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니코스 1세

Andronikos I Komnenos
안드로니코스 1세
로마 제국의 황제 겸 독재자
143 - Andronikos I Komnenos (Mutinensis - color).png
안드로니코스 1세의 축소 초상화(15세기 코덱스에서 조앤스 조나라스역사 추출물 사본)
비잔틴 황제
군림하다1183년 9월 12일 – 1185년 9월 12일
전임자알렉시오스 2세
후계자아이작 2세
태어난c. 1117
죽은1185년 9월 12일
(66-67세)
콘스탄티노플
(현재 터키 이스탄불)
아내

마스티네스
프랑스의 안나

에우도키아 콤네네
필리파
테오도라 콤네네
이슈마누엘 콤네노스
마리아 콤네
알렉시오스 콤네노스
아이린 콤네
왕조콤네노스
아버지아이작 콤네노스
어머니카타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노스(그리스어: ἀνδόννι;;;;;;;;;;;;;;;;;;;;;;;;; c.11117년 ~ 1185년 9월 12일)는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누스로 라틴화비잔틴 황제였다.이삭 콤네노스의 아들이자 알렉시오스 1세의 손자였다.후에 비잔틴 역사학에서 안드로니코스 1세는 그가 실명했던 수많은 적들을 언급하면서 "미소파이스"("햇볕의 후예")라는 별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초년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는 1118년경에 태어났다.그는 잘생기고 웅변가였고, 적극적이고, 강인하고, 용감했으며, 훌륭한 장군이며 유능한 정치인이었지만, 또한 감초도 있었다.[2]그의 초년은 즐거움과 군복무로 번갈아 가며 보냈다.

1141년 그는 셀주크 투르크족에게 포로로 잡혀 1년 동안 그들의 손에 남아 있었다.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그의 첫 사촌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궁정에 안치되었다.여기서 그의 조카인 유덕시아의 매력이 그를 매혹시켰고 그녀는 그의 정부가 되었다.[2]1152년 에우독시아를 동반하여 킬리시아에서 중요한 사령부를 향해 출발하였다.모프수이스티아에 대한 공격인 마미스트라 전투에서 패배한 후, 그는 돌아왔으나 다시 지방의 지휘부에 임명되었다.콘스탄티노플에 다시 나타났다가 에우독시아 형제들의 손에 간신히 죽음을 면했기 때문에 이 두 번째 자리도 잠시 후에 떠난 것 같다.[2]

망명

1153년경 안드로니코스가 참여한 마누엘 황제에 대한 음모가 발각되어 투옥되었다.거듭된 시도 끝에 1165년 탈출했다.[2]블라크 영토에서 포로생활을 하는 등 여러 가지 위험들을 거쳐 키예프에 이르렀는데,[3] 그곳에서 갈리시아의 사촌 야로슬라프 오스모미슬이 법정에 섰다.야로슬라프의 보호를 받는 동안 안드로니코스는 황제 마누엘 1세와 동맹을 맺었고, 갈리시아 군대와 함께 마뉴엘과 함께 헝가리 침공에 가담하여 셈린의 포위를 도왔다.[2]캠페인은 성공적이었고, 안드로니코스는 1168년 마누엘 1세와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왔지만, 1년 후, 안드로니코스는 마누엘이 그의 후계자가 되고자 했던 헝가리의 벨라에 대한 충성의 맹세를 거부했다.안드로니코스는 법정에서 제거되었지만 킬리시아 지방을 받았다.[2]

여전히 황제의 불쾌감에 안드로니코스는 안티오크의 레이몬드 왕자의 궁정으로 도망쳤다.이곳에 머무는 동안 그는 마리아 황후의 누이인 왕자의 아름다운 딸 필리파를 사로잡고 유혹했다.황제는 다시 이 불명예에 화가 났고, 안드로니코스는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2]그는 예루살렘의 아말릭 왕과 함께 피난하였다. 아말릭 왕은 그의 호의를 얻어 베이루트의 영주권을 그에게 주었다.예루살렘에서 그는 볼드윈 3세의 아름다운 미망인이자 마누엘 황제의 조카인 테오도라 콤네네를 보았다.안드로니코스는 그 당시 56세였지만, 나이는 그의 매력을 떨어뜨리지 않았고, 테오도라는 그의 교묘한 유혹의 다음 희생자가 되었다.[2]황제의 복수를 피하기 위해 그녀는 안드로니코스와 함께 다마스쿠스의 술탄 누르 앗딘의 궁전으로 도망쳤다.그곳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그들은 코카서스아나톨리아를 통과하는 위험한 여행을 계속했다.[2]그들은 조지아 왕 조지 3세로부터 호평을 받았는데, 그의 여동생은 아마도 안드로니코스의 첫 번째 아내였을 것이다.

