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와 그 반영
The Dog and Its Reflection개와 그것의 반영(또는 이후 번역의 그림자)은 이솝 우화 중 하나이며 페리 지수에서 133으로 번호가 매겨진다.[1] 그리스어 원문은 라틴어로 되팔렸고 이런 식으로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그 교훈은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하고, 그림자를 위해 실체를 포기하지 말라고 가르쳤다. 인도의 변종도 있다. 우화 끝의 도덕은 영어와 프랑스어 둘 다 속담들을 제공했고 이야기는 다양한 사회 상황에 적용되었다.
우화
도둑맞은 고기 조각을 들고 다니는 개가 옆에서 걷거나 개울을 건너면서 내려다보며 물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본다. 더 나은 것을 운반하는 다른 개에게 그것을 가져가면, 그것은 입을 벌려 "다른" 개를 공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이 지니고 있던 것을 떨어뜨린다. 기원전 5세기 철학자 데모크리토스의 작품에서 이 이야기가 얼마나 오래되고 잘 알려져 있었는지를 암시한다.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하기보다는 더 많은 것에 대한 어리석은 인간의 욕망을 논하면서, 그는 그것을 "이솝 우화에 나오는 개와 같다"[2]고 묘사한다.
많은 라틴어 버전의 우화들도 존재했고 결국 그 이야기는 평범한 동물 전설에 편입되었다. 1200년경(위 참조) 영국에서 작성·조명된 애버딘 베스트리셔티브는 "개가 고기 한 점이나 그런 종류의 것을 입에 물고 강을 헤엄쳐 건너가 그 그림자를 보면 입을 벌리고 다른 고기 한 점을 서둘러 잡으려고 하면 가지고 있던 것을 잃게 된다"[3]고 단언한다.
버전
이야기의 윤곽은 대체로 비슷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세부사항들은 수정되었다. 우화는 언제나 그리스 출처에서는 그 첫마디(ύωωκ ρααφ έφ οουααααα)의 뒤에 '고기를 나르는 개'라고 일컬어졌고, 거기에 그려진 도덕은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하도록 되어 있었다.[4] 라틴계 소식통들은 종종 개가 물에 비친 자신의 반사(시뮬러크럼)에 의해 잡혀 들어갔다는 사실을 강조했고, 겉모습에 끌려 들어가지 않는다는 추가적인 도덕성도 함께했다.
반성을 의미하는 다른 단어들은 우화의 대체 제목인 "개와 그림자"에 기여했다. 예를 들어, 라틴어 버전의 영국 월터,[5] 체리톤의[6] 오도, 하인리히 슈타인호웰의 이솝에서는 [7]umbra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당시는 반성과 그림자를 모두 의미할 수 있었고, 스타인호웰을 자신의 우화 수집의 기초로 삼았던 윌리엄 콕스턴이 선호하는 후기 단어였다.[8] 그러나, 세기의 초기의 우화에 대한 그의 리트레이닝에서, 존 리드게이트는 대신 "리플렉션"을 사용했었다.[9] 라퐁텐은 프랑스어 버전의 이야기에서 옴브레가 같은 의미의 모호성을 가지고 있는 르치앙 콰 롬브르(그림자 VI.17을 위해 먹이를 버린 개)라는 제목을 붙여주었다.[10]
그 후, 그리고 특히 19세기 동안 영어의 선호도는 우화의 제목에 그림자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 무렵에도 개는 다리를 건너면서 물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포착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는 1638/40년에 제작된 무세오 델 프라도의 폴 드 보스가 [11]그린 그림과 빅토리아와 앨버트 박물관의 "개와 그림자" (1822년)라는 제목의 에드윈 헨리 랜드세어가 그린 그림에 그렇게 대표적이다.[12][13] 라 폰테인 비평가들은 개가 앞선 출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를 저어 개울을 건너거나 헤엄쳐 건너고 있었다면 반사된 모습을 볼 수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14] 그러나 이미 마리 드 프랑스에[15] 대한 12세기 노르만-프랑스어 계정으로 다리가 소개되어 있었고, 나중에 류드게이트가 그 세부사항을 제공하면서 그녀의 뒤를 따랐다. 둘 다 개가 들고 다니는 고기가 아닌 치즈 조각이라는 버전도 따랐다.
