유저는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에 따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즉,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경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유 저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는 교환 가능 유닛의 교환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서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별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경우, 유저는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을 유저의 의도에 의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별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되었는지를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후에,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순간에 바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상기 판별부가 판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상기 판별부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host apparatus)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트 장치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유저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호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고, 유저는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의해서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표시를 수행한 후에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유저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즉,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표시를 유저가 확인한 후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를 수행한 후에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가 상기 동작 모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유저의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 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즉,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디폴트 동작 모드에서 제어될 수 있다.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유저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를 수행한 후에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유저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즉,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화상 형성 장치가 판별한 후에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가 표시를 수행하기 때문에,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를 확인한 후에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 정품이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를 수행한 후에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유저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즉,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디폴트 동작 모드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표시를 유저가 확인한 후에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기억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즉,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이 유저에 의도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하고 있는 동작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예들을 의미하고, 화상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및 제어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입출력 조건을 포함하고, 또한 화상 정보에 직접 관련되지 않은 표시 장치에서의 표시예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교환 가능 유닛의 표준 수명을 넘는 수명 임계값을 기억하는 화상 형성 장치측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기억부에 기억된 수명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교환 가능 유닛의 표준 수명을 넘는 수명 임계값과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별부는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의 정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상기 판별부는 순정품이 비순정품인 것으로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이라고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횟수를 기억하는 검지 횟수 기억부; 상기 검지 횟수 기억부에 기억된 검지 횟수가 2 이상의 소정값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지 횟수 판단부; 상기 기억부로부터 획득한 정보 또는 상기 검지 횟수 판단부 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즉,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되어야할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부가 두번 이상 검지한 경우 또는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별부는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부의 검지 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순정품을 비순정품으로 판별부가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화상을 담지(擔持)하는 화상 담지체 및 화상 담지체 내에 담지된 토너 화상의 농도를 검지하는 화상 농도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상기 토너가 내장된 유닛이고, 화상 농도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부는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즉,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토너 화상의 농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 토너 화상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교환 가능 유닛이 검지되어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하는 상기 화상 담지체는 중간 전사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체; 토너와 상기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는 담치제를 하우징하고 있으며, 상기 토너에 의해서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는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내에 하우징된 토너의 농도를 검지하는 토너 농도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교환 가능 유닛은 내장 된 상기 토너가 내장된 유닛이고, 상기 검지부는 토너 농도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즉, 상기 토너의 농도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토너의 농도에 영향을 주는 교환 가능 유닛이 검지되어 교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를 하우징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반송하는 토너 반송부, 및 토너 반송부 내의 토너의 유무를 검지하는 토너 유무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상기 토너가 내장된 유닛이고, 상기 검지부가 토너 유무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즉, 토너 유무 검지부는 토너가 토너 반송부로부터 소진된 것을 검지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가 검지되어 교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체로부터 회수된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와 상기 폐토너 수용부가 충만한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폐토너 충만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폐토너를 수용하는 유닛이고, 상기 폐토너 충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검지부는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즉, 폐토너의 양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비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이 유저의 의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기억부를 액세스하는 액세스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또는 비순정품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부는 상기 기억부를 반복적으로 액세스할 수 없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비순정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즉, 액세스부가 기억부를 반복적으로 액세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판별부는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또는 비순정품일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순정품을 비순정품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별부가 오판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는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의해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의해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이 수반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시스템(1)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시스템(1)은 퍼스날 컴퓨터(PC) 등의 호스트(host)장치(2)를 예를 들어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네트워크(3)를 경유하여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호스트 장치(2)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등의 제어 장치, 터치 패널(touch panel)등의 입출력 장치 및 네트워크(3)를 경유하여 신호를 송수신 하는 통신 장치를 갖는, PC이외의 단말일 수 있다. 네트워크(3)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호스트 장치(2)는 네트워크(3)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 장치(2)가 네트워크(3)를 경유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시스템(1)이 구성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가지며, 개폐 커버(16)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fulcrum)지점(1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개폐 커버(16)의 정면(도 2에서 좌측)에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UI 장치)(18)가 제공된다. UI 장치(18)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 정보나 지시 정보 등을 표시하며, 유저로부터의 지시 정보는 UI장치에 입력된다. 다시 말해, 유저는 UI 장치(18)를 경유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를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UI 장치(18)는 스위치 등의 신호의 입력만을 실행하는 장치 또는 표시 등의 신호의 출력만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UI장치(18)는 신호의 입출력 양자를 실행하는 조합 장치일 수 있다.
또한, 개폐 검지 센서(19)는 회동 지점(14)의 근방에 설치되어, 개폐 커버 (16)의 개폐에 따라서 접촉 또는 분리에 의해, 개폐 커버(16)의 개폐를 검지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예를 들어 1단계의 급지 유닛(20)이 제공된다. 급지 유닛(20)은 급지 유닛 본체(22)와 용지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24)를 가진다. 급지 카세트(24)의 후단 근방의 상부에는, 급지 카세트(24)로부터 용지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26) 및 공급되는 용지를 1장씩 분리하는 리타드 롤러(retard roller)(28)가 배열된다. 또한, 급지 카세트(24)의 윗쪽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30)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습도를 검지하는 습도 센서(32)가 제공된다.
반송로(34)는 공급 롤러(26)에서 배출구(36)까지의 용지 반송 통로이며, 또한 반송로(3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배면(도 2의 우측)근방에서, 급지 유닛(20)으로부터 후술하는 정착 장치(100)까지 거의 수직으로 형성된다. 반송로(34)의 정착 장치(100)의 상류측에, 후술하는 2차 전사 롤러(88)와 2차 전사 백업(backup) 롤러(82)가 배열되며, 또한 2차 전사 롤러(88)와 2차 전사 백업(backup) 롤러(82)의 하류측에 레지스트 롤러(38)가 배열된다. 또한, 반송로(34)의 배출구(36)의 근방에는 배출 롤러(40)가 배열된다.
따라서, 급지 유닛(20)의 급지 카세트(24)로부터 공급 롤러(26)에 의해 공급되는 용지는 리타드 롤러(28)에 의해 분리되어, 최상부의 용지만이 반송로(34)에 인도된다. 그런 후, 인도된 용지의 운반이 레지스트 롤러(38)에 의해 일시 정지되어, 용지가 소정의 시간에 후술하는 2차 전사롤러(88)와 2차 전사 백업 롤러(82)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토너 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계속하여, 전사된 토너 화 상이 정착 장치(100)에 의해 정착되어, 용지가 배출 롤러(40)에 의해 배출구(36)로부터 개폐 커버(16)의 상부에 제공된 배출부(42)로 배출된다. 배출부(42)는 배출구쪽으로, 즉 정면(도 2의 좌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아래쪽으로 경사하고 있다.
로터리 현상 장치 등의 현상제 용기 유닛(44)이,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중앙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은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를 가지며,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에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4개의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는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와 함께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해서 좌(도 2에 서 반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에는,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의 토너를 수용하는 관 모양의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는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를 통해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에 장착되며, 그의 외면이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의 외주에 거의 일치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감광체로 이루어지는 화상 담지체(54)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배면(도 2에서 우측)으로부터 현상제 용기 유닛(44)과 맞닿도록 배열된다. 특히, 풀 컬러(full color) 현상을 실행하기 위해, Y, M, C, K의 4가지 색이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준비되며, 또한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는 화상 담지체(54)에 대향하는 위치로 회전 이동되어 위치 결정된 후, 화상 담지체(54)상의 잠상을 각각 황색(Y), 마젠타(M), 시안(C) 및 흑색(K)의 토너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현상한다.
또한,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회전축(50)에 대하여 화상 담지체(54)에 실질 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의 근방에는, 무선 통신부(56)가 배열된다. 무선 통신부(56)는 안테나(58)를 가지고, 후술하는 메모리 칩(170)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화상 담지체(54)의 아래쪽에는, 화상 담지체(54)를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해, 예를 들어 대전 롤러를 포함하는 대전 장치(60)가 제공된다. 또한, 화상 담지체 클리너(62)가 화상 담지체(54)의 회전 방향에서 대전 장치(60)보다도 상류측의 화상 담지체(54)와 맞닿아 있다. 화상 담지체 클리너(62)는 일차 전사 후에 화상 담지체(54)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 모으는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64)와, 클리닝 블레이드(64)에 의해 긁어 모여진 토너를 회수하는 폐토너 회수병(66)을 포함한다.
한편, 폐토너 회수병(66)의 배면측(도 2에서, 우측)은 예를 들어 리브(rib)가 형성되며, 또한 폐토너 회수병(66)의 배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용지가 부드럽게 운반될 수 있다. 또한, 폐토너 회수병(66)의 배면은 반송로(3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배면측 아래쪽에는, 대전 장치(60)에 의해 대전된 화상 담지체(54)상에 레이저 빔 등의 광선을 이용하여 잠상을 기록하는 노광 장치(68)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윗쪽에는,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가 미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반사형 포토 센서 등의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가 제공된다. 현상제 용기 유닛(44) 및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의 윗쪽에는, 중간 전사 장치(72)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체(74)가 1회전하여, 4가지 색을 갖는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체 (74)상에 중첩된 후, 후술하는 이차 전사 위치에서 용지상에 토너 화상을 일괄 전사할 때마다, 중간 전사 장치(72)는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의해 가시화된 토너 화상을 일차 전사 위치에서 각 색에 대해 일차 전사한다.
