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아미드

Lithium amide
리튬아미드
Lithium azanide.png
Unit cell of LiNH2.png
__ + __ N3− __ H+
이름
IUPAC 이름
리튬아미드
기타 이름
리타미드
식별자
3D 모델(JSmol)
켐스파이더
ECHA InfoCard 100.029.062 Edit this at Wikidata
펍켐 CID
유니
  • InChi=1S/Li.H2N/h;1H2/q+1;-1 checkY
    키: AFRJJFRNGGLMDW-UHFFFAOYSA-N checkY
  • InChi=1/Li.H2N/h;1H2/q+1;-1
    키: AFRJJFRNGGLMDW-UHFFFAOYAO
  • [Li+][NH2-]
특성.
LiNH
2
어금질량 22.96 g/190
외관 백색 고체
밀도 1.152g/cm3
녹는점 375°C(707°F, 648K)
비등점 430 °C(806 °F, 703 K) 분해
반응하다
용해성 에탄올에 약간 녹는
암모니아에서 불용성인.
열화학
-182 kJ/mol
위험
NFPA 704(화재 다이아몬드)
3
1
2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NVERIFI (?란checkY☒N?
Infobox 참조 자료

리튬아미드 또는 아자니드(Azanide)는 화학 공식 LiNH를2 가진 무기 화합물이다. 그것은 4각형의 결정 구조를 가진 흰색 고체다.[1] 리튬 아미드는 리튬 금속을 액체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만들 수 있다.[2]

2Li + 2NH3 → 2LiNH2 + H2

기타 리튬아미드

아민의 결합 염기들은 아미드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리튬 아미드아민의 리튬 소금 등급에 있는 화합물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 화합물들은 화학 리튬 아미드 자체를 모체 구조로 하여 일반적인 형태의 Li<NR을2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리튬 아미드는 리튬 이소프로필아미드(LDA), 리튬 테트라메틸피페리디드(LiTMP), 리튬 헥사메틸디실라지드(LiHmDS) 등이다. 그것들은 적절한 아민과 함께 Li metal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2Li + 2R2NH → 2LiNR2 + H2

리튬 아미드는 매우 반응성이 좋은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강력한 근거다.

리튬 테트라메틸피페리딘화물이 테트라머로 결정되었다.[3] 반면, 트리머로서 bis(1-페닐타일)amine 결정체의 리튬 파생물은 다음과 같다.[4]

테트라메틸피페리딘화 리튬 테트라메틸피페리딘화
트리메릭 리튬 비스(1-페닐틸)아미드

금속 알코산화물 및 아미드 혼합 과점제 제작도 가능하다.[5] 이것들은 금속 알코시드와 알킬의 혼합물인 슈퍼레이즈와 관련이 있다. 주기적인 과점들은 질소 단독 쌍이 다른 금속 중심부에 결합하는 동안 아미드의 질소가 리튬에 시그마 결합을 형성할 때 형성된다.

다른 유기석 화합물(BuLi와 같은)은 일반적으로 고차 집계 종을 통해 존재하며 기능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참고 항목

참조

  1. ^ David, William I. F.; Jones, Martin O.; Gregory, Duncan H.; Jewell, Catherine M.; Johnson, Simon R.; Walton, Allan; Edwards, Peter P. (2007-02-01). "A Mechanism for Non-stoichiometry in the Lithium Amide/Lithium Imide Hydrogen Storage Rea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29 (6): 1594–1601. doi:10.1021/ja066016s. ISSN 0002-7863.
  2. ^ P. W. Schenk (1963). "Lithium amide". In G. Brauer (ed.). Handbook of Preparative Inorganic Chemistry, 2nd Ed. Vol. 1. NY,NY: Academic Press. p. 454.
  3. ^ M.F. Lappert; M.J. Slade; A. Singh; J.L. Atwood; R.D. Rogers; R. Shakir (1983). "Structure and reactivity of sterically hindered lithium amides and their diethyl etherates: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Li{N(SiMe3)2}(OEt2)]2 and tetrakis(2,2,6,6-tetramethylpiperidinatolithium)".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05 (2): 302–304. doi:10.1021/ja00340a031.
  4. ^ D.R. Armstrong; K.W. Henderson; A.R. Kennedy; W.J. Kerr; F.S. Mair; J.H. Moir; P.H. Moran; R. Snaith (1999). "Structural studies of the chiral lithium amides [{PhC(H)Me}2NLi] and [PhCH2{PhC(H)Me}NLi·THF] derived from α-methylbenzylamine". Dalton Transactions: 4063–4068. doi:10.1039/A904725E.
  5. ^ K.W. Henderson, D.S. Walther & P.G. Williard (1995). "Identification of a Unimetal Complex of Bases by 6Li NMR Spectroscopy and Single-Crystal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117 (33): 8680–8681. doi:10.1021/ja00138a03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