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켄어
Moken language모켄(Moken)은 미얀마 서부와 태국 남부의 주민들이 말하는데, 이들은 자신을 모켄(사람)과 마우켄(Mawken)이라고 부른다.[2]
분류
이 언어는 모클렌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우락로이'와 유사하다고 오인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멀리 관계가 있다.[2] 그들은 또한 연설자들이 주로 안다만 해 안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바다 사람"으로 간주된다.[3]
역사
구전 언어인 모켄은 5000~6000년 전 오스트리아인들이 대만으로 이주한 후 만들어진 말레이-폴리네소스어로서, 이 오스트로네시아어가 발전하게 되었다.[4] 인구는 4,000명의 모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2009년 현재 약 1,500명의 원어민만이 남아 있어 언어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위험
모켄의 주요 화자는 언어의 전이에 있어 문맹의 부족이 어려워지면서 장년층이지만,[5] 문맹의 부족은 언어를 보존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그들의 '바다사람'이라는 호칭은 그들이 이주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바다에 대한 웅대한 지식을 암시하고, 마을 안에 남아 있는 전통적 생활 방식은 뱃놀이는 물론 해양과 숲에 대한 지식의 세대를 형성해 왔다. 모켄이 많이 거주하는 수린섬은 2004년 12월 선조들이 '7대 롤러'와 '라붐'(거인파)의 전설을 통합해 큰 쓰나미를 겪으면서 이들의 생활방식의 장점이 자본화됐다.[3]
지리적 분포
모켄의 언어는 버마와 태국에서 쓰이고, 그 파생된 언어는 안다만 해를 중심으로 쓰인다.
방언/배리어티
- 버마에서 사용되는 둥(연사자[6] 635명)
- 자이트(331명의 연설자[6]), 버마에서 연설하다
- 버마에서 연설하는 레비, 레비(980명[6])
- 버마에서 사용되는 니아위
- 자디악, 태국에서 말함
버마에서는 똥, 자이트, 레비, 니아위 등이, 태국에서는 자디악이 쓰인다. 버마 품종은 제대로 조사되지 않았다.
소리/생체학
모켄어는 문장의 억양에 관한 영어 음운론과 유사하게 따른다. 질문이나 감탄으로 끝나는 문장을 말할 때 등고선 억양이 상승한다. 등고선 억양이 규칙적인 문장 내에서 사용된다.
모켄어로 발음되는 두 단어에 관한 한, 첫 번째 단어는 억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두 번째 단어는 억양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끝난다.
음절의 관점에서, 단음절 단음절은 발음 전반에 걸쳐 스트레스가 평준화된 반면, 접두사 음절과 주요 음절로 구성된 단어들은 주요 음절에 강조될 것이다. 다시 말해, 마지막 음절은 항상 강조될 것이고 그 부재가 단어 단절의 실마리를 준다.
모켄은 대부분 이단어로 이루어져 있다.[8]
참조
- ^ 위험에 처한 유네스코 세계 언어 지도책
- ^ Jump up to: a b 나우세이 베이(1995), 페이지 193
- ^ Jump up to: a b UN/ISDR(2008)
- ^ 댄코즈 외 (2009)
- ^ 크라이사메(2018년)
- ^ Jump up to: a b c Naw Say Bay (2015). The Process of Preserving Moken from Extinction. Paper presented at SoLE-4, Payap University.
- ^ Jump up to: a b 피트야포른(2005)
- ^ 찬타나콤(1980)
참고 문헌 목록
- Bradley, David (2007). "East and Southeast Asia". In Moseley, Christopher (ed.).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349–424.
- Chantanakomes, V. (1980). A Description of Moken: A Malayo-Polynesian Language (Master's thesis). Mahidol University.
- Dancause, Kelsey Needham; Chan, Chim W; Arunotai, Narumon Hinshiranan; Lum, J Koji (2009). "Origins of the Moken Sea Gypsi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Hypervariable Region and Whole Genome Sequences". Journal of Human Genetics. 54 (2): 86–93. doi:10.1038/jhg.2008.12.
- Kraisame, Sarawut (2018). "Language Endangerment and Community Empowerment: Experience Form Community Training in the Moken Language Documentation and Preservation Project". Kasetsart Journal of Social Sciences. 39 (2): 244–253. doi:10.1016/j.kjss.2017.05.002.
- Larish, Michael (2005). "Moken and Moklen". In Adelaar, Alexander; Himmelmann, Nikolaus P. (eds.).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London: Routledge. pp. 513–533. ISBN 0-7007-1286-0.
- Naw Say Bay (1995). "The Phonology of the Dung Dialect of Moken". In Bradley, D. (ed.). Papers in Southeast Asian Linguistics No. 13: Studies in Burmese Language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193–205. doi:10.15144/PL-A83.193. ISBN 0-85883-427-8.
- Pittayaporn, Pittayawat (2005). "Moken as a Mainland Southeast Asian language". In Grant, A.; Sidwell, P. (eds.). Chamic and Beyond: Studies in Mainland Austronesian Language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189–209. doi:10.15144/PL-569.189. ISBN 0-85883-561-4.
- UN/ISDR (2008). Indigenous Knowledg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Good Practices and Lessons Learnt from the Asia-Pacific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