중간 전사 장치(72)는 중간 전사 벨트 등의 중간 전사체(74), 일차 전사 롤러(76), 랩-인 롤러(lap-in roller)(78), 랩-아웃 롤러(80), 2차 백업 롤러(82), 스크레이퍼 백업 롤러(84) 및 브러쉬 백업 롤러(86)를 포함한다. 중간 전사체(74)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고,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윗쪽에서 긴변과 짧은변을 갖도록 거의 수평으로 뻗어있다. 중간 전사체(74)의 상부의 긴변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측 상에 제공된 배출부(42)에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뻗어져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74)는 하면측의 긴변에서 일차 전사 롤러(76)의 상류에 배열된 랩-인 롤러(78)와 일차 전사 롤러(76)의 하류에 배열된 랩-아웃 롤러(80)와의 사이에서 랩 형상으로 화상 담지체(54)상에 맞닿는 일차 전사부(화상 담지체 랩 영역)를 가진다. 또한, 중간 전사체(74)는 화상 담지체(54)주위에 소정의 범위로 감겨져서, 화상 담지체(54)의 회전에 따라 움직인다.
게다가, 중간 전사체(74)의 배면측(도 2에서 우측)에는, 랩-아웃 롤러(80) 및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의해, 평면부(짧은변)가 형성된다. 이 평면부는 2차 전사부를 형성하여, 반송로(34)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화상 담지체(54)상의 토너 화상은, 예를 들어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순서로 일차 전사 롤러(76)에 의해 중간 전사체(74)상으로 반복적으로 우선 전사되며, 그 후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은 이차 전사부쪽으로 운반된다.
스크레이퍼 백업 롤러(84)는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 모으는 후술하는 스크레이퍼(94)를 보조하고, 브러쉬 백업 롤러(86)는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 모으는 후술하는 브러쉬 롤러(96)를 보조한다.
중간 전사 장치(72)의 2차 전사 백업 롤러(82)와 이차 전사 롤러(88)는 그들 사이에 놓여진 반송로(34)와 각자 대향하고 있다. 특히, 이차 전사 롤러(88)와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 사이의 위치는 이차 전사부에서 이차 전사 위치가 되고, 이차 전사 롤러(88)는 중간 전사체(74)로 일차적으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이차 전사 위치에서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의 보조에 의해 용지로 이차 전사한다. 여기에서, 2차 전사 롤러(88)는, 중간 전사체(74)가 3회전하는 동안, 즉 황색, 마젠타, 시안의 3가지 색을 갖는 토너 화상이 각각 운반되는 동안 중간 전사체(74)로부터 분리되는 반면에, 검은색 토너 화상이 전사될 때 제 2전사 롤러(88)는 중간 전사체(74)에 맞닿는다. 한편, 2차 전사 롤러(88)와 2차 전사 백업 롤러(82) 사이에는 소정의 전위차가 있다. 예를 들어, 2차 전사 롤러(88)를 고전압으로 했을 경우, 2차 전사 백업 롤러(82)는 그라운드(GND)등에 접속된다.
2차 전사 위치의 상류측에는, 반사형 포토 센서 등의 화상 농도 센서(90)가 중간 전사체(74)와 대향하여 화상 농도 센서와 중간 전사체 사이에 놓여진 반송로(34)와 함께 배열된다. 화상 농도 센서(90)는 중간 전사체(74)상에 형성된 토너의 패치(patch)를 판독하고, 중간 전사체(74)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농도를 검지한다.
화상 담지체에 대향하는 중간 전사체(74)의 단부와 맞닿도록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체 클리너(92)는, 예를 들어 2차 전사후 중간 전사체(74)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긁어 모아 청소하는 스크레이퍼(94), 스크레이퍼(94)에 의한 클리닝 후에 잔류하는 토너를 더욱 긁어 모으는 브러시 롤러(96) 및 스크레이퍼(94)와 브러시 롤러(96)에 의해 긁어 모여진 토너를 회수하는 폐토너 회수병(98)을 포함한다. 스크레이퍼(94)는 예를 들어 얇은 스테인레스 판으로 만들어진다. 토너와는 반대 극성을 갖는 전압이 스크레이퍼(94)에 인가된다. 브러시 롤러(96)는, 예를 들어 도전 처리가 된 아크릴 등의 브러시를 가진다. 또한, 중간 전사체(74)가 토너 화상을 운반하는 동안, 스크레이퍼(94) 및 브러시 롤러(96)는 중간 전사체(74)로부터 분리되는 반면에, 소정의 시간에서는 중간 전사체(74)와 맞닿게 하기 위해 그들은 상호 일체화된다.
2차 전사 위치의 윗쪽에는, 정착 장치(100)가 배열된다. 정착 장치(100)는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4)를 가지고, 2차 전사 롤러(88) 및 2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의해 2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하여, 배출 롤러(40)쪽으로 용지를 운반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106)가 배열된다.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담지체(54), 대전 장치(60) 및 화상 담지체 클리너(62)를 상호 일체화 하여 구성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110)은 화상 담지체 유닛(108), 중간 전사 장치(72) 및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를 상호 일체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정착 유닛(112)은 정착 장치(100) 및 배출 롤러(40)를 상호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도 3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화상 형성 유닛(11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되고, 또한 개폐 커버(16)를 여는 것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된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형성 유닛(1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된다.
개폐 커버(16)가 열려지고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가 정면측(개폐 커버(16)측)에 위치할 경우에,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가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에 장착된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된다. 개폐 커버(16)가 열려지고,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가 정면측(개폐 커버(16)측)에 위치할 경우에,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는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정착 유닛(112)은 상부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이탈하게 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용기 유닛(44) 및 급지 유닛(20)등의 다른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유닛은 유저에 의해 교환될 수 있다. 한편, 교환 가능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10)에 유저가 장착할 경우에,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순정품 이외의 어느 하나라면, 양호한 화질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과 동작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사용되는 부재의 특성 등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어되기 때문이다. 따라 서, 유저에 의해 교환 가능 유닛은 소정의 조건을 검지하는 센서로써 제공된다.
이하,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등의 복수 구성 부분의 어느 하나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상제 용기들은 "현상제 용기(48)"로 약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소정의 조건을 검지하는 센서등을 갖는 교환 가능 유닛의 예에 대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교환 가능 유닛인 현상제 용기(48)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현상제 용기(48)는 현상제 용기 하우징(현상제 용기 본체)(114)의 화상 담지체(54)측에 배열되는 현상제 캐리어로서 역할을 하는 현상 롤러(116), 제 1 오거(auger)(118), 제 2 오거(120), 제 3 오거(122) 및 층 두께 규제 부재(124)를 갖는다. 예를 들어, 현상제 용기(48)는 비자성의 토너와 자성의 캐리어로 구성되는 2성분계의 현상제를 또한 수용한다.
현상제 용기 하우징(114)은 후술하는 토너 수용부(134) 및 현상제 배출구(140)를 개폐하는 셔터(shutter)(126)와,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취입된 토너를 운반하는 관 모양의 취입 반송로(128)와,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 및 운반하는 관 모양의 현상제 반송로(130 및 132)를 갖는다.
취입 반송로(128)는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134)와, 현상제 반송로(13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부(136)를 갖는다. 제 1 오거(118)는 취입 반송로(128)안에 배열된다. 제 1 오거(118)는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취입 반송로(128)에 의해 수용된 현상제 반송로(130)까지 토너를 운반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제 용기(48)로 공급된 토너량이 조절되 도록, 제 1 오거(118)의 회전이 조절된다. 따라서, 토너의 사용량(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이 산출되도록, CPU(202)가 제 1 오거(118)의 구동 시간 또는 회전수를 누적할 수 있다. 또한, 노광 장치(68)가 화상 담지체(54)에 정전 잠상을 기입할 때 화상 담지체(54)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캐리어에 전하로서 축적하고, 축적된 전하가 소정량에 달한 회수를 CPU(202)가 카운트 함으로써, 토너의 사용량이 산출될 수 있다.
토너 유무 검지 센서(138)가 토너 수용구(134)와 토너 공급구(136)사이의 취입 반송로(128)에 제공된다. 토너 유무 검지 센서(138)는, 예를 들면 취입 반송로(128)안의 2점간에서 토너의 유무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취입 반송로(128)안의 토너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토너 유무 검지 센서(138)는 압전 소자일수도 있다.
현상제 반송로(130)는 토너 카트리지(52)에 잉여 현상제를 배출하는 현상제 배출구(140)를 가지며, 또한 현상제 반송로(130)안에는 제 2 오거(120)가 배열된다. 제 2 오거(120)는 취입 반송로(128)를 통해 운반되는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고, 현상제 반송로(132)에 그 혼합물을 운반한다.
현상제 반송로(132)안에는, 제 3 오거(122)가 배열된다. 제 3 오거(122)는 현상제 반송로(130)를 통해 현상제를 교반 및 운반하고, 현상 롤러(116)에 결과물을 공급한다.
한편, 현상제 반송로(130)와 현상제 반송로(132)와의 사이에는, 격벽판(143)이 제공된다. 격벽판(143)의 양단에는, 현상제 반송로(130)와 현상제 반송로(132) 를 연결하는 통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 2 오거(120)와 제 3 오거(122)는 각자 다른 방향으로 현상제를 운반하여, 토너가 캐리어에 의해 소정의 극성 및 대전량을 갖도록 마찰 대전되어, 현상제 용기 하우징(114)안에서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열화한 현상제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현상제 배출구(140)로부터 토너 카트리지(52)로 배출되어, 현상제의 전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트리클 현상 방식).
셔터(126)는 개구부(144 및 146)를 갖는다. 개구부(144)는 토너 수용구(134)와 겹쳐져,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현상제 용기(48)로 토너의 통로를 형성하고, 개구부(146)는 현상제 배출구(140)와 겹쳐져, 현상제 용기(48)로부터 토너 카트리지(52)로 잉여 현상제 통로를 형성한다.
현상 롤러(116)는 토너를 운반하면서 화상 담지체(54)와 맞닿아, 화상 담지체(54)에 의해 유지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한다. 층 두께 규제 부재(124)는 현상 롤러(116)에 의해 운반된 토너의 층 두께를 규제한다.