안드로니코스는 조지아 동부의 카케티아에 있는 토지를 허가받았다.1173년 또는 1174년, 그는 조지아 군대와 동행하여 시르반으로 올라가 카스피안 해안에 올라갔는데, 거기서 조오지는 사촌인 시르반샤 아크시탄 1세를 위해 다르반드에서 침략자들로부터 샤바란 요새를 탈환했다.[4]마침내 안드로니코스와 테오도라는 트레비존드시노페 사이의 흑해 연안의 오이니온에 있는 콤네노이의 조상 땅에 정착했다.[5]안드로니코스가 트레비존드로 침입하는 동안 그의 성은 그 지방의 총독에 의해 놀라고 테오도라와 그녀의 두 자녀는 붙잡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졌다.1180년 초 안드로니코스를 석방하기 위해 황제 앞에 쇠사슬로 묶인 채 나타나서 용서를 빌었다.이것을 얻었고, 그는 오나이온에서 테오도라와 함께 퇴직을 허락받았다.[2]

황제.

1180년 황제 마누엘이 사망하고 10살 난 아들 알렉시오스 2세의 뒤를 이어 안티오키아의 어머니 마리아가 후견하였다.[2]그녀의 라틴어 기원과 문화는 그녀의 그리스 피험자들로부터 슬며시 원한을 품게 했다.그들은 마뉴엘의 서구식 취향에 모욕감을 느꼈고, 그의 프랑크식 미망인의 지배를 받는 것은 폭동의 폭발로 긴장감을 조성하여 거의 완전한 내전이 될 뻔 했다.[citation needed]이로써 안드로니코스는 1182년 퇴임을 떠나 (비잔틴 소식통에 따르면) 무슬림 우발자들이 포함된 군대를 이끌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행진하면서 스스로 왕관을 탈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6]

알렉시오스는 협상을 시도했고, 조지 시필리노스(미래 총대주교)를 안드로니코스의 진영으로 보내 사면과 높은 관직을 제의했다.이 사건에서 시필로노스는 프로토세바스토스를 배반했고 안드로니코스는 프로토세바스토스가 은퇴하여 자신의 행정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제안을 거절했고, 황후 도우는 수녀원에 감금되었다.비잔틴 해군의 지휘관인 메가스 두크스 안드로니코스 콘토스테파노스(Megas doux Andronikos Kontostephanos)와 장군 안드로니코스 안젤로스의 귀순은 반란군이 콘스탄티노플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7]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의 도착은 곧 도시의 라틴 주민들에 대한 대학살로 이어졌는데,[2] 이들은 이 도시의 경제를 사실상 지배했고, 그 결과 수천 명의 서양인들이 목숨을 잃었다.그는 알렉시오스 2세의 누나인 포르피로니타 마리아와 그녀의 남편인 몽페라트의 레니에의 독살을 주선했다고 생각되었다. 비록 마리아 자신이 그에게 개입하도록 권했지만, 독살자는 내시 페테리건파라고 한다.[citation needed]그 직후 안드로니코스는 마리아 황후를 감옥에 가두었다가 살해했다. – 어린 알렉시오스 황제의 서명을 강요하여 어머니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 프테리건과 콘스탄티누스 트리피초스가 그의 어머니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다.[citation needed]알렉시오스 2세는 칠케 그리스도의 교회 테라스에서 군중들 앞에서 안드로니코스를 제국의 동료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고, 그리고 나서 재빨리 차례로 사형에 처해졌다; 살인은 트리피코스, 테오도르 다디브레노스, 그리고 스테판 하기오크리스토포리테스에 의해 행해졌다.[8]

