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레츠

Zhrets
슬라브족의 불의 사제 얀 마테즈코, ca. 1870

즈레트(Zhretes[a])는 슬라브 종교사제로, 이름은 문자 그대로 "희생하는 자"를 의미합니다.이름은 주로 동슬라브어와 남슬라브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반면 서슬라브어에서는 폴란드어로만 증명됩니다.슬라브 사제직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폴라비아 슬라브족의 이교도에 대한 라틴어 문헌에서 비롯됩니다.그 묘사들은 그들이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고, 을 치고, 축제의 날짜를 결정하는 일에 종사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그들은 우주론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기독교에 대한 저항의 주요 원천이었습니다.

어원

단어의 최초의 증거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사제"[1][2]입니다.다른 슬라브어에서는 러시아어, 벨라루스어,[1][2] 우크라이나어,[3]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이 쓰이며, 이들은 모두 고대 동슬라브어,[2]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슬로베니아어에서 유래했으며 모두 "교황 사제"[2]를 의미합니다.체코어 žrec는 크로아티아어 žrec zrec와 마찬가지로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차용되었습니다.여기서 예외는 역사적으로 "성냥팔이꾼"을 의미하는 폴란드의 증언 에르카입니다.슬라브조어 형태는 동사 *žьrti "봉헌하다, 희생하다"의 대리명사인 *žьrьcь로 재구성되며, OCS жрьтиrěti와 Old East Slavic жеретиereti가 이를 이어가며 문자 그대로 "희생하는 자"를 의미합니다.이 동사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gʷerH- "칭찬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dzir̃t, 고대 프로이센어 girtwei, 산스크리트어 gṛṇā́ti "칭찬하다" 또는 라틴어 grātēs "감사하다"와 동음이 됩니다.이 동사는 또한 OCS жрьтва, ⰶⱃⱐⱅⰲⰰĭžtva 및 기타 관련 단어에 의해 계속되는 *žьrtva "sacrificiation"을 파생됩니다.

고대 폴란드어에서 즈레트는 15세기 초부터 16세기까지 신약성경[d] 폴란드어 번역본에서 라틴어 architriclinus와 동등한 의미로 "matchmaker"를 의미하며, 나중에 라틴어 단어 pronubusparanymph의 동의어로 나타나는 사전에서만 나타납니다.우리와 폴란드 스와트, 지에보슈브, 호흐미스트르츠, 마르샤베크 베셀니.오직 하나의 증명어에서 모든 결혼식 [e]하객들을 부를 때 사용된 단어인 "yircowie" (yirca에서 복수)만 사용되었습니다.새뮤얼 린데의 사전에는 이 단어들 외에도 부디에서 온 제레키, 피미나와 사코비츠에서 온 체르코프서르토닉 "희생적인 식탁", 서르투와 또는 서르투와치라는 단어들도 언급되어 있지만, 이 단어들은 구 교회 슬라브어의 외래어로 여겨집니다.그러나 이러한 이유로 OCS 텍스트에서 라틴어 architriclinusarchitriklinĭ로 슬라브어화되거나 다른 단어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żyrzec라는 단어는 OCS에서 차용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동슬라브어의 단어들과 대조적으로, 폴란드어의 단어들은 결코 "사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중매인"을 의미하는데, 이는 이교도의 사제들이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는 것 외에도 중매인에 종사했다는 사실로 설명됩니다.결혼은 오랫동안 기독교 교회의 통제를 벗어났고 그들은 사람들에게 교회 결혼식을 강요하기 전에 가혹한 처벌을 사용했습니다.폴란드 결혼의 역사에 대한 연구도 중매인이 성직자로서의 [5]자질을 가졌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폴란드어 단어의 기본 형태는 żrzec로 간주되는데, 이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 형태인 ĭrĭcžĭ에 근거하여 żrzec, żrca의 형태를 기대해야 하지만, 가장 오래되고 빈번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이유로, Jan śoż는 이 단어를 ьźka, d,wirze, chrzybiet의 단어 그룹에 포함시켰는데, 여기서 was는 i길어졌습니다.단어 개발의 차질은 또한 단어 즉, 때문에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체르카가 체르카로 바뀌었고, 모든 폴란드어 단어 -ir-와 -yr-가 -er-로 바뀌었을 때, 체르체크체르카가 [5]형성되었습니다.

