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오바이러스과
Myoviridae미오바이러스과 | |
---|---|
Synechoccus Page S-PM2 바이러스온의 TEM 이미지 | |
바이러스 분류 | |
(순위 미지정): | 바이러스 |
영역: | 듀플로드나바이러스 |
왕국: | 흥공비래 |
문: | 우로비리코타 |
클래스: | 카우도비리케테스 |
주문: | 카우도비랄레스 |
패밀리: | 미오바이러스과 |
아과 및 속 | |
텍스트 참조 |
Myoviridae는 Caudovirales목 박테리오파지과이다.박테리아와 고세균은 자연 숙주의 역할을 한다.이 과에는 625종이 있으며, 8개 아과 217개 [1][2]속으로 분류된다.
소분할
Tevenvirinae 아과(의칭:테콰트로바이러스아과(Tequatrovirinae)의 이름은 엔테로박테리아 파지 T4의 모식종에서 따왔다.이 아과의 구성원은 형태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으며 길이가 약 110나노미터(nm)인 적당히 긴 머리, 깃이 있는 114나노미터 길이의 꼬리, 짧은 스파이크가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6개의 긴 꼬임 모양의 꼬리 섬유를 가지고 있다.이 아과의 속은 머리 형태에 따라 테콰트로바이러스속(가칭:T4바이러스)의 머리 길이는 137nm이며, Shychosot4virus속은 111nm이다.단백질 호몰로지에 기초한 속들 내에서 그 종은 여러 그룹으로 나뉘었다.
Peduovirinae 아과에는 직경 60nm의 머리와 135×18nm의 꼬리를 가진 비리온이 있다.수축된 칼집이 꼬리 중심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화지는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P" 파지는 모식종이다.
Spounavirinae 아과는 모두 독성이 있고 넓은 숙주의 파이지로 바실로타균에 감염된다.직경 87~94nm의 등각 헤드와 눈에 띄는 캡소머, 140~219nm 길이의 줄무늬 테일 및 이중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추고 있습니다.꼬리 끝에는 현재 베이스 플레이트 스파이크로 알려진 구상 구조와 6배 대칭의 짧은 꼬임 테일 파이버가 있습니다.이 그룹의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3.1-20kb 말단 중복성을 가진 대규모(127–142kb) 비분열 게놈을 가지고 있다.이 아족의 이름은 SPO + una(라틴어로 1을 의미)에서 유래했습니다.
할로바이러스 HF1과 HF2는 같은 속에 속하지만 박테리아가 아닌 고세균을 감염시키기 때문에 분류가 [3]확정되면 별도의 속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
난쟁이 그룹은 형태학적, 유전학적 근거에 의해 제안되어 왔다.본 발명은 Aeromonas 연어파지 56, Vibrio cholerae파지 138 및 CP-T1, Bdellovrio파지 δ1422 및 Pectobacterium carotovum파지 [4]ZF40을 포함한다.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대개 짧은 수축성 꼬리로 특징지어지며 약 45킬로베이스의 게놈 크기를 가진 동일한 비리온 형태를 포함한다.게놈의 구조 단위에서의 유전자 순서는 종단-간격-머리-꼬리-베이스 플레이트-꼬리 섬유 순으로 되어 있습니다.
바이러스학
Myoviridae의 바이러스는 포개어 있지 않으며, 머리(목)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게놈은 선형의 이중가닥 DNA로 길이는 약 33-244KB이다.게놈은 40에서 415개의 [1]단백질을 암호화한다.말단 용장 시퀀스가 있습니다.GC 함량은 ~35%입니다게놈은 오퍼론에서 전사되는 200-300개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5-히드록시메틸시토신은 (티미딘 대신) 게놈에 존재할 수 있다.
튜브형 테일의 지름은 16~20nm이고 나선형 대칭입니다.중앙 튜브, 수축성 칼집, 칼라, 베이스 플레이트, 6개의 테일 핀, 6개의 긴 파이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텍티바이러스과와 비슷하지만 근바이러스의 꼬리가 영구적이라는 점이 다르다.
꼬리의 수축은 ATP를 필요로 한다.칼집 수축 시 칼집 서브유닛이 서로 미끄러져 꼬리가 10-15nm 길이로 짧아집니다.
라이프 사이클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 부착할 때 수축성 칼집을 주사기처럼 이용해 세포벽을 중앙 튜브로 뚫고 숙주에 유전물질을 주입한다.주입된 DNA는 전사와 번역을 위한 숙주 세포의 메커니즘을 이어받아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산하기 시작한다.복제는 복제 전치 모델을 따릅니다.DNA 템플릿 전사는 전사 방법이다.변환은 -1 리보솜 프레임시프트에 의해 이루어집니다.바이러스는 용해와 홀린/엔돌리신/스파닌 단백질에 의해 숙주 세포에서 빠져나갑니다.박테리아와 고세균은 자연 숙주의 역할을 한다.전송 경로는 수동 [1]확산입니다.
근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용혈성이며 용혈성이 되기 위해 필요한 유전자가 부족하지만, 많은 온대성 종들이 알려져 있다.
적용들
대부분의 Myoviridae가 온대성 화지가 아닌 용해성 화지이기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인간과 다른 [6]동물들에게 세균성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되는지를 연구해왔다.
분류법
다음 8개의 서브패밀리가 인식됩니다.[2]
또한 다음 속은 하위 [2]패밀리에 할당되지 않습니다.
