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전함 포베다

Russian battleship Pobeda
Pobeda1904Port-Artur.jpg
포베다 정박 중, 아마도 1904년 3월쯤.
역사
러시아 제국
이름포베다
네임스케이크승리
주문된1898년[Note 1] 4월 26일
빌더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발트워크스
비용10,05만 루블
눕다1899년 2월 21일
시작됨1900년 5월 10일
가동중1902년 10월
운명1904년 12월 7일 선크
일본.
이름수우
네임스케이크스오 국
획득한리플로티드, 1905년 10월 17일
커미셔닝됨1908년 10월
스트리킨1922
운명1922-23년 폐기 예정
일반적 특성
클래스 및 유형 페레스베트급 미리 사둔 전함
변위13,320톤(13,534t)
길이434 ft 5인치(제곱.4m)
초안26피트 3인치(8m)
설치된 전원
추진3축, 3축 증기 엔진 3개
속도18노트(33km/h; 21mph)
범위10노트(19km/h; 12mph)에서 6,200nmi(11,500km; 7,100mi)
보완27명, 744명
무장을구축된 상태:
2 × 트윈 10인치(254 mm) 총기
11 × 싱글 6 in (1968 mm)
20 × 단일 75 mm(3인치)
20 × 47 mm (1.9 in) 단발
8 × 단일 37 mm (1.5 in) 포
5 × 15 in (381 mm) 어뢰관
45 기뢰

소우:

2 × 쌍둥이 10 in guns
10 × 싱글 6 in guns
16 × 단일 12 pdr(3인치(76 mm)
2 × 18 in (450 mm) 어뢰관
갑옷

포베다(러시아어: поеаа, 점등. '승리')는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 해군을 위해 건조된 페레스베트급 사전 사색함 3척 중 마지막이었다.이 배는 완공과 동시에 태평양 비행단에 배속되어 1903년부터 아서 항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1904~1905년 러일전쟁아서항황해 전투에 참가하였다.이러한 교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면한 포베다는 아서항 포위 중에 총성에 의해 격침되었다가 일본인에 의해 인양되어 수우(水周)라는 이름으로 봉역하게 되었다.

일본군에 의해 후송되었다가 재조명된 수우는 1908년 일본 제국 해군(IJN)에 의해 연안 방어선으로 재분류되어 몇 년간 훈련선 역할을 했다.그녀는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칭다오 전투에 참가했던 일본 함대의 기함이었고 1917년 포병훈련선이 될 때까지 그 역할을 계속했다.그 배는 1922년 워싱턴 해군 조약의 조항에 따르기 위해 무장해제를 당했고 아마도 그 무렵에 폐기되었을 것이다.

설계 및 설명

페레스베트급 설계는 센츄리온급 영국 2급 전함(일반적으로 더 빠르지만 1급 전함보다 더 얇은 갑옷과 더 작은 총으로)에서 영감을 얻었다.영국 함정은 러시아 함선 로시아루릭과 같은 상업용 장갑 순양함을 격파하기 위한 것이었고, 페레스베트급은 장갑 순양함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이 역할은 중무장과 갑옷을 희생하면서 고속과 장거리에 프리미엄을 걸었다.[1]

포베다는 전체 길이가 434피트 5인치(132.4m)이고 은 71피트 6인치(21.79m), 드래프트는 26피트 3인치(8m)이다.12,674톤(12,877t)을 대체하도록 설계된 그녀는 거의 600톤(610t)의 체중을 초과했고 13,320톤(13,530t)의 체중을 떠넘겼다.그녀의 승무원은 27명의 장교와 744명의 사병으로 구성되었다.이 배는 30대의 벨빌 보일러에 의해 생성된 증기를 이용한 세 개의 수직 3배 팽창 증기 엔진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았다.이 엔진은 강제 드래프트를 이용해 14,500마력(10,800kW)으로 정격했으며 최고 속도인 18노트(33km/h; 21mph)에 도달하도록 설계됐다.그러나 포베다는 1901년 10월 해상 시험에서 1만5578개의 마력(1만1617kW)에서 18.5노트(34.3km/h, 21.3mph)의 최고 속도에 도달했다.그녀는 최대 2,060톤의 석탄을 운반했는데, 이것은 10노트(19km/h; 12mph)의 속도로 6,200해리(11,500km; 7,100mi) 동안 증기를 할 수 있게 했다.[2]