도 6 및 도 7은 교환 가능 유닛인 토너 카트리지(52)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52)는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와,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의 종축 단에 제공된 회전 부재(152)를 갖는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안에 배열된 교반 및 운반 부재(154)를 갖는 거의 원통형 부분과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거의 관 모양의 부분으로부터 그의 종축 방향까지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상호 일 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52)가 현상제 용기(48)를 경유하여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에 장착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는, 그의 외면이 현상제 용기 유닛 본체(46)의 외주에 거의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안에는, 현상제 용기(48)에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 공간(156)이 형성된다. 토너 수용 공간(156)에는, 상술한 교반 및 운반 부재(154)가 제공된다. 교반 및 운반 부재(154)는, 예를 들면 나선 형상으로 감겨져, 토너 수용 공간(156)안의 토너를 교반하고, 현상제 용기(48)의 토너 수용구(134)쪽으로 교반된 토너를 운반한다.
회전 부재(152)는 회전 부재 본체(154)와, 이 회전 부재 본체(154)안에 제공되어, 토너 카트리지 본체(150)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관 형상부(tubular part)(156)를 갖는다. 관 형상부(156)는 회전 부재 본체(154)의 측면부(158)에서 관 형상부 측벽(160)에 의해 밀폐되고, 내부에 제공된 격리 벽(162)을 갖는다. 관 형상부 측벽(160)을 대향하는 격리 벽(162)측에는, 현상제 용기(48)로부터 잉여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현상제 회수 공간(164)이 형성되고, 관 형상부 측벽(160)반대편의 격리 벽(162)측에는, 상술한 토너 수용 공간(156)이 연장해서 형성된다.
회전 부재 본체(154)는 투명한 부재로 덮어진 창문부(166)를 가지며, 관 형상부(156)의 원통형 부분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 표면을 갖는다. 또한, 백색 테이프 등의 반사 부재(168)가 관 형상부(156)의 원통형 부분의 외면에 부착된다. 토너 카트리지(52)가 현상제 용기(48)에 장착되고, 회전 부재 본체(154)가 회전하는 경우, 반사 부재(168)가 창문부(166)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안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된 현상제 용기 유닛(44)이 회전하는 경우, 노출된 반사 부재(168)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된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는 예를 들면 반사형 포토센서이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장착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52)의 반사 부재(168)가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에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할 때에,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는 토너에 의한 더러움에 따라 변화하는 반사 부재(168)의 반사량을 검지하여, 토너 카트리지(52)가 미사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메모리 칩(170)이 회전 부재 본체(154)의 측면부(158)에 부착된다. 메모리 칩(170)은 안테나(172)를 가지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측에 제공된 무선 통신부(56)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다음에, 무선 통신부(56) 및 메모리 칩(170)에 관하여, 각각의 회로 구성 및 상호간에서 행하여지는 통신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무선 통신부(56)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메모리 칩(17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56)의 회로는 송수신 제어부(174), 변조 회로(176), 송신 회로(178), 수신 회로(180), 복조 회로(182) 및 안테나(58)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56)에 있어서, 송수신 제어부(174)는 무선 통신부(56)의 각 구성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송수신 제어부(174)는 제어부(10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복조 회로(176)에 대하여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 제어부 (174)는 수신 회로(180)에 의해 수신되어, 복조 회로(182)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를 제어부(106)에 대하여 출력한다. 변조 회로(176)는 송수신 제어부(17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송신 회로(178)에 대하여 변조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송신 회로(178)는 메모리 칩(170)에 기억되는 데이터 및 클록 신호등을 포함하는 라디오 신호를 안테나(58)를 경유하여 메모리 칩(170)에 대하여 출력한다.
수신 회로(180)는 메모리 칩(17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안테나(58)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 회로(182)에 대하여 출력한다. 복조 회로(182)는 수신 회로(1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에 따라 메모리 칩(170)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송수신 제어부(174)에 대하여 복조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칩(170)의 회로는 유닛 비휘발성 메모리(NVM)(184), 송신 논리 회로(186), 수신 논리 회로(188), 송신 회로(190), 수신 회로(192), 클록 재생 회로(194), 전원부(196) 및 안테나(172)를 포함한다.
라디오 신호가 무선 통신부(56)로부터 메모리 칩(170)으로 전송될 때, 수신 회로(192), 클록 재생 회로(194) 및 전원부(196)는 안테나(172)를 경유하여 라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메모리 칩(170)에 있어서, 라디오 신호가 수신될 때, 전원부(196)는 라디오 신호에 의한 전자 유도에 의해 야기된 전류를 정류하고, 메모리 칩(170)의 각구성 부분에 대하여, 그것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96)에 의해 발생된 전압보다도 높은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메모리 칩(170)은 본체부(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 면, 전력은 메모리 칩(17O)에 전원용의 코일 등을 더 제공함으로써,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공급되는 교류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공급될 수 있다.
클록 재생 회로(194)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클록 신호를 재생하고, 메모리 칩(170)을 구성하는 각 회로에 대하여 재생된 클록 신호를 출력한다. 수신 회로(192)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 등의 신호를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수신 논리회로(188)에 대하여 출력한다. 수신 논리 회로(188)는 수신 회로(19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등의 신호를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해서 복조하고, 유닛 NVM(184)에 대하여 복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유닛 NVM(184)은 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수신 논리 회로(18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데이터의 기입을 나타낼 경우에는, 유닛 NVM(184)은 해당 데이터의 기입을 실행하며, 또한 신호가 데이터의 판독(readout)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유닛 NVM(184)은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 논리 회로(186)에 대하여 출력한다.유닛 NVM(184)에 포함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플래시 ROM(flash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송신 논리 회로(186)는 유닛 NVM(18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해서 변조하고, 송신 회로(190)에 대하여 변조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송신 회로(190)는 클록 재생 회로(194)로부터 입력 되는 클록 신호에 동기하여, 송신 논리 회로(18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안테나(172)를 경유하여, 무선 신호로서 무선 통신부(56)에 대하여 송신한다.
한편, 무선 신호로서 송수신 되는 신호는 암호화된 후에 무선 신호로 변환된 다음,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허가된 유저등은 암호화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06)이외의 어떤 장치를 통해 유닛 NVM(184)에 내용을 재기입할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부(56)와 메모리 칩(170)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52)는 현상제 용기(48) 각각에 장착되고, 현상제 용기 유닛(44)(도 2참조)이 회전축(50)을 축으로서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무선 통신부(56)는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메모리 칩(170)과 순차적으로 거의 대향하도록 하기 위해,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측면쪽 근방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고정된다. 메모리 칩(170)과 대향하면서 무선 통신을 실행하도록, 무선 통신부(56)는 메모리 칩(170)의 어느쪽과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현상제 용기(48)가 제어되는 정지 상태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56)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56)에 의해 출력하는 무선 신호에 대하여, 메모리 칩(170)에 의해 송신된 확인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의 시작을 확인해준다.
도 11은 교환 가능 유닛인 화상 담지체 유닛(108)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담지체(54), 대전 장치(60) 및 화상 담지체 클리너(62)를 상호 일체화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화상 담지체 클리너(62)안의 상부에 배열된 폐토너 충만(fullness)센서(198)와,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아래쪽으로 배열된 플로트(float)(200)를 갖는다. 폐토너 충만 센서(198)는, 한 면에 제공된 발광부에 의해 발산하는 빛이 다른 면에 제공된 수광부에 의해 받아들여 지도록 구성된 광로를 가지며, 또한 수광부가 빛을 받아들이는지 여부를 제어부(106)에 대하여 출력한다. 플로트(200)는, 화상 담지체(54)로부터 폐토너 회수병(66)에 회수된 폐토너가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승하도록 되고, 폐토너 회수병(66)이 폐토너로 충만해지는 경우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광로를 차단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화상 담지체 유닛(108)은 폐토너 충만 센서(198) 및 플로트(200)에 의해 폐토너 회수병(66)이 충만하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제어부(106)에 대하여 검지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폐토너 충만 센서(198) 및 플로트(200)는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에 제공되어, 폐토너 회수병(98)이 충만할 것인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조건을 검지하는 센서등을 갖는 교환 가능 유닛은 센서등에 의해 검지한 결과를 제어부(106)에 대하여 출력하고, 제어부(106)는 입력된 검지 결과에 근거해서 화상 형성 장치(10)를 구성하는 각부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부(106)의 구성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제어부(106)의 구성 및 제어부(106)에 접속되는 각부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06)는 CPU(202), 기억부(204), 센서 인터페이스(센서 I/F)회로(206), 무선 통신부 제어 회로(208), 통신 인터페이스(통신I/F)회로(210), 유저 인 터페이스(UI)제어 회로(212), 화상 회화 회로(214), 프로세스 제어 회로(216), 화상 형성부 인터페이스(화상 형성I/F)회로(218) 및 용지 반송부 제어 회로(220)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시스템 버스(222)를 경유하여 신호를 입출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PU(202)는 시스템 버스(222)를 경유하여 제어부(106)를 구성하는 각 부분간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부(106)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제어한다.
기억부(204)는 프로그램 ROM(224), RAM(226) 및 본체 NVM(228)을 가지고, 화상 형성 장치(10)등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프로그램 ROM(224)은 예를 들면 플래시 ROM을 가지고, 프로그램 ROM(224)에 기억된 내용이 갱신될 수 있다. RAM(226)은, 예를 들면 SRAM을 가지고, 화상 회화 회로(214)로부터 입력되는 회화 데이터 등의 일시적인 정보를 기억한다. 본체 NVM(228)은, 예를 들면 EEPROM 또는 플래시 ROM 등의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갖는다. 반면에, 본체 NVM(228)은 재기입 가능한 기억 장치이며,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이 꺼진 상태인 경우라도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으면, 배터리 등에 의해 전원이 백업되는 SRAM, HDD(Hard Disk Drive) 혹은 광학 메모리일 수 있다.
