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성 궤양
Stress ulcer스트레스성 궤양 | |
---|---|
전문 | 중환자실, 위내과, 소화기관 수술(위장관 수술) |
스트레스성 궤양은 위장관 출혈이나 생리학적 스트레스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는 단일 또는 복수의 점막 결함을 말한다. 일반적인 소화성 궤양은 위항문과 십이지장에서 흔히 발견되는 반면 스트레스성 궤양은 기금성 점막에서 흔히 발견되며 위와 근위부 십이지장 내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다.
징후 및 증상
과도한 출혈과 혈류역학적 불안정성, 헤모글로빈 감소 및/또는 수혈의 필요성에 의해 정의된 스트레스 궤양은 캐나다 중환자 치료 그룹 연구에서 2252명의 환자 중 1.5%에서 발견되었다.[1] 스트레스성 궤양이 있는 사람은 스트레스성 궤양과 출혈이 없는 환자보다 ICU 체류기간(최대 8일)이 길고 사망률(최대 4배)이 높다.[2] 스트레스 궤양과 관련된 출혈과 수혈은 사망률 증가에 기여하지만, 저혈압, 패혈증, 호흡부전 같은 요인들이 스트레스 궤양과 무관하게 사망률에 기여하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citation needed]
위험요소
확인된 스트레스성 궤양 형성의 위험 요인은 수두룩하고 다양하다. 그러나 스트레스 궤양 형성을 위한 위험 요인의 주제를 다루는 두 가지 획기적인 연구와 하나의 포지션 논문이 존재한다.
- 다음 중 2개 이상을 가진 비심각질환자: 호흡부전, 패혈증, 심부전, 간뇌병증, 황달, 신장부전, 뇌졸중, 고혈압, 이전의 위장병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NSAIDS, 헤파린, 와파린 등의 치료.
- 수술 중중환자의 경우 기계식 인공호흡기를 48시간 이상 사용하는 환자 및/또는 응고병증을 가진 환자만 해당된다.[1]
- 미국건강시스템약사협회(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약사 가이드라인은 비중증 환자의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 실천에 대해 권고하고 있다.
메커니즘
위치
궤양은 피상적이고 점막에 국한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에로스라 불리는 것이 더 적절하거나, 서브루코사 속으로 더 깊이 침투할 수도 있다. 전자는 확산 점막에서 피가 흘러나오게 하는 반면 후자는 자궁하 혈관에 침식되어 솔직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3]
병변
특징적인 병변은 미란성 위생성 십이지장염과 유사한 다수의 피상적인 점막 에로스일 수 있다. 간혹 십이지장(커링의 궤양)에 큰 급성 궤양이 생길 수 있다.[4]
일반적으로 위에는 주로 병변이 있고 때로는 십이지장에 병변이 여러 개 있다. 단순히 피상피 상피(제로시온)를 털어내는 것에서부터 점막 두께 전체를 포함하는 더 깊은 병변까지 다양하다.[5]
포메이션
병원성 기전은 미란성 위염과 비슷하다.[5]
스트레스성 궤양의 병원체는 분명하지 않지만 아마도 산과 펩신이 위생성 점막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과 관련하여 점막 혈류의 감소나 다른 정상적인 점막 방어 메커니즘의 붕괴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6]
진단
스트레스성 궤양은 심장 및 폐질환이 있는 수술중환자실(ICU)의 노인성 환자에게 위장관 출혈이 있거나, 재발을 필요로 하는 의료중환자실에서 위장관 출혈이 있는 경우 등 적절한 임상환경에서 위장관 출혈이 있을 때 의심된다.해적 [citation needed]행위자
스트레스성 궤양은 위장출혈의 초기 관리 후 진단할 수 있으며, 상부 GI 내시경으로 진단할 수 있다.[citation needed]
예방
중환자실 중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을 위한 의약품의 필요성이 불분명하다. 2014년 현재 증거의 질이 좋지 않다.[7] 어떤 에이전트가 최선인지, 예방이 전혀 필요한지는 불분명하다.[8] 혜택은 먹이지 않는 사람들에게만 발생할 수 있다.[9] 가능한 작용제로는 제산제, H2 수용체 차단제, 수크랄페이트,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등이 있다. 잠정적인 증거는 PPI가 H2 차단제보다 나을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10]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제 사용에 대한 우려는 폐렴과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콜염의 증가율을 포함한다.[9]
치료
관리 원칙은 만성 궤양과 같다.[11] 관리 단계는 미란성 위염과 유사하다.[4]
내시경적 스트레스 궤양 치료 방법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1] 점막에서 피를 멀리 흘리는 것을 피하면 점막의 빈혈이 생기고 상처받기 쉽다고 여겨진다.[4]