1183년, 65세의 안드로니코스는 프랑스의 루이 7세와 그의 세 번째 부인[2]샴페인 아델의 딸인 프랑스의 12세 아그네스와 결혼했다. 아그네스는 알렉시오스 2세와 약혼했다.[9]1183년 11월까지 안드로니코스는 그의 어린 합법적인 아들콤네노스를 왕위에 앉혔다.[10]1184년 베네치아 대사관이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하여 1171년 발생한 손실에 대해 1500개의 금괴를 보상하기로 합의하였다.[11]

안드로니코스의 치세는 그의 가혹한 처사가 특징이었다.그는 많은 학대를 억누르기로 결심했지만 무엇보다도 봉건주의를 견제하고 왕위 계승의 라이벌이었던 귀족들의 권력을 제한하기로 했다.그는 공직의 매각을 금지하고 부패한 관리들을 처벌(흔히 잔혹하게)함으로써 부패한 정치체제를 개혁하려 했지만, 무엇보다도 봉건적 지주들의 권력을 견제하기 위해 움직였다.그의 법의 엄격함을 느낀 사람들은 동시에 그들의 정의를 인정하고, 마누엘 1세의 치정에 의해 부패해버린 [2]상사의 독단성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받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citation needed]그러나 안드로니코스는 점점 더 편집증적이고 폭력적이 되었고, 제국은 테러 국가로 전락했다.[citation needed]1185년 9월, 침략자와의 유착을 이유로 포로, 망명자, 그 가족 모두를 처형하도록 명령하였다.이에 귀족들은 차례로 그에 대해 격분했고,[2] 여러 차례 반란이 일어났다.[citation needed]

혼돈의 이야기는 시칠리아 왕국의 윌리엄 2세의 침공으로 이어졌다.[2]윌리엄은 200척의 배와 기사 5000명을 포함한 8만 명의 병력으로 에피루스에 상륙하여 테살로니카까지 행군하여 무자비하게 약탈하였다(그리스인 7000명이 죽었다).[12][2][citation needed]안드로니코스는 시칠리아 군대가 콘스탄티노플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 급히 다섯 개의 다른 군대를 집결시켰지만, 그의 군대는 서 있지 못하고 외딴 언덕으로 후퇴했다.안드로니코스는 또한 노르만 함대가 마르마라 해로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100척의 함대를 집결시켰다.침략자들은 마침내 1186년 그의 후계자인 아이작 안젤로스에 의해 쫓겨났다.[citation needed]

죽음

안드로니코스의 죽음에 대한 15세기 묘사.프랑스 국립 비블리오테크에서 오리지널.

안드로니코스는 그때 귀족들을 몰살하기로 결심한 것 같고, 그의 계획은 거의 성공적이었다.그러나 1185년 9월 11일 수도[2] 스테판 헤이조크리스토포리츠를 결석하는 동안 그의 중위는 충성심이 의심스러운 아이작 안젤로스를 체포하기 위해 이동했다.[13]안젤로스는 하기오크리스토포리테스를 죽이고 하기아 소피아 교회로 피신했다.그는 민중에게 호소했고, 도시 전체에 급속히 퍼진 소동이 일어났다.[2]

안드로니코스가 도착했을 때 그는 이삭이 황제로 선포되었다는 것을 알았다.[2]퇴위한 황제는 아내 아그네스와 내연녀와 함께 배를 타고 탈출을 시도했으나 붙잡혔지만(안드로니코스가 살아남아 자칭 키프로스 왕국으로 간신히 도망쳤다는 주장도 있지만).[2]안젤로스는 그를 도시 폭도들에게 넘겨주었고 사흘 동안 그들의 분노와 원망을 접하게 되었고,[2] 그 기간 동안 기둥에 묶여 매를 맞았다.오른손은 잘리고, 이빨과 머리카락은 뽑혔으며, 한쪽 눈은 퉁겨져 나왔으며, 다른 많은 괴로움들 중에서도 끓는 물을 얼굴에 던졌는데, 아마도 그의 손맛과 관련된 벌과 음탕한 생활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2]마침내 그는 콘스탄티노플의 히포드롬으로 인도되어 두 기둥 사이에 발에 매달렸다.두 명의 라틴 병사가 누구의 검이 그의 몸에 더 깊이 침투할 것인가를 놓고 경쟁을 벌였고, 그는 그의 죽음을 표현하기 위해 찢겨졌다; 그의 유골은 고통 없이 남겨졌고 그 후 몇 년 동안 눈에 띄었다.[14]그는 1185년 9월 12일에 죽었다.[15]황제가 죽었다는 소식에 그의 아들과 공동제자인 존은 트라이스에서 자신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14]안드로니코스 1세는 비록 그의 손자들 알렉시오스다윗이 1204년에 트레비존드 제국을 건국하였지만, 콘스탄티노플을 통치한 콤네노이의 마지막이었다.그들의 왕조 지부는 "위대한 콤네노이"(메갈로콤네노이)로 알려져 있었다.[16]