센서 I/F 회로(206)는 개폐 검지 센서(19), 온도 센서(30), 습도 센서(32), 미사용 상태의 검지 센서(70), 토너 유무 검지 센서(138), 화상 농도 센서(90) 및 폐토너 충만 센서(198)에 의해 각각 검지된 결과를 수신하고, 시스템 버스(222)를 경유하여 CPU(202) 에 대하여 검지된 결과를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 제어 회로(208)는 무선 통신부(56)를 경유하여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에 각각 제공된 4개의 메모리 칩(170)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시스템 버스(222)를 경유하여 CPU(202) 및 기억부(204)등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또한 각각의 메모리 칩(170)과 CPU(202) 및 기억부(204)등을 접속한다.
통신 I/F 회로(210)는 네트워크(3)를 경유하여 호스트 장치(2)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시스템 버스(222)를 경유하여 CPU(202)등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호스트 장치(2)와 CPU(202)등을 접속한다. UI 제어 회로(212)는 UI 장치(18)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시스템 버스(222)를 경유하여 CPU(202)등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UI 장치(18)와 CPU(202)등을 접속한다.
화상 회화 회로(214)는 호스트 장치(2)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형성 신호에 근거해서 화상을 회화하고, CPU(202) 및 RAM(226)에 대하여 회화 화상을 출력한다. 프로세스 제어 회로(216)는 CPU(202)와 함께, 기억부(204)에 기억된 후술하는 설정값을 참조하고, 화상 형성 I/F회로(218)를 경유하여 노광 장치(68), 화상 형성 유닛(110) 및 현상제 용기 유닛(44)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230)를 제어한다. 용지 반송부 제어 회로(220)는 CPU(202)와 함께, 공급 롤러(26), 리타드 롤러(28) 및 레지스트 롤러(38)등을 포함하는 용지 반송부(232)를 제어한다.
한편, CPU(202)가 기억부(20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고, 메모리 칩(170)을 갖는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칩(170)은, 센서를 소유하지 않고 있어도, 검지 유닛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음에,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는 데 이터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ROM(224)에는 프로그램 영역(234) 및 설정값 영역(236)등이 제공된다. 프로그램 영역(234)은 화상 형성 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238)을 기억한다. 설정값 영역(236)은 각 수명 임계값(240), 각 수명 임계값 도달 설정 회수(242), 온도 관련 파라미터군(244), 습도 관련 파라미터군(246), 토너 농도 파라미터군(248) 및 판정 시기 설정값(252)을 기억한다.
각 수명 임계값(24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의 수명(수명 임계값)을 포함한다. 각 수명 임계값 도달 설정 회수(24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이 각 수명 임계값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수를 포함한다. 온도 관련 파라미터군(24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온도의 제어에 관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습도 관련 파라미터군(246)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습도의 제어에 관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토너 농도 파라미터군(248)은 현상제 용기(48)안의 토너 농도의 제어에 관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판정 시기 설정값(252)은 후술하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 모드에 맞춘 인쇄 준비를 행하는 처리(도 17참조)등에 있어서, CPU(202)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이 순정품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시작할 때 까지 걸리는 기간(판정 시기)을 포함한다.
본체 NVM(228)는 대응 유닛 정보 영역(254) 및 본체측 갱신 영역(256)등이 제공된다.
대응 유닛 정보 영역(254)은 대응 기종 코드(258) 및 대응국 코드(260)를 기억한다. 대응 기종 코드(258)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이 화상형성 장치(10)에 적합한 기종인지를 나타내는 기종 테이블(데이터)을 기억한다. 대응국 코드(26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에 대하여, 국가마다다른 사양을 설정하는 각국의 테이블(데이터)을 기억한다.
본체측 갱신 영역(256)은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 본체측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264), 본체측의 각 수명 임계값 도달 회수(266), 각 검지 이력(268) 및 각 동작 모드 이력(270)등을 기억한다.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의 장착 이력을 포함한다. 또한, 순정품이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값이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의 각각의 초기 상태(초기값)로 기억된다. 본체측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26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유닛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교환 가능 유닛이 사용되기 시작할 때부터 현재까지의 사용량)을 포함한다. 한편, 각 유닛의 사용량은 각 유닛의 각각의 누적 동작 시간등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본체측의 각 수명 임계값 도달 회수(266)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이 수명 임계값에 도달한 도달 회수를 포함한다. 각 검지 이력(268)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제공된 각 센서등에 의해 검지된 검지 결과의 이력을 포함한다.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한 각 유닛에 적용된 동작 모드의 이력을 포함한다.
유닛 NVM(184)에는, 유닛 정보 영역(272) 및 유닛측 갱신 영역(274)등이 제 공된다.
유닛 정보 영역(272)은 기종을 나타내는 기종 코드(276), 기종의 사양이 설정된 국가를 나타내는 국가 코드(278), 제조 번호(280), 각 유닛에 고유한 제조일(282), 유닛의 수명을 나타내는 수명 임계값(284) 및 프로세스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 파라미터(286)등을 기억한다.
유닛측 갱신 영역(274)은 토너 카트리지가 사용되기 시작했을 때부터 현재까지의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라이프 카운트 값(288), 수명 임계값(284)에 기억되어 있는 수명 임계값에 도달한 회수를 나타내는 수명 임계값 도달 회수(290) 및 관련 이력 정보(292)를 기억한다. 한편, 관련 이력 정보(292)는 화상 담지체(54)의 회전수 등,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용가능한 관련 정보의 이력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 형성 신호가 상술한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송신되면, 화상 담지체(54)는 대전 장치(6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며, 광선이 화상 신호를 근거로 하여 노광 장치(68)로부터 대전된 화상 담지체(54)에 발산된다. 노광 장치(68)로부터의 광선은 화상 담지체(54)의 표면을 노광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화상 담지체(54)에 의해 유지된 잠상은 현상 위치에서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에서,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는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로부터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 토너로 각각 공급된다. 또한,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에 과잉 공급된 현상제는 토너 카트리지(52a 내지 52d)에 각각 회수된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현상제 용기(48a 내지 48d)에 의 해 각 색으로 현상된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체(74)에 중첩하여 일차 전사된다. 일차 전사 시, 화상 담지체(5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화상 담지체용 클리너(62)에 의해 긁혀져서 회수된다.
반면에, 급지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 급지 카세트(24)에 수용된 용지는 공급 롤러(26)에 의해 공급되고, 리타드 롤러(28)에 의해 분리되며, 또한 반송로(34)에 인도된 다음, 레지스트 롤러(38)에 의해 우선 정지되어, 소정의 시기에 이차 전사 롤러(88)와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사이에 인도된다. 용지가 2차 전사 롤러(88)와 2차 전사 백업 롤러(82)사이에 인도되면, 중간 전사체(74)로의 일차 전사에 의해 4색이 각자 중첩된 토너 화상은 이차 전사 롤러(88)와 2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의해 용지에 2차 전사된다. 2차 전사뒤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중간 전사체용 클리너(92)에 의해 회수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 장치(100)에 인도되어,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4)에 의해 발생한 열적 압력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출 롤러(40)에 의해 배출구(36)로부터 배출부(42)쪽으로 배출된다. 제어부(106)는 유닛 NVM(184) 및 본체 NVM(228)에 토너 카트리지(52)의 라이프 카운트 값 등을 기억시킨다.
도 14는 본체 NVM(228)에 기억되어 있는 현상제의 사용량(라이프 카운트 값)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현상제의 대전 능력 변화를 보정하는 설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도 15에 나타낸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그 중 도 16의 (a)는 보정된 토너 농도를 나타내고, 도 16의 (b)는 보정된 화상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토너 카트리지(52)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제 용기(48) 내에서 담지체(carrier)에 의해서 소정의 극성 및 전하량을 가지도록 마찰 대전된다. 현상제가 사용되면, 도 14에 나타낸 순정품 토너(P)의 특성과 동일하게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에 트리클(trickle) 현상 방식을 채택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용지에 형성되는 화상의 화질을 소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용기(48) 내의 토너 농도 및 중간 전사체(74) 상의 화상 농도에 대한 설정이 보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CPU(202)는 화상 농도 센서(90)가 화상 농도를 검지하도록 한다. 이 때 화상 농도가 높으면, CPU(202)는 제 1 오거(118)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현상제 용기(48) 내로 공급될 토너량을 감소시켜, 토너 농도를 내려 화상 농도를 내린다. 또한 화상 농도가 낮으면 CPU(202)는 제 1 오거(118)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여 현상제 용기(48) 내로 공급될 토너량을 증가시켜 토너 농도를 올려서 화상 농도를 올린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상 농도 검지용 패턴으로서는 중간조 농도를 갖는 패턴이 사용된다.
그러나 토너의 대전 능력이 저하되면 현상 성능이 향상되어 화상 농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어를 그대로 실행하면, 토너 농도가 과도하게 낮아지게 되어 최대 화상 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되더라도 용지에 전사되는 최대 화상 농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화상 농도 센서(90)에 의해 검지된 화상 농도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토너 농도를 제어하는 토너 화상 파라미터 군(group)(248)에 기억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48) 내의 토너 농도 제어의 설정값을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서 증가되도록 보정한다. CPU(202)는 보정된 설정값(도 15에서 토너(P)에 대응한 설정(S))에 따라서 제 1 오거(118)를 회전시켜,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농도가 소망의 소정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유지한다.
