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

Romanos I Lekapenos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
로마의 황제이자 독재자
Romanos I in Madrid Skylitzes.jpg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 12세기 마드리드 스카이리체스
비잔틴 황제
통치.920년 12월 17일 –
944년 12월 20일
전임자콘스탄티누스 7세
(리젠트 통치 하)
후계자콘스탄틴 VII(단일 규칙)
공동 황제콘스탄티누스 7세
크리스토퍼 레카페노스
(921–931)
스테판 레카페노스
(924–944)
콘스탄틴 레카페노스
(924–944)
태어난c. 870
라카페
(현대 터키)
죽은948년 6월 15일(77~78세)
매장
컨소시엄테오도라
쟁점.크리스토퍼
스테파노스
콘스탄틴
시오필락트
헬레나
아가타
바질(불법)
다이너스티마케도니아 왕조/레카페노이
아버지.테오필락토스 아바스탁토스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Romanos I Lekapenos, 870년 경 - 948년 6월 15일)는 비잔티움 제국해군 제독으로, 920년 12월 20일부터 944년 12월 24일까지 군림했다.

기원.

로마노스 레카피노스는 멜리텐사모사타 사이의 라카페(나중에 라카빈)에서 태어났으며, 참을 수 없는 테오필락토스의 놀라운 이름을 가진 아르메니아[1][2] 농부의 아들이었다.하지만, 비잔틴주의자 앤서니 칼델리스에 따르면, 로마노스는 많은 비잔틴 문헌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그들 중 누구도 그를 [3]아르메니아인이라고 부르지 않는다.그의 아버지는 미천한 태생이었고 그것이 그가 아르메니아인으로 [3]추정된 이유이다.이러한 민족성 주장은 문헌에서 너무 자주 반복되어 비록 가장 미미한 간접적인 [3]연계에 기초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사실의 지위를 얻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아버지 테오필락트는 군인으로써 테프라이크 전투에서 바실 1세 황제를 적에게서 구해냈고 제국 [4]근위대에서 보답을 받았다.

비록 그는 세련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나중에 사위 콘스탄티누스 7세에게 학대를 받았다), 로마노스는 현명한 레오 6세 황제의 통치 기간 동안 군대의 대열을 통해 전진했다.911년에 그는 사모스라는 해군 테마에 대한 장군이었고 나중에 함대의 제독역임했다.이 자격으로 그는 917년 다뉴브 에서 불가리아를 상대로 한 비잔틴 작전에 참여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그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었다.917년 불가리아인들에게 아켈루오스 전투에서 처참한 비잔틴의 패배의 여파로, 로마노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항해했고, 그곳에서 그는 점차적으로 조 카르보놉시나 황후와 그녀의 지지자인 레오 포카스의 불명예스러운 섭정을 극복했다.

권좌에 오르다

장남 크리스토퍼 레카페노스와 로마노스 1세의 금솔리더스

919년 3월 25일, 그의 함대의 선두에서, 레카피노스는 부콜레온 궁전과 통치권을 장악했다.처음에 그는 치안판사메가스 헤타이어로 임명되었지만, 그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신속히 움직였다: 919년 4월에 그의 헬레나는 콘스탄티누스 7세와 결혼했고, 레카피노스는 새로운 바실레오파이터라는 직함을 맡았다.920년 9월 24일, 그는 시저로 임명되었고, 12월 17일 로마노스는 황제[5][6]즉위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로마노스는 자신의 아들 크리스토퍼921년 스테파노와 콘스탄티누스를 공동 황제 자리에 앉혔지만, 당분간 콘스탄티누스 7세는 로마노스에 이어 서열 1위로 여겨졌습니다.콘스탄티누스 7세를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두었기 때문에 '순한 강탈자'로 불린 것이 눈에 띈다.로마노스는 자신의 딸들을 아르히로스와 마우슬레스의 강력한 귀족 가문과 결혼시키고, 물러난 총대주교 니콜라스 미스티코스를 소환하며, 레오 6세의 네 번의 결혼을 둘러싼 교황과의 갈등을 종식시킴으로써 그의 입지를 강화했다.