배의 주 배터리는 2개의 트윈 포탑에 장착된 10인치(254mm) 포 4개로 구성됐으며, 상부 구조물의 앞쪽과 뒤쪽으로 각각 1개씩 배치됐다.2차 무장은 11개의 카넷 6인치(152mm) 급발진(QF) 포로 구성됐으며, 선체의 측면과 활의 캐세마이트에 탑재돼 예지선 아래쪽에 있었다.어뢰정에 대한 방어를 위해 소형포들이 운반되었다.여기에는 75mm(3인치) QF포 20개, 47mm(1.9인치) 하치키스포 20개, 37mm(1.5인치)포 8개가 포함됐다.그녀는 또한 15인치(381mm)의 어뢰관 5개, 수면 위 3개, 수중 2개로 무장했다.그 배는 그녀의 정박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45개의 지뢰를 운반했다.포베다 워터라인 갑옷 벨트크루프 강화 갑옷으로 구성되었고 두께는 4–9인치(102–229 mm)이었다.그녀의 총 포탑의 갑옷은 최대 두께가 9인치였고, 갑판의 두께는 2인치에서 3인치(51에서 76 mm) 사이였다.[3]

건설 및 서비스

1901년 닻을 올린 자매 선박 페레스베트

포베다(Victory)[4]는 1898년 4월 26일 발트 워크스로부터 명령을 받았으며, 1899년 2월 21일 공식 용선식 이전인 1898년 5월 30일 이 회사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선소에서 공사가 시작되었다.[1] 배는 1900년 5월 10일에 취항하여 1901년 8월 31일 크론슈타트로 예인되었다.그녀는 다음 해에 완성되기 훨씬 전인 10월에 기계 실험을 했다.그녀는 독일 카이저빌헬름 2세의 러시아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며칠 후 그곳에서 열린 해군 평의에 참가하기 위해 8월 1일 레발(현대 탈린)으로 항해했다.포베다는 1903년 3월 10일까지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5] 1050만 루블의 비용으로 1902년 10월에 포병 시험을 완료하면서 군에 입대했다.[6]그녀는 1902년 11월 13일 이미 리바우에서 출항한 뒤 1903년 6월 13일 태평양함대 임무를 위해 포트 아더에 도착했다.[7]

포트 아서 전투

1894-95년 제1차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후, 러시아와 일본 사이에 만주와 한국을 모두 장악하려는 야심을 둘러싸고 긴장이 고조되었다.또 다른 쟁점은 러시아가 약속했던 대로 1903년 10월 만주 지역에서 군대를 철수시키지 못했다는 점이다.일본은 1901년 사태 완화를 위한 협상을 시작했지만 러시아 정부는 아직 정확한 문제 해결 방법을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답변이 느리고 불확실했다.일본은 이를 러시아군 무기 프로그램을 완성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한 의도적인 사전 조치라고 해석했다.마지막 빨대는 한국 북부에서 러시아 목재 양보를 하고, 러시아인들이 만주에서 일본인들의 이익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한국에서의 일본 활동에 여건을 두는 뉴스였다.이 때문에 1903년 12월 일본 정부는 전쟁이 불가피하다는 결정을 내렸다.태평양함대는 일본과의 긴장이 높아짐에 따라 야간부터 외항에 계류하기 시작하여, 한국에 군대를 상륙시키려는 일본의 어떤 시도에도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였다.[8]