그 결과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농도를 특정한 설정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용의 순정품 토너(P) 이외의 토너(X) 또는 토너(Y)를 포함하고, 토너 카트리지(5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순정품 카트리지 이외의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X)와 토너(Y)는 순정품 토너(P)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측된다. 따라서 용지에 형성되는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토너(P)에 대응하는 설정(S)과는 다른 보정된 설정값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토너(X) 또는 토너(Y) 등을 포함하고 있는 순정품 카트리지 이외의 임의의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토너 농도의 설정값의 변화량(그래디언트)을 증감시키거나(도 15에서 m1 또는 m2), 한계값을 증감시키거나(m1 또는 m2), 초기값(사용량=0)을 변경시키거나(m3), 사용량에 따라서 설정값을 변화시키지 않거나(m4), 예를 들어 초기값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의 변화가 없도록 하는(m5) 것과 같은 변화될 조건들을 조합하여 얻은 현상제 사용량을 보정한다. 이 변화는 유저가 UI 장치(18)를 통해서 순정품 토너에 대응하는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허용하여 수행된다.
다음으로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는 UI 장치(18)에 의한 표시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 경우에 CPU(202)는 UI 장치(18)를 제어하여 토너의 잔량을 표시하며, 반면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 아닌 경우에는 CPU(202)는 UI 장치(18)를 제어하여 토너의 사용량을 표시한다. 이는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 아닌 경우에는 토너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토너의 잔량을 산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화상 형성 장치(10)가 토너 카트리지(52)에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수행하는 처리(S10)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는지를 검지하는 유닛 교환 검지 처리(S20)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서 수행되어 유저가 순정품 이외의 임의의 다른 것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순정품 이외의 임의의 다른 것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S30)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서 수행되어 유저가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 선택 처리(S40)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100)(S100)에서 CPU(202)는 UI 장치(18)의 조작에 의한 동작 모드의 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임의의 입력 유무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의 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임의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S30의 처리가 실행되며, 반면 동작 모드의 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S102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02(S102)에서, CPU(202)는 개폐 검지 센서(19)가 개폐 커버(16)의 개폐를 검지했는지를 판단한다. CPU(202)가 개폐 커버(16)의 개폐가 검지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S20의 처리가 실행된다. 아닌 경우, S100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개폐 커버(16)가 개폐되면,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닛 교환 검지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200)(도 18의 S200)에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제조 번호(280)를 판독한다.
단계(202)(S202)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로부터의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에 포함되어 있는 최후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 번호를 판독한다.
단계(204)(S204)에서, CPU(202)는 최후에 장착된 카트리지의 제조 번호가 유닛 NVM(184)으로부터 판독한 제조 번호(280)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최후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의 제조 번호가 유닛 NVM(184)으로부터 판독한 제조 번호(280)와 동일한 경우에는 S206의 처리를 실행한다. 아닌 경우, S208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206)(S206)에서, CPU(202)는 교환되지 않은 토너 카트리지가 다시 장착되었다고(즉 교환되지 않았다고) 간주한다.
단계(208)(S208)에서, CPU(202)는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장착되었다고(즉 교환이 검지되었다고) 간주한다.
단계 104(도 17의 S104)에서, CPU(202)가 토너 카트리지(52)의 교환이 검지되었다고 간주하는 경우 S106의 처리를 실행한다. 아닌 경우, S100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106(S106)에서, CPU(202)는 프로그램 ROM(224)으로부터 판정 시기 설정값(252)을 판독한다.
한편 상기 판정 시기 설정값(252)의 값은 0일 수도 있다.
단계 108(S108)에서, CPU(202)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 등을 사용하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개시하는 판정 시기인지를 판정한다.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개시하는 판정 시기에 도달한 경우에는 S110의 처리를 실행한다. 아닌 경우, CPU(202)는 판정 시기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110(S110)에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기종 코드(276) 및 국가 코드(278)를 판독한다.
단계 112(S112)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로부터 대응하는 기종 코드(258) 및 국가 코드(260)를 판독한다.
단계 114(S114)에서, CPU(202)는 기종 코드(276)와 대응하는 기종 코드(258)를 대조하고, 국가 코드(278) 및 대응하는 국가 코드(260)를 대조한다. 이 때, CPU(202)가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S40의 처리가 실행되며, 반면 교환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S116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116(S116)에서, 현재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따라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에 포함된 토너 카트리지(52)의 장착 이력을 갱신한다. 이후에 S30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300)(도 19의 S300)에서, UI 장치(18)는 도 21의 (b)에 나타낸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8)을 표시한다.
단계(302)(S302)에서, CPU(202)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8)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296a) 및 다른 동작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296b)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끝났는지를 판단한다. 버튼(296a, 296b)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끝난 경우에는 S404의 처리가 실행된다. 동작 모드 중의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는 유저가 임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304)(S3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을 S302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로 갱신(덮어쓰기 포함)한다.
단계(400)(도 20의 S400)에서, UI 장치(18)는 도 21의 (a)에 나타낸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4)을 표시한다.
단계(402)(S402)에서, CPU(202)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4)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296a)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296b)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끝났는지를 판단한다. 키 버튼(296a, 296b)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끝난 경우에는 S304의 처리가 실행된다. 동작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10)는 유저가 임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404)(S4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을 S402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로 갱신(덮어쓰기 포함)한다.
단계 118(도 17의 S118)에서, CPU(202)는 가장 최근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에 포함되어 있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동작을 수행하고, 이후에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118의 인쇄 준비에서, 예를 들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UI 장치(18)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는 다른 복수의 다른 동작 모드를 설치하여, 유저가 이들 복수의 다른 동작 모드 중에서 임의의 동작 모드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이 아닌 경우라고 할지라도, 유저가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는 다른 임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화질(image quality)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교환 가능 유닛이 모두 순정품인 경우에는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제한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하도록 하여, 유저가 잘못하여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변형례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첨부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변형례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52a~52d)와 화상 담지체 유닛(108)을 가지고 있다.
무선 통신부(300)는 도 8에 나타낸 무선 통신부(56)와 구성이 동일하며,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메모리 칩(302)은 도 9에 나타낸 메모리 칩(170)과 구성이 동일하며,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화상 담지체 유닛(108)과 같은 교환 가능 유닛에 설치된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108)과 같은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메모리 칩(302)을 무선 통신부(300) 근방에 위치시키고, CPU(202)의 제어 하에서 무선 통신부(300)와 신호(signal)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변형례는, 4 개의 메모리 칩(170)이 무선 통신부(56)와 순차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메모리 칩(302)은 무선 통신부(3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에 의해서, 메모리 칩(170)을 구비한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52a~52d)와 메모리 칩(302)을 구비한 화상 담지체(108) 등의 교환 가능 유닛이 순 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례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첨부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례는, 4 개의 무선 통신부(304a~304d)와,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소정의 위치에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 황색(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흑색(black)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305a~305d) 등의 유닛을 가지고 있다.
무선 통신부(304a~304d)는, 도 8에 나타낸 무선 통신부(56)와 구성이 동일하며,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메모리 칩(306)은, 도 9에 나타낸 메모리 칩(170)과 구성이 동일하며, 예를 들어 각각 토너 카트리지(305a~305d)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305a~305d)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메모리 칩(306)은 각각의 무선 통신부(304a~304d) 근방에 위치되며, CPU(202)의 제어 하에서 각각의 무선 통신부(304a~304d)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례는 4 개의 메모리 칩(306)이 무선 통신부(304a~304d)와 각각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메모리 칩(306)을 구비한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305a~305d) 등의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3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3 변형례에서는, 도 23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첨부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제 3 변형례는 4 개의 무선 통신부(304a~304d)와,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소정의 위치에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고,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 토너를 각각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305a~305d) 및 감광체(photoreceptor) 등의 화상 담지체(image carrier)를 포함하는 화상 담지체 유닛(309)과 같은 교환 가능 유닛을 가지고 있다.
무선 통신부(308)는, 도 8에 나타낸 무선 통신부(56)와 구성이 동일하며,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에 고정되어 있다. 메모리 칩(310)은, 도 9에 나타낸 메모리 칩(170)과 구성이 동일하며, 예를 들어 화상 담지체 유닛(309)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309)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메모리 칩(310)을 무선 통신부(308) 근방에 위치시키고, CPU(202)의 제어 하에서 무선 통신부(308)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제 3 변형례는, 4 개의 메모리 칩(306)이 각각의 무선 통신부(304a~304d)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메모리 칩(310)은 각각의 무선 통신부(308)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메모리 칩(306)을 구비한 각각의 토너 카트리지(305a~305d)와 메모리 칩(310)을 구비한 화상 담지체 유닛(309)과 같은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24에 의해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복되는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6은 프로그램 ROM(224),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ROM(224)은 프로그램 영역(234)과 설정값 영역(2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로그램 영역(234)은 화상 형성 장치(10)를 동작시키는 실행 프로그램(238)이 기억되어 있다. 설정값 영역(236)은 각 표준 수명(239), 각 수명 임계값(240), 복수의 설정값을 포함하고 있는 각 교환 기준(241), 유닛이 설정된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42), 온도 관련 파라미터 군(244), 습도 관련 파라미터 군(246), 토너 농도 파라미터 군(248), 화상 농도 파라미터 군(250) 및 판정 시기 설정값(252) 등을 기억하고 있다.