설명 및 기능

창세기

슬라브인의 사제직에 관한 주요 정보는 폴라비아 슬라브인의 사제직에 관한 것입니다.발전된 폴라브 사제직의 기원은 불분명합니다: Kazimierz Wachowski는 Velleti (Lutici) 부족의 통치자들이 고위 성직자의 동시적인 지위를 가졌다고 믿었고, 비슷한 견해를 표현하는 Leszek Paw s Supupecki는 왕자-사제가 원래 후에 벨레티족 중에서 sacrumpropanum의 영역을 결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분리되었습니다.다른 많은 연구자들은 족장직과 사제직의 연관성을 지적합니다.헨리크 워브미아인스키는 다른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 그는 주요 지점에서 서슬라브 종교의 발전이 기독교를 모델로 한다고 믿었습니다.그러나 궁극적으로 이러한 견해들은 추측에 불과합니다. 왜냐하면 중세의 자료들은 성직자들의 선출이 어떻게 [6]진행되었는지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폴라비아 슬라브족

전투 전 점, 요제프 리스키에비치, 1890

대부분의 슬라브족 남성들과 달리 성직자들은 긴 머리와 수염을 가졌고 긴 [7]예복을 입었습니다.

묘사에 따르면, 폴라브 사제들은 주로 점술에 종사했습니다.그들은 주로 의 도움을 받아 점을 세 번이나 치렀습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라니족 중에서 말이 땅에 비스듬히 박힌 일련의 창들 사이에서 세 번이나 이끌려 서로 연결되어 있었고, 만약 그 말이 매번 오른쪽 다리로 걷기 시작했다면 그것은 좋은 징조를 의미한다고 말합니다.티에마르에 따르면 유사한 점술이 레스라에서 두 단계에 걸쳐 행해졌으며, 헤르보르드는 포메라니아 사람들 중 사제가 무장한 말을 이끌고 아홉 개의 창에 서너 번을 달렸으며, 말이 창에 발을 대지 않으면 좋은 징조를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라트비아의 헨리는 슬라브인들이 어떻게 신들에게 승려를 제물로 바치려 했는지를 묘사합니다 – 이교도들이 그렇게 해야 하는지는 말의 행동에 의해 결정되고, 문제의 끝은 승려를 살려두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신탁의 예측 불가능성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여기서 운명의 지배자는 신이고, 말은 송신자일 뿐이고, 제사장은 [8]신탁의 집행자입니다.

헬몰드의 연대기에서 매주 월요일 프루에 신의 숲에 사람들과 크냐즈, 사제들이 모여 정의를 베풀었다고 묘사했습니다.숲의 주요한 분리된 부분은 제사장이나 제물을 바치려는 사람들, 또는 [9]위험에 처한 사람들만이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삭소는 또한 아르코나스베토비트 우상에 부착된 뿔이 제사장들에 의해 [10]점을 칠 때에도 사용되었다고 묘사합니다.삭소는 또한 추수가 끝난 후에 거행되는 의식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는데, 클라이막스에서 사람과 비슷한 크기의 큰 제사용 칼라흐를 가져왔는데, 제사장은 성전 앞에 모여 있는 사람들과 자신 사이에 놓고 "나를 보느냐?"고 물었고, 대답이 긍정적일 때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내년에 더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소원이었던 "내년에는 나를 볼 수 없을지도 몰라요.알렉산데르 기에즈토르[11]이 폴라비아의 의식을 불가리아의 정교회 신부가 행했던 것과 동일한 의식과 연결시켰습니다.

성직자들은 또한 우주론을 알고 있었고(슈체신의 성직자들은 우주의 삼자성을 설명했고, 휴일의 날짜를 결정했고,[7] 기독교에 대한 저항의 주요 원천이었습니다.

그 외 슬라브족

동슬라브족이나 남슬라브족뿐만 아니라 폴라브족 밖의 서슬라브족에 대한 슬라브족 사제직에 대한 정보는 더 부족합니다.고대 동슬라브어 문헌에서 사제-채머의 역할은 종종 볼크흐프(Volkhvs)에 의해 수행됩니다.