그의 초기 통치 기간 동안 그를 무너뜨리려는 여러 음모를 보였고, 이것은 그의 첫 번째 파라다이스테온트인 요한 라이크토르와 요한 미스티코스의 연속적인 축출로 이어졌다.925년부터 그의 통치가 끝날 때까지, 그 자리는 시종인 테오파네스가 차지했다.

불가리아와의 전쟁과 평화

새 황제가 직면했던 첫 번째 큰 도전은 조의 섭정에 의해 재점화된 불가리아와의 전쟁이었다.로마노스의 권좌의 상승은 콘스탄티누스 7세와의 혼인 동맹을 위한 불가리아의 시메온 1세의 계획을 축소시켰고, 로마노스는 이미 두 개의 제국 정부를 무너뜨린 시메온에 대한 제국 인정이라는 인기 없는 양보를 부인하기로 결심했다.결과적으로, 로마노스의 통치 첫 4년은 불가리아와의 전쟁에서 보내졌다.시메온이 일반적으로 우위에 있었지만, 그는 콘스탄티노플 성벽의 난공불락 때문에 결정적인 이점을 얻을 수 없었다.924년, 시메온이 다시 육로로 수도를 봉쇄했을 때, 로마노스는 협상을 시작하는 데 성공했다.코스미디온에서 시메온을 직접 만난 로마노스는 시메온의 전통과 정통 기독교 형제애를 무시한 것을 비판하고, 시메온이 화해하고 포위망을 풀도록 수치심을 줬다고 한다.사실, 이것은 로마노스가 시메온을 불가리아의 황제로 암묵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그 후 관계는 칭호를 둘러싼 계속되는 논쟁으로 얼룩졌지만, 평화는 효과적으로 확립되었다.

927년 5월 시메온이 사망하자, 불가리아의 새 황제 페테르 1세는 비잔틴 트라키아를 침략함으로써 무력시위를 벌였지만, 그는 보다 영구적인 평화를 위해 협상할 준비가 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다.로마노스는 이 기회를 포착하여 비잔티움과 불가리아의 황실 사이에 혼인 동맹을 제안하였고, 동시에 세르비아의 차슬라프와 세르비아-비잔틴 동맹을 재개하여 같은 해에 독립을 되찾았다.927년 9월, 피터는 콘스탄티노플보다 먼저 도착하여 로마노스의 장남이자 공동 황제 크리스토퍼의 딸 마리아(이레네로 개명)와 결혼하여 그의 손녀와 결혼했다.이 경우에 크리스토퍼는 그의 매제 콘스탄티누스 7세보다 계급이 우선되었고, 이는 레카페노이 가문, 불가리아인, 외부인과의 제국 결혼에 대한 후자의 분노를 더 복잡하게 만들었다(그의 작문인 데 행정도 임페리오에서 문서화되어 있음).이때부터 로마노스 정부는 불가리아와의 직접적인 군사적 대립에서 자유로워졌다.비록 비잔티움이 931년 불가리아에 대한 세르비아의 반란을 암묵적으로 지지하고 불가리아인들은 마자르인들이 그들의 영토를 가로질러 비잔틴 영토로 가는 것을 허락했지만, 비잔틴과 불가리아는 스비아토슬라프의 불가리아 침공 전까지 40년 동안 평화를 유지했다.

동양에서의 캠페인

로마노스는 뛰어난 장군쿠르쿠아스를 동양 야전군 사령관(도메스티코스스콜론)으로 임명했다.존 쿠르쿠아스는 찰디아를 주제로 한 반란을 진압하고 924년 아르메니아에 개입했다.926년부터 쿠르쿠아스는 아바스 왕가와 그들의 신하들을 상대로 동부 국경을 넘어 캠페인을 벌였고, 934년 멜리텐에서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이 도시의 점령은 종종 이슬람교도들로부터의 최초의 주요 비잔틴 영토 회복으로 여겨진다.