각 표준 수명(239)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의 표준 사용량 한계(표준 수명)를 포함하고 있다. 각 수명 임계값(24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의 표준 수명을 초과하고, 표준 수명과 관련된 검지가 불균일하더라도 순정품이 도달하지 않았을 때의 사용량의 임계값(수명 임계값)을 포함하 고 있다. 각 교환 기준(241)은 토너 카트리지(52)가 교환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각 교환 기준(241)은 현상제 용기(48) 내의 토너 농도(교환 주기 토너 농도)의 하한값과, 중간 전사체(74) 상의 화상 농도(교환 주기 화상 농도)의 하한값 등을 포함하고 있다. 유닛이 설정된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42)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되어야 하는 상태(교환 기준)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는 횟수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유닛에 대해서, 2 이상의 정수가 설정되어 있다. 온도 관련 파라미터 군(24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습도 관련 파라미터 군(246)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습도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토너 농도 파라미터 군(248)은 현상제 용기(48) 내의 토너 농도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농도 파라미터 군(250)은 중간 전사체(74) 상의 화상 농도를 제어하는 것과 관련된 각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판정 시기 설정값(252)은, 동작 모드에 적합하게 화상 형성 장치(10)가 인쇄 준비를 실행하는 처리 등에서 CPU(202)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개시하기 전까지 걸리는 기간(판정 시기)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 NVM(228)는 대응 유닛 정보 영역(254)과 본체측 갱신 영역(25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대응 유닛 정보 영역(254)은 대응 기종 코드(258) 및 대응 국가 코드(260)를 기억하고 있다. 대응 기종 코드(258)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 이 각각 화상 형성 장치(10)에 적합한 기종인지를 표시하는 기종 테이블(데이터)을 기억하고 있다. 대응 국가 코드(26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의 사양(specification)이 모든 국가에 대해서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국가 테이블(데이터)을 기억하고 있다.
본체측 갱신 영역(256)은 각 유닛의 장착 이력(262), 본체측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264), 본체측에서 유닛이 수명 임계값에 도달한 횟수(266), 각 검지 이력(268), 각 동작 모드 이력(270) 등을 기억하고 있다. 각 유닛 장착 이력(262)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의 장착 이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순정품이 장착되었음을 나타낸 값은 각 유닛 장착 이력(262) 각각의 초기 상태(초기값으로서)로 기억되어 있다. 본체측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264)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때의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사용량)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각 유닛의 사용량은 각 유닛 각각의 누적 동작 시간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본체측에서 유닛이 수명 임계값에 도달한 횟수(266)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이 수명 임계값에 도달한 횟수를 포함하고 있다. 각 검지 이력(268)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 등에 의해서 검지된 검지 결과의 이력(history)을 포함하고 있다.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교환 가능 유닛에 적용된 동작 모드의 이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체측 갱신 영역(256)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본체측 갱신 영역(256)에 기입될 때 CPU(202)에 의해서 압축(compress)될 수도 있고, 본체측 갱신 영역(256)으로부터 판독될 때 CPU(202)에 의해서 압축 해제될 수도 있다.
유닛 NVM(184)은 유닛 정보 영역(272), 유닛측 갱신 영역(27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닛 정보 영역(272)은 기종을 나타낸 기종 코드(276), 기종의 사양(specification)이 설정된 국가를 나타낸 국가 코드(278), 각 유닛에 고유한 제조 번호(280), 제조 일자(282), 유닛의 표준 수명의 값(value)을 나타낸 표준 수명(283), 유닛의 수명 임계값을 나타낸 수명 임계값(284) 및 처리 제어를 위한 처리 파라미터(286) 등을 기억하고 있다.
유닛측 갱신 영역(274)은 토너 카트리지(52)를 사용하기 개시했을 때의 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토너 카트리지(52)의 사용량을 나타낸 라이프 카운트 값(288), 각 유닛이 각 교환 기준(241)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를 나타낸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 관련된 검지 이력 정보(292) 등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에 기억되어 있는 횟수 및 라이프 카운트 값(288)이 영(0)으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관련된 검지 이력 정보(292)는 화상 담지체(54)의 회전수와 폐토너 충만 센서(198) 등과 같은 토너 카트리지(52)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 가능한 관련된 정보의 이력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10)에 화상 형성 신호가 송신되면, 화상 담지체(54)는 대전 장치(60)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되며,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노광 장치(68)로부터 상기 대전된 화상 담지체(54)로 광선(light ray)이 방사 된다. 노광 장치(68)로부터의 상기 광선은 화상 담지체(54)의 표면을 노광하며, 따라서 잠상(latent image)이 형성된다.
화상 담지체(54)에 의해서 담지된(carried) 잠상은 현상제 용기 유닛(44)에 의해서 현상 위치에서 현상된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에서, 현상제 용기(48a~48d)에는 토너 카트리지(52a~52d)로부터 황색, 마젠타, 시안, 흑색이 각각 공급된다. 또한 현상제 용기(48a~48d)에 과잉 공급된 현상제는 각각 토너 카트리지(52a~52d)로 회수된다. 현상제 용기 유닛(44)의 현상제 용기(48a~48d)에 의해서 각각의 컬러로 현상되는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체(74)에 중첩되어 일차 전사된다. 일차 전사시, 화상 담지체(5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화상 담지체(54)용의 클리너(62)로 폐기되어 회수된다.
한편 급지 신호 등을 수신하면, 급지 롤러(26)에 의해서 급지되는 급지 카세트(24)에 수용된 용지는 리타드 롤러(28)에 의해서 분리되고, 반송로(34)로 각각 안내된다. 그리고 나서 용지는 레지스트 롤러(38)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정지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이차 전사 롤러(88) 및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 사이로 안내된다. 용지가 이차 전사 롤러(88)와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 사이에서 안내될 때, 일차 전사에 의해서 네 색상의 컬러가 중간 전사체(74)에 중첩된 토너 화상은 이차 전사 롤러(88) 및 이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의해서 용지 상에 이차 전사된다. 이차 전사 이후에 중간 전사체(74)에 잔류하는 폐토너는 중간 전사체(74)용의 클리너(82)로 폐기되어 회수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 장치(100)로 안내되며, 용지 상의 토너 화 상은 가열 롤러(102) 및 가압 롤러(104)에 의해서 생성된 열압력에 의해서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출 롤러(40)에 의해서 배출구(36)로부터 배출부(42)를 향해서 배출된다. 제어 유닛(106)은 유닛 NVM(184)과 본체 NVM(228)가 토너 카트리지(52)의 라이프 카운트 값 등을 기억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체 NVM(228)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량(라이프 카운트 값)에 대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의 (a) 및 도 27의 (b)는 현상제의 대전 능력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7a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토너 농도의 설정을 나타내고, 도 27의 (b)는 현상제의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도 27의 (a) 및 도 27의 (b)에 나타낸 설정에 의해 보정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6a는 보정된 토너 농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6의 (b)는 보정된 화상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토너 카트리지(52)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제 용기(48) 내에서 담지체(carrier)에 의해서 소정의 극성 및 전하량을 가지도록 마찰 대전된다. 현상제가 사용되면, 도 14에 나타낸 순정품 토너(P)의 특성과 동일하게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서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한다.
따라서 트리클(trickle) 현상 방식을 채택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용지에 형성된 화상의 화질을 소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상제 용기(48) 내의 토너 농도 및 중간 전사체(74) 상의 화상 농도에 대한 설정을 보정하도록 화상 형성 장 치(10)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CPU(202)는 토너 화상 농도 파라미터 군(248)에 기억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48) 내의 화상 농도의 설정값을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 증가하도록 보정하여,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하더라도 용지에 전사될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CPU(202)는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된 설정값(도 27a에서 토너(P)에 대응하는 설정(S))에 따라서 제 1 오거(118)를 회전시키고, 토너 농도 센서(142)에 의해서 검지되어지는 토너 농도가 사양(specification)의 소정값 이하로 되지 않도록 토너 농도를 유지한다.
또한, CPU(202)는 토너 화상 농도 파라미터 군(250)에 기억되어 있는 현상제 용기(48) 내의 화상 농도의 설정값을 현상제의 사용량에 따라 증가하도록 보정하여, 현상제의 대전 능력이 저하하더라도 용지에 전사될 화상의 농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CPU(202)는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된 설정값(도 27의 (b)에서 토너(P)에 대응하는 설정(S'))에 따라서 제 1 오거(118)를 회전시키고, 토너 농도 센서(90)에 의해서 검지되어지는 토너 농도가 사양의 소정값 이하로 되지 않도록 토너 농도를 유지한다.
한편,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순정품인 토너(X)와 토너(Y)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52)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 순정품 카트리지가 아닌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된 경우에는, 토너(X) 또는 토너(Y)가 순정품(P)의 특성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용지 상에 형성되어질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토너(P)에 대응한 설정(S) 및 설정(S')과는 다 른 보정된 설정값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순정품 토너(X)와 토너(Y)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52)의 구성과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 순정품 카트리지가 아닌 임의의 토너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현상제 사용량의 보정은 토너 농도 설정값의 변화(그래디언트)의 정도를 증감시키거나(도 27a에서 m1 또는 m2), 한계값을 증감시키거나(m1 또는 m2), 초기값(사용량=0)을 변경하거나(m3), 사용량에 따라서 설정값을 변화시키지 않거나(m4), 예를 들어 초기값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의 변화가 없도록 하는(m5) 것과 같은 변화될 조건들의 조합에 의해서 변화되어진다. 이 변화는 유저가 UI 장치(18)를 통해서 순정품에 대응하는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허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현상제 사용량에 대한 화상 농도의 설정값과 관련하여, 현상제 사용량의 보정은 설정값의 변화(그래디언트)의 정도를 증감시키거나(도 27의 (b)에서 m1' 또는 m2'), 한계값을 증감시키거나(m1' 또는 m2'), 초기값(사용량=0)을 변경하거나(m3'), 사용량에 따라서 설정값을 변화시키지 않거나(m4'), 예를 들어 초기값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량에 따른 설정값의 변화가 없도록 하는(m5') 것과 같은 변화될 조건들의 조합에 의해서 변화되어진다. 이 변화는 유저가 UI 장치(18)를 통해서 순정품에 대응하는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허용하여 수행된다. 또한 순정품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는 토너 농도의 설정과 다른 파라미터 등의 설정을 조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는 상술한 조건(설정)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동작 모드에서, 제한값에 도달할 때까지 의 사용량이 변화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교환 가능 유닛의 설정과 조합된 설정값이 목표값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된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억부(204)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는 UI 장치(18)에 의해 표시(display)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이라면, CPU(202)는 UI 장치(18)를 제어하여 토너의 잔량을 표시하며, 반면 토너 카트리지(52)가 비순정품이라면 CPU(202)는 UI 장치(18)를 제어하여 토너 사용량을 표시한다. 이는 토너 카트리지(52)가 비순정품인 경우에 토너의 양(quantity)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토너의 잔량을 계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10)에 탈착 가능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갱신하는 순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52)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장착되면, 유닛 NVM(184)의 라이프 카운트 값(288) 및 각각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RAM(226)을 통해서 본체 NVM(228)의 본체측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264) 및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66)에 각각 기입된다.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하면, 각 라이프 카운트 값(264),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66) 및 본체측의 각 검지 이력(268)이 기억된 내용이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사용량에 따라서 갱신되고, 소정의 시기 또는 주기에 RAM(226)을 통해서 유닛 NVM(184)의 라이프 카운트 값(288), 각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 및 관련된 이력 정보(292)에 기입된다(F102 내지 F106).
