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럭스가 충전되어 있는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상기 플럭스가 산화물과 불화물로 이루어진 비금속원료: 0.2~0.5%, Ca+Si+Mn: 2.0~3.1%, Ti,Mg 1종이상의 합: 0.15~0.5%, B: 0.002~0.004% 및 잔여 철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일렉트로가스 아크용접법에 있어서, 용접부 개선단면적이 400㎟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플럭스 충전된 와이어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자는 용접금속내 산소량, 질소량 및 수소량과 비금속 플럭스조성과의 관계성, 그리고 용접금속내 미량 존재하는 침입성 개재물과 금속조직의 영향성연구등을 통하여 용접부 금속의 인성향상 방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로 부터 하기와 같은 최적 플럭스의 조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 충전 와이어를 구성하는 플럭스의 구체적인 조성성분 제한이유를 설명한다.
비금속원료는 슬라그 형성에 의한 양호한 용접비드 외관형성 및 용접 아크 안정화를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비금속원료는 SiO2, Al2O3, TiO2등의 산화물과 CaF2, NaF등과 같은 불화물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함이 좋다. 그러나 상기 비금속원료의 량이 적으면 슬라그 생성이 작아 양호한 비드외관을 얻을 수 없으며, 아울러 그 량이 너무 과도하면 용접금속의 불순개재물 형성을 촉진하여 용접금속의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금속원료 함량을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0.2~0.5%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Ca,Si 및 Mn은 탈산제로서 첨가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 그 전체첨가량을 2.0~3.1%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만일 그 전체함량이 2.0%미만에서는 용접금속내 산소량을 저감하는 효과가 적어 요구하는 정도의 인성과 강도를 갖는 용접부를 얻을 수 없으며, 3.1%를 초과하면 용접금속의 인성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고온균열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Ti와 Mg는 강탈산제 및 강탈질제로써 용접금속내 산소나 질소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최소한 1종이상 첨가될 것이 요구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그 첨가량을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0.15~0.5%로 제한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만일 그 첨가량이 0.15%미만이면 용접금속의 탈산 및 탈질부족으로 인성향상의 효과가 적으며, 0.5%를 초과하면 과도한 슬라그의 형성으로 아크 안정성을 해치기 때문이다.
B는 용접금속의 조직미세화를 촉진시켜 용접금속의 인성향상을 도모할 목적으로 첨가되며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 첨가되는 B의 함량을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0.002~0.004%로 제한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0.002%미만에서는 조직미세화효과가 적고, 0.004%를 초과하면 용접금속의 항복점과 인장강도의 격차를 좁게하는 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그 성분이 제어된 플럭스가 충전된 본 발명의 와이어는 용접개선 단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인성이 우수한 용접금속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럭스에 Ni,Mo을 첨가하므로써 보다 우수한 용접부 금속의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Ni은 용접금속조직을 인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인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그 첨가량이 과다하면 강도상승을 초래하여 인성을 해칠수 있다. 그리고 Mo은 용접금속의 고온화상태에서 그 조직열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더불어 용접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 첨가량이 과도하면 강도가 상승하여 인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용접금속의 고온균열방지와 인성확보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i,Mo를 1종이상첨가하고 그 첨가량을 상기 와이어에 대한 중량%로 1%이내로 제한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1과 같이 그 조성을 달리하는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용 플럭스를 각각 마련하였다. 그리고 도 1a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와 같이 마련된 각 플럭스를 외피내에 충전시켜 그 선경이 1.6mm인 용접용 와이어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로부터 제조된 각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 2와같은 두께 35mm의 SM490 용접모재를 용접하였다. 이때 용접조건은 하기 표 2와 같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같이, 용접부개선 단면적이 600㎟가 되도록 용접조건을 고려하였다.
구 분 |
발 명 예 |
비 교 예 |
와이어 번호 |
1 |
2 |
3 |
4 |
5 |
6 |
1 |
2 |
3 |
4 |
5 |
6 |
7 |
8 |
플럭스조성(중량%) |
비금속원료 |
CaF2 |
- |
0.2 |
0.2 |
0.1 |
- |
0.15 |
0.2 |
- |
0.2 |
- |
0.2 |
0.1 |
- |
0.2 |
NaF |
0.2 |
0.05 |
0.05 |
0.05 |
0.05 |
0.1 |
0.05 |
0.1 |
0.05 |
0.1 |
0.05 |
0.1 |
0.05 |