1904년 2월 9일 밤 IJN은 포트 아서(Port Arthur)에서 러시아 함대를 기습 공격했다.포베다는 초기의 어뢰정 공격에서 명중하지 않았으며, 다음 날 아침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이 지휘하는 연합 함대가 공격했을 때 정렬했다.도고는 자신의 배들의 기습적인 야간 공격이 그것보다 훨씬 더 성공적일 것으로 예상하여 러시아군이 심하게 흐트러지고 약해질 것을 예상하였지만, 그들은 놀라움에서 회복되어 그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다.일본 선박은 해상 순찰을 하던 순양함 보야린이 포착해 러시아 방어에 경계령을 내렸다.도고는 주무장으로 러시아 해안 방어선을 공격하고 2차 포로로 함정을 교전하기로 했다.일본 8인치(203mm)와 6인치 포가 러시아 선박에 거의 피해를 주지 않아 그의 화재를 분산시킨 것은 서투른 결정이었다.포베다는 수선 부근의 배 가운데에 한두 차례 맞아 2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으나 포탄이 배의 갑옷을 관통하지 못해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9]

포베다는 지난 3월 22일 아서 항구를 포격하는 일본 함정을 향해 간접적으로 사격하는 여러 전함에 합류해 일본 전함 후지함을 한 차례 타격해 7명이 숨졌다.[10]그녀는 4월 13일의 행동에 참여했는데, 그 때 도고가 성공적으로 제독 스테판 마카로프주력함인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를 포함한 태평양 함대의 일부를 유인했다.마카로프는 5척의 일본 전함을 발견하고 아서항을 향해 돌아섰고, 페트로파블로프스크는 전날 밤 일본군이 매설한 기뢰를 들이받았다.는 그녀의 잡지들 중 하나가 폭발한 지 2분도 안 되어 가라앉았고, 마카로프는 677명의 전사자 중 한 명이었다.포베다는 페트로파블롭스크가 침몰한 뒤 항구로 돌아오던 중 스스로 지뢰를 쳤지만 11도 목록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힘으로 항구로 증기를 날릴 수 있었다.[11]그녀의 총기는 항구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이 시기에 일부 제거되었지만 6월 9일에 수리가 완료되었다.포베다는 총 3개의 6인치, 75밀리미터 2개, 47밀리미터 1개, 37밀리미터 포 4개를 잃었다.[12]그녀는 6월 23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기 위한 실패한 시도로 나머지 러시아 함대와 함께 항해했다.새로 부임한 함대 사령관 윌겔름 비트게프트 제독은 수적으로 우월한 일본군을 야간 전투에 참가시키고 싶지 않아 일몰 직전 일본 함대와 마주쳤을 때 아서 항으로 돌아가라고 명령했다.[13]포베다는 7월 28일 항구를 포위하는 일본군의 진지를 폭격했다.[10]

황해 전투

일본의 8월 9일 폭격은 Tsar Nicholas II의 직접 명령과 함께 Bitgeft가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기 위한 또 다른 시도를 할 수 밖에 없었다.그 중대는 다음날 아침 블라디보스토크로 탈출하기 위한 시도로 정렬했다.12시 25분, 일본 순양함들에게 포착되어 연합 함대에 의해 요격되어 황해전투가 되었다.포베다는 전투 중 줄 세 번째였고,[14] 행동의 초기 장거리 단계에서는 크게 손상되지 않았다.18시께에는 전함 아사히호가 보낸 12인치 포탄 2발이 러시아 주력함인 세사레비치의 콘닝탑을 관통해 비트게프트와 조타수가 사망하고 선장이 크게 다쳤으며 급회전을 실행한 뒤 배가 급정거했다.이것이 비트게프트가 계획한 공작이라고 생각한 러시아 전선은 같은 턴을 실행하기 시작했고, 포베다세사레비치 바로 뒤에 있는 모든 함선들이 정지해 있는 기함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미친 듯이 기동하게 되었다.[15]