예를 들어, 개폐 커버(16) 등의 개폐 등의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F108), 유닛 NVM(184)의 라이프 카운트 값(288) 및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RAM(226)을 통해서 본체 NVM(228)의 본체측의 각 라이프 카운트 값(288) 및 각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66)에 기입된다(F110).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F108), 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하면, 각 라이프 카운트 값(288),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66) 및 본체측의 각 검지 이력(268)이 기억된 내용이 토너 카트리지(52) 등의 사용량에 따라서 갱신되고, RAM(226)을 통해서 소정의 시기 또는 주기에 유닛 NVM(184)의 라이프 카운트 값(288),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 및 관련된 이력 정보(292)에 기입된다(F112 내지 F116).
도 29는, 예를 들어, 시간에 대략 비례하여 토너 카트리지(52)가 사용된(화상 형성 장치(10)가 동작한) 경우의, 본체 NVM(228) 및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고 갱신된 사용량(라이프 카운트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NVM(228)에 기억되어 있는 라이프 카운트 값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에 따라서 갱신되며,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 는 라이프 카운트 값은 소정의 시기 또는 주기에 갱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명 임계값은 토너 카트리지(52)의 표준 수명과 관련된 검지가 불균일하더라도 순정품에는 도달하지 않았을 때의 사용량 한계값이다. 따라서 유닛 NVM(184)에 기억되어 있는 라이프 카운트 값이 수명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면, 토너 카트리지(52) 또는 토너 카트리지(52)의 토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비순정품인 것으로 판별된다.
도 30은 토너 카트리지(52)의 수명 임계값(52)에 의거하여 CPU가 토너 카트리지(52)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처리(S101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비순정품인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카트리지(52)에 수용된 토너만이 비순정품인 것을 포함하고 있다.
도 31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서 수행되어 유저가 비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비순정품용의 동작 모드 선택 처리(S102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서 수행되어 유저가 순정품에 대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순정품용의 동작 모드 선택 처리(S103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1100(S1100)에서, CPU(202)는 유닛 NVM(184)으로부터 라이프 카운트 값(288)을 판독한다.
단계 1102(S1102)에서, CPU(202)는 프로그램 ROM(224)의 각 수명 임계값 (240)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52)의 수명 임계값을 판독한다. 여기에서 수명 임계값은, 수명 임계값 대신에 표준 수명을 판독하고, 이미 프로그램된 계수(coefficient)를 곱해서 구할 수도 있다. 또한 판별 코드 및 판별 코드에 대응하는 임계값은 프로그램에서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판독한 판별 코드에 대응하는 임계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1104(S1104)에서, CPU(202)는 S1100에서 판독한 라이프 카운트 값(288)이 S1102에서 판독한 토너 카트리지(52)의 수명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라이프 카운트 값(288)이 토너 카트리지(52)의 수명 임계값 이하이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와 토너 카트리지(52) 내의 토너를 순정품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후에 처리는 S1030으로 진행한다. 라이프 카운트 값(288)이 토너 카트리지(52)의 라이프 카운트 값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라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를 순정품으로 간주하고, 이후에 처리는 S11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106(S1106)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유닛의 장착 이력에 포함되어 있는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이력을 현재 장착되는 토너 카트리지가 비순정품인 것으로 갱신하고, 처리는 S1020으로 진행한다.
단계 1200(도 31의 S1200)에서, UI 장치(18)는 도 21의 (b)에 나타낸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8)을 표시한다.
단계 1202(S1202)에서, CPU(202)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8)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296a)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296b)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종료되었 는지를 판단한다. 키 버튼(296a, 296b)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종료되면, 처리는 S1204로 진행한다. 동작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이 없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유저가 임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1204(S12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을 S1202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로 갱신(덮어쓰기 포함)한다.
단계 1300(도 32의 S1300)에서 UI 장치(18)는 도 21a에 나타낸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4)을 표시한다.
단계 1302(S1302)에서, CPU(202)는 동작 모드 선택 화면(294)에 표시된 디폴트 모드(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버튼(296a) 또는 다른 동작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296b)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키 버튼(296a, 296b)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종료되면, 처리는 S1304로 진행한다. 동작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이 없으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유저가 임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1304(S1304)에서, CPU(202)는 본체 NVM(228)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을 S1302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로 갱신(덮어쓰기 포함)한다.
단계 1108(도 30의 S1108)에서, CPU(202)는 가장 최근의 각 동작 모드 이력(270)에 포함되어 있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적합한 인쇄 준비를 수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108의 인쇄 준비에서, 예를 들어,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2)가 순정품인지 아닌지가 UI 장치(18)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는 다른 복수의 다른 동작 모드를 구성하여 유저가 이들 복수의 다른 동작 모드 중에서 임의의 동작 모드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교환 가능 유닛이 비순정품이더라도, 유저는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는 다른 임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모든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 경우에는, 유저에 의해서 선택되는 동작 모드를 제한하여 화상 형성 장치(10)가 순정품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서만 동작시켜 유저의 잘못된 판단에 기인하는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에 탈착 가능한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방법의 제 1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은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방법의 제 1 변형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S1040)이다. 또한 도 33에 나타낸 S1040에서, 도 30에 나타낸 S10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첨부하였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1400(S1400)에서, CPU(202)는 유닛 NVM(184)의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로부터 교환 기준 도달 횟수를 판독한다.
단계 1402(S1402)에서, CPU(202)는 S1400에서 프로그램 ROM(224)으로 유닛의 교환 기준 도달 설정 횟수(242)로부터 판독한 교환 기준 도달 횟수에 따라서 교환 기준 도달 설정 횟수를 판독한다. 여기에서 교환 기준 도달 설정 횟수는, 예를 들어 2이다.
단계 1404(S1404)에서, CPU(202)는 S1400에서 판독한 교환 기준 도달 횟수가 S1402에서 판독한 교환 기준 도달 설정 횟수(그 값은 2)와 동일하거나 더 작은지를 판별한다. 교환 기준 도달 횟수가 2와 동일하거나 더 적으면,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와 토너 카트리지(52) 내의 토너를 순정품으로 간주하고, 이후에 처리는 S1030으로 진행한다. 교환 기준 도달 횟수가 2를 초과하는 경우 CPU(202)는 토너 카트리지(52)를 비순정품으로 간주하고, 이후에 처리는 S1106으로 진행한다.
또한 교환 가능 유닛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대한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방법의 제 1 변형례(S1040)에서, S1030의 처리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이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서, 도 1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첨부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는 5 개의 무선 통신부(304a~304d 및 308),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각 황색, 마젠타, 시안 및 흑색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 (305a~305d), 감광체(photoreceptor) 등의 화상 담지체를 갖는 화상 담지체 유닛(309) 및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회수된 폐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폐토너 회수병(collecting bottle) 등과 같은 교환 가능 유닛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309)에 설치된 폐토너 회수병에는,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폐토너 충만 센서(198) 및 플로트(200)(float)가 설치되어, 폐토너 회수병이 충만했는지 아닌지가 검지된다.
무선 통신부(304a~304d 및 308)는 도 8에 나타낸 무선 통신부(56)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메모리 칩(306)은 도 9에 나타낸 메모리 칩(17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305a~305d)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305a~305d)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메모리 칩(306)은 각각의 무선 통신부(304a~304d) 근방에 위치되며, CPU(202)의 제어 하에서 각각의 무선 통신부(304a~304d)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메모리 칩(310)은 도 9에 나타낸 메모리 칩(17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화상 담지체 유닛(309)에 설치된다. 또한 메모리 칩(310)은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검지 결과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309)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메모리 칩(310)은 무선 통신부(308) 근방에 배치되고, CPU(202)의 제어 하에서 무선 통신부(308)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 대해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 대한 탈착 가능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 방법에 대해 서 설명한다.
도 34는 CPU(202)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에 대하여 화상 담지체 유닛(309)이 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처리(S1050)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1500(S1500)에서, 무선 통신부(308)는 CPU(202)의 제어 하에서 화상 담지체 유닛(309)의 메모리 칩(310)으로 통신 개시 신호(전자파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1502(S1502)에서, CPU(202)는 무선 통신부(308)를 통해서 메모리 칩(310)이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했는지를 확인하고, 무선 통신부(308)와 메모리 칩(310)이 서로 통신 가능한지를 판별한다. CPU(202)가 무선 통신부(308) 및 메모리 칩(310)이 서로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하면, 처리는 S1510으로 진행한다. 한편 무선 통신부(308)와 메모리 칩(310)이 서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별되면, 처리는 S1504로 진행한다.
단계 1504(S1504)에서, CPU(202)는 무선 통신부(308)와 메모리 칩(310)이 통신 가능하다고 판별한 통신 불가능 횟수(n)에 일(1)을 추가한다. 또한 상기 통신 불가능 횟수(n)는, 예를 들어, RAM(226) 등과 함께 CPU(202)에 의해서 계수(count)되는 영(0)의 초기값을 갖는 값이다.