0.1 |
SiO2 |
0.2 |
- |
0.1 |
- |
0.2 |
0.1 |
0.1 |
0.2 |
- |
0.1 |
- |
0.1 |
0.05 |
- |
Al2O3 |
0.05 |
0.1 |
- |
- |
0.05 |
- |
- |
- |
0.2 |
0.2 |
0.2 |
- |
0.05 |
0.5 |
TiO2 |
0.05 |
- |
0.1 |
0.05 |
- |
- |
0.1 |
0.1 |
- |
0.1 |
- |
- |
- |
- |
합계 |
0.5 |
0.35 |
0.45 |
0.2 |
0.3 |
0.35 |
0.45 |
0.4 |
0.45 |
0.5 |
0.45 |
0.3 |
0.15 |
0.8 |
Ca |
0.15 |
0.2 |
0.2 |
0.1 |
0.2 |
0.1 |
0.15 |
0.1 |
0.15 |
0.1 |
0.1 |
0.3 |
0.2 |
0.25 |
Si |
0.35 |
0.4 |
0.4 |
0.2 |
0.4 |
0.2 |
0.35 |
0.5 |
0.35 |
0.5 |
0.2 |
0.8 |
0.2 |
0.35 |
Mn |
2.05 |
1.85 |
1.9 |
2.0 |
2.1 |
2.0 |
2.25 |
2.4 |
2.25 |
2.1 |
1.6 |
2.5 |
2.2 |
2.15 |
Ca+Si+Mn |
2.55 |
2.4 |
2.5 |
2.3 |
2.7 |
2.3 |
2.75 |
3.0 |
2.75 |
2.7 |
1.9 |
3.6 |
2.6 |
2.75 |
Ti |
0.1 |
- |
0.2 |
0.3 |
0.1 |
0.2 |
0.1 |
- |
0.1 |
0.4 |
0.1 |
0.2 |
0.2 |
0.3 |
Mg |
0.1 |
0.2 |
0.2 |
0.2 |
0.1 |
0.1 |
0.1 |
0.2 |
- |
0.2 |
0.1 |
0.2 |
0.1 |
- |
Ti+Mg |
0.2 |
0.2 |
0.4 |
0.5 |
0.2 |
0.3 |
0.2 |
0.2 |
0.1 |
0.6 |
0.2 |
0.4 |
0.3 |
0.3 |
Ni |
- |
- |
- |
- |
0.7 |
0.5 |
- |
- |
- |
- |
- |
- |
- |
- |
Mo |
- |
- |
- |
- |
- |
0.2 |
- |
- |
- |
- |
- |
- |
- |
- |
Ni+Mo |
- |
- |
- |
- |
0.7 |
0.7 |
- |
- |
- |
- |
- |
- |
- |
- |
B |
0.002 |
0.003 |
0.004 |
0.002 |
0.002 |
0.004 |
0.001 |
0.01 |
0.003 |
0.002 |
0.003 |
0.003 |
0.004 |
0.003 |
Fe 분말 |
16.7 |
17.0 |
16.6 |
17.0 |
16.1 |
16.3 |
16.6 |
16.4 |
16.7 |
16.2 |
17.4 |
15.7 |
16.9 |
16.1 |
모재 강종 |
모재두께(mm) |
개선각도 |
이면 Gap(mm) |
용접전류(A) |
용접전압(V) |
개선 단면적(㎟) |
보호가스유량(ℓ/min) |
SM490 |
35 |
20°(2θ)V |
11 |
420 |
40 |
600 |
35(CO2) |
상기의 용접조건으로 각 와이어들을 용접한후, 도 2에 나타난 용접부 금속의 용접성과 인장특성 및 충격인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측정된 각 특성들을 종합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구 분 |
발 명 재 |
비 교 재 |
와이어 No. |
1 |
2 |
3 |
4 |
5 |
6 |
1 |
2 |
3 |
4 |
5 |
6 |
7 |
8 |
용접성 |
비드외관 |
○ |
○ |
○ |
○ |
○ |
○ |
○ |
△ |
○ |
△ |
○ |
○ |
X |
△ |
슬라그박리성 |
○ |
○ |
○ |
○ |
○ |
○ |
○ |
○ |
△ |
○ |
○ |
○ |
X |
△ |
스파터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장특성 |
항복점(N/㎟) |
462 |
480 |
455 |
476 |
495 |
486 |
441 |
490 |
425 |
480 |
405 |
540 |
486 |
485 |
인장강도(N/㎟) |
540 |
564 |
535 |
543 |
562 |
564 |
510 |
530 |
502 |
590 |
480 |
625 |
564 |
546 |
연신율(%) |
26 |
26 |
27 |
26 |
25 |
25 |
26 |
24 |
27 |
23 |
29 |
21 |
26 |
27 |
충격흡수에너지(J) |
vE 0 |
108 |
103 |
105 |
107 |
164 |
165 |
61 |
56 |
45 |
38 |
42 |
34 |
132 |
48 |
vE-20 |
85 |
79 |
81 |
84 |
131 |
124 |
45 |
38 |
28 |
22 |
25 |
61 |
106 |
32 |
종 합 평 가 |
○ |
○ |
○ |
○ |
◎ |
◎ |
△ |
△ |
△ |
X |
△ |
△ |
△ |
X |
단, 표에서 ◎는 매우 우수, ○는 우수, △는 보통, X는 불량을 나타낸다.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재(1~4)을 이용하여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법으로 용접하는 경우, 용접성과 인장특성뿐만 아니라 충격인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발명재 5와 6은 Ni,Mo을 1%이하의 범위로 1종이상 첨가한 경우로서 발명재(1~4)에 비하여 충격인성이 보다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B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에 벗어나는 비교재 1과 2을 이용하여 일렉트로가스 아크 용접을 할 경우, 비록 인장특성은 양호하나 그 충격인성이 열화되며 비교재 2의 경우 항복점과 인장강도의 격차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어 용접개선단면적이 넓은 경우의 용접와이어로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Ti,Mg의 첨가량 측면에서 본 발명과 구별되는 비교재 3과 4은 그 충격인성이 나쁨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Ca+Si+Mn의 전체함량에서 본 발명과 구별되는 비교재 5와 6의 경우에도 전반적으로 그 충격인성이 열화되어 용접개선 단면적이 넓은 경우의 용접재로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금속원료함량측면에서 본 발명과 구별되는 비교재 7과 8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경우, 비록 인장특성과 충격인성은 양호하나 슬라그 박리성이 나빠 건전한 용접비드를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b에서와 같이, 표1의 용접용 플럭스를 외피내에 충전시켜 그 선경이 1.6mm인 용접용 와이어를 제조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조건으로 용접을 실시한 경우에도 상기 표 3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