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는 눈.
Eye for an eye"눈에는 눈"(성경 히브리어: עַיִן תַּחַת עַיִן, ʿay ī n ta ḥ a ṯ ʿay īn)은 출애굽기 21장 23~27절에서 발견되는 계명으로, 척도에 대한 상호 정의의 원칙을 표현한 것입니다. 함무라비 율법은 히브리어 성경보다 앞선 함무라비 율법에 등장합니다.[1]
정확한 보복의 법칙([2]라틴어: lex talionis) 또는 호혜적 정의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가한 사람이 상해 당사자로부터 비슷한 정도의 형벌을 받는 것과 동일한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좀 더 부드러운 해석으로는 피해자가 부상의 [추정] 가치를 보상으로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3] 그 원칙의 배후에 있는 의도는 보상을 손실의 가치로 제한하는 것이었습니다.[2]
정의 및 방법
렉탈리오니스라는 용어는 항상 문자 그대로의 눈에는 눈을 맞추는 정의 코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오히려 거울 처벌 참조), 심각성에 맞는 것으로 생각되는 특정 범죄에 대한 처벌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광범위한 법률 시스템에 적용됩니다. 이는 적어도 어느 정도는 복수하는 사적인 당사자나 국가의 손에 의한 과도한 처벌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고 제안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4] 어휘의 가장 일반적인 표현은 "눈에는 눈"이지만 다른 해석도 제시되었습니다. 사전 주의 원칙을 따르는 법전에는 중죄에 대해 '적정'으로 대항하는 규정이라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예는 "눈에는 눈" 원칙입니다. 그럴 경우 처벌은 범죄와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는 게 원칙이었습니다.
바빌로니아 율법에서
함무라비 법전에는 정확한 상호주의의 원칙이 매우 명확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다른 사람의 죽음을 초래했다면 살인자는 사형에 처해질 것입니다.[5]
이 법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인 것은 초기 문명이 성장하고 잘못, 불화, 복수에 대한 응보를 위한 덜 확립된 시스템이 사회 구조를 위협하면서 발전했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법 이론으로 대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렉탈리오니스 시스템은 사회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목적을 수행했습니다. 즉 보복을 제정하고 이것이 유일한 처벌임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를 설립하는 것입니다. 이 몸은 가장 초기 형태의 상태 중 하나였습니다. 이 원칙은 우르의 우르-남무 법전과 이신의 리피트-이슈타르 법전과 같은 초기 메소포타미아 법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원리는 바빌로니아 법에서 발견됩니다.[6][7] 법의 지배에 구속되지 않는 사회에서 사람이 다쳤다면 부상당한 사람(또는 그들의 친척)은 부상을 입힌 사람에게 복수의 응징을 할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그 보복은 범죄보다 더 심할 수도 있고 심지어 죽음까지도 가능합니다. 바빌로니아 법은 피해자와 범죄자가 사회에서 동일한 지위를 차지하는 한 보복이 범죄보다 나쁘지 않다고 제한하면서 그러한 행위에 제한을 가했습니다. 신성모독이나 레제마제스테(신이나 군주에 대한 범죄)와 마찬가지로, 사회적으로 더 나은 사람들에 대한 범죄는 더 엄중하게 처벌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법에서
피타고라스의 스승인 아낙시만데르(Anaximander): "자연의 대주기는 보복적 보복의 주기를 제정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소크라테스는 이 법을 거부했습니다.[8]
히브리어법에서
히브리인들의 법에서 "눈에는 눈"이 보상을 손실의 가치로 제한하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한 쪽 눈에 한 쪽 눈만'이라고 읽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2] 출애굽기와 레위기(히브리어: עין תחת עין, 로마자: ayin tachatayin)에서 "눈에는 눈"이라는 관용적인 성경 구절은 문자 그대로 "눈 아래/(눈 대신) 눈"을 의미하며, 약간 다른 구절(עַיִן בְּעַיִן שֵׁן בְּשֵׁן, 문자 그대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는 실패한 거짓 증인에 대한 가능한 상호 법정 선고의 맥락에서 다른 구절(Deuteronomy)에서 사용됩니다.[9][10][11] 레위기에 나오는 구절은 "나라 사람을 다치게 하는 사람은, 그가 한 것과 같이, 골절상을 입은 사람, 눈 밑에 있는 사람, 눈 밑에 있는 사람, 치아 밑에 있는 사람, 치아 밑에 있는 사람, 치아 밑에 있는 사람, 치아 밑에 있는 사람에게 해야 합니다. 또 다른 사람이 그에게서 부상을 받았듯이 그에게도 주어질 것입니다."(레 24:19-21)[9] תחת가 규칙적인 '아래'의 의미로 사용되는 예는 레위 22:27 "황소, 양, 염소는 태어날 때 어미 밑에 머물러서 여덟째 날부터..."
