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스펜서 (수학적 물리학자)
Thomas Spencer (mathematical physicist)토마스 C.스펜서 | |
---|---|
태어난 | 1946년 12월 24일 ( | ) (75세)
교육 | A.B.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뉴욕 대학교 박사학위 |
고용주 | 고등연구연구소 |
제목 | 교수 |
배우자 | 브리짓 머피 |
수상 | 앙리 푸앵카레 상(2015년) 대니 하인만 수학물리학상(1991) |
토마스 C. 스펜서(Spencer, 1946년 12월 24일 출생)는 미국의 수학 물리학자로서 특히 건설적인 양자장 이론, 통계역학, 무작위 연산자의 스펙트럼 이론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1972년 제임스 글림(James Glim)의 지시로 작성된 Po2 Quantum Field Hamiltonian(Po2 Quantum Field Hamiltonian)이라는 논문으로 뉴욕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1986년부터 고등연구소의 수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그는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 회원이며 [1]수학물리학상(Jürg Fröhlich와의 공동 연구, "통계 역학과 분야 이론의 몇몇 뛰어난 문제에 엄격한 수학적 해결책을 제공하는 그들의 공동 연구로)"[2][3]의 수상자다.
주요 결과
- 제임스 글림, 아서 재페와 함께 그는 건설적인 현장 이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양자장 이론에 대한 클러스터 확장 접근법을 발명했다.[4]
- 위르크 프롤리히, 배리 사이먼과 함께 그는 적외선 결합의 접근법을 발명했는데, 이 접근법은 이제 통계 역학의 다양한 모델에서 위상 전환을 도출하는 고전적인 도구가 되었다.[5]
- 위르크 프롤리히와 함께, 그는 '다중 척도 분석'을 고안해, 처음으로, 코스터리츠–의 수학적인 증거를 제공했다.Thoulless transition,[6] 1차원 강자성 Ising 모델의 위상 전환, 교호작용 , y ~ - ,y^{- 및 Anderson[7] 국소화를 임의 차원으로 한다.[8]
- 그는 데이비드 브라이드즈와 함께 5보다 크거나 같은 차원에 있는 자기 방어 보행의 스케일링 한계는 가우스이며, 시간에 따라 분산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증명했다.[9]이 결과를 얻기 위해, 그들은 레이스 확장의 기술을 발명했는데, 그 이후로 그래프의 확률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10]
참조
- ^ a b IAS 웹사이트
- ^ APS 웹 사이트
- ^ 1991년 미국 물리학회 수학물리학상 수상자 대니 하인만상.2011년 6월 24일 접속
- ^ Glimm, J; Jaffe, A; Spencer, T (1974). "The Wightman axioms and particle structure in the quantum field model". Ann. of Math. 100 (3): 585–632. doi:10.2307/1970959. JSTOR 1970959.
- ^ Fröhlich, J.; Simon, B.; Spencer, T. (1976). "Infrared bounds, phase transitions and continuous symmetry breaking". Comm. Math. Phys. 50 (1): 79–95. Bibcode:1976CMaPh..50...79F. CiteSeerX 10.1.1.211.1865. doi:10.1007/bf01608557.
- ^ Fröhlich, J.; Spencer, T. (1981). "The Kosterlitz–Thouless transition in two-dimensional abelian spin systems and the Coulomb gas". Comm. Math. Phys. 81 (4): 527–602. Bibcode:1981CMaPh..81..527F. doi:10.1007/bf01208273.
- ^ Fröhlich, J.; Spencer, T. (1982). "The phase transition in the one-dimensional Ising model with 1/r2 interaction energy". Comm. Math. Phys. 84 (1): 87–101. Bibcode:1982CMaPh..84...87F. doi:10.1007/BF01208373.
- ^ Fröhlich, J.; Spencer, T. (1983). "Absence of diffusion in the Anderson tight binding model for large disorder or low energy". Comm. Math. Phys. 88 (2): 151–184. Bibcode:1983CMaPh..88..151F. doi:10.1007/bf01209475.
- ^ Brydges, D.; Spencer, T. (1985). "Self-avoiding walk in 5 or more dimensions". Comm. Math. Phys. 97 (1–2): 125–148. Bibcode:1985CMaPh..97..125B. doi:10.1007/bf01206182.
- ^ Slade, G. (2006). The lace expansion and its application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Vol. 1879. Springer. ISBN 9783540311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