스트레스성 궤양 치료는 대개 예방에서 시작된다. 호흡기 상태, 산-기저균형, 기타 질병의 치료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 스트레스성 궤양이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스트레스성 궤양에 걸린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많은 양의 위산을 분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산은 병변의 병원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산을 중화시키거나 고위험 환자에서 산 분비를 억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12]
출혈이 심하거나 에로스성 위염과 스트레스성 궤양의 경우 제산제와 H2차단제를 병행하면 활성출혈을 멈추고 재출혈을 막을 수 있다. 선별된 환자의 경우 내시경 치료나 왼쪽 위동맥에 바소프레신을 선택적으로 주입하면 출혈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3]
역학
중환자실에 있는 사람들 중 출혈로 인한 궤양은 매우 드물다.[9]
참조
- ^ a b Cook DJ, Fuller HD, Guyatt GH, et al. (1994). "Risk factor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N Engl J Med. 330 (6): 377–81. doi:10.1056/NEJM199402103300601. PMID 8284001. S2CID 76019212.
- ^ Cook DJ, Griffith LE, et al. (Dec 2001). "The attributable mortality and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stay of clinically import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Critical Care. 5 (6): 368–75. doi:10.1186/cc1071. PMC 83859. PMID 11737927.
- ^ Gregory L. Eastwood, M.D. &Canan Avunduk, M.D., 박사 (1994)
- ^ a b c 하이, A.A. & Shrivastava, R.B. (2003) 수술 교과서. 타타/맥그라우힐. ISBN 0074621491, 409페이지
- ^ a b 로빈스 병리학 기초 제6판 ISBN 81-7867-052-6페이지 796
- ^ 위내과 매뉴얼. 그레고리 L. 이스트우드, M.D.&카난 아분덕, M.D., 박사 (1994)
- ^ Krag, M; Perner, A; Wetterslev, J; Wise, MP; Hylander Møller, M (Jan 2014). "Stress ulcer prophylaxis versus placebo or no prophylaxis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with meta-analysis and trial sequential analysis". Intensive Care Medicine. 40 (1): 11–22. doi:10.1007/s00134-013-3125-3. PMID 24141808. S2CID 24990932.
- ^ Krag, M; Perner, A; Wetterslev, J; Møller, MH (Aug 2013). "Stress ulcer prophylaxi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s it indicated? A topical systematic review".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57 (7): 835–47. doi:10.1111/aas.12099. PMID 23495933. S2CID 36997236.
- ^ a b c Marik, PE; Vasu, T; Hirani, A; Pachinburavan, M (Nov 2010). "Stress ulcer prophylaxis in the new millenniu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ritical Care Medicine. 38 (11): 2222–8. doi:10.1097/CCM.0b013e3181f17adf. PMID 20711074. S2CID 17819100.
- ^ Alhazzani, W; Alenezi, F; Jaeschke, RZ; Moayyedi, P; Cook, DJ (Mar 2013). "Proton pump inhibitors versus histamine 2 receptor antagonists for stress ulcer prophylaxis in critically ill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ritical Care Medicine. 41 (3): 693–705. doi:10.1097/CCM.0b013e3182758734. PMID 23318494. S2CID 8138473.
- ^ a b 베일리 & 러브의 수술 23번째 판 ISBN 0-340-75949-6 페이지 916
- ^ 위내과 프리얀크 신하 그레고리 L. 이스트우드, M.D. & Cananan Avunduck, M.D. 박사(1994)
- ^ 로버트 J. 스타인, M.D. 칼 R.의 응급의학과에 대한 실용적 접근법 추드노프스키, 검시관 신시아 K 애런, M.D. (199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