성경은 살인을 제외한 모든 범죄에 대해 코퍼(금전)가 체벌을 대신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12] 피해자나 피고인, 판사가 체벌 대신 코퍼를 선택할 권한이 있었는지는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출애굽기 21:22-24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남자들이 아이를 가진 여자를 괴롭히고, 그 여자의 열매가 그녀에게서 떨어져 나가도록 해친다면, 그 여자는 반드시 벌을 받아야 합니다. 그 여자의 남편이 그에게 씌울 것이므로, 그는 재판관들이 정하는 바에 따라 벌을 받아야 합니다. 만약 어떤 장난이 뒤따른다면, 당신은 생명을, 눈을, 이를, 이를, 손을, 발을, 손을, 발을, 바쳐야 합니다.
유대교
아이작 칼리미는 랍비들이 "눈에는 눈"을 합당한 금전적 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함으로써 어휘가 "인간화"되었다고 말했습니다. 바빌로니아 어휘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윤리적 유대교와 인간적인 유대인 법학이 쓴 토라의 페샤트(문자적 의미)를 대체합니다.[13] 파사초프와 리트만은 바리새파 유대교가 "변화하는 사회적, 지적 사상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어휘의 재해석을 지적합니다.[14]
탈무드
탈무드는[15] "눈에는 눈"을 언급하는 구절과 이와 유사한 표현을 불법행위 사건에서 금전적 보상을 의무화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성경 구절이 현물의 물리적 보복을 언급한다는 사두교도들의 해석에 반대하며, 그러한 해석은 시각장애인이나 눈이 없는 범죄자에게는 적용할 수 없을 것이라는 주장을 사용합니다. 토라는 형벌이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구는 이러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구술법은 성경 구절을 바탕으로 성경이 "손해, 고통, 의료비, 무력화, 정신적 고통"에 대한 지불로 구성된 정교한 5부 금전적 형태의 보상을 요구한다고 설명하며, 이는 많은 현대 법전의 기초가 됩니다. 더욱이 일부 랍비 문헌은 '눈에는 눈 등'이라는 표현은 가해자가 자신의 눈을 잃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성서법은 그를 관대하게 대한다고 설명합니다. − 정교회 연합에서 의역했습니다.[16]
그러나 토라는 직접적인 호혜적 정의의 한 형태에 대해서도 논의하는데, 여기서 ayin tachatain이라는 문구가 또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17] 여기서 토라는 다른 사람에게 불리한 증언을 공모하는 거짓 증인에 대해 논합니다. 토라는 재판부가 "그가 그의 형제에게 한 것처럼 그에게 할 것"을 요구합니다.[18] 특정한 기술적 기준(아직 처벌이 집행되지 않은 피고인의 양형 등)을 충족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공모자들이 그들의 동료를 해치려고 계획한 것과 정확히 동일한 형벌로 처벌할 수 있는 경우에는, 법원은 이 직접적인 호혜적 정의를 수행합니다(처벌이 사형을 구성하는 경우 포함). 그렇지 않으면 범죄자는 속눈썹을 받습니다.[19][20]
토라에는 범법자(징벌적 절단)의 가벌성을 요구하는 처벌의 형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모적 허위증인이 법원에 의하여 눈, 치아, 손, 발 등을 상해하여 처벌될 수 있는 경우가 없습니다. 토라족이 "…그리고 당신은 그녀의 손을 잘라버릴 것입니다…"[21]라고 말하는 한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탈무드의 현자들은 이 구절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그 여자가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방법으로 남자를 공격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 구절은 희생자를 구하기 위해 개입해야 하지만 치명적이지 않은 부상을 통해 공격자를 무력화할 수 있다면 치명적인 공격자를 죽이지 않을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22][23][24]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 치아 또는 발에 부상을 입히는 것으로 보이는 구절은 없습니다.
숫자 35:9-30은 법원이 직접 수행하지 않는 원격 상호 정의의 유일한 형태에 대해 논의하는데,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과실 과실치사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혈통의 구원자" 역할을 하는 고인의 친척에 의해 살해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법원은 유죄인 당사자에게 지정된 피난 도시로 도피할 것을 요구합니다. 죄를 지은 당사자가 그곳에 있는 동안, "피의 구원자"는 그를 죽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죄를 지은 당사자가 불법적으로 자신의 유배를 포기한다면, '피의 구원자'는 법원의 부속물로서 죄를 지은 당사자를 죽일 수도 있습니다.