인도의 유사점
이솝에 가까운 이야기는 불교 경전에 칼라다누가하 자타카로 삽입되는데, 그 곳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를 본 후에 살점을 품은 자칼이 강둑을 따라 걸어 들어와 덤빈다. 재칼은 사냥에서 성공하지 못하고 돌아오자마자 독수리가 다른 먹이를 빼앗아 갔다는 것을 발견한다.[16] 이것에서 파생된 변형은 비드파이의 "여우와 고기 조각"[17]에 관한 이야기다. 여우가 몇 마리의 닭을 보고 그 중 한 마리를 잡아서 사냥하기로 결심했을 때, 그곳에서는 그 고기를 가지고 집으로 가는 길인데, 그것은 이 버전에서 남겨둔 고기를 가지고 날아가는 연이다.
속담 도덕
리드게이트는 이 이야기를 되짚으며 "모든 것을 탐내는 자, 그가 모든 것을 약탈하는 자"[18]라는 교훈을 얻었고, 그는 이것이 "모든 것을 탐내는 자, 모든 것을 잃는다"라는 형태로 나중에 로저 레스트랑에 의해 우화의 교훈으로 인용된 "오래된 속담"[19]이라고 말했다.[20]
장 드 라 폰테인은 이야기의 간략한 관계로 진행하기 전에 우화에 대한 자신의 버전을 그것이 보여주는 도덕적인 것으로 미리 표현했다. 요점은 자신의 반사된 모습을 공격해 물에 빠지는 개처럼 겉모습으로 속아서는 안 된다. 그는 해변으로 헤엄쳐 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약탈품을 손에 넣지 않고 "그림자와 실체 둘 다"를 잃는다.[21] 다음과 같은 제목에서 알 수 없는 속담이 생겨났다. Lacher sa proie는 롬브르를 붓는다(그림자를 위해 먹이를 내준다).
그러나 이 사자성어가 갈릭어 사전에서 얼버무렸을 때 영어 번역본인 '그림자를 위해 실체를 희생하라'[22]가 주어졌는데, 이는 영어판 우화에서 발견되는 실체와 그림자의 동일한 격언의 반대에 바탕을 두고 있다. 아프라 번은 프란시스 바를로우의 1687년 작품 "개와 살"을 요약하면서 이 고대 속담과 새로운 것을 결합시켰다.
- 모든 것을 갈망하는 쿠르족.
- 그림자를 잡으려면 물질이 떨어진다.[23]
로저 레스트랑이의 '개와 그림자' 관계에서 '그림자를 쪼아 물질을 잃는다' '브룩 부스비'는 파이드루스의 우화를 번역하면서 '개와 그림자'라는 시를 '그리고 음영과 물질이 모두 날아갔다'는 대사와 함께 닫는다.[24] 이 난해한 속담은 최근 사전에서 "그림자를 잡지 말고 실체를 잃지 말라"고 얼버무리고 있다.[25]
또 다른 작가인 월터 포프는 모랄과 정치적 우화(1698)에서 "손에 든 새 한 마리가 덤불 속에서 두 마리 가치가 있다"는 대체 속담을 개의 부실한 판단에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26]
대체 응용 프로그램
16세기 엠블럼 도서는 그림만으로 도덕적인 교훈을 주기 위해 삽화를 사용했지만 때로는 우화에 대한 회화적 암시를 통해 그 의미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기도 했다. 그래서 영국 시인 제프리 휘트니는 그의 저서 (1586년)에서 라틴어 제목인 Mediocribus utere partis (Make usele particis)와 그의 동반시 과정에서 논평들을 그의 우화에 대한 삽화를 들려준다.
다른 사람들은 또한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는 주제를 상징적인 방식으로 다루기도 했다. 여기에는 가브리엘 페르노의 라틴어 버전의 우화가 포함되어 있는데, 드 카니스 & 카로는 확실치 않은 것을 선호하지 말라고 경고한다(Ne incerta certis anteponantur).[28] 히에로니무스 오시오스는 일부 민족이 더 많이 가질수록 더 많은 것을 원한다고(순트, 조용한 포지션의 쿰 플루리마, 플루라 requestant),[29] 그리고 불확실한 자에 대한 확약을 바꾸는 어리석음을 지적하는 아놀드 프리타그(Incertum commutatio당 스툴타 certi).[30] 나중에, 불확실한 이익을 위해 "좋은 돈을 계속해서 던진다"는 재정적 의미는 "개랑 그림자의 이야기였다"[31]라는 영어 구절로 요약될 것이다.