단계 1506(S1506)에서, CPU(202)는 통신 불가능 횟수(n)가 삼(3)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통신 불가능 횟수(n)가 삼(3) 미만이면, 처리는 S1500으로 진행하지만, 통신 불가능 횟수(n)가 삼(3)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면 처리는 S1508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S1506에서 사용된 값(삼(3))은 프로그램 ROM(224)의 유닛이 설정된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42)에 포함된 정수(integer)이며, 무선 통신부(308) 및 메모리 칩(310) 사이의 통신을 복수회 이상(2 회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1508(S1508)에서, CPU(202)는 화상 담지체 유닛(309)이 비순정품 등임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도시하지 않음)를 설정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화상 담지체 유닛(309)을 비순정품이라고 간주한다.
단계 1510(S1510)에서, CPU(202)는 무선 통신부(308)를 통해서 메모리 칩(310)의 유닛 NVM(184)으로부터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검지 결과를 판독한다.
단계 1512(S1512)에서, S1510의 처리에서 판독한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폐토너 회수병이 충만(full)했는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폐토너 회수병이 충만되면, 처리는 S1514로 진행하지만, 폐토너 회수병이 충만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 1514(S1514)에서, CPU(202)는 S1512의 처리에서 폐토너 회수병이 충만된 판별 횟수를 나타내는 충만 횟수(m)에 일(1)을 추가한다. 또한 상기 충만 횟수(m)는 영(0)의 초기값을 가지고 있으며,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90) 및 본체측의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회수(266)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억되어 있다.
단계 1516(S1516)에서, CPU(202)는 충만 횟수(m)가 삼(3)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충만 회수(m)가 삼(3) 미만이라면, 처리는 S1518로 진행하지만, 충만 회수(m)가 3과 같거나 그 이상이면 처리는 S1520으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S1516 에서 사용된 값(삼(3))은 프로그램 ROM(224)의 유닛이 교환 기준에 도달한 횟수(242)에 기억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값은 S1512의 판별이 복수회(2 회 이상으로 설정) 수행되도록 설정된다.
단계 1518(S1518)에서, CPU(202)는 인쇄 수행과 같은 폐토너 충만 센서(198)의 검출 결과의 변화를 주는 이벤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와 같은 이벤트가 있으면, 처리는 S1510으로 진행한다. 반면 이벤트가 없었다면, CPU(202)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1520(S1520)에서, CPU(202)는 화상 담지체 유닛(309)이 비순정품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도시하지 않음)를 설정하고, 이 화상 담지체 유닛(309)을 비순정품이라고 간주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례는 메모리 칩(310)과 무선 통신부(308) 사이의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부(308)가 화상 담지체 유닛과 통신 가능한지 아닌지 또는 화상 담지체 유닛이 비순정품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 유닛이 비순정품인지 아닌지는 무선 통신부(308)가 화상 담지체 유닛과 통신 가능한지에 의해서만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308)로부터 메모리 칩(310)의 유닛 NVM(184)으로의 정보 기입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는,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의해서 순정품 이외의 교환 가능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을 교환한 후에 상기 동작 모드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경우 발생될 수도 있는 상황을 유저가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적용될 동작 모드의 이력 및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의 장착 이력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경우,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되기 전의 상태에 의해서 발생되는 악형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유저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적합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Claims (20)

  1.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여,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순정품인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 모드가 디폴트(default)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를 수행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여,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의 교환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서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된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후에,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호스트 장치(host apparatus)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는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9.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유저에게 동작 모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여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유저가 동작 모드를 입력한 경우로서, 동작 모드가 디폴트 이외를 선택했을 때에는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0.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유저에게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여,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동작 모드의 어느 것인지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여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한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1.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유저에게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여,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동작 모드의 어느 것인지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여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한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2.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장착된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 이외의 것이라고 판별된 경우는, 유저에게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르며, 순정품 이외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여,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화상 농도를 조정하여 화상을 형성시키는 동작 모드의 어느 것인지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여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및
    유저가 동작 모드를 선택한 경우, 유저의 선택에 따른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3.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설치되어,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교환 가능 유닛측 기억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교환 가능 유닛의 표준 수명을 초과하는 수명 임계값을 기억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기억부,
    교환 가능 유닛측 기억부가 기억하는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기억부가 기억하는 수명 임계값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 순정품 이외의 것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한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삭제
  15.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교환 가능 유닛,
    상기 교환 가능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부,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이라고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횟수를 기억하는 검지 횟수 기억부,
    상기 검지 횟수 기억부에 기억된 검지 횟수가 2이상의 소정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검지 횟수 판단부,
    상기 기억부로부터 획득한 정보 또는 상기 검지 횟수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순정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순정품인 교환 가능 유닛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서 선택된 동작 모드에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토너 화상을 담지(擔持)하는 화상 담지체, 및
    상기 화상 담지체 내에 담지된 상기 토너 화상의 농도를 검지하는 화상 농도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상기 토너가 내장된 유닛이고,
    상기 화상 농도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부를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
    상기 토너와 상기 토너를 마찰 대전시키는 담치제를 하우징하고 있는 토너에 의해 상기 화상 담지체에 담지된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는 현상제 용기, 및
    상기 현상제 용기 내에 하우징된 상기 토너의 농도를 검지하는 토너 농도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상기 토너가 내장된 유닛이고,
    상기 토너 농도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토너를 하우징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토너를 반송하는 토너 반송부, 및
    상기 토너 반송부 내의 상기 토너의 유무를 검지하는 토너 유무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상기 토너가 내장된 유닛이고,
    상기 토너 유무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로부터 회수된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부, 및
    상기 폐토너 수용부가 충만한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폐토너 충만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은 적어도 상기 폐토너를 수용하는 유닛이고,
    상기 폐토너 충만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지부는 상기 교환 가능 유닛이 교환될 것인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삭제
KR1020050022706A 2004-05-17 2005-03-18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0692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46136A JP2005326725A (ja) 2004-05-17 2004-05-17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JP-P-2004-00146137 2004-05-17
JPJP-P-2004-00146136 2004-05-17
JP2004146137A JP2005326726A (ja) 2004-05-17 2004-05-17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09A KR20060044409A (ko) 2006-05-16
KR100692464B1 true KR100692464B1 (ko) 2007-03-09

Family

ID=3493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706A KR100692464B1 (ko) 2004-05-17 2005-03-18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63298B2 (ko)
EP (1) EP1598708A3 (ko)
KR (1) KR100692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0672B2 (en) * 2004-05-17 2008-02-12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execute selected operating mode upon replacement of replaceable unit, and method therefore
JP2005326736A (ja) * 2004-05-17 2005-11-24 Fuji Xerox Co Ltd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システム
JP4650780B2 (ja) *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6078716A (ja) * 2004-09-09 2006-03-23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251548A (ja) * 2005-03-11 2006-09-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717016B1 (ko) 2005-07-2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제어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JP4929671B2 (ja) 2005-10-19 2012-05-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29553A (ja) * 2006-11-27 2008-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186126B2 (ja) * 2006-12-26 2008-1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14123B2 (ja) * 2007-07-24 2013-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装置制御システム
JP4906895B2 (ja) * 2009-08-26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56984B2 (ja) * 2017-02-21 2020-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079981B2 (en) * 2019-02-20 2021-08-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eplacement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581A (ja) * 1999-03-30 2000-10-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088A (en) 1989-04-20 1990-10-02 Xerox Corporation Monitor/warranty system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machines using replaceable cartridges
GB2234467B (en) * 1989-07-04 1993-06-16 Ricoh Kk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placeable process units.
JPH06149051A (ja) 1992-11-08 1994-05-27 Ricoh Co Ltd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該容器又は該カートリッジの再利用判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699091A (en) * 1994-12-22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calibration and other data
JP3375028B2 (ja) * 1995-10-20 2003-02-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689475B2 (ja) * 1996-01-09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33528A (ja) 1996-11-05 1998-05-22 Omron Corp 純正交換部品消耗状態識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158837A (en) * 1997-09-19 2000-12-12 Xerox Corporation Printer having print mode for non-qualified marking material
JP3476396B2 (ja) 1999-09-30 2003-12-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不適正カートリッジの検出方法及び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US6658219B1 (en) * 1999-09-30 2003-12-02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devic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improper cartridge, and cartridge
JP4690532B2 (ja) * 2000-09-26 2011-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装置
JP2002278379A (ja) * 2001-03-19 2002-09-27 Nec Corp 印刷システム、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情報サービスサーバ
US7139494B2 (en) * 2004-04-30 2006-11-2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art detachabl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ain body that switches operation mode based part used
JP4650781B2 (ja) * 2004-05-1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US7206524B2 (en) * 2004-05-17 2007-04-17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having a replacement unit mounted therein
US20050254835A1 (en) * 2004-05-17 2005-11-17 Fuji Xerox Co., Ltd. Image formation apparatus to which replacement unit is attached and image formation system
US7330671B2 (en) * 2004-05-17 2008-02-12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discriminating unit and attached with replacement unit
JP4766365B2 (ja) * 2004-05-17 2011-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4581A (ja) * 1999-03-30 2000-10-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22845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09A (ko) 2006-05-16
US7263298B2 (en) 2007-08-28
EP1598708A2 (en) 2005-11-23
EP1598708A3 (en) 2012-04-11
US20050254839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42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ttached with replaceable unit
KR100692460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US2005025484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73306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execute selected operating mode upon replacement of replaceable unit, and method therefore
KR100692464B1 (ko) 교환 가능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시스템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0690534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시스템
JP4561966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72428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90537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628905B1 (ko) 교환 유닛이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
JP200532448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535244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5326727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39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4735799B2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26734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38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8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41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JP2005326725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5326726A (ja) 交換ユニットが装着され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