전통적인 유대교 법에 따르면, 이러한 법을 적용하려면 성경적으로 지정된 피난 도시의 존재와 유지뿐만 아니라 토라와 탈무드에 의해 묘사된 23명의 판사로 구성된 적격한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아야 합니다. 후자의 조건은 모든 사형에도 적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약 2,000년 동안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유대교의 호혜적 정의의 목적
탈무드는 신적으로 구현된 정의의 맥락에서 측정에 대한 응징(middah k'needged middah)으로서 정의의 개념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법정에 의한 상호 정의와 관련하여 토라는 형벌은 사회에서 위험한 요소를 제거하고(…그리고 당신은 당신의 가운데에서 악을 제거해야 한다)[18] 법을 위반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합니다(그리고 나머지는 듣고 위축되어야 합니다). 그들은 더 이상 당신들 가운데서 이런 악행을 저지르지 않을 것입니다."[25] 또한 불법행위 사건에서 상호적 정의는 피해자에게 보상하는 역할을 합니다(위 참조).
피해자가 자신에게 피해를 준 사람들을 증오하거나 원한을 품지 않도록 주의를 주기 때문에 피해자의 고통을 달래기 위한 복수의 이상은 토라의 법정 정의 개념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토라 사람들은 증오나 원한의 대상이 법의 심판을 받았는지 여부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동료 이스라엘 민족을 사랑하도록 배웁니다.[26]
사회적 위계질서와 호혜적 정의
출애굽기 21에서 함무라비 법전과 같이 호혜적 정의의 개념은 겉보기에는 사회적 평등에 적용되며, 호혜적 정의의 진술은 "생명을 위하여, 눈을 위하여, 이를 위하여, 이를 위하여, 손을 위하여, 발을 위하여, 화상을 위하여, 상처를 위하여, stripe for stripe"[27]는 다른 법의 예로 이어집니다: 만약 노예 소유자가 눈을 멀게 하거나 노예의 이빨을 기절시킨다면, 그 노예는 풀려나지만 소유자는 다른 결과를 지불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노비는 노비 주인의 눈을 다쳐서 사형에 처해질 것입니다.[28]
그러나 호혜적 정의는 사회적 경계를 넘어 적용됩니다: "눈에는 눈" 원칙은 "당신은 외계인과 시민을 위한 하나의 법을 가져야 합니다"라는 선언으로 바로 이어집니다.[29] 이는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사회구조상 동일한 권리가 주어졌다는 점에서 사회정의를 위해 훨씬 더 의미 있는 원칙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이클 쿠건(Michael Coogan)에 따르면 이상적인 기능을 하는 환경에서 상호 정의는 "사람들이 스스로 법을 취하고 자신에게 저지른 범죄에 대해 불균형적인 복수를 강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who?][28]
로마법에서
응보적 견해를 주장하는 고전 텍스트로는 기원전 1세기에 쓰여진 키케로의 다리버스(De Legibus)가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로마법은 복수의 대신 금전적 보상으로 나아갔습니다. 폭행의 경우 여러 부상에 대해 고정된 벌칙이 설정되었지만,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팔다리를 부러뜨리면 탈리오가 여전히 허용되었습니다.[30]
이슬람 율법에서
코란(Q5:45)은 '눈에는 눈'이라는 개념이 이스라엘 어린이를 위해 서품된 것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31] 이슬람교에서 렉탈리오니스의 원리는 ṣ ṣ(아랍어: قصاص)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신을 위해 규정된 것은 살해된 자들을 위한 법적 보복(키사스)입니다. 즉, 자유로운 자는 자유로운 자, 노예는 노예, 그리고 여성은 여자입니다. 그러나 누구든지 그의 형제에게서 무엇인가를 간과하면, 그에게 적절한 후속 조치와 보수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은 당신의 주님으로부터의 완화이자 자비입니다. 그러나 그 뒤에 위반하는 자는 고통스러운 형벌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란이나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이슬람 샤리아 법을 사용하는 이슬람 국가들은 문자 그대로 "눈에는 눈"이라는 규칙을 적용합니다.[32][33]
토라에서 우리는 그들을 위해 평생을 살 것을, 눈은 눈을, 코는 코를, 귀는 귀는 귀를, 이는 이를, 상처는 이를, 상처는 이를 동등하게 할 것을 규정하였습니다. 만약 누군가가 이것을 자선에서 포기한다면, 그것은 그의 나쁜 짓에 대한 속죄가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밝힌 바에 따라 판단하지 않는 사람들은 중대한 잘못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 Al-Ma'ida Qurʾān, 5:45
2017년, 산성 공격으로 부상을 입은 이란 여성은 공격자에게 산성 퍼샤리아 법칙으로 눈을 멀게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습니다.[34]
적용들
비평
눈에는 눈이 달려서 세상 전체를 장님으로 만듭니다.
"눈에는 눈이 (전체) 세계를 장님으로 만듭니다"라는 문구와 다른 유사한 문구는 사형 논쟁에 대한 조지 페리 그레이엄(1914),[36] 마하트마 간디의 철학을 묘사하는 루이스 피셔(1951),[37] 인종 폭력의 맥락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58)에 의해 전달되었습니다.[38]
참고 항목
- 칼에 의지하여 살자, 칼에 의지하여 죽자.
