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인문학
Environmental humanities환경 |
---|
|
환경인문학(생태인문학도)은 지난 수십 년간 인문학, 환경철학, 환경역사, 과학기술연구, 환경학, 환경학 등 인문학에 출현한 많은 환경하위학문을 중심으로 한 학제간 연구 영역이다.인류학,[1] 그리고 환경 커뮤니케이션.[2] 환경 인문학은 긴박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미, 문화, 가치, 윤리, 책임에 관한 인문학적 질문을 사용한다. 환경 인문학은 자연계와 그 안에 있는 인간의 위치와 관련된 서양, 동양, 그리고 토착적인 방법들뿐만 아니라 과학과 인문학의 전통적인 분열을 연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분야는 또한 '자연'과 '문화'의 전통적인 분열에 저항하며, 얼마나 많은 '환경' 문제가 항상 인간의 정의, 노동, 정치 문제에 얽혀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환경 인문학은 또한 환경문제를 통해 새로운 사고방식을 창조하기 위해 분야별로 방법을 종합하는 방법이다.[3]
환경 인문학의 출현
환경인문학을 뒷받침하는 개념과 아이디어는 수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문학, 역사, 철학, 성 연구, 인류학 등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의 꾸준한 발전에 따라 2000년대에 '환경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호주의 한 연구자들은 1990년대 그들의 연구를 설명하기 위해 "생태학 인문학"이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2010년 경에는 "환경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4] 학술지 '환경인문학'은 2012년, '복원성: 환경인문학 저널'은 2014년 창간돼 이 용어를 중심으로 한 분야 발전과 통합을 알 수 있다.
전 세계에는 수십 개의 환경 인문학 센터, 프로그램, 기관이 있다. Some of the more prominent ones are the Rachel Carson Center for Environment and Society (RCC) at LMU Munich, the Center for Culture, History, and Environment (CHE)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The Center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 the Human Sciences at Rice University, the Penn Program in Environmental Humanities at the U펜실베니아 주립대 환경인문연구소, KTH 로열공과대학 환경인문연구소, Stavanger대학 온실, 환경관측소를 위한 국제인문학의 다양성.
수십 개의 대학이 환경 인문학의 박사학위, 석사학위, 석사학위, 학사학위를 제공한다.[5] 환경 인문학의 강좌는 모든 대륙에서 가르친다.[6]
환경 인문학은 단지 서양의 학문적 사상가들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다: 토착민, 후기 식민지, 페미니스트 사상가들이 주요한 공헌을 했다. 이러한 공헌에는 '자연'과 '문화'를 구분하는 인간중심적 관점과 '자연'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백인·남성·유럽·북미 중심적 관점에 도전하는 것, '자연적 글쓰기'라는 문학적 장르를 수정하는 것, '난감'과 같이 학계와 정치학을 잇는 새로운 개념과 분야를 창조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정신적 정의", "인종차별주의", "빈민들의 환경주의", "문화" 그리고 "포스트 휴먼".[7]
연결 온톨로지
환경 인문학은 생태학적 법률에 복종하고 인류를 더 큰 생활 시스템의 일부로 볼 필요성과 관련된 두 가지 기본적인 공리에 대한 약속과 연결성 온톨로지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환경 인문학의 근본적인 존재론적 전제 중 하나는 유기적인 세계와 그 무기적인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관은 결국 로트카의 생리철학 및 "세계 엔진"의 관련 개념과 밀접한 관계를 공유하고 있다.[1] 우리가 모든 것을 연결된 것으로 볼 때, 경제적, 정치적 정의에 관한 인문학의 전통적인 질문들은 우리의 환경과 생태계의 변화와 정의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한 고려로 확대된다. 그러한 연결성 온톨로지(ontonology)의 결과는 환경 인문학의 지지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우리는 권리가 귀속되는 사람들의 영역 내에 비인간들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정의 개념을 모색하기 시작한다. 정의에 대한 이러한 확대된 개념은 복수적이고 다양한 '지식인' 분야 내에서 지식 공유의 향상을 전제로 하는 '인공' 또는 '생태적 사고'를 포함한다. 이런 종류의 지식 공유는 학제간이라고 불린다.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과 이탈로 칼비노의 작품들과 연관을 맺고 있다. 칼비노의 표현대로,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것의 범위를 확대하라"고 했다. 과학이 동시에 축약되는 동시에 확대되는 라이프니츠의 계몽 프로젝트와도 연계를 맺고 있다.[2]
그러나 연결부가 비선형과 선형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함으로써 상황은 복잡해진다. 그러므로 환경 인문학은 정의에 대한 추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선형 및 비선형 언어 모드를 요구한다. 따라서 선형 및 비선형 연결성 모두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언어 모드를 찾으려는 동기가 있다.
