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더-6 정사각형 타일링
Order-6 square tiling오더-6 정사각형 타일링 | |
---|---|
쌍곡면의 푸앵카레 원반 모형 | |
유형 | 쌍곡선 정규 타일링 |
정점 구성 | 4개6 |
슐레플리 기호 | {4,6} |
위토프 기호 | 6 4 2 |
콕서터 다이어그램 | |
대칭군 | [6,4], (*642) |
듀얼 | 4차 육각형 타일링 |
특성. | 정점-추이적, 모서리-추이적, 면-추이적 |
기하학에서 6차 사각 타일링은 쌍곡면의 정규 타일링입니다.Schléfli 기호가 {4,6}입니다.
대칭
이 타일링은 정사각형의 가장자리로 만나는 4개의 거울의 쌍곡 만화경을 나타내며, 모든 정점 주위에 6개의 정사각형이 있습니다.이 오비폴드 표기법에 의한 대칭을 4차 3 미러 교차로를 가진 (*333)이라고 합니다.콕서터 표기법에서는 [6,4] 대칭에서 거울 3개 중 2개를 제거하여 [6,4*]로 나타낼 수 있다.*3333 대칭은 기본 영역을 이등분하는 거울을 추가하여 663 대칭으로 두 배가 될 수 있습니다.
이 2색 정사각형 타일은 이 대칭의 짝수/홀수 반사 기본 정사각형 영역을 나타냅니다.이 2색 타일링은 와이토프 구조1 t{(4,4,3)}입니다.제2의 6색 대칭은 육각형 대칭 영역에서 구성할 수 있다.
[4,6,1+] = [(4,4,3)] 또는 ((443) 대칭 = | [4,6*] = (*22222) 대칭 = |
---|
아트워크 예시
1956년경, M.C. 에셔는 2차원 평면에서 무한대를 표현하는 개념을 탐구했다.캐나다 수학자 H.S.M. 콕서터와의 토론은 쌍곡면의 규칙적인 타일링인 쌍곡선 테셀레이션에 대한 에셔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에셔 목판화 원 한계 I-IV는 이 개념을 보여준다.마지막 원 한계 IV(천국과 지옥)(1960)는 Poincaré 디스크 투영에서 쌍곡면 위에 천사와 악마를 반복하는 대칭(*333)으로 타일링합니다.
아래 그림에는 대략적인 쌍곡선 미러 오버레이가 추가되어 6차 사각 타일링의 사각 대칭 영역을 보여줍니다.자세히 보면 네 개의 사각형 주위에 네 개의 천사 중 한 개와 악마가 뒷면으로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변화가 없다면, 예술품은 각 사각형 중심에 4중 회전점을 가지며 (4*3), [6,4+] [1]대칭을 갖게 될 것이다.
관련 다면체 및 타일링
이 타일링은 정다면체 및 정점 그림(4)과n 타일링 순서의 일부로 위상적으로 관련된다.
*n42 정규타일링 대칭변환: {4,n} | |||||||||||
---|---|---|---|---|---|---|---|---|---|---|---|
구면 | 유클리드 | 콤팩트 쌍곡선 | 파라콤팩트 | ||||||||
{4,3} | {4,4} | {4,5} | {4,6} | {4,7} | {4,8}... | {4,∞} |
이 타일링은 무한대로 진행되는 슐래플리 기호 {n,6}과 콕서터 다이어그램의 순서 6 정점을 가진 정타일링 시퀀스의 일부로서 위상적으로 관련된다.
정규 타일링 {n,6} | ||||||||
---|---|---|---|---|---|---|---|---|
구면 | 유클리드 | 쌍곡선 타일링 | ||||||
{2,6} | {3,6} | {4,6} | {5,6} | {6,6} | {7,6} | {8,6} | ... | {∞,6} |
균일한 사육각형 타일링 | |||||||||||
---|---|---|---|---|---|---|---|---|---|---|---|
대칭: [6,4], (*642) ([6,6] (*662), [(4,3,3)] (*443) , [124,3,440] (*3222) 지수 2 하위대칭) (그리고 [(,,3,,,3)] (*322) 인덱스 4 준대칭) | |||||||||||
= = = | = | = = = | = | = = = | = | ||||||
{6,4} | t{6,4} | r{6,4} | t{4,6} | {4,6} | rr{6,4} | tr{6,4} | |||||
균일한 이중화 | |||||||||||
V64 | V4.12.12 | V(4.6)2 | V6.8.8 | V46 | V4.4.4.6 | V4.8.12 | |||||
대체품 | |||||||||||
[1+,6,4] (*443) | [6+,4] (6*2) | [6,1+,4] (*3222) | [6,4+] (4*3) | [6,4,1+] (*662) | [(6,4,2+)] (2*32) | [6,4]+ (642) | |||||
= | = | = | = | = | = | ||||||
h{6,4} | s{6,4} | hr{6,4} | s{4,6} | h{4,6} | hr{6,4} | sr{6,4} |
균일한(4,4,3) 타일링 | ||||||||||
---|---|---|---|---|---|---|---|---|---|---|
대칭: [(4,4,3)](*443) | [(4, 4, 3)]+ (443) | [(4, 4+, 3)] (3*22) | [(4,1+,4,3)] (*3232) | |||||||
h{6,4} t0(4, 4, 3) | h2{6,4} t0,1(4, 4, 3) | {4,6}1/2 t1(4, 4, 3) | h2{6,4} t1,2(4, 4, 3) | h{6,4} t2(4, 4, 3) | r{6,4}1/2 t0,2(4, 4, 3) | t{4,6}1/2 t0,1,2(4, 4, 3) | s{4,6}1/2 s(4, 4, 3) | hr{4,6}1/2 hr(4, 3, 4) | h{4,6}1/2 h(4,3,4) | 질문 {4,6} h1(4,3,4) |
균일한 이중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