그 우화는 또한 정치적인 응용도 할 수 있었다. 존 매튜스는 이 우화를 자유에 대한 환상을 추구하기 위해 프랑스 혁명의 "두뇌에 찬 드마고그"에 대한 공격으로 각색했다.[32] 영국의 한 맥락에서, 1832년 개혁법까지 이어지는 선동 동안, 가명 '피터 필페이'는 고대의 작가들로부터 온 우화 모음집, 즉 현대적인 예가 있는 오래된 톱을 썼는데, 이것은 "개와 그림자"의 주제적인 리트레이닝으로 나타났다. "무엇을 가진 자에게" 헌신한 그것은 우화의 도덕성을 낡은 방식을 고수하라는 보수적인 호소로 바꾸었다.[33] 그리고 그 후 10년 동안, 더 명성 있는 선거구에서 성공하지 못하기 위해 그의 자리를 포기했던 한 국회의원이 언론에 "그림자를 훔쳐보다가 실체를 잃어버린 우화에 나오는 개로 가장 적절하게 표현되었다"[34]고 비난 받았다.
더 최근에는 이 우화가 한국의 안무가 홍성엽에 의해 심리적인 교훈을 주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의 발레 "개와 그림자" (2013)에서 잃어버린 고기는 개성을 형성하는 축적된 기억을 나타낸다.[35] 같은 해, 우화는 젊은 호주 작곡가 앨리스 찬스의 비올라 다 감바용 "에솝 우화 스위트"에서 5악장 중 3악장으로 평가되었다.[36]
참조
- ^ 온라인 보기
- ^ Geert van Dijk, Ainoi, logoi, mentoi: 고대 그리스어, 고전 그리스어, Brilli NL 1997, p.320
- ^ 애버딘 대학교 도서관 MS 24, 폴리오 19v. 인용문 및 동봉된 삽화는 온라인에서 이용할 수 있다.
- ^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아드라도스, 그라코 라틴의 우화 3세 역사, 페이지 174-8
- ^ 우화 5
- ^ 우화로61번길
- ^ 이솝 페이지 50
- ^ 우화 1.5
- ^ Isopes Fabules (1310), 스탠자 135
- ^ 위키소스
- ^ 위키 커먼스
- ^ V&A 사이트
- ^ F.G. 스티븐스, 에드윈 랜드서 경의 회고록, 1874년 런던, 페이지 76-7
- ^ 루 데스 우화
- ^ 마리 드 프랑스의 우화 마리아 루 마틴: 영문번역, "De cane et umbra", 페이지 44-5
- ^ 선택받은 æsop의 우화 조셉 제이콥스는 새롭게 이야기했고 그들의 역사는 1894년 런던, 페이지199를 추적했다.
- ^ 1908년 뉴욕 비드파이의 Maude Barrows Dutton, The Tough and the Grags and Other Foods of Bidpai, 페이지 30
- ^ 우화 VII, 3호선
- ^ 옥스퍼드 영어 속담 사전(1949), 페이지 36
- ^ 이솝 우화 (1689), "개와 그림자" , p.5
- ^ 노먼 샤피로, 장 드 라 폰테인의 완전한 우화, 우화 VI.17, 페이지 146
- ^ 엘리자베스 프라데즈, 1914년 파리, 1991년 파리 만국박람회
- ^ p.p.c.
- ^ 우화 및 사티레스(Edinburg 1809), vol.1, 페이지 7
- ^ 마틴 H. 맨서, 인포베이스 출판사의 격언 파일 사전에 관한 사실들, 2007, 페이지 416
- ^ 개와 그림자, 우화 14
- ^ 엠블럼 39
- ^ 센텀 파불래 (1563), 우화 53
- ^ 파불래 이소피 카르미네 엘레지아코 레드디테(1564), 시 5
- ^ 신화 에티카 (1579) pp.112-113
- ^ 양조장 어구 및 우화사전(1868), 페이지 366-7
- ^ 라퐁텐의 우화, 영어 구절(1820), 페이지 253
- ^ 1832년 에든버러 10파운더 1 페이지 87-8
- ^ H.B. (런던, 1841), 항목 484, 페이지 335의 정치 스케치에 대한 예증적 키
- ^ 코리아 헤럴드, 2013년 6월 12일
- ^ Carolyn McDowall, "Alice, a Young Composer – Taking a Musical Life" 문화 컨셉 서클, 2013년 5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