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카스
Phocas포카스 | |
---|---|
비잔틴 황제 | |
군림하다 | 602년 11월 23일 – 610년 10월 5일 |
전임자 | 모리스와 테오도시우스 |
후계자 | 헤라클리우스 |
태어난 | 547 트라키아 또는 카파도키아 |
죽은 | 610년 10월 5일(62~63세) 콘스탄티노플 (현재 터키 이스탄불) |
배우자 | 레온티아 |
이슈 | 도멘쯔아 |
어머니 | 도멘쯔아 |
포카스(라틴어:포카스; 그리스어: ωωᾶς; 547년 – 610년 10월 5일)은 602년부터 610년까지 동로마 황제였다.처음에 동로마 군대의 중급 장교였던 포카스는 모리스 황제의 궁정과의 분쟁에서 불만을 품은 군인들의 대변인으로 두각을 나타냈다.602년 군대가 반란을 일으키자 포카스는 폭동의 타고난 지도자로 떠올랐다.반란은 성공적임이 증명되어 602년 11월 23일 콘스탄티노플을 사로잡고 같은 날 포카스가 스스로 황제를 선포하면서 모리스의 전복을 이끌었다.
포카스는 자신이 도둑이고 지방광이었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비협조적인 엘리트들을 깊이 불신했다.따라서 그는 자신의 정권을 고위 군사 및 행정직에 설치한 친인척들에게 맞추려 했다.그는 즉시 국내외 문제에서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했고, 그는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그는 국내의 반대에 대해 무자비함을 증가시켜 자기 가정의 일부 구성원을 포함한 더 넓은 집단을 소외시켰다.동시에 제국은 여러 국경에서 위협을 받았다.아바스와 슬라브인들은 발칸 반도에 대한 파괴적인 공격을 재개했고, 사사니드 제국은 동부 지방에 대한 대대적인 침략을 개시했다.마침내 아프리카의 엑사르그인 장로 헤라클리우스는 포카스에 반기를 들고 제국 전역에 걸쳐 광대한 항구를 얻었다.포카스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국경 부대를 사용하려 했지만, 그 결과 외국 침략자들이 제국의 심장부로 침입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었다.장로의 아들 헤라클리우스는 610년 10월 5일 콘스탄티노플 점령에 성공했고, 같은 날 포카스를 처형한 뒤 스스로 황제를 선포했다.
살아남은 자원은 보편적으로 포카스에 극도로 적대적이다.그는 무능한 폭군이자 약탈자로 묘사되는데, 그는 현실적이거나 인지된 어떤 반대파도 잔인하게 숙청하고 제국을 외국의 침략에 크게 개방하게 했다.포카스의 뒤를 이은 헤라클리아 왕조의 황제들은 그의 명성을 더럽히는 데 기득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출처의 진실성을 확인하기 어렵다.
인생
초년기
포카스는 아마 547년에 태어났을 것인데, 그가 황제가 되었을 때 55세였다고 한다.[1]그와 그의 가족은 트라코[2] 로마 출신이거나 카파도키아[3] 출신일 가능성이 높다.비잔틴 제국의 왕위 찬탈 이전 포카스의 삶은 불명확하지만, 모리스 천황 휘하에서 하급 장교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리대금업
602년 비잔틴군은 모리스 천황에게 반란을 일으켰는데, 주로 다뉴브강 북쪽의 선거운동을 겨울에도 계속하라는 명령에 대한 피로와 분노와 이전의 임금 삭감 때문이었다.군대는 그때까지 백부장이었던 포카스를 새로운 황제로 선포하여 방패(황제를 선언하는 전통적인 방법) 위에 올려놓았다.[4][5]602년 11월 23일, 포카스는 헵도몬의 침례교 성 요한 교회에서 총대주교 키리아쿠스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이틀 뒤인 11월 25일 콘스탄티노플에 입성했다.[6]
모리스가 아들 테오도시우스와 티베리우스와 함께 성에서 도망쳤으나, 그들은 곧 붙잡혀 처형되었다.모리스의 아내와 딸들은 네아 메타니아 수도원에 수용되어 후에 살해되었다.[7]
대외갈등
이전 황제와 왕조의 후계자들이 처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카스는 여전히 위태로운 위치에 있었고, 그로 인해 그는 적을 숙청하고 음모를 파괴하는 데 정력을 쏟게 되었다.이러한 초점, 그리고 비잔틴 제국 전역에서 그가 직면한 지역 저항 때문에 그는 제국의 프런티어들에 대한 외국의 공격에 맞설 수 없었다.아바스족과 슬라브족은 비잔틴 제국의 발칸 지방에 무수한 습격을 가했고, 사산 제국은 제국의 동쪽 지방에 대한 침략을 개시했다.
아바스는 테살로니카 북쪽 발칸의 모든 땅을 차지할 수 있었다.기독교 도시의 인구는 학살되거나 잡혔다.비잔틴군은 페르시아군의 위협으로 대부분의 병력을 동부 전선으로 이동시켰다.
