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렉스

Reflex

생물학에서 반사, 즉 반사 작용은 무의식적이고 계획되지 않은 순서나 행동이며[1] [2][3]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거의 순간적인 움직임을 말한다.반사는 반사 호라고 불리는 신경 경로에 의해 가능해지며, 반사 호는 그 자극이 뇌에 도달하기 전에 어떤 자극에 의해 작용할 수 있다.반사는 의식적인 생각을 [4]받지 않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 자극에 대한 자동 반응이다.

인간의 반사작용의 종류

근운동 반사

근신장 반사 또는 근육 신장 반사(심근건 반사라고도 함)는 중추 신경계말초 신경계의 무결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일반적으로 반사능력이 감소하면 말초적인 문제를 나타내며, 활발하거나 과장된 반사능력은 중추적인 문제를 나타냅니다.스트레치 리플렉스는 근육이 세로 스트레칭에 반응하여 수축하는 것이다.

위의 반사가 기계적으로 자극되는 반면, H-reflex라는 용어는 전기적으로 자극되는 유사한 반사와 진동으로 자극되는 강장 진동 반사를 말합니다.

힘줄 반사

힘줄 반사는 힘줄을 치는 것에 대한 반응으로 근육이 수축하는 것이다.골지 힘줄 반사는 스트레칭 반사의 반대이다.

뇌신경 반사

이름. 감각 모터
동공광 반사 II III
적응 반사 II III
턱저어 반사 V V
깜빡임 반사라고도 하는 각막 반사 V VII
성문 반사 V VII
전정안 반사 VII III, IV, VI +
개그 반사 IX X

반사작용은 보통 사람 유아에게만 관찰된다.

파지 반사

신생아성인에게서 볼 수 없는 원시 반사라고 불리는 많은 다른 반사작용을 가지고 있다.자극에 대한 이러한 자동 반응은 유아들이 학습이 이루어지기 전에 환경에 반응할 수 있게 해준다.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다른 종류의 반사작용

중추신경계에서 발견되는 다른 반사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반사의 대부분은 매우 복잡하며, CNS의 여러 다른 핵에서 많은 시냅스를 필요로 한다(예: 탈출 반사).이들 중 다른 것들은 기능하기 위해 단지 몇 개의 시냅스를 포함한다(: 철수 반사).용어의 정의에 따르면 호흡, 소화, 심장 박동의 유지와 같은 과정도 반사 작용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채점

의학에서, 반사작용은 종종 신경계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의사들은 일반적으로 반사 활동의 등급을 0에서 4까지로 매길 것이다.2+는 정상으로 간주되는 반면, 일부 건강한 사람은 저반사적이고 모든 반사를 1+로 기록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초반사적이고 모든 반사를 3+로 등록합니다.

등급. 묘사
0 부재중("음소거")
1+ 또는 + 저액티브
2+ 또는 ++ "보통"
3+ 또는 +++ 클로너스 없이 매우 활동적이며, 인접한 근육 그룹으로 확산됩니다.
4+ 또는 +++ Clonus를 사용한 하이퍼액티브

반사 변조

반사 반전의 예가 묘사되어 있다.동일한 척추 반사 경로를 활성화하면 서 있을 때 팔다리가 구부러지고 걸을 때 펴질 수 있습니다.