공리
일부 사상가에 따르면 환경 인문학의 세 가지 공리가 있다.
- 생태계 법률에 대한 복종이라는 공리
- 더 큰 생활 시스템의 참여자로서 인류를 배치하는 생태적 친족 관계의 공리
- 생태계와 자연이 단지 편리한 개념적 실체일 수 있다는 생태계의 사회구축과 생태적 통합의 공리(공리)이다(Marshall, 2002년).
첫 번째와 두 번째 공리를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생물들 사이의 연결과 생물들 사이의 연결은 생태계가 어떻게 작용하도록 이해되는지에 대한 기초가 되며, 따라서 존재의 법칙과 행동 지침을 구성한다(로즈 2004).
이러한 공리 중 첫 번째 공리는 사회과학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마르크스, 1968: 3 참조). 두 번째 공리로부터 "생태학적 구현/내포성"과 "해비타트"라는 개념은 권리, 민주주의, 생태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연관성을 가진 정치이론에서 나왔다(Eckersley 1996: 222, 225; Eckersley 1998).
세 번째 공리는 모든 '인문' 학문의 강한 '자기반영적' 전통에서 나온 것으로, 환경 인문학의 독자적인 이론적 근거를 조사하도록 장려한다(그리고 그 없이는 환경 인문학은 단지 '생태학'일 뿐이다).
현대 사상
정치경제생태학
일부 이론가들은 정의의 고려에 비인간들을 포함시키는 것은 생태학적 철학과 정치 경제학을 연관시킨다고 제안했다. 정의 이론은 정치 경제 철학의 중심 활동이기 때문이다. 환경 인문학의 공리에 따라 필요한 결과보다 생태학적 가치를 포함하도록 정의 이론이 확대되는 것은 생태학적 우려와 정치 경제, 즉 정치 경제 생태학의 통합이다.
에너지 시스템 언어
어떤 언어가 생태계의 선형적, 비선형적 인과관계를 가장 잘 묘사할 수 있느냐는 문제는 시스템 생태학으로 알려진 생태학파가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열역학 법칙이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는 생태계의 선형 및 비선형 내부 관련성을 묘사한다(Hannon et al. 1991: 80), 시스템 생태학자 H.T. 오둠(1994)은 생태 정력학의 원리에 대해 에너지 시스템 언어를 앞섰다. 생태 정력학에서는 환경 인문학에서와 마찬가지로 연결 사이의 인과적 결합을 온틱 범주로 간주한다(Patten et al. 1976: 460 참조). 더욱이, 에너지 시스템 언어로 생태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H.T.오둠은 체화된 에너지를 가치로 이해할 수 있다는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그 자체가 위에서 지적한 정치경제생태학의 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참고 항목
- 동물학
- 인류세
- 바이오프로스펙팅
- 생물거상주의
- 바이오세미학
- 문화지리학
- 심층생태학
- 생태주의
- 에코센트리즘
- 에코페미니즘
- 에코뮤지컬학
- 에코세미오틱스
- 환경사
- 환경철학
- 정치생태학
- 포스트 휴머니즘
- 성생태학
- 시스템 생태학
- 가치이론
메모들
- ^ Rose, Deborah Bird; van Dooren, Thom; Chrulew, Matthew; Cooke, Stuart; Kearnes, Matthew; O'Gorman, Emily (2012-05-01). "Thinking Through the Environment, Unsettling the Humanities". Environmental Humanities. 1 (1): 1–5. doi:10.1215/22011919-3609940. ISSN 2201-1919.
- ^ 밀스타인, T. & 카스트로-소토마요르, J.(2020). 생태학 정체성 안내 책자 영국 런던: 루틀리지. https://doi.org/10.4324/9781351068840
- ^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at UCLA". Retrieved 2019-09-25.