일본 함정이 계속 세사레비치를 찧자, 레트비잔함은 일본군의 포탄을 돌리기 위한 시도로 도고의 전투선을 대담하게 충전했고, 그 직후 함대의 2인자 파벨 우크툼스키주력함페레스베트가 뒤따랐다.일본 전선은 즉시 다가오는 배들에 불을 옮겨붙였고, 두 배 모두 심하게 피해를 입혔으며, 방향을 돌려야 했다.[15]우크툼스키는 다른 러시아 함선들에게 아서 항으로 돌아가라고 신호를 보냈지만, 페레스베트 탑마스트가 쏘아져 나갔기 때문에 다리 난간에 깃발을 걸어야 했기 때문에 신호를 식별하기 어려웠다; 그 신호는 점차 인식될 뿐이었다.[16]포베다는 11번의 대구경 적중으로 4명이 사망하고 29명이 부상당했지만, 그들은 그녀의 갑옷을 뚫지 못했고 그녀는 아무 어려움 없이 포트 아더에 도착했다; 그 적중으로 10인치 포와 75밀리 포 3개가 녹아웃되었다.[10]

아서항 전투

포베다(오른쪽)와 보호 순양함 팔라다가 포트 아더에 침몰했다.

8월 11일 아서항으로 돌아온 러시아 함대는 노기 마레스케 남작이 이끄는 일본 제3군에 의해 아직도 포위되어 있는 도시를 발견했다.신임 사령관인 로버트 N. 비렌 제독은 아서 항구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태평양 중대의 병력과 총을 사용하기로 결정했고, 그 중대의 배에서 더 많은 총기가 벗겨졌다.이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포베다는 9월 28일 5.9인치(150mm)와 4.7인치 포탄에 맞아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일본군의 중포 포격은 이후 한 달 반 동안 계속되었고 배는 큰 효과 없이 반복적으로 타격을 받았다.[10]일본군은 12월 5일 항구를 내려다본 203개의 언덕을 점령할 수 있었다.이로써 일본 제국군의 28cm(11인치)의 포위포가 러시아 함정을 향해 직격탄을 발사할 수 있었고, 포베다는 1904년 12월 7일 포베다를 약 30차례 명중시켜 얕은 물에 침몰시켰다.[17]항복하기 전에 배를 파괴하려는 러시아의 시도는 그녀의 중요한 부분이 이미 물속에 잠겨 있었기 때문에 좌절되었다.[10]

일본인의 경력

1908년 10월 10일 요코스카에 을 내렸다.

포베다는 1905년 10월 17일 일본 공병대에 의해 다시 차용되었고 IJN에 의해 1급 전함으로 분류되었다.그녀는 고대 지방을 거쳐 10월 25일에 수오로 개명되었다.[18][19]그녀는 자신의 힘으로 사세보 해군 아스널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12월 16일에 도착하여 임시 수리를 시작했다.요코스카 해군 아스널에서의 그녀의 재건은 1906년 5월에 시작되어 1908년 10월 10일까지 계속되었다.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수우 포워드 파이팅 탑을 없앴다.수우10인치 45구경 포 4개와 6인치 포 10개, QF 12파운드 12파운드 포 16개로 재배됐다.[Note 2]수면 위 18인치(450mm)의 어뢰관 2개가 그녀의 원래 어뢰 무장을 대체했고, 그녀의 승조원들은 현재 791명의 장교와 사병이었다.[20]

수우는 1912년 8월 28일 1급 연안방어선으로 재지정되어 생도 및 기술자 훈련선이 되었다.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되었을 때 처음에는 제1상설비행단에 배속된 그녀는 얼마 지나지 않아 카토 사다키치 제독이 지휘하는 제2중대대의 기장이 되었다.이 편대는 독일 소유의 중국 칭다오 항을 봉쇄하고, 일본 제국군과 협력하여 도시를 점령하는 임무를 맡았다.탱고와 다른 함대들은 영국이 사전에 숙고한 HMS 트라이엄스에 의해 강화되어 11월 7일 독일군이 항복할 때까지 포위전 내내 독일군의 요새를 폭격했다.[21]수우는 1915~1916년 제2함대 제2중대의 기함으로 활약한 뒤, 남은 전쟁 기간 동안 요코스카에서 포병훈련선이 되었다.[22]1922년 4월, 워싱턴 해군 조약을 준수하여 수우쿠레 해군 무기고에서 무장해제를 당했다.[23]그녀의 갑옷이 벗겨지는 동안 7월 13일 배가 뒤집혔다.[7]그녀는 아마도 1922-1923년에 폐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한 소식통은 그녀가 1946년 쿠레에서 헤어질 때까지 복직되고 헐벗은 상태였다고 말한다.[23][24][Note 3]