- 손해배상 - 영미법상 어휘의 현대적 해석
- 징벌적 손해배상(불법행위법) - 어휘의 역
- 골든 룰
설명주
인용문
- ^ White, Mark D. (2014). "Lex Talionis". Encyclopedia of Law and Economics: 1–2. doi:10.1007/978-1-4614-7883-6_18-1. ISBN 978-1-4614-7883-6.
- ^ a b c 플라우트 1981, pp. 571ff.
- ^ 플라우트 1981, p. 572.
- ^ Knight, Douglas A; Levine, Amy-Jill (2011). The Meaning of the Bible. New York: Harper Collins. p. 124. ISBN 978-0-06-112175-3.
- ^ 함무라비 & 기원전 1780, § 230.
- ^ 함무라비 & 기원전 1780년.
- ^ Johns, Claude Hermann Walter (1911). . In Chisholm, Hugh (ed.).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3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15–121, see page 120, second para. first sentence.
In the criminal law the ruling principle was the lex talionis. Eye for eye, tooth for tooth, limb for limb was the penalty for assault upon an amelu.
- ^ Vlastos, Gregory (1 April 1986). "Socratic rejection of the Lex talionis". Cornell University Library.
- ^ a b Lv 24:19-21
- ^ 전 21:22~25
- ^ Dt 19:16~21
- ^ 출애굽기 21:30, 숫자 35:31, 35:32, 1 사무엘 12:3; 출애굽기 30:12, 아모스 5:12, 잠언 6:35, 13:8, 21:18; 직 33:24, 36:18의 비법률적 문맥에서의 용례도 참조.
- ^ Kalimi, Isaac; Haas, Peter J (2006). Biblical interpretation in Judaism and Christianity. Continuum. p. 2. ISBN 9780567026828.
- ^ Pasachoff, Naomi E; Littman, Robert J (2005). A concise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Rowman & Littlefield. p. 64. ISBN 9780742543669.
- ^ Bava Kamma, 83b–84a.
- ^ "Torah", About Judaism, ou.org.
- ^ Dt 19:16~21.
- ^ a b Dt 19:19.
- ^ Makot, 1:1.
- ^ Bab. Talmud, 2aDt 25:1–3의 임계 실행 Bab. Talmud, 2a기준
- ^ Dt 25:11~12.
- ^ 시프레이.
- ^ Maimonides, Yad.
- ^ Hillel, "Rotze'ach u'Sh'mirat Nefesh", Nezikin, 1:7.
- ^ Dt 19:20.
- ^ Lv 19:17-18.
- ^ 전 21:23-25.
- ^ a b Coogan, Michael D (2009). A Brief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The Hebrew Bible in Its Contex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12. ISBN 978-0-19-533272-8.
- ^ Lv 24:19-22.
- ^ "Roman law: Delict and contract". Britannica.com.
- ^ Qur'an, V: 45.
- ^ Court orders Iranian man blinded, BBC, 28 November 2008.
- ^ "Acid blinding sentence postponed by Iran after international outcry", The Guardian, UK, 14 May 2011.
- ^ Moss, Candida (12 February 2017). "Justice Is Blind: Why 'An Eye for an Eye' Never Dies In Iran". Retrieved 5 September 2019.
- ^ "'An eye for an eye': The Jews who sought to poison six million Germans to avenge the Holocaust". Haaretz.com. Retrieved 6 May 2021.
- ^ Official Report of the Debates of the House of Commons of the Dominion of Canada, Third Session-Twelfth Parliament (Report). Vol. CXIII. Ottawa: Library of Parliament. 5 February 1914. p. 496. Retrieved 12 March 2024.
If in the present age we were to go back to the old time of 'an eye for an eye and a tooth for a tooth,' there would be very few hon. gentlemen [sic:Honourable Gentlemen] in this House who would not, metaphorically speaking, be blind and toothless.
- ^ Fischer, Louis (January 1951). "Chapter XI – Gandhi Goes to Jail". The Life of Mahatma Gandhi (PDF). London: Lowe & Brydone. p. 93.
Satyagraha is the exact opposite of the policy of an-eye-for-an-eye-for-an-eye-for-an-eye which ends in making everybody blind.
- ^ King Jr., Martin Luther (1958). Stride Toward Freedom: The Montgomery Story. New York, Evanston, and London: Harper & Row.
The old law of an eye for an eye leaves everybody blind.
일반 참고문헌 및 인용문헌
- Hammurabi, Code of 1780 BC.
- Plaut (1981), The Torah: A Modern Commentary, New York: Union of American Hebrew Congreg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