가족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노스는 두 번 결혼하여 수많은 내연녀를 두었다.이름을 알 수 없는 첫 번째 부인에 의해 그는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17]

  • 마누엘 콤네노스(1145년 – 1185년 이후)는 마누엘 1세의 밑에서 대사를 지냈고, 정권을 잡았을 때 아버지의 정책에 반대했다.이러한 반대와 AIMA 예언을 고수했기 때문에, 그는 후계자로 지명되지 않고 대신 세바스토크레이터의 계급을 수여받았다.그런데도 그는 아버지의 몰락 이후 신정권에 눈이 멀어 그 후 원천에서 사라진다.[18]결혼부터 그루지야 공주 루수단에 이르기까지 그는 알렉시오스 1세다비드 콤네노스의 아버지였으며 트레비존드 제국의 창시자였으며 코메니아 가의 유일한 남성 라인 후손인 그랜드 콤네노이의 왕조였다.[19][20]
  • 존 콤네노스(1159–1185)는 어린 시절, 유배 기간 동안 아버지와 동행했으며, 1183년 11월 왕위에 오른 후 공동 황제로 즉위하였다.안드로니코스를 타도한 후 1185년 9월에 처형되었다.[21]
  • 마리아 콤네(11666)는 1182년 테오도르 시나데노스와 결혼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고, 그녀의 두 번째 남편은 1185년 노르만인들에 대한 디라치움 방어 중 민중의 광성과 공포가 도시의 붕괴에 기여했던 로마노스였다.안드로니코스의 몰락 후 마리아와 남편의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다.[22]

그의 조카딸이자 정부인 테오도라 콤네네에 의해 안드로니코스 1세는 다음과 같은 아이들을 낳았다.[23]

  • 알렉시오스 콤네노스(1170년 – 1199년)는 그의 어린 시절이 불명확하여 1185년 이후 조지아로 망명하여 지방 귀족들과 결혼하였다.안드로니카쉬빌리의 귀족 가문은 그에게서 후손이라고 주장하는데, 그는 알라스타넬리의 지방 통치자들의 선조였을지도 모른다.[24][25]
  • 아이린 콤네네네(1171년생)는 1183년 10월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의 사생아인 세바스토크레이터 알렉시오스 콤네노스와 결혼했다.그녀의 남편은 안드로니코스에 대한 음모에 말려들어 맹목적으로 감옥에 갇혔고, 아이린은 수도원에 들어갔다.[26]

프랑스의 안나와의 두 번째 결혼, 그리고 다른 정부와의 관계는 아이가 없는 상태로 남아 있었다.[23]

대중문화에서

안드로니코스는 마이클 아놀드의 '밤의 반대'(Garden City, New York: Doubleday 1975)[27]와 안젤 블라초스의 '가장 평온한 마제스티스'(Vanguard Press, 1964)의 주인공이다.[28]

는 루이 라무르 중세 역사소설 <걷는 북>에 언급되어 있는데, 그의 소름끼치는 죽음을 비전으로 주인공에 의해 예견된 것이다.[29]

그는 프랑스의 역사소설 아그네스(1980년)의 주인공이다. 그리스 작가 Kostas Kyriazis (b. 1920년)의 ISBN9789600501759)이다.소설은 아그네스의 눈을 통해 마누엘 1세, 알렉시오스 2세, 안드로니코스 1세의 치세 사건을 묘사하고 있다.소설은 안드로니코스의 죽음으로 끝을 맺는다.