사사니드 페르시아인들은 이전에 591년에 모리스와 맺은 조약의 결과로 모리스와 화목했었다.포카스가 모리스의 습격을 받아 죽인 후, 페르시아인들은 603년 제국을 침공했다.[4] 사사니드족은 빠르게 동부 지방을 점령하여 나르스 주 오리엔템 당 마기스터 민병대를 이끌고 자기편으로 망명하였다.포카스는 그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안전한 행위의 약속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초청한 다음, 그가 도착했을 때 그를 산 채로 불태우게 했다.607년까지 사산노드는 보스포루스까지 메소포타미아, 시리아, 그리고 아시아의 많은 부분을 점령했다.[8]
610년 그의 통치가 끝날 무렵 페르시아인들은 이미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제노비아를 복용하고 있었다.현대의 설명은 페르시아인들이 점령된 사람들에게 매우 잔인하다고 묘사한다.'성 데메트리오스의 기적'은 대학살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T]그 악마는 동,칠리시아,아시아,팔레스타인과 거기서 콘스탄티노플까지 이르는 모든 땅에 증오의 소용돌이를 일으켰다.그 파벌들은 더 이상 공공장소에서 피를 흘리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가정을 공격하고,여자,아이,노약자,그리고 아픈 젊은이들을 학살하고, 젊음과 허약함이 그들의 탈출을 방해한 사람들이다.그들의 친구, 지인, 부모들이 약탈을 했고, 그 모든 일이 있은 후, 가장 비참한 거주자가 도망칠 수 없도록 불을 지르기까지 했다.[7]
관리
포카스는 국가나 군대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없었다.[9]황제가 되기 전에는 인연이 없었던 콘스탄티노폴리스 엘리트들의 다수에 대한 불신 때문에 포카스는 족벌주의를 실천하면서 군 고위직을 친족으로 자주 충원했다.그가 설치하였다. 그의 형 도멘티올루스(603년)는 마기스터(Magister)로, 조카 도멘티올루스(Domentziolus)는 604년 오리엔템(Orientem) 당 마기스터 민병(Magister)으로, 그의 형 코멘티올루스(Comentiolus)는 610년경에 오리엔템 당 마기스터 민병(Magister 민병)이었다.세 사람 모두 헤라클리우스에 의해 살해될 때까지 포카스에 대한 충성을 지켰다.[10]포카스의 알려진 남성 혈연 3명 중 3명은 모두 고위직에 임명되었으며, 2명은 군직에, 1명은 행정직에 임명되었다.포카스는 또 603년 포카스의 딸 도멘티야와의 결혼으로 사위였던 프리쿠스를 엑스쿠비터스의 주장인 컴츠 엑수비토룸으로 임명했다.[11]
이탈리아 정책
포카스가 황제였을 때 비잔틴 이탈리아는 롬바르드의 지속적인 공격을 받고 있었지만, 비잔틴 정부는 다른 곳에서 문제가 생겨 이탈리아를 돕기 위해 거의 자원을 쓰지 않았다.포카스의 통치 기간 내내 로마에서 정부 돈으로 지어진 유일한 공공 구조물은 608년에 완공된 포카스의 동상이었다.[7]
포카스가 모리스에게 욕설을 퍼부었을 때 그레고리 대왕은 로마의 주교였고 그는 포카스를 자유의 회복자라고 칭송했다.그레고리는 그를 경건하고 명석한 영주라고 언급하고, 아내(새 황후) 레온티아를 마르치안의 왕비 풀체리아에 비유했다(그녀는 칼케돈 평의회가 새 헬레나라고 부른다).603년 5월 황실 부부의 초상화가 로마에 도착하여 교황으로부터 팔라티네 황궁에 있는 성 카이사리오스의 웅변소에 배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7]
당시 새로운 교황을 임명하기 위해서는 황실의 승인이 필요했지만, 606년 사비니아 교황이 사망하자 포카스가 자신의 통치를 위협하는 내적들을 살해하는 데 몰두하면서 승인이 1년 늦춰졌다.[7]그는 마침내 607년에 승인을 했고 보니파이스 3세는 교황이 되었다.포카스는 로마를 "모든 교회의 수장"[7]이라고 선언했다.그 직후, 포카스는 포카스 기둥으로 알려진 로마 포럼의 기념비적인 기둥에 금박을 입힌 자신의 동상을 세웠다.