정치권력

벨레티

레다리아인, 체르키파인, 케시니아인, 톨렌시아인의 연합인 루티치인들피네 강 주변의 넓은 지역에 거주했습니다.티에마르가 이 연합의 체계를 설명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연합은 중앙집권적인 권위가 없었고, 왕이나 크냐즈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집회에서 집단적으로 결정이 내려졌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군주적 리더십의 부족이 성직자들의 영향력 증대로 이어졌을지도 모릅니다.베른하르트 구트만(Bernhard Guttmann)에 따르면, 사제직의 정치적 중요성은 레스라의 사제들 간의 단결의 원칙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이것은 또한 중요한 정치적 중요성을 부여했습니다.독일의 역사학자 볼프강 프리츠(Wolfgang H. Fritze)는 또한 정치에서 사제들의 중요한 역할에 주목하지만, 헌법적으로 권력이 레스라의 사제들의 손에 있지는 않았다고 지적합니다.한편, 체코의 역사학자 리부샤 흐라보바(Libusha Hrabová)에 따르면, 레트라의 성직자들은 기독교의 압력의 결과로 중요성을 갖게 되었고, 레트라 마을 자체는 무엇보다도 외교 정책의 문제에 있어서 거의 군주적인 권력을 갖게 되었습니다.역사학자 로데리히 슈미트도 983년의 폴라비아 슬라브인들의 봉기는 레스라에서의 모임에서 시작되었으며, 1066년 봉기의 승리 기념식이 그곳에서 열렸다고 덧붙였습니다.이 두 사건을 언급한 또 다른 역사학자 요아힘 헤르만(Joachim Hermann)은 제사장들의 주도와 동의가 없었다면 어떤 전쟁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하였고, 뤼티키 언약에서 레스라의 제사장들이 조직한 비밀 동맹을 보는 반면, 만프레드 헬만(Manfred Hellmann)은 정반대의 견해를 취하여 제사장직을 얻는다고 믿었습니다.ed 중요성은 봉기의 승리 이후에야 비로소 슬라브 민족기독교의 신보다 슬라브 신들의 우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앤서니 D에 의하면. 사회를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측면(lateral-aristocratic)과 민족적 유대를 강조하고 세계와 분리하는 수직적(vertical-democratic)으로 나눈 스미스는 루티치를 수직적 집단에 배치해야 하며, 이 공동체는 전쟁을 함께 경험하면서 탄생했습니다.부족의 수직성은 종교적 혼합주의, 문화적 동화, 외혼주의의 거부로 이어집니다.그러한 사회의 대표적인 것이 전문화된 사제 계급의 존재입니다.이 견해는 크리스티안 [12]뤼브케가 지지합니다.

라니

라니족의 사제직에 관한 주요 정보원은 삭소 그라마티쿠스게스타 다노룸과 헬몰드크로니카 슬라보룸입니다.이 부족의 경우 학자들은 벨레티족의 경우보다 사회와 정치에서 성직자의 지배적인 역할을 더욱 강하게 지적합니다.이들은 대체로 라니족이 슬라브족 중 유일하게 왕을 가졌다는 헬몰드의 정보를 지적하지만, 그의 권위는 제사장의 권위에 비해 약했다거나, 스베토비트의 제사장들이 300마리의 말과 무려 많은 기병을 거느렸다는 삭소의 정보를 지적합니다.스벤 위허트에 의하면, 대부분의 학자들이 헬몰드의 첫 번째 사제직에 대한 정보를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정언적 해석은 편향되어 있다고 합니다.또한 삭소가 아르코나가 덴마크인들에게 항복한 후 협상 중에 성직자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점도 지적합니다.예를 들어 왕권과 사제권의 공존을 인정한 만프레드 헬만에 의해 보다 온건한 견해가 주장되었습니다.그러나 요아힘 헤르만과 에바마리아 엥겔은 성직자들이 신탁과 그들의 권위의 도움으로 정치적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했습니다.그들은 또한 뤼겐의 시장에 색슨 상인들과 함께 온 기독교 신부가 그곳에서 기독교 신앙심을 갖고 있는 것을 본 라니 신부의 상황을 지적합니다.왕과 백성을 불러들여 기독교를 진흥한 대가로 신들에게 희생시키고 싶었던 기독교 사제의 인도를 요구했습니다.그들의 말에 따르면 이 상황은 사제가 아무런 [13]집행권이 없었음을 증명합니다.