- ^ Emmett, Robert S., 1979- author. (2017-10-06).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 a critical introduction. ISBN 9780262036764. OCLC 978286393.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Where to Study - ASL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terature and Environment.
- ^ O’Gorman, Emily, Thom van Dooren, Ursula Münster, Joni Adamson, Christof Mauch, Sverker Sörlin, Marco Armiero, Kati Lindström, Donna Houston, José Augusto Pádua, Kate Rigby, Owain Jones, Judy Motion, Stephen Muecke, Chia-ju Chang, Shuyuan Lu, Christopher Jones, Lesley Green, Frank Matose, Hedley Twidle, Matthew Schneider-Mayerson, Bethany Wiggin, a그리고 돌리 요르겐센. "환경 인문학을 가르치는 것: 국제적인 시각과 실천" 환경 인문 11호, 2호(2019): 427-460.
- ^ Emmett, Robert S., 1979- author. (2017-10-06). The environmental humanities : a critical introduction. ISBN 9780262036764. OCLC 978286393.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S. Kingsland (1985). Modeling Natur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apter 2.
- ^ L. Courtart, translated by D. Rutherford, R. T. Monroe (2002). The Logic of Leibniz. Chapter 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5-12-17. Retrieved 2006-01-27.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참조
- Italo Calvino, On Fourier, III: 런던 피카도르 문학 기계, 미세먼지의 유토피아.
- R. 에커슬리(1996) B. 도허티와 M. 에드. 드 가우스에서 '자유민주주의 녹색화' 민주주의와 녹색 정치 사상: 지속가능성, 권리와 시민권, 런던, 루트리지, 페이지 212–236.
- R. 에커슬리(1998) '자연의 죽음과 생태 인문학의 탄생', 조직과 환경, 제11권 제2호, 페이지 183–185.
- R. Eckersley(2001) '친환경적 사고 – 호주에서 온 심포시움 녹색 사고', Vol.10, No.4, 페이지 85–102.
- J.B. 포스터와 P.Burkett(2004) '생태경제학과 고전 마르크스주의', 조직 및 환경, 제17권, 제1권, 페이지 32–60.
- Hannon, R.코스탄자와 R.Ulanowicz(1991) '생태계통 일반회계 프레임워크: 연결생태계 기능분류법', 이론인구생물학, 제40권, 78-104권.
- A. 마샬(2002) 자연의 통일: 생태와 과학의 심각성과 붕괴.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 프레스.
- J. 마르티네즈 알리에르 (1987) 생태경제학, 바질 블랙웰.
- K. 마르크스(1968년), 카를 마르크스: 1818년/1968년, 수필집, 인터네이션스, 배드 고데스베르크.
- H.T. Odum(1994) 생태 및 일반 시스템: 콜로라도 볼더 콜로라도 대학 출판부의 시스템 생태학 소개
- B.C. 패튼, R.W.보서맨, J.T.핀과 W.B.케일(1976년) 기원전 패튼의 '생태계의 원인 제시' 학술언론사 생태계의 시스템 분석 및 시스템 시뮬레이션 뉴욕
- S. 포돌린스키(2004) '사회주의와 물리력의 통일', 조직과 환경, 제17권, 제61-75호.
- D. 로즈와 L. 로빈(2004) '실행 중인 생태 인문학: 오스트레일리아 인문학 리뷰 31-2
- D.R. 와이너(2000) 자연의 모델: 미국 피츠버그대 출판사, 소비에트 러시아의 생태, 보존 및 문화 혁명
외부 링크
- 환경인문학(저널)
- 복원력: 환경 인문학 저널 (저널)
- "환경인문학이란 무엇인가?" UCLA의 환경 인문학자.
- 환경 & 사회 포털
- D. E. Nye, L. Rugg, J. 플레밍, R. 에밋(2013), "백그라운드 페이퍼: 환경 인문학의 출현" 스웨덴 전략환경연구재단 미스트라.
- R. Hutchings(2014) "환경 인문학의 이해와 비전", 환경 인문학, 제4권 213-220호
- T. 그리피스 '인문학과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호주', 호주인문학아카데미 부록 1, '인문학과 호주의 국가연구 우선순위', 2003년 4월 영연방 교육과학기술부(CIA)를 위해 작성한 보고서