순진하게, 우리는 반사가 불변의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반사작용이 유연하며 척추동물과 [5][6][7]무척추동물 모두의 행동요건에 맞게 실질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반사 변조의 좋은 예는 스트레칭 [8][9][10][11]반사이다.정지 상태에서 근육이 늘어나면 스트레칭 반사가 근육의 수축으로 이어져 스트레칭에 반대한다.이것은 자세를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그러나 자발적인 움직임 동안 반사의 강도(게인)가 감소하거나 심지어 반사의 부호가 반전됩니다.이것은 저항 반사가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반사 변조의 기본 부위와 메커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시냅스[12][13]억제를 통해 행동 중에 감각 뉴런의 출력이 직접적으로 조절된다는 증거가 있다.운동 뉴런에 대한 감각 입력의 영향 또한 척수복부 신경[11] 코드의 인터뉴론과 [14][15][16]뇌의 하강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parveen (November 11, 2020). "Reflex action". Definition, Types and Mechanism and Important solved questions. Crack Your Target. Retrieved 3 April 2021.
  2. ^ Purves (2004년)신경과학: 제3판매사추세츠, 시나우어 어소시에이션스
  3. ^ "Definition of REFLEX". www.merriam-webster.com.
  4. ^ "tendon reflex". TheFreeDictionary.com.
  5. ^ Pearson KG (1993). "Common principles of motor control in vertebrates and invertebrates".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6: 265–97. doi:10.1146/annurev.ne.16.030193.001405. PMID 8460894.
  6. ^ Büschges A, Manira AE (December 1998). "Sensory pathways and their modulation in the control of locomotion".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8 (6): 733–9. doi:10.1016/S0959-4388(98)80115-3. PMID 9914236. S2CID 18521928.
  7. ^ Tuthill JC, Azim E (March 2018). "Proprioception". Current Biology. 28 (5): R194–R203. doi:10.1016/j.cub.2018.01.064. PMID 29510103.
  8. ^ Bässler U (1976-03-01). "Reversal of a reflex to a single motoneuron in the stick insect Çarausius morosus". Biological Cybernetics. 24 (1): 47–49. doi:10.1007/BF00365594. ISSN 1432-0770. S2CID 12007820.
  9. ^ Forssberg H, Grillner S, Rossignol S (August 1977). "Phasic gain control of reflexes from the dorsum of the paw during spinal locomotion". Brain Research. 132 (1): 121–39. doi:10.1016/0006-8993(77)90710-7. PMID 890471. S2CID 32578292.
  10. ^ Capaday C, Stein RB (May 1986). "Amplitude modulation of the soleus H-reflex in the human during walking and standing". The Journal of Neuroscience. 6 (5): 1308–13. doi:10.1523/JNEUROSCI.06-05-01308.1986. PMC 6568550. PMID 3711981.
  11. ^ a b Clarac F, Cattaert D, Le Ray D (May 2000). "Central control components of a 'simple' stretch reflex" (PDF). Trends in Neurosciences. 23 (5): 199–208. doi:10.1016/s0166-2236(99)01535-0. PMID 10782125. S2CID 10113723.
  12. ^ Wolf H, Burrows M (August 1995). "Proprioceptive sensory neurons of a locust leg receive rhythmic presynpatic inhibition during walking". The Journal of Neuroscience. 15 (8): 5623–36. doi:10.1523/JNEUROSCI.15-08-05623.1995. PMC 6577635. PMID 7643206.
  13. ^ Sauer AE, Büschges A, Stein W (April 1997). "Role of presynaptic inputs to proprioceptive afferents in tuning sensorimotor pathways of an insect joint control network". Journal of Neurobiology. 32 (4): 359–76. doi:10.1002/(SICI)1097-4695(199704)32:4<359::AID-NEU1>3.0.CO;2-5. PMID 9087889.
  14. ^ Mu L, Ritzmann RE (March 2008). "Interaction between descending input and thoracic reflexes for joint coordination in cockroach: I. descending influence on thoracic sensory reflexes". Journal of Comparative Physiology A: Neuroethology, Sensory, Neural & Behavioral Physiology. 194 (3): 283–98. doi:10.1007/s00359-007-0307-x. PMID 18094976. S2CID 25167774.
  15. ^ Martin JP, Guo P, Mu L, Harley CM, Ritzmann RE (November 2015). "Central-complex control of movement in the freely walking cockroach". Current Biology. 25 (21): 2795–2803. doi:10.1016/j.cub.2015.09.044. PMID 26592340.
  16. ^ Hsu LJ, Zelenin PV, Orlovsky GN, Deliagina TG (February 2017). "Supraspinal control of spinal reflex responses to body bending during different behaviours in lampreys". The Journal of Physiology. 595 (3): 883–900. doi:10.1113/JP272714. PMC 5285725. PMID 27589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