갤러리

참고 항목

메모들

  1. ^ 과학적 번역: žrec
    러시아어:[ʐʲ͡]s]i
    우크라이나어:[ˈʒɛʲʲ]]i
    폴란드어: 에르카 IPA: [ˈʐɛr.t͡sa]
  2. ^ 마테르 베르보룸에 등장하는 체코어 단어 žrec와 žertva는 바츨라프 한카(Urbańczyk 1948)의 위작입니다.
  3. ^ Vasmer는 러시아어 же́ртваertva를 예상된 ё 대신 е의 발생으로 인해 구교회 슬라브어에서 빌려온 것으로 간주했습니다(Vasmer 1986, p. 50).
  4. ^ 그것은 일반적으로 갈릴리카나(Urbańczyk 1948)의 중매인을 가리킵니다.
  5. ^ 1인칭에서 모든 결혼식 하객으로 의미가 바뀌는 유사한 변화는 스와트 → 스와트와토위(Urbańczyk 1948)라는 단어에서도 나타났습니다.

인용문

  1. ^ a b c Vasmer 1986, 페이지 63.
  2. ^ a b c d e Martynau 1985, p. 239.
  3. ^ 빌로슈탄 1971, 페이지 545.
  4. ^ a b Derksen 2008, pp. 566–567.
  5. ^ a b Urbańczyk 1948.
  6. ^ Wichert 2010, 페이지 33-34.
  7. ^ a b Szyjewski 2003, p. 153.
  8. ^ Wichert 2010, 페이지 39-41.
  9. ^ Gieysztor 2006, 페이지 222-223.
  10. ^ Gieysztor 2006, 118-121쪽
  11. ^ Gieysztor 2006, 페이지 10.
  12. ^ Wichert 2010, 34-37쪽.
  13. ^ Wichert 2010, 37-39쪽.

서지학

  • Álvarez-Pedrosa, Juan Antonio (2021). Sources of Slavic Pre-Christian Religion. Leiden: Koninklijke Brill. ISBN 978-90-04-44138-5.
  • Biloshtan, A. P.; Boyko, M. F.; Hradova, V. P.; Kolesnyk, H. M.; Petrovsʹka, O. P.; Yurchuk, L. A. (1971). "ЖРЕЦЬ" [Priest]. In Kostyantynovych, Bilodid Ivan; Dotsenko, P. P.; Yurchuk, L. A. (eds.). 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в 11 томах [Dictionary of Ukrainian Movies in 11 volumes]. Vol. 2. Наукова думка. p. 545.
  • Derksen, Rick (2008).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Slavic inherited lexicon. Leiden Indo-European Etymological Dictionary Series. Leiden: Brill. ISBN 978-900415504-6.
  • Gieysztor, Aleksander (2006). Mitologia Słowian (in Polish). Warsaw: Wydawnictwa Uniwersytetu Warszawskiego. ISBN 978-83-235-0234-0.
  • Martynau, Wiktar Uładzimierawicz (1985). "Жрэц". Этымалагічны слоўнік беларускай мовы (in Belarusian). Vol. 3. Minsk: Навука і тэхніка.
  • Snoj, Marko (2016). "žrẹ̑c". Slovenski etimološki slovar (in Slovenian) (3rd ed.). Ljubljana: Založba ZRC. ISBN 978-961254886-5.
  • Szyjewski, Andrzej (2003). Religia Słowian. Kraków: Wydawnictwo WAM. ISBN 83-7318-205-5.
  • Urbańczyk, Stanisław (1948). "Przeżytek pogaństwa: stpol. żyrzec". Język Polski. 1948, (Maj/Czerwiec) (in Polish).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1919-1952). Komisja Języka Polskiego, Towarzystwo Miłośników Języka Polskiego (3): 68–72. ISSN 0021-6941.
  • Vasmer, Max (1986). "жрец".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in Russian). Vol. 2. Translated by Trubachyov, Oleg (2nd ed.). Moscow: Progress.
  • Wichert, Sven (2010). "Die politische Rolle der heidnischen Priester bei den Westslaven". Studia Mythologica Slavica (in German). 13: 33–42. doi:10.3986/sms.v13i0.1638. ISSN 1581-12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