몰락
프리수스는 컴즈 엑수비토룸으로 임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카스에 충성하지 않았고, 608년 카르타고의 엑사르치인 장로 헤라클리우스에게 포카스에 반역할 것을 호소하였다.[11]헤라클리오스 장군은 이에 동의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곡식 공급을 끊고 대군과 해군을 집결시킴으로써 침략을 준비하기 시작했다.헤라클리우스 장로는 609년 조카 니케타스가 육로로 군대를 이끌고 수도로 진군하고 아들 헤라클리우스와 함께 테살로니카 해군의 침공을 지휘한 뒤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진군했다.헤라클리우스는 610년 10월 3일 콘스탄티노플 밖에 도착했고, 10월 5일 콘스탄티노플 시를 점령했다.헤라클리우스는 같은 날 황제로 선포되었고, 신속하게 포카스를 처형시켰다.[12]
레거시
포카스는 일반적으로 비잔틴과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악당으로 묘사되지만, 포카스의 통치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최초의 출처 중 일부는 헤라클리우스의 통치 기간 동안 쓰여졌다.살아남은 글들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중립적이지 않으며 작가들은 헤라클리우스의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 그를 악마로 만들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13]
문화권에서는 포카스의 통치는 콘스탄티누스 대왕이 정한 제국 패션의 변화로 두드러진다.콘스탄티누스와 그의 후계자들은 모두 수염이 없었다.포카스는 다시 수염의 착용법을 소개했다.이 패션은 비잔틴 제국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다.[14]
607년 2월 19일 포카스 황제는 보나피체 3세를 로마의 새 주교로 임명하고, 그 후 포카스는 로마 정부의 제국령을 통해 보나피체 3세를 '모든 교회의 수장'이자 '보나피체 3세'로 선포한다.포카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교구에서 로마 교구로 '유니버설 주교' 칭호를 이전한다.보니파스는 포카스로부터 "사도 베드로의 성전이 모든 교회의 수장이 되어야 한다"고 재차 명기한 포카스로부터 포고령을 구하여 얻었고, "보편 주교"라는 칭호는 로마 주교만의 것이 되도록 했다.이 행위는 콘스탄티노플의 시리아쿠스 총대주교가 '유니버설 주교'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를 사실상 종식시켰다.[15][unreliable source?]
교황을 '모든 교회의 수장'으로 칭함에 있어서 포카스의 포고령은 교황의 영장주의와 교황의 패권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일부 개신교 역사학 논평가들은 포카스(일반적으로 606년으로 간주)의 포고령을 종말론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아 왔다.[16]예를 들어, 그의 호레이 아포칼립틱카에서, 에드워드 주교는 요한계시록 11:3의 1260일을 606년과 1866년 이탈리아 통일 사이의 기간으로 삼았다.
참조
- ^ PLRE 3B 페이지 1030
- ^ Bury, John Bagnell (1889). A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Arcadius to Irene (395 A.D. to 800 A.D.). Vol. 2. London: Macmillan and Co. p. 197.
The reign of Phocas the Thracian, which lasted for eight years, was the realisation of that dreaded something whose approach had long been felt.
- ^ Charanis, Peter (1972). Studies on the Demography of the Byzantine Empire: Collected Studies. Variorum Reprints. p. 221. ISBN 978-0-902089-25-9.
The name Phocas appears as early as the fifth century; it is also attested for the sixth century; and there is of course, the Emperor Phocas, apparently of Cappadocian origin, who overthrew Maurice and was in turn overthrown by Heraclius early in the seventh century.
- ^ a b 클라인헨즈 2017, 페이지 890.
- ^ 카 2015, 페이지 79.
- ^ 크로니콘 파스칼레 602.
- ^ a b c d e f 에코노미우, 앤드류.비잔틴 로마와 그리스 교황.렉싱턴 서적, 2007
- ^ 카 2015, 페이지 80.
- ^ 파넬 2016, 페이지 6.
- ^ 파넬 2016, 페이지 136.
- ^ a b 파넬 2016, 페이지 137.
- ^ 크로니콘 패샬 610.헤라클리우스는 10월 3일 토요일(정답)에 도착했다.그러나, 이 연대기는 나중에 그가 10월 6일, "월요일"에 그 도시에 들어갔다고 말한다.5일은 분명히 의도된 것이다.
- ^ Kevin, Crow (2002). "Phocas". De Imperatoribus Romanis. Retrieved 25 September 2019.
- ^ "Byzantine first & last times". Byzantium.xronikon.com. Retrieved 7 November 2012.
- ^ "Apostate church organization: 588 - 606 AD: The final dog fight for control of the world!". www.bible.ca. Retrieved 2021-10-23.
- ^ Newsom, Carol A. (2014). Daniel: A Commentar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p. 317. ISBN 9781611645392. Retrieved 8 July 2020.
참고 문헌 목록
- Carr, John (2015). Fighting Emperors of Byzantium. Pen and Sword. ISBN 9781473856400.
- Crawford, Peter (2013). The War of the Three Gods: Romans, Persians and the Rise of Islam. Pen and Sword. ISBN 9781473829510.
- Kleinhenz, Christopher (2017). Routledge Revivals: Medieval Italy (2004):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ISBN 9781351664431.
- Parnell, David Alan (2016). Justinian's Men: Careers and Relationships of Byzantine Army Officers, 518-610. Springer. ISBN 9781137562043.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포카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