테오파네스가 이끄는 비잔틴 함대는 941년에 루스를 격퇴한다.마드리드 스카이리체스의 미니어처.

941년, 쿠르쿠아스가 이끄는 대부분의 군대가 동부에 없는 동안, 테오파네스이끄는 15척의 낡은 함대는 키예프의 습격으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을 지켜야 했다.침략자들은 바다에서 그리스군의 포화를 사용했고, 비티니아에 상륙했을 때 쿠르쿠아스가 이끄는 귀환군에 의해 다시 육지에서 패배했다.944년 로마노스는 키예프의 이고르 왕자와 조약을 맺었다.이 위기가 지나자 쿠르쿠아스는 자유롭게 동부 국경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943년 쿠르쿠아스는 메소포타미아 북부를 침공했고 944년 중요한 도시 에데사를 포위했다.그의 탈퇴의 대가로, 쿠르쿠아스는 비잔틴에서 가장 귀중한 유물 중 하나인 만딜리온, 예수 그리스도에데사압가르 5세에게 보낸 것으로 알려진 신성한 수건을 입수했다.존 쿠르쿠아스는 그의 동시대 사람들 중 일부에 의해 "제2의 트라야누스 또는 벨리사리우스"로 여겨졌지만, 945년 레카페노이족이 멸망한 후 해임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동양에서의 캠페인은 10세기 중후반 더 극적인 재탈환의 길을 열었다.

내부 정책

로마노스 1세가 922년 가족의 성지로 의뢰한 미렐라이온의 궁전 교회.콘스탄티노플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는 가능한 모든 곳에서 평화를 추구함으로써 비잔틴 제국을 강화하려고 시도했다. 불가리아와 키반 루스에 대한 그의 거래는 위에서 기술되었다.마자르의 침략으로부터 비잔틴 트라키아를 보호하기 위해, 로마노스는 그들에게 보호비를 지불하고 외교적 길을 추구했다.카자르는 로마노스가 제국의 유대인들을 박해하기 시작할 때까지 비잔틴의 동맹이었다.셰흐테르 서한에 따르면, 하자르 통치자 요셉은 유대인들의 박해에 "많은 기독교인들을 없애라"고 답했고, 로마노스는 노브고로드의 올레그(편지에서 헬구라고 부름)를 하사리아에 [7]대해 선동함으로써 보복했다.

비슷하게, 로마노스는 교회 내 평화를 재정립했고, 920년 유니온의 Tomos를 공포함으로써 로마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새로운 갈등을 극복했다.933년 로마노스는 그의 어린 아들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로 명명하기 위해 가부장적 왕좌의 빈자리를 이용했다.새 총대주교는 그의 경건함과 영성으로 명성을 얻지는 못했지만, 그는 비잔틴 전례에 연극적인 요소를 더했고 열성적인 말 사육가였으며, 그녀가 출산할 때 그가 가장 좋아하는 말 중 한 마리를 돌보기 위해 미사를 남겼다고 한다.

로마노스는 입법자로 활동하며, 소규모 토지 소유주들이 토지를 소유한 귀족들의 재산에 삼켜지는 것을 막기 위한 일련의 법을 공포했다.입법 개혁은 927년의 기근과 뒤이은 반인기 반란으로 야기된 고난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은 것일 수 있다.황제는 또한 귀족들에게 부과되는 세금을 증가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재정 기반 위에 국가를 세웠다.로마노스는 또한 제국의 몇몇 지방, 특히 칼디아, 펠로폰네소스, 그리고 남부 이탈리아에서 반란을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었다.

콘스탄티노플에서, 그는 마르마라근처에 있는 미렐라이온이라고 불리는 곳에 그의 궁전을 지었다.그 옆에 그는 사당을 지었는데, 그것은 비잔틴 황제의 개인 매장 교회의 첫 사례가 되었다.게다가, 그는 대궁전으로 들어가는 기념비적인 입구인 찰케 문 근처에 Christ Chokkites에게 바치는 예배당을 세웠다.