- 아부 바이러스
- 아시온나바이러스
- 아그리칸바이러스
- 아티바이러스
- 알키오네우스바이러스
- 알렉산드라바이러스
- 아남동바이러스
- 아나포스바이러스
- 아오쿠앙바이러스
- 아스테리우스바이러스
- 아틀라우바이러스
- 아우룬바이러스
- 아요트레바이러스
- 바이칼바이러스
- 바콜리바이러스
- 바르바바이러스
- BCEP후나바이러스
- 베크푸바이러스
- 베세디마바이러스
- 벨라미바이러스
- 벤디고바이러스
- 비쿼터바이러스
- 빅스나바이러스
- 보록바이러스
- 브리짓바이러스
- 브리조바이러스
- 브루노바이러스
- 부산바이러스
- 카르파시나바이러스
- 차크라바티바이러스
- 차리브디스바이러스
- 치앙마이바이러스
- 콜니바이러스
- 사이모폴리아바이러스
- 데르비쿠스바이러스
- 디비바이러스
- 도넬리바이러스
- 엘멘테이타바이러스
- 엘바이러스
- 엠도데카바이러스
- 에넬라두스바이러스
- 에포나바이러스
- Erskine바이러스
- 에우리비아바이러스
- 피클레두바이러스
- 플라움드라바이러스
- 후쿠이바이러스
- 고프듀오바이러스
- 고슬라바이러스
- 할로페라칼레스바이러스
- 하푸나바이러스
- 헤이룽장바이러스
- 이아페투스바이러스
- 요오드바이러스
- 이오나바이러스
- 제두나바이러스
- 지린바이러스
- 짐머바이러스
- 카나가와바이러스
- 카날로바이러스
- 클라우스바이러스
- 클렉츠코프스카바이러스
- 쿵브나바이러스
- 카일바이러스
- 라가페바이러스
- 류코트헤븐바이러스
- 리반바이러스
- 리엣듀오바이러스
- 라이르바이러스
- 러프버러바이러스
- 러벅바이러스
- 마키나바이러스
- 마파바이러스
- 마타바이러스
- 마즈바이러스
- 멘더바이러스
- 메트리바이러스
- 미제아팜바이러스
- 미마스바이러스
- 모압바이러스
- 모투라바이러스
- 멀둔바이러스
- 무슈바이러스
- 뮤바이러스
- 미오알테로바이러스
- 미오할로바이러스
- 미오스마바이러스
- Naes바이러스
- 나마카바이러스
- 난코쿠바이러스
- 넵튠바이러스
- 네레우스바이러스
- 네리비크바이러스
- 노드바이러스
- 녹시페르바이러스
- 니레샤론바이러스
- 오볼렌스크바이러스
- 오타고바이러스
- 팍푸나바이러스
- 팔레몬바이러스
- 프부나바이러스
- Peat바이러스
- 페문바이러스
- 페츠바이러스
- 파브콰트로바이러스
- 파페콕타바이러스
- Phikz바이러스
- 피피바이러스
- 플라상스바이러스
- 플레이타울레이크바이러스
- 폴리보토스바이러스
- 폰투스바이러스
- Popoff 바이러스
- 푸나바이러스
- 칭다오바이러스
- 라하리안네바이러스
- Radnor바이러스
- 립듀바이러스
- 라이징선바이러스
- 로노도르바이러스
- 로즈마운트바이러스
- 사클레이바이러스
- 생지론바이러스
- 살라시바이러스
- 살몬드바이러스
- 사루만바이러스
- 새스쿼치바이러스
- 슈미트로츠바이러스
- 서울바이러스
- 산둥바이러스
- 셔브룩바이러스
- 시라하마바이러스
- 샬라바이러스
- 스부나바이러스
- 스테나리우스바이러스
- 다카하시바이러스
- 탐쿵바이러스
- 타라니스바이러스
- 테프넛바이러스
- 테구나바이러스
- 타우마스바이러스
- 테티스바이러스
- 토르네바이러스
- 티제나바이러스
- 투타티스바이러스
- 툴레인바이러스
- 벨라모바이러스
- Vhml바이러스
- 비바키바이러스
- 웰링턴바이러스
- 와이프세바이러스
- 윙클러바이러스
- 요코하마바이러스
- 욜로스와그바이러스
- 용루린바이러스
레퍼런스
- ^ a b c "Viral Zone". ExPASy. Retrieved 1 July 2015.
- ^ a b c "Virus Taxonomy: 2020 Releas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March 2021. Retrieved 11 May 2021.
- ^ Tang, SL; Nuttall, S; Dyall-Smith, M (2004). "Haloviruses HF1 and HF2: evidence for a recent and large recombination event". J Bacteriol. 186 (9): 2810–7. doi:10.1128/JB.186.9.2810-2817.2004. PMC 387818. PMID 15090523.
- ^ Comeau, AM; Tremblay, D; Moineau, S; Rattei, T; Kushkina, AI; Tovkach, FI; Krisch, HM; Ackermann, HW (2012). "Phage morphology recapitulates phylogeny: the comparative genomics of a new group of myoviruses". PLOS ONE. 7 (7): e40102. Bibcode:2012PLoSO...740102C. doi:10.1371/journal.pone.0040102. PMC 3391216. PMID 22792219.
- ^ J. 버나드 헤이먼, 빙왕, 윌리엄 W.뉴콤, 웨이민 우, 데니스 C윙클러, 나이키안 청, 에린 R.라일리, 루칭샤, 줄리 A토마스, 알라스데어 C.스티븐:살모넬라 거대 파지 SPN3US의 얼룩덜룩한 캡시드는 새로운 내부 껍데기를 가진 성숙 중간체입니다.입력: 바이러스 2020, 12(9)특집 Giant 또는 Jumbo Pages, 910.doi:10.3390/v12090910.
- ^ Capparelli, Rosanna; et al. (August 2007). "Experimental phage therap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n mice".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51 (8): 2765–73. doi:10.1128/AAC.01513-06. PMC 1932491. PMID 1751784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