메모들

  1. ^ 이 기사에 사용된 모든 날짜는 새로운 스타일이다.
  2. ^ "Cwt"는 총의 무게를 가리키는 12 cwt인 100 kwt의 약칭이다.
  3. ^ 그러나, 그녀는 2차 세계 대전 말기에 후쿠이 신조의 권위 있는 일본 해군 함정에 등재되지는 않았다.

각주

  1. ^ a b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08
  2. ^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07–108, 114
  3. ^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07–108, 112–114
  4. ^ 실버스톤 페이지 382
  5. ^ 맥러플린 2008 페이지 47-48
  6. ^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12
  7. ^ a b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15
  8. ^ 웨스트우드, 15-21페이지
  9. ^ 포크직, 페이지 41-43; 맥러플린 2008, 페이지 48
  10. ^ a b c d e 맥러플린, 페이지 48
  11. ^ 포크지크, 43페이지, 45-46페이지
  12. ^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15, 163
  13. ^ 워너 & 워너, 페이지 305–306
  14. ^ 포케지크, 페이지 48
  15. ^ a b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63
  16. ^ 맥러플린 2008, 페이지 46
  17. ^ 맥러플린 2003, 페이지 115, 163–164
  18. ^ 렌게러, 페이지 44
  19. ^ 실버스톤 페이지 337
  20. ^ 렌게러, 페이지 43-44
  21. ^ 맥러플린 2008, 페이지 49; 스티븐슨 136, 162, 166 페이지
  22. ^ 프레스턴, 페이지 186
  23. ^ a b Jentschura, Jung & Mickel, 페이지 20
  24. ^ 맥러플린 2008 페이지 49

참조

  • Forczyk, Robert (2009). Russian Battleship vs Japanese Battleship, Yellow Sea 1904–05. Botley, UK: Osprey. ISBN 978-1-84603-330-8.
  • Jentschura, Hansgeorg; Jung, Dieter & Mickel, Peter (1977). Warships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1869–1945. Annapolis, Maryland: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ISBN 0-87021-893-X.
  • Lengerer, Hans (September 2008). Ahlberg, Lars (ed.). "Sagami (ex-Peresvet) and Suwō (ex-Pobeda)".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Imperial Japanese Warships (Paper V): 41–44.(필수 사항)(가입 정보는 편집자(lars.ahlberg@halmstad.mail.postnet.se)에게 문의하십시오.)
  • McLaughlin, Stephen (September 2008). Ahlberg, Lars (ed.). "Peresvet and Pobéda".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Imperial Japanese Warships (Paper V): 45–49.(필요한 경우)
  • McLaughlin, Stephen (2003). Russian & Soviet Battleships.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481-4.
  • Preston, Antony (1972). Battleships of World War I: A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Battleships of All Nations 1914–1918. New York: Galahad Books. ISBN 0-88365-300-1.
  • Silverstone, Paul H. (1984). Directory of the World's Capital Ships. New York: Hippocrene Books. ISBN 0-88254-979-0.
  • Stephenson, Charles (2009). Germany's Asia-Pacific Empire: Colonialism and Naval Policy, 1885–1914. Woodbridge, UK: Boydell Press. ISBN 978-1-84383-518-9.
  • Warner, Denis & Warner, Peggy (2002). The Tide at Sunrise: A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1904–1905 (2nd ed.). London: Frank Cass. ISBN 0-7146-5256-3.
  • Westwood, J. N. (1986). Russia Against Japan, 1904–1905: A New Look at the Russo-Japanese War. Alban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8706-191-5.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