안드로니코스는 움베르토 에코가 쓴 소설 바우돌리노에서 묘사되었는데, 그의 비열한 결말에 많은 세부 사항이 주어졌다.[30]

참고 항목

메모들

  1. ^ Lascaratos, John (1 July 1999). ""Eyes" on the Thrones: Imperial Ophthalmologic Nicknames". Survey of Ophthalmology. 44 (1): 73–78. doi:10.1016/S0039-6257(99)00039-9. ISSN 0039-6257. PMID 10466590.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치솔름 1911, 페이지 975.
  3. ^ 척추 2009, 페이지 131.
  4. ^ 1945년, 페이지 557–558.
  5. ^ 스페로스 브리오니스 주니어, 중세 헬레니즘의 쇠퇴 마이너: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이슬람화 과정(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교, 1971) 페이지 127
  6. ^
  7. ^ 앵골드 1997, 페이지 267.
  8. ^ 코나테스 1984, 페이지 260–274.
  9. ^ 조나단 해리스, 비잔티움십자군 제2조 (런던:Bloomsbury, 2014), Xii 및 122-36.ISBN 1780936710
  10. ^ 레오노라 네빌, 12세기 비잔티움의 영웅과 로마인 : 나이키포로스 브리니오스의 역사를 위한 자료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3-28ISBN 9781107009455
  11. ^ Medieval and Renaissance Venice. Donald E. Queller, Ellen E. Kittell, Thomas F. Madden.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9. pp. 96–109. ISBN 0-252-02461-3. OCLC 40061377.{{cite book}}: CS1 maint : 기타(링크)
  12. ^ 테살로니카의 자루, https://byzantium.gr/battle.php?byzbat=c12_07
  13. ^ 해리스 2003 페이지 136.
  14. ^ a b 1984년 193페이지.
  15. ^ 1984년, 페이지 188–189.
  16. ^ Vasiliev, V. V. (1936). "The Foundation of the Empire of Trebizond (1204–1222)". Speculum. 11 (1): 3–36. doi:10.2307/2846872. JSTOR 2846872. S2CID 162791512.
  17. ^ 바르조스 1984a, 페이지 637.
  18. ^ 바르조스 1984b, 페이지 511–528.
  19. ^ 바르조스 1984a, 페이지 637–638.
  20. ^ 바르조스 1984b, 페이지 527.
  21. ^ 바르조스 1984b, 페이지 528~532.
  22. ^ Varzos 1984b, 페이지 532–535.
  23. ^ a b 바르조스 1984a, 페이지 638.
  24. ^ Varzos 1984b, 페이지 532–537.
  25. ^ 윌리엄스 2006.
  26. ^ 바르조스 1984b, 페이지 481, 537–539.
  27. ^ "AGAINST THE FALL OF NIGHT". Kirkus Reviews. 4 April 1975. Retrieved 10 September 2021.
  28. ^ "THEIR MOST SERENE MAJESTIES". Kirkus Reviews. 22 October 1964. Retrieved 10 September 2021.
  29. ^ L'Amour, Louis (1984). The Walking Drum. Bantam Books. pp. 381–382.
  30. ^ Mullan, John (8 May 2003). "Catching the Prester John Bug". London Review of Books. Retrieved 10 September 2021.

참조

추가 읽기

  • 기번, 에드워드로마 제국의 쇠퇴와 몰락, 48장.
  • 그룬바르트, Michael, Zbornik Radova Vizantinoloskog Instituta 48, 2011, 페이지 75–85에 있는 'Die Macht des Historyiosh - Andronikos und Sein Bild'
  • 해리스, 조나단, 비잔티움 그리고 십자군, 블룸스베리, 2014년 2월 2일.ISBN 978-1-78093-767-0
  • Harris, Jonathan, '비잔티움에 대한 군사행동의 구실로 이교도와 결탁'에서 Clash of Cultures: Love and Hate, Ed.사라 램버트와 헬렌 니콜슨, 브레폴스, 2012 페이지 99–117.ISBN 978 2503 520643
  • Kazhdan, Alexander, ed. (1991).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4652-8.
  • 미하이 티울리우메슈, 안드로닉 1세 콤네눌, 이아치, 2000년 (루마니아어로)
  • Treadgold, Warren (1997).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0-8047-2630-2.
  • 테살로니키의 유스타디오스 '테살로니키의 생포'(바이잔티나 오스트랄리엔시아 8), 캔버라 1988.
  • 이 황제의 생전에 대한 존 멜빌 존스의 강의 전문은 [1]에 있다.그것은 광범위한 참고 문헌을 동반한다.
안드로니코스 1세
콤네 왕조
출생: 1118사망: 1185년 9월 12일
섭정 직함
선행자 비잔틴 황제
1183–1185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