치세 말기

로마노스의 이후 통치는 콘스탄티누스 7세의 왕위 찬탈에 대한 노황제의 높은 관심과 증가하는 죄책감으로 특징지어졌다.931년 그의 가장 유능한 아들인 크리스토퍼가 사망했을 때, 로마노스는 콘스탄티누스 7세보다 어린 아들들을 우선시하지 않았다.로마노스가 콘스탄티누스 7세가 그들 대신 그의 뒤를 이을 것을 두려워하여, 그의 어린 아들 스테판과 콘스탄티누스는 944년 12월 [8]20일 그들의[5] 아버지를 체포하고, 그를 프린스 제도로 데려가서 수도사가 되도록 강요했다.그러나 그들이 콘스탄티누스 7세의 지위를 위협했을 때, 콘스탄티노플 사람들은 반란을 일으켰고, 스테파노와 콘스탄티누스는 마찬가지로 황제의 지위를 박탈당하고 그들의 아버지에게 추방되었다.로마노스는 948년 [5][9]6월 15일에 사망했고, 그의 가족의 다른 구성원으로서 미렐라이온 교회에 묻혔다.

콘스탄티누스 7세는 레카페노이 가문에 의해 오랫동안 퇴거의 위협 아래 살았거나 더 나쁜 위협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그들을 극도로 원망했다.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로마노스 2세를 위해 쓴 그의 행정안도 임페리오 매뉴얼에서, 그는 죽은 장인에 대해 "로마누스 황제는 멍청하고 문맹자였고, 높은 황실 방식으로 자라지도 않았고, 처음부터 로마의 관습, 황실이나 귀족의 혈통도 따르지 않았고, 따라서 더 많은 문맹자였습니다.대부분의 일을 할 때 권위주의적이고...왜냐하면 그의 신념은 무례하고 완고하며 선한 것에 대해 무지하고 옳고 [10]그른 것에 집착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가족

로마노스는 테오도라(922년 사망)와의 결혼으로 다음과 같은 6명의 자녀를 두었다.

로마노스에게는 사생아인 내시 바질도 있었는데, 그는 특히 976년에서 985년까지 궁정에서 영향력이 있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John H. Rosser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Byzantium. Scarecrow Press. p. 56. ISBN 978-0-8108-7567-8.
  2. ^ Hélène Ahrweiler, Angeliki E. Laiou (1998). Studies on the Internal Diaspora of the Byzantine Empire. Dumbarton Oaks. p. 66. ISBN 978-0-88402-247-3.
  3. ^ a b c Kaldellis, Anthony (2019). Romanland: Ethnicity and Empire in Byzantium. Harvard University Press. pp. 174–175. ISBN 978-0-674-98651-0.
  4. ^ 룬시만, 페이지 63
  5. ^ a b c Bekker, Immanuel, ed. (1838) [9th-10th c.]. "Libri VI: Constantini Imperium". Theophanes Continuatus. pp. 393–397, 436–441.
  6. ^ 런시만 1988, 59~62페이지
  7. ^ "루스" 이슬람 백과사전
  8. ^ Skylitzes, John (2010) [1057]. Synopsis of History. Translated by Wortley, Joh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227.
  9. ^ George Monachos의 계속은 7월 15일을 가리키지만, 이것은 실수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전체 장은 Theophanes Continuatus의 사본이기 때문이다.
  10. ^ Jonathan Shepard (ed.). Cambridge History Byzantine Empire. p. 39.

원천

외부 링크

로마노스 1세 레카페노스
출생: c.870사망일 : 948년 6월 15일
직함
선행 비잔틴 황제
920–944
콘스탄틴 7세와 함께(913–959)
크리스토퍼 레카페노스(921–931)
스테판 레카페노스(924–945)
콘스탄틴 레카페노스(924–945)
에 의해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